KR101560189B1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0189B1
KR101560189B1 KR1020150021762A KR20150021762A KR101560189B1 KR 101560189 B1 KR101560189 B1 KR 101560189B1 KR 1020150021762 A KR1020150021762 A KR 1020150021762A KR 20150021762 A KR20150021762 A KR 20150021762A KR 101560189 B1 KR101560189 B1 KR 10156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igid
joint
expansion joint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환
Original Assignee
(주)상봉이엔씨
세주티앤씨 주식회사
(유)이지스건설
주식회사 이지스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봉이엔씨, 세주티앤씨 주식회사, (유)이지스건설, 주식회사 이지스이엔씨 filed Critical (주)상봉이엔씨
Priority to KR102015002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0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 포장도로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를 설치함에 있어서, 강성 포장면을 컷팅하고 파쇄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축이음부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부와 강성 포장면 사이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신축이음부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데,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고,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아스팔트함침 펠트;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도포되는 제2탄성봉함재;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Flexible jointing structure of concrete road installation using key shap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성 포장도로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를 설치함에 있어서, 강성 포장면을 컷팅하고 파쇄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축이음부를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부와 강성 포장면 사이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신축이음부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키(key)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포장의 시공시 사용되는 재료(콘크리트, 아스팔트 등)는 대기온도 변화 등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면서 도로포장재가 분리되고 변형되어 균열 및 손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균열 및 변형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강성 포장도로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수축과 팽창을 수용하는 공간인 신축이음부를 설치하고 있다.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부는 자외선과 장마철의 수분에 장시간 노출로 인해 내구성 저하와 온도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 및 차량이 통과함에 따라 받는 하중과 충격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어 균열이 발생하여 강성 포장부와 신축이음부 사이가 분리되어 우수나 결로수 등이 침투하여 균열을 촉진시키고 내구성을 저하시켜 수명단축 및 도로 파손을 초래하기 때문에 특히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과 하중 및 충격을 흡수하여 포장도로의 균열 및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신축이음부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포장도로의 신축이음부 및 신축이음재와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15507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 구조", 특허등록 제407777호 "지하차도 구조물 신축이음부 포장층의 조인트 공법", 특허등록 제469473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부 구조와 신축이음방법 및 신축이음부 보수방법", 특허등록 제1036277호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특허등록 제1157063호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특허등록 제1355399호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특허등록 제1386116호 "고부착 및 내후성 가열식 아스팔트계 실란트를 이용한 교량지하차도부 신축이음재 시공방법" 등 많은 기술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출현한 모든 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신축이음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도로 포장면을 컷팅하고 파쇄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신축이음부의 시공이 가능하므로, 도로면을 컷팅할 때 심한 소음과 먼지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파쇄 부분에서 산업폐기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면 사이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컷팅면에 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데, 컷팅면이 도로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므로 탄성봉함재가 수직인 컷팅면을 따라 곧바로 흘러내려버리기 때문에 컷팅면의 벽체에 일정한 두께의 봉함재 층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접착력이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컷팅면이 수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포장면 사이에 접착되는 면적이 적어서 접착력이 약하므로 시공후 균열이 쉽게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이 약화된 신축이음부가 분리 탈락되어 위로 솟구쳐 오르면서 도로상의 장애물로 변해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 포장층을 포설할 때 키(key) 형상을 갖는 성형틀(거푸집)을 사용함으로써 강성 포장도로의 일정 간격마다 신축이음구조를 설치할 때 포장층의 컷팅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강성 포장부와 신축이음부의 접착면적을 크게 하여 신축이음부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키(key)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데, 상기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고,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기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도포되는 제2탄성봉함재; 상기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축이음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고,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상부 양단(兩端)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각각 놓여지게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지수판; 상기 지수판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지수판은, 내부에 지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공; 상기 몸체의 상단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벽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몸체의 양측 외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키(key)가 각각 더 부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성 포장도로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은,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과,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아스팔트함침 펠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제2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거쳐 시공하고,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성 포장도로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의 다른 시공방법은,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지수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수판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를 거쳐 시공하고,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성형틀은, 판상(板狀)의 부재가 외측을 향해 일부가 돌출된 한쌍의 본체; 상기 한쌍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두 본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는, 신축이음부를 설치할 강성 포장층의 단부(端部)에 키(key) 형상이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축이음부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로 강성 포장층을 컷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신축이음부 설치를 위한 공사기간도 단축되고 예산도 절감되며, 컷팅시 발생하는 소음과 먼지가 일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산업폐기물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강성 포장층과 신축이음부의 접착이 수직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키 형상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면적이 넓고, 도포된 탄성포장재가 일시에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접착력이 강화되게 되어 신축이음부에 충진된 신축이음재가 강성 포장층에서 변형되거나 분리되지 않으며, 설령 신축이음부에 충진된 신축이음재가 강성 포장층에서 분리된다고 하더라도 돌출된 키 부분이 잡아주기 때문에 신축이음재가 도로면 상부로 솟구쳐 오르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공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지수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성형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성형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키(key) 형상을 갖는 성형틀(거푸집)을 사용하여 강성 포장층을 포설함으로써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를 설치하기 위해 포장층을 컷팅할 필요가 없고, 강성 포장층과 신축이음부의 접착면적이 커서 접착력이 강화되어 신축이음부가 갈라지거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했다는 점이다.
모든 콘크리트 구조물은 외기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이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도로구조물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콘크리트 슬래브와 강성 포장층)은 일정 길이(약 10m∼100m)마다 일정한 간극을 두고 설치하며, 그 간극 위에 신축이음부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신축이음부(30)는 콘크리트 슬래브(10) 상부에 강성 포장층(20)이 포설되어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20)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 의해 확보된 공간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강성 포장도로'란 도로포장 재료로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에 다른 성분을 첨가한 LMC, HPC, ELMC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포장한 도로 및 아스팔트 포장도로까지를 포함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의 제1실시예는 콘크리트 슬래브(10) 사이의 간극에 유공관(11)을 삽입한 것이다. 제1실시예의 신축이음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10) 사이에 삽입 설치된 유공관(11), 유공관(11)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에 도포되는 탄성봉함재, 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채워지는 탄성이음재(31) 및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33)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공관(11)은 폴리에스터와 같은 합성수지로 된 선상(線狀)의 부재를 엮어서 일정 직경의 관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도 3 참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10) 사이의 간극에 삽입 설치되어, 간극으로 침투되는 지하수 등이 유공관(11)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을 통해 유공관(11)에 유입되어 도로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된 측구로 배출되게 된다.
제1탄성봉함재(12)는 유공관(11)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고,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고, 제2탄성봉함재(12')는 아스팔트함침 펠트(32) 상부에 도포되는데, 탄성봉함재는 강성 포장층(20)과 탄성이음재(31) 및 콘크리트 슬래브(10)와 탄성이음재(31) 사이를 접착시켜 각각에서 신축이 발생하더라도 신축하면서 발생하게 되는 신축량을 흡수하여 이들 사이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 준다.
탄성봉함재(elastic sealant)는 아스팔트 AP제, 고무, 오일, 혼화제 등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것인데, 고체상태로 있다가 사용시 220℃ 정도의 열을 가하여 겔(gel)상태('죽'과 같은 상태)로 만들어서 도포하는 일종의 접착제 기능을 하는 물질로, 탄성봉함재는 탄성복원력을 갖고 있어서 횡방향(도로의 폭방향) 신축시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어서 신축이음 역할을 하게 되며, 시중에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고, 본 발명의 발명 대상이 탄성봉함재가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스팔트함침 펠트(32)는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에 탄성이음재(31)에 포함된 골재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탄성봉함재(12) 상부의 신축이음부(30) 바닥면에 위치하게 되는데, 바닥면 전체에 깔아도 되고, 슬래브와 슬래브 사이의 간극을 중심으로 일정 폭만큼만 깔아도 된다. 또한, 강성 포장층 상부 즉 키가 형성된 수직면을 따라 양쪽에 밀착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면까지 설치 할 수도 있다.아스팔트함침 펠트(32)는 탄성봉함재의 주원료인 아스팔트와 동질의 재료를 사용했기 때문에 탄성봉함재와 일체화를 이루게 된다는 장점이 있으며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울퉁불퉁한 콘크리트 바닥면이나 연약지반의 부등침하 등으로 구조물과 구조물의 단차가 발생하는 현장의 완벽한 밀착이 가능하고 차량이 지나면서 발생하는 윤하중에 의한 반발성 균열을 억제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아스팔트함침 펠트(32) 대신에 난연섬유부재나 철판 또는 알루미늄판을 사용하는 것은 시공자가 아무 어려움 없이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선택의 문제로, 효과상의 차이가 날 수 있는 정도의 문제이다.
탄성이음재(31)는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것으로, 제2탄성봉함재(12') 상부의 신축이음부(30)에 포설한 다음 콤펙터 등으로 상당한 하중과 압력을 가하여 다짐작업을 하여 신축이음부(30)에 충진되어 시공되게 된다.
탄성이음재(31)의 상부에는 마감재(33)를 도포하는데, 마감재(33)는 탄성봉함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탄성봉함재로 신축이음부(30) 상부를 코팅하여 마무리함으로써 방수 및 배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적 구성이 신축이음부(30)의 형상인데, 인접하는 강성 포장층(20)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부(30)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20)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키(key)의 단면(斷面) 형상은 삼각형, 사다리꼴, 반원, 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신축이음부(30)가 강성 포장층(20)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강성 포장층(20)과 신축이음부(30)의 접착이 수직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키 형상을 따라 형성되므로 접착면적이 넓고, 도포된 제1탄성포장재(12)가 일시에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접착력이 강화되게 되어 신축이음부(30)에 충진된 탄성이음재(31)가 강성 포장층(20)에서 변형되거나 분리되지 않으며, 설령 신축이음부(30)에 충진된 탄성이음재(31)가 강성 포장층(20)에서 분리된다고 하더라도 돌출된 키 부분이 잡아주기 때문에 신축이음재(31)가 도로면 상부로 솟구쳐 오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의 제2실시예는 콘크리트 슬래브(10) 사이의 간극에 지수판(15)를 삽입한 것이다. 제2실시예의 신축이음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10) 사이에 삽입 설치된 지수판(15), 지수판(15)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12), 신축이음부(30)에 채워지는 탄성이음재(31) 및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33)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지수판(15)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지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151)와, 몸체(151)의 바닥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공(153) 및 몸체(151)의 상단에 몸체(151)와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151)의 양측벽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커버(15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몸체(151)의 양측 외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키(key)(152)가 각각 더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키(152)는 몸체(151)의 양 외측벽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복수 열로 배열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키(152)는 경사지도록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지수판(15)을 슬래브 사이의 틈새에 삽입할 때는 수월하지만,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지수판(15)에 힘이 가해질 때는, 힘의 방향이 키(152)의 경사진 방향과 반대방향이 되므로 지수판(15)이 틈새에서 빠지지 않게 되면서 상부쪽으로 탄성이음재(31)에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지수판(15)은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10)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고,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커버(154)의 몸체(151) 양단(兩端)으로 돌출된 부분이 콘크리트 슬래브(10)에 각각 놓여지게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게 된다.
제1탄성봉함재(12)는 지수판(15)의 상부와 신축이음부(30)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고, 탄성이음재(31)는 제1탄성봉함재(12) 상부의 신축이음부(30)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유공관(11)을 삽입하는 제1실시예의 신축이음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S11);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S12);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S13);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과,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S14);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아스팔트함침 펠트를 설치하는 단계(S15);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제2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S16);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S17);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S18)를 거쳐 시공한다.
지수판(15)를 사용하는 제2실시예의 신축이음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S21);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S22);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지수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S23); 지수판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S24);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S25);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S26)를 거쳐 시공한다.
상기와 같이 강성 포장층(20)을 포설하기 전에 양 측판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성형틀(40)을 사용하여 인접하여 포설되는 강성 포장층(20) 사이에 신축이음부(30)를 형성해 놨기 때문에 신축이음구조를 시공할 때 강성 포장층(20)을 절단하고 파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5는 성형틀(4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성형틀(40)은 판상(板狀)의 부재가 외측을 향해 일부가 돌출된 한쌍의 본체(41)와, 상기 한쌍의 본체(41) 사이에 삽입되어 판상의 두 본체(41) 사이에 위치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재(4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간격유지재(42)는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동안 본체(41) 사이에 위치하면서 간격을 유지시켰다가 나중에 분리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형태든 상관없다.
강성 포장층(20)을 포설하기 전에 미리 상기 성형틀(40)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재를 포설한 후에, 포설된 강성 포장재가 양생되고 나면 간격유지재(42)를 분리한 다음, 판상의 본체(41)를 망치 등으로 쳐서 분리해 내면 양 측면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신축이음부(30)가 확보되게 된다.
도 6은 성형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성형틀(40')의 양 본체(41')를 하부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콘크리트 슬래브(10)에 앵커볼트(45')로 고정시키고, 뚜껑(43')으로 본체(41')의 상부끼리를 일정 간격마다 고정핀(46')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체결 고정시킨 것이다. 강성 포장층(20)의 양생이 끝난 다음에는 뚜껑(43')을 분리시키고 본체(41')를 제거시키면 신축이음부(30)의 공간이 확보된다. 미설명 부호 44'는 본체(41')의 측면에 고정 설치한 위치고정판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콘크리트 슬래브 11 : 유공관
12 : 제1탄성봉함재 12' : 제2탄성봉함제
15 : 지수판 151 : 몸체
152 : 키(key) 153 : 통공
154 : 커버 155 : 돌출부
20 : 강성 포장층
30 : 신축이음부 31 : 탄성이음재
32 : 아스팔트함침 펠트 33 : 마감재
40, 40' : 성형틀 41, 41' : 본체
42 : 간격유지재 43' : 뚜껑
44' : 위치고정판 45' : 앵커볼트
46' : 고정핀

Claims (10)

  1.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고,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기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도포되는 제2탄성봉함재;
    상기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2.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고,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상부 양단(兩端)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각각 놓여지게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지수판;
    상기 지수판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수판은,
    내부에 지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공;
    상기 몸체의 상단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벽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합성수지로 된 선상(線狀)의 부재를 엮어서 일정 직경의 관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 외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키(key)가 각각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7.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과,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아스팔트함침 펠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제2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
    를 거쳐 시공하며,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
  8.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지수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수판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
    를 거쳐 시공하며,
    상기 지수판은,
    내부에 지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공;
    상기 몸체의 상단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벽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판상(板狀)의 부재가 외측을 향해 일부가 돌출된 한쌍의 본체;
    상기 한쌍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두 본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
  10. 삭제
KR1020150021762A 2015-02-12 2015-02-12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156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62A KR101560189B1 (ko) 2015-02-12 2015-02-12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762A KR101560189B1 (ko) 2015-02-12 2015-02-12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0189B1 true KR101560189B1 (ko) 2015-10-14

Family

ID=5435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762A KR101560189B1 (ko) 2015-02-12 2015-02-12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0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98A (ko) 2018-09-04 2020-03-12 한국도로공사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의 시공방법
KR102309271B1 (ko) * 2020-04-08 2021-10-08 한국도로공사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99B1 (ko) * 2013-09-11 2014-01-27 (유)이지스건설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399B1 (ko) * 2013-09-11 2014-01-27 (유)이지스건설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298A (ko) 2018-09-04 2020-03-12 한국도로공사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의 시공방법
KR102309271B1 (ko) * 2020-04-08 2021-10-08 한국도로공사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399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157063B1 (ko)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6277B1 (ko)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KR101761476B1 (ko) 조인트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무조인트 방식으로 급속 시공하는 교체 공사 방법
KR20170082318A (ko)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498512B1 (ko) 유도배수를 위한 공간 확보용 가드
US3068763A (en) Top seal
KR101837093B1 (ko)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KR101397527B1 (ko)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KR101258180B1 (ko)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KR20100089616A (ko)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KR102082965B1 (ko) 신축이음부 연속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911839B1 (ko)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112451A (ko)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JP2007046365A (ja) 橋梁の継手部構造
KR100879160B1 (ko)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KR101476692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막방수를 이용한 무조인트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07269B1 (ko) 교량과 도로구조물 누수방지를 위한 신축이음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100128405A (ko) 교량 상판의 차수 방법 및 구조
JP5875855B2 (ja) 橋梁用ブロック型埋設ジョイント伸縮装置
KR101360788B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이음부 시공공법
KR20190046150A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저감장치
EP0980451A1 (en) Concrete surface
KR101002741B1 (ko) 슬래브의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