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0189B1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0189B1 KR101560189B1 KR1020150021762A KR20150021762A KR101560189B1 KR 101560189 B1 KR101560189 B1 KR 101560189B1 KR 1020150021762 A KR1020150021762 A KR 1020150021762A KR 20150021762 A KR20150021762 A KR 20150021762A KR 101560189 B1 KR101560189 B1 KR 1015601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 rigid
- joint
- expansion joint
- upper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40 industri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38 rigid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50534 El Moro Canyon orthohanta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데,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고,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아스팔트함침 펠트;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도포되는 제2탄성봉함재;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이음구조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공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지수판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성형틀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성형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2 : 제1탄성봉함재 12' : 제2탄성봉함제
15 : 지수판 151 : 몸체
152 : 키(key) 153 : 통공
154 : 커버 155 : 돌출부
20 : 강성 포장층
30 : 신축이음부 31 : 탄성이음재
32 : 아스팔트함침 펠트 33 : 마감재
40, 40' : 성형틀 41, 41' : 본체
42 : 간격유지재 43' : 뚜껑
44' : 위치고정판 45' : 앵커볼트
46' : 고정핀
Claims (10)
-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에 충진되고,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위치하는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기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도포되는 제2탄성봉함재;
상기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구조는,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삽입되고,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상부 양단(兩端)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각각 놓여지게 설치되어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지수판;
상기 지수판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과 바닥면에 도포되는 제1탄성봉함재;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되어 충진된 탄성이음재;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도포되는 마감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수판은,
내부에 지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공;
상기 몸체의 상단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벽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은 합성수지로 된 선상(線狀)의 부재를 엮어서 일정 직경의 관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 외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경사지도록 키(key)가 각각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유공관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과,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 바닥면에 아스팔트함침 펠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아스팔트함침 펠트 상부에 제2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2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
를 거쳐 시공하며,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
-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여 이루어진 강성 포장도로에서, 인접하여 포설된 상기 강성 포장층 사이에 형성된 신축이음부와 슬래브 사이의 이격된 부분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기 전에 일정 간격으로 성형틀을 설치하고 강성 포장층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성형틀을 제거하여, 인접하여 포설된 강성 포장층 사이에 신축이음부를 확보하는 단계;
인접하여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의 간격에 지하수를 유도 배수시키기 위한 지수판을 삽입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수판의 상부와, 신축이음부의 양 측면 및 바닥면에 제1탄성봉함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탄성봉함재 상부의 신축이음부에 골재와 열가소성수지가 혼합된 탄성이음재를 충진시키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탄성이음재 상부에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
를 거쳐 시공하며,
상기 지수판은,
내부에 지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된 통공;
상기 몸체의 상단에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벽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된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축이음부에는 양 측면에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강성 포장층 쪽으로 각각 돌출된 키(key) 형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판상(板狀)의 부재가 외측을 향해 일부가 돌출된 한쌍의 본체;
상기 한쌍의 본체 사이에 삽입되어, 두 본체 사이에 위치하면서 일정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의 시공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1762A KR101560189B1 (ko) | 2015-02-12 | 2015-02-12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1762A KR101560189B1 (ko) | 2015-02-12 | 2015-02-12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0189B1 true KR101560189B1 (ko) | 2015-10-14 |
Family
ID=5435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1762A KR101560189B1 (ko) | 2015-02-12 | 2015-02-12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018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298A (ko) | 2018-09-04 | 2020-03-12 | 한국도로공사 |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의 시공방법 |
KR102309271B1 (ko) * | 2020-04-08 | 2021-10-08 | 한국도로공사 |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399B1 (ko) * | 2013-09-11 | 2014-01-27 | (유)이지스건설 |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2015
- 2015-02-12 KR KR1020150021762A patent/KR1015601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5399B1 (ko) * | 2013-09-11 | 2014-01-27 | (유)이지스건설 |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7298A (ko) | 2018-09-04 | 2020-03-12 | 한국도로공사 |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복합포장 도로의 연결부의 시공방법 |
KR102309271B1 (ko) * | 2020-04-08 | 2021-10-08 | 한국도로공사 | 블레이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용 커팅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 줄눈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5399B1 (ko) |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로구조물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57063B1 (ko) | 도로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1036277B1 (ko) | 도로와 교량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신축이음 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부 시공 공법 | |
KR101761476B1 (ko) | 조인트 교량 신축이음 장치를 무조인트 방식으로 급속 시공하는 교체 공사 방법 | |
KR20170082318A (ko) | 탄성복원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
KR101498512B1 (ko) | 유도배수를 위한 공간 확보용 가드 | |
US3068763A (en) | Top seal | |
KR101837093B1 (ko) | 지하차도, 교량, 복개암거 또는 터널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차량 주행면 신축이음 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397527B1 (ko) | 교량의 슬래브 또는 암거박스 이음부의 누수처리장치 | |
KR101560189B1 (ko) |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258180B1 (ko) | 신축이음장치 보수방법 | |
KR20100089616A (ko) |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 |
KR102082965B1 (ko) | 신축이음부 연속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 |
KR100911839B1 (ko) |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190112451A (ko) |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 |
JP2007046365A (ja) | 橋梁の継手部構造 | |
KR100879160B1 (ko) | 지하차도용 신축이음장치 | |
KR101476692B1 (ko) |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막방수를 이용한 무조인트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2007269B1 (ko) | 교량과 도로구조물 누수방지를 위한 신축이음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20100128405A (ko) | 교량 상판의 차수 방법 및 구조 | |
JP5875855B2 (ja) | 橋梁用ブロック型埋設ジョイント伸縮装置 | |
KR101360788B1 (ko) | 연결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이음부 시공공법 | |
KR20190046150A (ko) |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 저감장치 | |
EP0980451A1 (en) | Concrete surface | |
KR101002741B1 (ko) | 슬래브의 조인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4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