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977B1 -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 Google Patents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977B1
KR102589977B1 KR1020230099435A KR20230099435A KR102589977B1 KR 102589977 B1 KR102589977 B1 KR 102589977B1 KR 1020230099435 A KR1020230099435 A KR 1020230099435A KR 20230099435 A KR20230099435 A KR 20230099435A KR 102589977 B1 KR102589977 B1 KR 102589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contilever
unit
support steel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해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신흥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신흥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웹
Priority to KR102023009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10Cantilevered e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1, 1-2컨틸레버부 각각의 설치단계; 제1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대차부 준비단계; 대차부를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키는 대차부의 전진 및 대차부 고정단계;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단계; 제1-3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고정단계; 대차부 분리단계; 대차부 후진단계; 대차부의 작업판 상승단계; 순차적인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제2-1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제2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제2-2컨틸레버부 및 순차적인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및 순차적인 지지강관 설치단계 및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된 이후 대차부의 회수단계; 제1, 2차 및 후속하는 차수에 따라 각 컨틸레버부에 고정된 지지강관 상면부위에의 디딤데크(60)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Construction method of deck road and deck road thereof}
본 발명은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연경관이나 지형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도로와 인접하지 않는 지형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중장비 투입이 필요 없이 연속적인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기간 및 시공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한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에 관한 것이다.
산이나 강변 또는 해안가 등과 같이 자연경관이 수려한 장소에는 보행자 등을 위한 데크로드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데크로드는 평지와 유사한 구조로 설치되기 때문에 어린이나 노약자도 편안한 보행을 하며 주변 경관을 즐길 수 있으며, 각종 관광 상품과 연계되어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전국적으로 그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데크로드를 보행하면서 자연경관을 즐기기 위해서는 데크로드의 주변부위가 탁 트인 전망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망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지형은 도 6에 일례로 개시된 것과 같이 산이나 강변 또는 해안가의 경사면이다. 경사면이 형성된 이러한 지형에 평지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데크로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보행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둥 시공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일정 경사를 가지는 자연 지형에 이처럼 많은 기둥을 시공하게 되면 그 비용 증가는 별론으로 치더라도 경사면을 따라 시공된 수많은 기둥에 의해 자연경관 자체가 훼손될 수 있음은 물론 기둥 시공 과정에서의 자연이 파괴되는 심각성이 있다. 이를 위해,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한 컨틸레버 구조의 데크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시공에 따른 기간 및 비용은 차지하더라도 도로와 인접한 지역 외는 적용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2268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475707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경관이나 지형 자체의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시공에 따른 기간 및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경사면이 가지는 지형적 제약에 구애받지 않는 데크로드의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한 데크로드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수직재(11), 후단부위가 제1수직재(11)의 상측부위에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수평재(12), 후단부위는 제1수직재(11)의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부위는 제1수평재(12)의 전방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1경사재(13)로 이루어지는 제1-1컨틸레버부 설치단계; 제1수직재(1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수직재(21), 후단부위는 제2수직재(21)의 상측부위에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수평재(22), 후단부위는 제2수직재(21)의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부위는 제2수평재(22)의 전방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2경사재(23)로 이루어지되, 인접하는 제1, 2수평재(12, 22)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제2-1컨틸레버부 설치단계;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1-1, 2-1지지강관(41, 42) 각각을 제1, 2수평재(11, 21) 상면부위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킨 다음 제1-1, 2-1컨틸레버부 각각에 고정 결합하는 제1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이동판(51), 이동판(51)의 하면부위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휠(52), 이동판(51)의 전방부위에 마련되되 전후면 사이의 폭 L2가 제1, 2수평재(11, 21) 사이의 폭 L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작업판(55)이 구비되는 대차부 준비단계; 이동판(51)의 하면 전방부위에 마련되는 휠(52)이 제2수평재(22)의 상측부위를 가로지르는 제1, 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상면부위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다음, 전방으로 일정거리 L3(L3 < L2-L1)만큼 이동시키는 대차부의 전진단계; 이동판(51)을 제1수평재(12) 또는 제1-1, 2-1지지강관(41, 42)에 고정시키는 대차부 고정단계;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단계; 제2수직재(2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3수직재(31), 후단부위는 제3수직재(31)의 상측부위에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인접하는 제2수평재(22)와 L1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 제3수평재(32), 후단부위는 제3수직재(31)의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부위는 제3수평재(32)의 전방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3경사재(33)로 이루어지는 제1-3컨틸레버부를 설치하고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에 고정하는 단계; 제1수평재(12) 또는 제1-1, 1-2지지강관(41, 42)으로부터 이동판(51)을 분리시키는 대차부 분리단계; 작업판(55)이 하강한 상태에서 이동판(51)을 L3만큼 후진시켜, 이동판(51)의 하면 전방부위에 위치하는 휠(51)을 제2수평재(22)의 상측부위를 가로지르는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상면부위로 위치시키는 대차부 후진단계; 작업판(55)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대차부의 작업판 상승단계; 작업판(55)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신규 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에의 고정,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각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제1차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제1차로 설치된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전단부위가 제1차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중 마지막에 설치된 컨틸레버부의 수평재를 통해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면, 대차부 전진 및 대차부 고정 단계를 거친 다음 대차부의 작업판(55)을 하강 하강시켜 인접하는 마지막 컨틸레버부의 수평재와 간격이 L1을 가지는 수평재를 포함하는 제2-1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작업판(55)이 하강한 상태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을 제2-1컨틸레버부에 고정하는 제2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제2차 지지강관이 설치되면, 대차부 분리, L3만큼 대차부 후진, 대차부 작업판(55) 상승,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제2-1컨틸레버부의 수평재와 간격이 L1을 가지는 수평재를 포함하는 제2-2컨틸레버부를 설치 및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에의 고정단계;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신규 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2-1, 2-2지지강관(2-1, 2-2) 각각에의 고정,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각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제2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및 순차적인 지지강관 설치단계 및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된 이후 대차부의 회수단계; 제1, 2차 및 후속하는 차수에 따라 각 컨틸레버부에 고정된 지지강관 상면부위에의 디딤데크(70)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디딤데크(70)의 설치는, 상기 제1, 2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및 후속하는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되거나 또는 제2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및 후속 차수의 지지강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판(51)의 전방부위에는 수직가이드프레임(53)이 마련되고, 상기 작업판(55)의 후방부위에는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53)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드프레임(5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대차부의 이동판(51) 후방 좌우 각각에는, 동력전달체(541), 핸들체(543), 걸림체로 이루어지는 이동판고정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동력전달체(541)는 기어조립체가 내장되어 이동판(51)의 후방 상면부위 좌우 각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핸들체(543)는 동력전달체(541) 각각의 일측부위 및 타측부위에 위치하며 그 중심축이 동력전달체(541)의 기어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걸림체는, 각각의 일단부위가 동력전달체(541) 각각의 후면부위에 위치하며 기어조립체와 연결되는 수직바(545) 및 수직바(545)의 타단부위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바(5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차부의 이동판(51) 후방 좌우 각각에는 고정체 및 가동체를 포함하는 이동판고정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체는, 전면부위가 이동판(51)의 후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관(581), 고정관(581)에 일정수직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장공(582), 수직장공(582)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 각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수평장공(583, 584)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체는, 고정관(581)에 삽입되는 수직봉(586), 수직봉(586)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 각각에서 상호 반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수평봉(587, 588), 수직봉(586)의 외면부위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2수평장공(583, 584)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단(589)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특징은, 상기 각각의 단계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컨틸레버 및 지지강관을 설치한 다음,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작업판이 마련되는 대차를 지지강관 상측을 따라 전, 후진하면서 컨틸레버 및 지지강관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데크로드를 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연경관이나 지형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도로와 인접하지 않는 지형에도 시공이 가능하며, 지속적인 중장비 투입이 필요 없이 연속적인 시공이 가능하여 시공 기간 및 시공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1i, 그리고 도 2a 내지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의 개략적인 시공 단계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라 시공된 데크로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에 있어 대차부에 마련되는 고정장치의 일 구성도.
도 4b는 도 4a에 개시된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에 있어 대차부에 마련되는 고정장치의 다른 구성도.
도 5b 내지 도 5d 각각은 도 5a에 개시된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작동 구성도.
도 6은 종래 경사면에 설치되는 데크로드의 일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데크로드에 대한 것으로, 제1-1, 1-2컨틸레버부 각각의 설치단계, 제1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대차부 준비단계, 대차부를 이용한 컨틸레버부의 순차적 설치단계, 제2차 지지강관 및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그리고 대차부 회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도 1a와 같이, 경사면에 제1-1, 1-2컨틸레버부 각각을 설치한다. 제1-1, 1-2컨틸레버부 각각은 제1, 2수직재(11, 21), 제1, 2수평재(12, 22), 제1, 2경사재(13, 23) 각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2수직재(11, 21) 각각은 상호 간에 일정거리 이격된 경사면에 고정 결합된다. 제1, 2수직재(11, 21) 각각은 도면과 같이 복수 개의 앵커볼트 등을 이용하여 경사면의 암반 등에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수평재(12, 22) 각각의 후단부위는 제1, 2수직재(11, 21) 각각의 상측부위에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된다. 이때, 제1-1, 1-2컨틸레버부에 있어 인접하며 대향하는 제1, 2수평재(12, 22) 사이 간격은 L1을 이루도록 한다.
제1, 2경사재(13, 23) 각각은 그 후단부위가 제1, 2수직재(11, 21) 각각의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그 전단부위는 제1, 2수평재(12, 22) 각각의 전방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된다. 제1-1, 1-2컨틸레버부 각각의 설치는 임시 비계나 안전 로프 등을 이용하여 설치될 필요가 있다.
제1-1, 1-2컨틸레버부가 설치되면, 도 1b와 같이 제1차 지지강관을 설치한다. 제1차 지지강관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1-1, 1-2지지강관(41, 42)으로 이루어지며, 제1-1, 1-2지지강관(41, 42)을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제1-1, 1-2컨틸레버부 각각에 고정 결합한다.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길이 및 사이 간격 각각은 제1, 2수평재(12, 22) 각각의 길이 및 제1-1, 1-2컨틸레버부 사이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대차부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부는 도 2a와 같이, 이동판(51), 휠(52), 작업판(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판(51)은 작업자 및 시공에 필요한 부품이나 장비 등이 탑재되는 부분으로 사각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511은 이동판(51)의 전면부위에 마련되는 이동판난간이다.
휠(52)은 이동판(51)을 이동시키는 부분으로, 이동판(51)의 하면부위에 마련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휠(52)은 적어도 이동판(51)의 전방 하면 모서리부위 및 후방 하면 모서리부위에는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때, 휠(5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휠(52) 각각의 내측부위에는 상호 대향하는 제1, 2지지강관(41, 42) 각각의 내측부위와 밀착되는 밀착단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판(55)은 제1-1, 1-2컨틸레버부를 제외한 나머지 컨틸레버부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공간으로서, 이동판(51)의 전방부위에 마련된다. 이때, 작업판(55)의 전후면 사이의 폭 L2는 도 1b에 개시된 인접하는 제1, 2수평재(12, 22) 사이 간격 L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럴 경우, 후속하는 컨틸레버부의 작업 과정에서 작업판(55)이 인접하는 수직재 사이를 통해 매우 용이하게 승,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판(51)의 전방부위에는 수직가이드프레임(53)이 마련되고, 작업판(55)의 후방부위에는 수직가이드프레임(53)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드프레임(56)이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럴 경우, 작업자는 작업판(55)을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 수직재, 수평재, 경사재 각각을 설치 및 컨틸레버부에 대한 지지강관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상승하여 다음 작업을 대비할 수 있다.
한편, 대차부에 있어 이동판(51)은 제1-1, 1-2지지강관(41, 42) 상면에 위치하고, 작업자와 시공 부품과 함께 작업판(55)에 탑승한 상태로 제1-1, 1-2지지강관(41, 42) 하부로 하강하여 컨틸레버부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작업판(55)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이동판(51)이 전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2a 및 도 3a 각각과 같이, 이동판(51)의 후방 좌우 각각에는 컨틸레버부 설치 작업 중에 이동판(51)이 전복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동판고정장치가 마련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동판고정장치는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4a에 게시된 이동판고정장치는 동력전달체(541), 핸들체(543), 걸림체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동력전달체(541)는 기어조립체가 내장되어 이동판(51)의 후방 상면부위 좌우 각각에 고정 결합된다. 기어조립체는 베벨기어나 웜 및 웜기어 등과 같이 전달되는 회전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통상적인 기어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체(543)는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으로, 동력전달체(541) 각각의 일측부위 및 타측부위에 위치하며, 그 중심축이 동력전달체(541)의 기어조립체와 연결된다. 걸림체는 수직바(545) 및 수평바(54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직바(545)는 각각의 일단부위가 동력전달체(541) 각각의 후면부위에 위치하며 기어조립체와 연결되며, 수평바(546)는 수직바(545)의 타단부위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4b와 같이, 핸들체(541) 각각에 외력이 작용하여 핸들체(543)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핸들체(54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동력전달체(541)로 전달된 다음 수직으로 변환되고, 수직으로 변환된 회전력이 수직바(545)로 전달되면서 수직바(545)가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고, 이에 따라 수직바(545)의 단부에 마련되는 수평바(546)가 제1, 2지지강관(41, 42) 각각의 내측부위에 걸리면서 대차부의 이동판(51)은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도 4b의 실선 참조).
고정된 대차부의 이동판(51)의 해제는, 핸들체(543) 각각에 외력을 작용하며 핸들체(543)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에 따른 회전력이 동력전달체(541)를 거쳐 수직으로 변환된 다음 수직바(545)로 전달되고,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수직바(545)가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 수평바(546) 각각이 제1, 2지지강관(41, 42) 각각과 분리되면서 이동판(51)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도 4b의 점선 참조).
후술할 대차부의 고정 및 분리는 이러한 작동을 통해 수행되며, 도면에는 수평바(546) 각각이 제1, 2지지강관(41, 42) 각각의 내측부위에 걸리면서 대차부가 고정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수평바(546) 각각이 컨틸레버부의 수평재에 걸려 대차부가 고정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판고정장치의 다른 구성은 도 5b에 게시된 것과 같이, 고정체 및 가동체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 중에서, 고정체는 고정관(581), 수직장공(582), 제1, 2수평장공(583, 584)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관(581)은 상하 각각이 개구된 관 구조체로서, 그 전면부위가 이동판(51)의 후면부위에 고정 결합된다.
수직장공(582)는 고정관(581)에 일정수직 길이로 형성되고, 제1, 2수평장공(583, 584) 각각은 수직장공(582)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 각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도면에는 제1, 2수평장공(583, 584) 각각이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동체는 수직봉(586), 제1, 2수평봉(587, 588), 고정단(58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직봉(586)은 고정관(581)에 삽입되며, 고정관(581)에 대하여 수직 승하강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수평봉(587, 588) 각각은 수직봉(586)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 각각에서 상호 반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고정단(589)은 수직봉(586)의 외면부위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5a와 같이 수직봉(586)이 상승하여 고정단(589)이 제1수평장공(583)에 끼움 결합되면 대차부는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b 내지 도 5d 각각과 같이, 제1수평봉(587)을 이용하여 수직봉(586)을 일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 및 하강시킨 다음, 다시 수직봉(586)을 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이럴 경우, 고정단(589)이 제2수평장공(584)에 끼움 결합되고, 제2수평봉(588) 각각이 지지강관에 걸리면서 대차부는 그 이동이 제한되며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전술한 이동판고정장치와 동일하게 이 예의 경우에도 도면에는 제2수평봉(588) 각각이 지지강관에 걸려 대차부가 고정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제2수평봉(588) 각각이 수평재에 걸려 대차부가 고정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구성의 대차부가 준비되면, 대차부를 도 1c와 같이 제1-1, 1-2지지강관(41, 42) 상측으로 옮긴 다음 제1-1, 1-2지지강관(41, 42)을 따라 이동시키고, 이동판(51)의 휠(52)이 제2수평재(22)의 상측부위를 가로지르는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상면부위에 위치하면, 그 지점에서 도 1d와 같이 전방으로 일정거리 L3만큼 전진시킨다.
이때, 대차부의 전진거리 L3는 L3 < L2-L1의 관계, 즉, 제1, 2수평재(11, 21) 사이 간격 L1에서 작업판(55)의 폭 L2를 뺀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차부를 이러한 값을 가지는 L3만큼만 전진시키는 이유는, 후술할 작업판(55)의 상승 단계에서 작업판(55)이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시키기 위함이다.
대차부가 L3만큼 전진하면, 그 위치에서 이동판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이동판(51)을 고정시킨다. 대차부의 이동판(51)이 고정되면, 도 1e와 같이 이동판(51)이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판(55)을 하강시켜 일정수직 높이에서 정지시킨다. 작업판(55)의 하강 정도는 컨틸레버부를 이루는 수직재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작업판(55)이 하강한 다음 정지하면, 그 상태에서 도 1f와 같이 제3수직재(31), 제3수평재(32), 제3경사재(33)로 이루어지는 제1-3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1-1, 1-2지지강관(41, 42)에의 고정단계가 이어진다. 이때, 제3수평재(32)는 제2수평재(22)의 경우와 동일하게, 인접하는 제2수평재(22)와 L1 간격을 가지며 경사면에 고정 결합된다.
제1-3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고정이 완료되면, 이동판(51)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여 대차부를 제1-1, 1-2지지강관(41, 42)과 분리한 다음, 도 1g와 같이, 작업판(55)이 하강한 상태에서 대차부를 L3만큼 후퇴시켜, 이동판(51)의 하면 전방부위에 위치하는 휠(51)이 제2수평재(22)의 상측부위를 가로지르는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상면부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대차부가 L3만큼 후퇴하면, 도 1h와 같이 작업판(55)을 상승시켜 작업판(55)을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 간격 L1이 작업판(55)의 폭 L2 및 대차부의 이동간격 L3의 합보다 크기 때문에 작업판(55)은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하며 상승할 수 있다. 작업판(55)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 제1-3컨틸레버부로 명명한 신규 컨틸레버부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다.
대차부가 도 1c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 1d 내지 도 1h를 거쳐 신규 컨틸레버부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면, 이러한 과정과 동일하게 대차부를 도 1i와 같이 L3만큼 대차부 전진시키고, 이후에는 전술한 도 1e 내지 도 1h 각각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하게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신규 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에의 고정,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각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제1-1, 1-2지지강관(41, 42)에 대한 제1차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제1-1, 1-2지지강관(41, 42)은 일정길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규 컨틸레버부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게 되면, 도 2a와 같이, 제1차로 설치된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전단부위가 제1차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중 마지막에 설치된 6번째 컨틸레버부의 수평재(도면부호 미도시)를 통해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된다.
도면에는 제1-1, 1-2지지강관(41, 42)에 대하여 6개의 컨틸레버부가 설치된 경우로서 6번째 컨틸레버부가 마지막에 설치되는 컨틸레버부에 해당하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설치될 수 있는 컨틸레버부의 개수는 제1-1, 1-2지지강관(41, 42)의 길이 및 인접하는 컨틸레버부 사이의 간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1, 1-2지지강관(41, 42)에 대한 제1차 컨틸레버부에 대한 설치가 완료되면, 이어 제2-1컨틸레버부에 대한 설치가 수행된다. 제2-1컨틸레버부의 설치는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으로 이루어지는 전술한 제1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2a는 제2-1컨틸레버부에 대한 설치가 완료된 상태로서, 제2-1컨틸레버부는 전술한 컨틸레버부와 동일하게 수직재(131), 수평재(132), 경사재(1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1컨틸레버부의 수직재(131)는 제1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에서의 인접하는 마지막 컨틸레버부의 수평재(도면부호 미도시)와 L1의 간격을 가지며 경사면에 고정 결합된다.
제2-1컨틸레버부가 설치되면, 도 2b와 같이 제2차 지지강관을 설치한다. 제2차 지지강관은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2-1, 2-2지지강관(141, 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 명시적으로 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작업판(55)이 하강한 상태에서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을 제2-1컨틸레버부에 고정 결합한다.
이때,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의 후단부위는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전단부위와 대향하며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차 지지강관 설치에 사용되는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의 길이는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이 제2-1컨티레버부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되어, 미도시된 제2-2컨틸레버부의 설치가 용이한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차 지지강관이 설치되면, 제1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와 동일하게 대차부 분리, L3만큼 대차부 후진, 대차부 작업판(55) 상승,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제2-2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에의 고정단계가 이어진다. 이때, 제2-2컨틸레버부의 수평재는 인접하는 제2-1컨틸레버부의 수평재와 간격이 L1을 이루며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후, 제1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와 동일하게,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신규 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2-1, 2-2지지강관(2-1, 2-2) 각각에의 고정,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각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이 진행된다.
제2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가 완료되면, 미도시된 3-1컨틸레버부를 설치한 다음 제3차 지지강관을 설치하고, 이후 제3차 컨틸레버부 설치, 그리고 이어지는 후차 작업이 연속되며, 이들 연속 작업 모두가 완료되면 대차부를 회수한다.
대차부가 회수되면, 각 컨틸레버부에 고정된 지지강관 상면부위를 따라 디딤데크(60)를 순차적으로 설치한다. 디딤데크(60)의 설치와 함께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난간(70) 설치가 완료되면, 도 3c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크로드의 시공이 완료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제1-1, 1-2컨틸레버부 및 제1-1, 1-2지지강관을 설치한 다음, 작업판이 승하강하는 대차부가 제1-1, 1-2지지강관을 따라 이동하며 이어지는 컨틸레버부 및 지지강관 각각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수많은 기둥을 생략할 수 있어 자연경관이나 지형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 기간 및 시공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지지강관 모두가 각 컨틸레버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디딤데크를 설치하지 않고, 제1, 2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및 후속하는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되거나, 또는 제2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및 후속하는 지지강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된 이후에 디딤데크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즉, 제1차 컨틸레버부 설치가 완료되거나, 또는 도 2b와 같이 제1차 컨틸레버부 및 제2차 지지강관의 설치가 완료되면, 디딤데크의 시공을 함께 진행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럴 경우, 제1차 컨틸레버부의 설치가 완료된 구간에는 디딤데크의 설치가 이루어지고, 제2차 지지강관의 설치가 완료된 구간에는 대차부를 이용한 신규의 컨틸레버부에 대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시공 기간을 더욱 단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a 및 도 3b 각각에는 이 중에서, 제1차 컨틸레버부 및 제2차 지지강관의 설치가 완료된 이후(도 2b 참조) 디딤데크(60)의 시공을 함께 진행하는 단계가 예시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3a에 있어 미설명 도면부호 43은 제1차 컨틸레버부 설치 구역에 마련되어 각 컨틸레버부에 고정되는 제1보조지지강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 21, 31 : 제1-1, 1-2, 1-3수직재
12, 22, 32 : 제1-1, 1-2, 1-3수평재
13, 23, 33 : 제1-1, 1-2, 1-3경사재
41, 42 : 제1-1, 1-2지지강관 43 : 제보조지지강관
51 : 이동판 52 : 휠
53 : 수직가이드프레임 55 : 작업판
56 : 슬라이드프레임
60 : 디딤데크
111 : 제2-1수직재 112 : 제2-1수평재
113 : 제2-1경사재
141, 142 : 제2-1, 2-2지지강관

Claims (6)

  1.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수직재(11), 후단부위가 제1수직재(11)의 상측부위에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수평재(12), 후단부위는 제1수직재(11)의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부위는 제1수평재(12)의 전방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1경사재(13)로 이루어지는 제1-1컨틸레버부 설치단계;
    제1수직재(1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2수직재(21), 후단부위는 제2수직재(21)의 상측부위에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수평재(22), 후단부위는 제2수직재(21)의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부위는 제2수평재(22)의 전방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2경사재(23)로 이루어지되, 인접하는 제1, 2수평재(12, 22)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제2-1컨틸레버부 설치단계;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1-1, 2-1지지강관(41, 42) 각각을 제1, 2수평재(11, 21) 상면부위에서 일정간격 이격시킨 다음 제1-1, 2-1컨틸레버부 각각에 고정 결합하는 제1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이동판(51), 이동판(51)의 하면부위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휠(52), 이동판(51)의 전방부위에 마련되되 전후면 사이의 폭 L2가 제1, 2수평재(11, 21) 사이의 폭 L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작업판(55)이 구비되는 대차부 준비단계;
    이동판(51)의 하면 전방부위에 마련되는 휠(52)이 제2수평재(22)의 상측부위를 가로지르는 제1, 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상면부위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다음, 전방으로 일정거리 L3(L3 < L2-L1)만큼 이동시키는 대차부의 전진단계;
    이동판(51)을 제1수평재(12) 또는 제1-1, 2-1지지강관(41, 42)에 고정시키는 대차부 고정단계;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단계;
    제2수직재(2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경사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3수직재(31), 후단부위는 제3수직재(31)의 상측부위에 고정 결합되어 전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인접하는 제2수평재(22)와 L1 간격을 가지며 위치하는 제3수평재(32), 후단부위는 제3수직재(31)의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전단부위는 제3수평재(32)의 전방 하측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제3경사재(33)로 이루어지는 제1-3컨틸레버부를 설치하고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에 고정하는 단계;
    제1수평재(12) 또는 제1-1, 1-2지지강관(41, 42)으로부터 이동판(51)을 분리시키는 대차부 분리단계;
    작업판(55)이 하강한 상태에서 이동판(51)을 L3만큼 후진시켜, 이동판(51)의 하면 전방부위에 위치하는 휠(51)을 제2수평재(22)의 상측부위를 가로지르는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상면부위로 위치시키는 대차부 후진단계;
    작업판(55)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대차부의 작업판 상승단계;
    작업판(55)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신규 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에의 고정,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각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제1차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제1차로 설치된 제1-1, 1-2지지강관(41, 42) 각각의 전단부위가 제1차 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중 마지막에 설치된 컨틸레버부의 수평재를 통해 일정길이 연장되어 돌출되면, 대차부 전진 및 대차부 고정 단계를 거친 다음 대차부의 작업판(55)을 하강 하강시켜 인접하는 마지막 컨틸레버부의 수평재와 간격이 L1을 가지는 수평재를 포함하는 제2-1컨틸레버부의 설치단계;
    작업판(55)이 하강한 상태에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을 제2-1컨틸레버부에 고정하는 제2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제2차 지지강관이 설치되면, 대차부 분리, L3만큼 대차부 후진, 대차부 작업판(55) 상승,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제2-1컨틸레버부의 수평재와 간격이 L1을 가지는 수평재를 포함하는 제2-2컨틸레버부를 설치 및 제2-1, 2-2지지강관(141, 142) 각각에의 고정단계;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대차부 전진, 대차부 고정, 대차부의 작업판(55) 하강, 인접하는 수평재 사이 간격이 L1을 가지는 신규 컨틸레버부의 설치 및 제2-1, 2-2지지강관(2-1, 2-2) 각각에의 고정, 대차부 분리, 대차부 후진, 대차부의 작업판(55) 상승 각각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제2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및
    순차적인 지지강관 설치단계 및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된 이후 대차부의 회수단계;
    제1, 2차 및 후속하는 차수에 따라 각 컨틸레버부에 고정된 지지강관 상면부위에의 디딤데크(70)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데크로드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딤데크(70)의 설치는, 상기 제1, 2차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및 후속하는 컨틸레버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되거나 또는 제2차 지지강관 설치단계 및 후속 차수의 지지강관 설치단계 각각이 완료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51)의 전방부위에는 수직가이드프레임(53)이 마련되고, 상기 작업판(55)의 후방부위에는 상기 수직가이드프레임(53)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승하강하는 슬라이드프레임(56)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의 이동판(51) 후방 좌우 각각에는, 동력전달체(541), 핸들체(543), 걸림체로 이루어지는 이동판고정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동력전달체(541)는 기어조립체가 내장되어 이동판(51)의 후방 상면부위 좌우 각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핸들체(543)는 동력전달체(541) 각각의 일측부위 및 타측부위에 위치하며 그 중심축이 동력전달체(541)의 기어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걸림체는, 각각의 일단부위가 동력전달체(541) 각각의 후면부위에 위치하며 기어조립체와 연결되는 수직바(545) 및 수직바(545)의 타단부위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바(54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부의 이동판(51) 후방 좌우 각각에는 고정체 및 가동체를 포함하는 이동판고정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체는, 전면부위가 이동판(51)의 후면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관(581), 고정관(581)에 일정수직 길이로 형성되는 수직장공(582), 수직장공(582)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 각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수평장공(583, 584)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체는, 고정관(581)에 삽입되는 수직봉(586), 수직봉(586)의 상단부위 및 하단부위 각각에서 상호 반대의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수평봉(587, 588), 수직봉(586)의 외면부위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2수평장공(583, 584)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단(58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로드 시공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KR1020230099435A 2023-07-31 2023-07-31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KR102589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435A KR102589977B1 (ko) 2023-07-31 2023-07-31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9435A KR102589977B1 (ko) 2023-07-31 2023-07-31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977B1 true KR102589977B1 (ko) 2023-10-16

Family

ID=8850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9435A KR102589977B1 (ko) 2023-07-31 2023-07-31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9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681B1 (ko) 2011-10-06 2012-03-09 김동수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2030510B1 (ko) * 2019-05-10 2019-11-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켄틸레버형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475707B1 (ko) 2022-04-05 2022-12-09 김정철 모듈형 보도 블럭로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681B1 (ko) 2011-10-06 2012-03-09 김동수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2030510B1 (ko) * 2019-05-10 2019-11-08 대영스틸산업주식회사 켄틸레버형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475707B1 (ko) 2022-04-05 2022-12-09 김정철 모듈형 보도 블럭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L114850A (en) Crane for modular construction of bridges
DE69111018T2 (de) Arbeitsbühne und Herstellungsverfahren.
CN109914263B (zh) 一种交叉下穿桥梁低净空架梁施工方法
CN104164833A (zh) 一种伸缩式应急桥梁
CN111058460A (zh) 一种钢筋混凝土支撑梁的支撑平台及其使用方法
CN204212046U (zh) 一种伸缩式应急桥梁
JP6715000B2 (ja) 交通施設における仮設足場
CN103132463B (zh) 可移动式挂架操作平台及其制作、安装、使用、拆除方法
JP6262805B2 (ja) トンネル内の移動自在の昇降柱付仮設車道及びその仮設車道による道路構築工法
CN108914776B (zh) 一种用于市政工程和房建的施工挂篮
KR102589977B1 (ko) 데크로드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데크로드
CN216840741U (zh) 一种可移动式基坑栈桥安全定型化防护装置
CN116378711A (zh) 一种浅埋暗挖隧道分离式台车装置及施工方法
WO201102194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y of an arch structure
CN210263847U (zh) 一种跨设在地铁u型槽上的移动式施工平台
CN212225288U (zh) 一种急倾斜巷道用下端头液压支架
CN111945572B (zh) 多联拱桥架桥机及多联拱桥架桥方法
CN210686000U (zh) 一种洞室施工作业台车
JPS623477Y2 (ko)
CN214329834U (zh) 一种采光顶施工台车系统
CN113356914B (zh) 用于薄层倾斜矿体开采支护的掩护支架及施工方法
CN219012636U (zh) 一种浅埋暗挖隧道分离式台车装置
CN211256633U (zh) 斜拉桥上塔柱支模体系
CN215145934U (zh) 一种隧洞内圆断面自行走式可拆卸作业平台
CN211772863U (zh) 一种多层市政立交匝道临时固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