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930B1 -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930B1
KR101476930B1 KR20130113256A KR20130113256A KR101476930B1 KR 101476930 B1 KR101476930 B1 KR 101476930B1 KR 20130113256 A KR20130113256 A KR 20130113256A KR 20130113256 A KR20130113256 A KR 20130113256A KR 101476930 B1 KR101476930 B1 KR 10147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file
synthetic wood
rod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박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남 filed Critical 박준남
Priority to KR2013011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구조물, 지반구조물의 빈공간에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사면, 법면, 교량, 옹벽, 도로, 하천변, 둔치 등을 포함하는 지반, 구조물, 지반구조물의 빈공간에 폐목 재활용 녹색제품인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사용하여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의 통행로를 제공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로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대상체에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여 통행로를 형성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와, 상기 대상체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에서 상기 데크로드에 수직으로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 파일과,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데크로드의 전방과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의해 확장형 통행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THE SUPPORT STRUCTURE FOR EXTENDED SYNTHETIC WOOD DECK ROAD}
본 발명은 지반, 구조물, 지반구조물의 빈공간에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사면, 법면, 교량, 옹벽, 도로, 하천변, 둔치 등을 포함하는 지반, 구조물, 지반구조물의 빈공간에 폐목 재활용 녹색제품인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사용하여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의 통행로를 제공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국토가 협소하고 산악 및 하천지형이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들의 주변에 존재하는 빈공간을 통행로,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큰 관건이 된다. 최근에는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자전거의 사용율을 높이기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펼쳐지고 있으며, 일예로, 일반 도로 보도부는 물론, 공원, 하천 변 등에 자전거 전용 도로의 신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4대강사업, 트루 드 코리아 등의 국책사업에 의하여 하천주변, 산악지형 등의 빈공간에 자전거도로가 활발하게 조성되고 있다.
산악지형, 하천변, 옹벽, 교량 등에 통행로,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을 시공하는 경우 산악지형, 하천변, 옹벽, 교량의 일측 이상에 빈공간 또는 비탈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통행로, 인도, 보도, 산책로, 자전거도로 등의 안전보행 및 주행을 위해서는 멀리 우회하여 공사하거나 또는 확장 공사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수많은 토사를 이용하여 빈공간 또는 비탈면의 지반을 확장하고 상기 토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필요하게 되며, 실제 지반의 내구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통행로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영역보다 더 넓은 지역을 확장해야한다. 또는, 통행로를 지지할 수 있는 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존 지반이나 구조물을 굴착, 속파기, 훼손 등을 한 후 고정지지부재 등을 삽입하고 다시 통행로를 포함하는 도로를 재포장하는 방법은 이를 시공하기 위한 비용이 매우 높고, 기존의 지반이나 구조물을 훼손하고 재포장하는 등 작업이 용이치 않으며 공기가 늘어나게 되어 시공을 위한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데크로드는 금속재, 시멘트재, 고분자합성재 등의 친환경적이지 못한 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제품 중에서 금속재는 부식문제, 시멘트재는 육가크롬의 중금속 및 알카리성의 높은 pH 문제, 고분자합성재는 화학성분 문제 등을 가지고 있어 친환경적이지 못한 제품들이 된다. 이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목재인데 원목의 경우에는 고가이고 자연훼손, 자연파괴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이의 또 다른 대안으로 합성목재가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
자연에서 채취된 천연목을 직접 가공하여 만든 천연목재의 경우에는 그것의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였을 때 우수한 외관 및 질감을 제공하므로 건축물의 실내외 장식재, 목재데크, 목재주택 등에 많이 적용된다. 그런데, 천연목재는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점차 고갈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자원을 보호하면서 천연목재와 같은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합성목재가 제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친환경적인 합성목재를 이용하고, 시멘트나 콘크리트를 이용하지 않고 스마트스트립과 스마트파일을 이용한 친환경적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로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대상체에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여 통행로를 형성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와, 상기 대상체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에서 상기 데크로드에 수직으로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 파일과,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데크로드의 전방과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으로 구성되어,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의해 확장형 통행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는, 스마트스트립의 마찰지지력, 스마트파일의 선단지지력에 의하여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또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작용하는 사하중 및 활하중이 스마트스트립의 마찰지지력, 스마트파일의 선단지지력에 의하여 지지 또는 연결되어 확장형 통행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스트립은, 대상체를 천공하고 그 내부에 스트립을 넣은 후 천공부를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중 어느 하나로 채워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파일드라이버, 항타기, 압입기, 진동기 또는 회전기 등을 사용하여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판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재질은 합성목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선단부에 스크류, 날개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며, 상기 파일 단면 형상은 원형, 엘형, 티형, H형, I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파일의 재질은 합성목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스트립은, 선단부나 일부 또는 전체 표면에 마찰력 강화를 위해 날개, 돌기, 막대, 키 또는 바(ba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스트립 또는 스마트파일과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 또는 연결 구조는, 고정형, 힌지형 또는 접촉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에는 프리스트레싱이 가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스트립의 지지 또는 연결구조가 힌지형이고, 스마트파일의 지지 또는 연결구조는 접촉형인 경우,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고 접촉형인 상기 스마트파일을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가 경사지게 하거나 연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저면 양단에는, H빔, H형강, I빔, I형강, 각관, 사각각관, 아연도사각각관 또는 거더 중 어느 하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스트립과 스마트파일은 상기 H빔, H형강, I빔, I형강, 각과, 사각각관, 아연도사각각관 또는 거더 등에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전방 하부에 장선각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장선각관에 스마트스트립이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전방 하부에 장선각관과 멍에각관이 차례로 더 설치되고 상기 멍에각관에 스마트스트립이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전방 하부에 장선각관과 H빔이 차례로 더 설치되고 상기 H빔에 스마트스트립이 지지 또는 연결되고,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 하부에 장선각관이 더 설치되고 상기 장선각관에 스마트파일이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 하부에 장선각관과 멍에각관이 차례로 더 설치되고 상기 멍에각관에 스마트파일이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 하부에 장선각관과 H빔이 차례로 더 설치되고 상기 H빔에 스마트파일이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스트립이 지지 또는 연결되는 장선각관의 하부, 멍에각관의 하부 또는 H빔의 하부에는, 기초콘크리트가 더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의 하부에는 스마트파일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콘크리트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는, 합성목재 데크로드 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난간이 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합성목재는 폐목을 50-120 메쉬 가루로 분쇄한 다음 폴리머와 소정 비율로 혼합한 후 이에 폴리머와 우드(wood)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커플링제를 일정량 첨가하고 무기안료를 투입하여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는 합성목재 이외에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등 다양한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저면에는 브라켓이 더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의 전방에는 스마트스트립이 지지 또는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의 후방에는 스마트파일이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로드를 형성할 수 없는 대상체에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설치하여 통행로를 형성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와, 상기 대상체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는 V형 기초, 트러스기초, 플랫폼기초, X형 브레이싱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 지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는 폐목을 활용한 재활용자재를 사용하고, 시멘트 등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데크로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스트립을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할 때 스마트스트립에 프리스트레싱을 가하여 지지 또는 연결하는 경우 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 및 스마트파일과의 결합구조가 고정형, 힌지형 및 접촉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현장 여건에 따라 설치방법을 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 및 스마트파일과의 결합구조가 하나는 힌지형이고 다른 하나는 접촉형인 경우에 힌지를 축으로 하여 접촉 부위의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들어 올려 합성목재 데크로드가 경사지게 하거나 또는 연직으로 세워 차수벽, 물막이벽, 가물막이, 홍수방지벽, 범람방지벽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5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6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7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8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과의 접촉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과의 힌지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과의 고정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파일과의 접촉형 및 고정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파일과의 힌지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
이하 상기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3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5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6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7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대한 제8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과의 접촉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과의 힌지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스트립과의 고정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파일과의 접촉형 및 고정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스마트파일과의 힌지형 구조에 대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대상체(A,B,C)와, 대상체(A,B,C)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110)와, 합성목재 데크로드(110)의 후방에서 데크로드(110)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 파일(smart pile)(120)과, 대상체(A,B,C)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데크로드(110)의 전방과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smart strip)(100)으로 구성된다. 대상체(A, B, C)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로 표시된 지반, 'A'로 표시된 사면, 법면, 경사면, 비탈면, 천변, 하천변, 해안변, 둔치와, 'B'로 표시된 구조물, 옹벽, 벽체, 도로, 교량, 난간 등이 해당된다. 대상체(A,B,C) 내부는 각 대상체를 구성하거나 대상체의 조성물이 있는 내부를 말하며, 대상체 외부는 대상체의 측면, 하부, 상부, 주변, 공간, 빈공간 등의 도로가 없거나 도로가 설치되기 어려운 곳을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인 사면(A), 구조물(B) 또는 지반(C)에 합성목재 데크로드(110)가 놓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대상체의 상단에 데크로드(110)를 올려놓거나, 대상체(A,B,C)의 상단에 평면 또는 기초콘크리트를 형성한 후에 데크로드(110)를 올려놓거나, 평면 또는 기초콘크리트 위에 H형강이나 I형강 등을 올려놓은 후에 상기 H형강이나 I형강 위에 데크로드(110)를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각관, 장선각관, 멍에각관 등의 위에도 데크로드(110)를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 H형강, I형강, 각관, 장선각관, 멍에각관 등이 2개 이상 조합된, 예를 들면 하부 기초콘크리트와 상부 H형강, 하부 각관과 상부 H형강, 하부 멍에각관과 상부 장선각관 등의 위에도 데크로드(110)를 올려놓을 수 있다. 데크로드(110)는 전방 하부에 위치한 H형강이나 I형강 등의 지지부재에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100)이 설치되고, 데크로드(110)의 후방 하부에 바로 설치되거나 데크로드(110)의 후방 하부에 고정되는 H형강이나 I형강 등의 지지부재 아래에 스마트파일(120)이 지지 또는 연결되어 설치된다. 데크로드(110)는 도로를 형성하는 데크로드 본체(111)로 구성되거나, 이에 더하여 데크로드 본체(111)의 단부에 설치되어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112)으로 구성된다.
스마트스트립(100)은 대상체 내부로 대부분 삽입되고, 자유단을 형성하는 상단부가 데크로드(110)에 직접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데크로드(110)의 하부에 고정된 H형강(130a) 등 지지부재에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스마트스트립(100)이 상부조인트(102)를 이용하여 H형강과 접촉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스트립은,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는 스트립본체(101)로 구성되나, 도면에서는 하단부에 선단회절앵커(104)가 더 부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선단회절앵커(104)는 선단회절앵커(104)를 압입한 후에 지상에서 스트립(101)을 잡아당기게 되면 앵커(104)에 연결된 고리(103)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스트립본체(101)와 수직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선단회절앵커(104)는 스트립본체(101)와 수직을 이루게 되므로 대상체 내부에서 스톱퍼 또는 저항키 역할을 하여 스마트스트립(100)에 작용하는 인발력, 인장력, 지지력 등에 대한 저항력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스마트파일(120)은 데크로드(110)에 직접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되거나, 데크로드(110)의 하부에 고정되는 H형강(130b)의 하부를 지지 또는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H형강(130b)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H형강은 I형강으로 대체 가능하다. 스마트파일(120)은 파일본체(121)와, H형강을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122)와, 파일본체(121)의 하부에 형성된 스크류(123)로 구성되며, 스크류(123)는 날개, 막대, 바나 돌기 등과 같이 파일본체(121)의 표면에 돌출되게 부착되어 스마트파일(120)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거나 저항하는데 도움이 되는 시설체 또는 구조체로 대체될 수 있다.
여기서 합성목재 데크로드가 스마트스트립, 스마트파일에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은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양측에 즉, 데크로드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스마트스트립, 스마트파일이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구조이고, 필요시 현장여건에 따라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양측, 일측, 타측이 아닌 적정의 지점에 또는 임의의 지점에 스마트스트립, 스마트파일이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도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스트립(100)과 스마트파일(120)은 스트립본체(101)와 파일본체(121)의 일측의 일부가 대상체 내부에 매입, 근입, 삽입, 정착 등이 되어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스트립(100)과 스마트파일(120)의 타측은 대상체 외부에 노출되어 자유단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마트스트립(100)이나 스마트파일(120)에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은 스마트스트립(100)과 스마트파일(120)이 대상체의 내부에 매입, 근입, 삽입, 정착 등이 되지 않은 타측 자유단에 합성목재 데크로드(110)가 지지 또는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데크로드(110)의 하부에는 H형강, I형강 등의 지지부재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스마트스트립(100)을 설치하는 방법은, 1) 대상체(A,B,C)를 천공하고 그 내부에 스트립을 넣고 천공부를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등으로 채움하는 방법, 2) 대상체(A,B,C)를 굴착하고 그 내부에 스트립을 넣고 굴착부를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등으로 채움하는 방법, 또는 3) 대상체(A,B,C) 상부에 스트립을 포설하고 그 상부에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등을 성토다짐하는 방법 등이 있고, 여기서 스트립(strip)은 길이가 긴 벨트, 판, 띠, 봉, 와이어나 바(bar)와 같은 형상을 가지고, 이의 재질로는 합성목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스트립(100)의 크기는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길이가 긴 벨트, 판 또는 띠 형상의 경우에는 길이가 1-10m 정도가 되고, 단면은 직사각형이 보편적이고 두께 0.1-5cm, 폭 5-20cm 정도가 된다. 그리고 봉이나 와이어 또는 바와 같은 형상의 경우에는 직경 0.1-20cm 정도가 된다. 여기서 스마트스트립(100)의 지지력은 스마트스트립(100)과 대상체(A,B,C)가 접촉되는 접촉면적 및 마찰력의 크기에 좌우되는데, 통상적으로 데크로드에 작용하는 하중이 크게 되면 스마트스트립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커지고, 반대로 데크로드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게 되면 스마트스트립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작아지며, 스마트스트립과 대상체와의 마찰력이 크게 되면 스마트스트립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커지고, 반대로 스마트스트립과 대상체와의 마찰력이 작게 되면 스마트스트립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은 작아진다. 여기서 접촉면적은 대상체에 매입된 스마트스트립의 길이에 면적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접촉면적이 큰 것은 대상체에 매입된 스마트스트립의 길이 또는 면적이 크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접촉면적이 작은 것은 대상체에 매입된 스마트스트립의 길이 또는 면적이 작게 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스트립(100)은 대상체에 매입, 근입, 삽입되게 설치되므로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작용하는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하여 스마트스트립에 압축력, 인장력, 인발력, 전단력 등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스마트스트립 외곽의 주변을 이루는 대상체와의 사이에서 마찰지지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를 스마트스트립의 마찰지지력이라 하고, 스마트스트립은 마찰지지력에 의하여 압축력, 인장력, 인발력, 전단력 등의 외력에 저항 또는 지지하게 된다. 스마트스트립을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할 때 느슨하게 하면 스마트스트립에 발생되는 마찰지지력은 느슨한 만큼 작게 되고, 반대로 스마트스트립을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할 때 단단하게 당기어 두면 스마트스트립에 발생되는 마찰지지력은 단단하게 당기어 둔만큼 크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스트립을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할 때 단단하게 당기어 두면 스마트스트립에 발생되는 마찰지지력이 크게 되므로 스마트스트립을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할 때 단단하게 당기어 두어 지지 또는 연결하게 되면 유리하다. 여기서 스마트스트립을 합성목재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할 때 단단하게 당기어 두는 것을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이라 한다.
스마트파일(120)은 파일드라이버, 항타기, 압입기, 진동기 또는 회전기 등을 사용하여 파일을 대상체(A,B,C)에 회전, 항타, 압입, 진동 등을 가하여 매입, 근입, 삽입, 정착 등이 된 파일형 지지체이고, 스마트파일(120)은 지지력의 향상을 위하여 대상체(A,B,C)에 매입 또는 근입되는 선단부에 스크류, 날개, 돌기 등이 부착되고, 파일의 형상은 원형, L형, 티형, H형, I형, 둥근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파일의 재질로는 합성목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일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스크류(123), 날개(미도시), 돌기(223)의 형상, 길이, 폭, 크기, 피치, 부착각도 등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스크류의 경우에는 스파이럴 또는 헬리칼 모양의 형상을 가진 스크류가 파일의 주변을 사방향으로 휘감으면서 부착된 것이고, 날개의 경우는 혓바닥모양, 칼날모양의 날개가 파일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돌기의 경우에는 돌, 감자, 고구마 모양의 돌기가 파일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 부착된 것이다.
스마트파일(120)의 크기는 현장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길이는 1-10m 정도가 되고, 단면은 내부 중공형의 원형 또는 정사각형이 보편적이고 외피의 두께 0.1-0.5cm, 규격은 원형은 직경 5-20cm, 정사각형은 가로 5-20cm와 세로 5-20cm 정도가 된다. 그리고 스마트파일 하측의 선단부가 대상체(AA, B, C)에 매입, 근입, 삽입, 정착 등이 되는 깊이 또는 심도는 스마트파일에 작용하는 하중, 대상체를 구성하는 물질종류, 스마트파일과 대상체 간의 마찰력, 스마트파일의 지지력 등에 따라 다양하나 보편적으로 0.1-2m의 범위가 된다. 그러나 스마트파일은 스마트파일 하측의 선단부가 대상체(A, B, C)가 너무 강하거나 단단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매입, 근입, 삽입, 정착 등이 되기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경우에는 스마트파일 하측의 선단부가 대상체의 직상부에 바로 올려지는 구조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마트파일(120)의 선단부에 부착되는 스크류, 날개, 돌기를 살펴보면 스크류는 스파이럴 또는 헬리칼 모양의 형상을 가진 스크류가 파일의 주변을 사방향으로 휘감으면서 부착된 것이고, 날개는 혓바닥모양, 칼날모양의 날개가 파일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 부착된 것이고, 돌기는 돌, 감자, 고구마 모양의 돌기가 파일의 주변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2개 이상 부착된 것이다. 여기서 스마트파일의 지지력은 스마트파일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 및 마찰력의 크기에 좌우되는데, 통상적으로 데크로드에 작용하는 하중이 크게 되면 스마트파일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커지고 반대로 데크로드에 작용하는 하중이 작게 되면 스마트파일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작아지고, 스마트파일과 대상체와의 마찰력이 크게 되면 스마트파일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커지고 반대로 스마트파일과 대상체와의 마찰력이 작게 되면 스마트파일과 대상체가 접촉되는 접촉면적이 작아진다. 여기서 접촉면적은 대상체에 매입된 스마트파일에 부착된 스크류, 날개, 돌기의 길이에 면적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접촉면적이 큰 것은 대상체에 매입된 스마트파일에 부착된 스크류, 날개, 돌기의 길이 또는 면적이 크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접촉면적이 작은 것은 대상체에 매입된 스마트파일에 부착된 스크류, 날개, 돌기의 길이 또는 면적이 작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스트립(100)과 스마트파일(120) 및 합성목재 데크로드(synthetic wood deck road)에 의해 데크로드가 형성되며, 통행로, 로드, 자전거로, 인도, 보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는 합성목재 이외에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콘크리트재 등 다양한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 지지구조에 대한 제2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합성목재 데크로드(210)에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스마트스트립(200)과 스마트파일(220)이 제1실시예와는 다른 구조를 가진다. 제2실시예에서 스마트스트립(200)은, 천공부에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등의 채움재(204)로 채워지고, 그라우팅재 내부에는 스트립본체(201)가 매입, 삽입 또는 근입 등의 방법으로 들어가 있으며, 스트립본체(201)의 말단에는 스마트스트립에 작용하는 인발력 또는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한 스톱퍼(203)가 형성되어져 있다. 스톱퍼(203)는 통상적으로 스트립본체(201)에 돌출되게 또는 스트립본체(201)와 수직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판, 대, 바(bar) 또는 구근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는 인발력 또는 인장력의 작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트립본체(201)의 상단부에는 조인트에 의해 H형강 등에 힌지 연결되는 도면이 도시되어져 있다. 스마트스트립(200)은 합성목재 데크로드(210)에 직접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합성목재 데크로드(21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된 H형강 등 지지부재(230a)에 지지 또는 연결되어지도록 설치된다. 지지 또는 연결되는 구조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형, 힌지형 또는 접촉형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힌지형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파일(220)의 경우에는 파일본체(221)의 하단부에 돌기(223)가 형성되어 있음이 도시되어져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도 돌기형(223)뿐만 아니라 스크류형, 날개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파일(220)은 합성목재 데크로드(210)에 직접 지지 또는 연결되거나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H형강 등의 지지부재(230b)에 지지 또는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또는 연결되는 구조는 접촉형, 힌지형 또는 고정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제3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목재 데크로드(310)의 하부에는 브라켓(330)이 설치되어져 있다. 브라켓(330)은 직접 대상체 상부에 설치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콘크리트 위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H형강, I형강, 각관, 장선각관, 멍에각관 등의 위에도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초콘크리트, H형강, I형강, 각관, 장선각관, 멍에각관 등이 2개 이상 조합된, 예를들면 하부 기초콘크리트와 상부 각관, 하부 각관과 상부 H형강 등, 것의 위에도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브라켓(330)의 전방에는 스마트스트립(300)이 설치되며, 후방에는 스마트파일(320)이 설치된다. 스마트스트립(300)과 스마트파일(320)이 브라켓(330)에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지지 또는 연결구조는 고정형, 접촉형 또는 힌지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스트립(300)은 천공부에 매입, 근입 또는 삽입의 방법 등으로 천공부에 안착되고, 토사,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그라우팅재의 채움재로 채워 스마트스트립(300)을 고정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스트립(300)은 브라켓(330)에 고정형식으로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이외에도 힌지형 또는 접촉형으로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마트스트립의 선단부나 일부 또는 전부의 표면에 돌기, 날개, 키 막대 또는 바 등을 부착하여 마찰력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파일(320)은 브라켓(330)과 접촉, 고정 또는 힌지 연결되는 플레이트(322)와, 상기 플레이트(322)와 일체로 형성된 파일본체(321)와, 파일본체(321)의 하단에 형성된 스크류(323)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22) 없이 파일본체(321)가 직접 브라켓을 지지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류(323)는 돌기나 날개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는 제4실시예의 도식화된 도면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장선각관(430a)을 사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4실시예에서는 장선각관(430a)을 합성목재 데크로드(410)의 하부에 고정 장착하여 스마트스트립(400)과 스마트파일(420)을 지지 또는 연결하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제5실시예의 도식화된 도면이다. 제5실시예에서는 합성목재 데크로드(510)의 하부에 장선각관(530a, 530b)을 고정 장착하고, 장선각관(530a, 530b)의 하부에 멍에각관(540a, 540b)을 고정장착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스마트스트립(500)은 멍에각관(540a)에 지지 또는 연결되고, 스마트파일(520)은 멍에각관(540b)에 지지 또는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제6실시예의 도식화된 도면이다. 제6실시예에서는 합성목재 데크로드(610)의 하부에 장선각관(630a, 630b)을 고정 장착하고, 장선각관(630a, 630b)의 하부에 H형강(640a, 640b)을 더 설치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H형강(640a, 640b)에 스마트스트립(600)과 스마트파일(620)이 지지 또는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제7실시예의 도식화된 도면이다. 제7실시예에서는 합성목재 데크로드(710)의 하부 양측에 장선각관(730a, 730b)을 고정 장착하고, 전방 장선각관(730a)의 하부에는 멍에각관(740)을 설치하고, 멍에각관(740)의 하부에는 동바리(701)을 설치하고, 동바리(701)의 하부에는 기초콘크리트(703)을 설치하여 앵커(704)로 고정하고 볼트(705)로 체결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후방 장선각관(730b)의 하부에는 H형강(750)을 설치하고, H형강(750)의 하부에는 스마트파일(720)을 설치하고, 스마트파일(720)은 하부 기초콘크리트(724)에 의해서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기초콘크리트(724)에는 앵커(725)가 고정설치되고, 앵커에는 스마트파일(720)의 하부 플레이트(723)가 볼트(726)에 의해 고정된다.
도 8은 제8실시예의 도식화된 도면이다. 제8실시예에서는 합성목재 데크로드(810)의 하부에 직접 'X'형 브레이싱 스마트파일(800, 820)을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하거나, 합성목재 데크로드(810)의 하부에 H형강(830a, 830b)을 고정설치한 후 상기 H형강(830a, 830b)의 하부에 브레이싱 스마트파일(800, 820)을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스마트파일(800, 820)의 상단에는 플레이트(802, 822)가 설치되고, 파일본체(801, 821)의 하부에는 스크류(803, 823)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상기 플레이트(802, 822)는 설치되지 않고, 직접 H형강이나 데크로드에 지지 또는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X자형 브레이싱 이외에 트러스기초, V형기초, 플랫폼기초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변경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불과하다.
도 9 내지 도 13은 스마트스트립과 스마트파일이 합성목재 데크로드 또는 지지부재와 지지 또는 연결되는 결합구조에 대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스마트스트립에 대한 도면이고, 도 12와 도 13은 스마트파일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은 모든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9는 스마트스트립이 접촉형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접촉형은 별도의 조인트 없이 데크로드 또는 지지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후크를 이용하여 서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스마트스트립(100)과 연결되는 조인트(102)는 후크로 구성되고, 지지부재에 형성된 후크(132)는 지지부재(130a)에 너트(133)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양 후크는 서로 접촉한 상태로 지지 또는 연결된다.
도 10은 스마트스트립이 힌지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는 지지부재(430a)에 힌지작용을 위한 봉재(432a, 432b)를 일정간격으로 떨어지게 부착하고, 상기 봉재(432a, 432b)에 파이프(403)을 삽입한 후에 조인트(402)에 고정장착되며, 조인트(402)는 스트립본체(401)의 자유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파이프(403)이 봉재 사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힌지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스마트스트립이 고정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다. 조인트(402')를 지지부재(430a)에 앵커, 볼트나 용접(403') 등의 방법으로 고정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지지부재에 스마트파일(120)을 접촉 및 고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에서는 스마트파일(120)을 접촉하거나, 용접 등으로 지지부재(130b)에 고정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b)는 스마트파일(120)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을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지지부재(130b)에 봉재(131b')를 일정간격으로 떨어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봉재(131b')에 파이프(122") 끼운 후에 파일본체(121")와 용접 등으로 고정하여 힌지형으로 만든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스마트스트립이 접촉형이고 스마트파일이 힌지형인 경우 또는 스마트스트립이 힌지형이고 스마트파일이 접촉형인 경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접촉 구조 부위의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들어 올려 합성목재 데크로드가 경사지게 되거나 또는 연직으로 세우는 것이 가능해 진다. 여기서 접촉 부위는 단순 접촉된 것으로 탈착이 가능하여 접촉 구조 부위의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들어 올려 합성목재 데크로드가 경사지게 되거나 또는 연직으로 세우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경사지게 되거나 또는 연직으로 세워진 합성목재 데크로드는 가동보, 울타리, 방호벽, 차수벽, 물막이벽, 가물막이, 홍수방지벽, 범람방지벽, 난간 등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합성목재 데크로드가 하천변에 시공된 경우 갑작스럽게 홍수가 와서 하천이 범람하는 경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한쪽을 들어 올려 임시적으로 합성목재 데크로드를 차수벽, 물막이벽, 가물막이, 홍수방지벽, 범람방지벽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상기 실시 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청구 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스마트스트립 1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120 : 스마트파일 130 : H형강
140 : 기초콘크리트
200 : 스마트스트립 2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220 : 스마트파일 230 : H형강
240 : 기초콘크리트
300 : 스마트스트립 3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320 : 스마트파일 330 : 브라켓
340 : 기초콘크리트
400 : 스마트스트립 4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420 : 스마트파일 430 : 장선각관
500 : 스마트스트립 5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520 : 스마트파일 530 : 장선각관
540 : 멍에각관
600 : 스마트스트립 6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620 : 스마트파일 630 : 장선각관
640 : H형강
700 : 동바리 7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720 : 스마트파일 730 : 장선각관
740 : 멍에각관 750 : H형강
800 : 스마트파일 810 : 합성목재 데크로드
820 : 스마트파일 830 : H형강
A, B, C : 대상체

Claims (13)

  1. 로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대상체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에서 상기 데크로드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파일과,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데크로드의 전방과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으로 구성되어 확장형 통행로가 형성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대상체를 천공하고 그 내부에 스트립을 넣은 후 천공부를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중 어느 하나로 채워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파일드라이버, 항타기, 압입기, 진동기 또는 회전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판, 띠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재질은 합성목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선단부에 스크류, 날개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며, 상기 파일 단면 형상은 원형, 엘형, 티형, H형, I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파일의 재질은 합성목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H형강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후방 H형강에는 상기 스마트스트립이 장착되며, 상기 전방 H형강에는 상기 스마트파일이 장착되되,
    상기 스마트스트립의 상단에는 후크형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 H형강에 형성된 후크형 고리와 연결되어 힌지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전방 H형강의 하단에는 볼트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의 상단 플레이트에 형성된 볼트체결홀과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2. 로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대상체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에서 상기 데크로드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파일과,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데크로드의 전방과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으로 구성되어 확장형 통행로가 형성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대상체를 천공하고 그 내부에 스트립을 넣은 후 천공부를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중 어느 하나로 채워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파일드라이버, 항타기, 압입기, 진동기 또는 회전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판, 띠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재질은 합성목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선단부에 스크류, 날개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며, 상기 파일 단면 형상은 원형, 엘형, 티형, H형, I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파일의 재질은 합성목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H형강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후방 H형강에는 상기 스마트스트립이 장착되며, 상기 전방 H형강에는 스마트파일이 장착되되,
    상기 스마트스트립의 상단에는 후크형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 H형강에 형성된 후크형 고리와 연결되어 힌지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전방 H형강의 하단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봉재가 부착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의 상단에는 부착된 파이프가 상기 한 쌍의 봉재에 삽입되어 힌지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3. 로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대상체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에서 상기 데크로드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파일과,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데크로드의 전방과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으로 구성되어 확장형 통행로가 형성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대상체를 천공하고 그 내부에 스트립을 넣은 후 천공부를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중 어느 하나로 채워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파일드라이버, 항타기, 압입기, 진동기 또는 회전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판, 띠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재질은 합성목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선단부에 스크류, 날개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며, 상기 파일 단면 형상은 원형, 엘형, 티형, H형, I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파일의 재질은 합성목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장선각관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후방 장선각관에는 상기 스마트스트립이 장착되며, 상기 전방 장선각관에는 스마트파일이 장착되되,
    상기 스마트스트립의 상단에는 후크형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 장선각관에 형성된 후크형 고리와 연결되고,
    상기 전방 장선각관의 하단에는 상기 스마트파일의 상단에 형성된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4. 로드가 형성되기 어려운 대상체의 상단에 전방이 지지되는 합성목재 데크로드와,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후방에서 상기 데크로드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파일과, 상기 대상체 내부로 삽입되고 상단부가 상기 데크로드의 전방과 지지 또는 연결되는 스마트스트립으로 구성되어 확장형 통행로가 형성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대상체를 천공하고 그 내부에 스트립을 넣은 후 천공부를 토사, 시멘트, 콘그리트, 그라우팅재 중 어느 하나로 채워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파일드라이버, 항타기, 압입기, 진동기 또는 회전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대상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판, 띠 또는 봉 형상을 가지며, 재질은 합성목재, 섬유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은, 선단부에 스크류, 날개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가 부착되며, 상기 파일 단면 형상은 원형, 엘형, 티형, H형, I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파일의 재질은 합성목재, 플라스틱재, FRP재, 고분자 합성재, 목재, 철재, 금속재, 시멘트재 또는 콘크리트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상기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하부 전방 및 후방에는 장선각관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후방 장선각관에는 상기 스마트스트립이 장착되며, 상기 전방 장선각관에는 스마트파일이 장착되되,
    상기 스마트스트립의 상단에는 파이프가 부착되고, 상기 후방 장선각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부착된 한 쌍의 봉재에 삽입되어 힌지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전방 장선각관의 하단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봉재가 부착되고, 상기 스마트파일의 상단에는 부착된 파이프가 상기 한 쌍의 봉재에 삽입되어 힌지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스트립은, 선단부나 일부 또는 전체 표면에 마찰력 강화를 위한 날개, 돌기, 막대, 키 또는 바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130113256A 2013-09-24 2013-09-24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KR10147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256A KR101476930B1 (ko) 2013-09-24 2013-09-24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256A KR101476930B1 (ko) 2013-09-24 2013-09-24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930B1 true KR101476930B1 (ko) 2014-12-24

Family

ID=5268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256A KR101476930B1 (ko) 2013-09-24 2013-09-24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9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92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더우드 경사면의 보행로 확장을 위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04978B1 (ko) 2021-09-29 2022-06-08 장익식 내진용 데크 지지구조
KR102475707B1 (ko) * 2022-04-05 2022-12-09 김정철 모듈형 보도 블럭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8B1 (ko) * 2008-09-04 2009-06-09 (주)신승이앤씨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2681B1 (ko) * 2011-10-06 2012-03-09 김동수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4997B1 (ko) * 2012-04-27 2012-10-02 박준남 안전성과 미관을 향상시킨 합성 목재 데크 로드 시공 방법
KR20120110953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이루켐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8B1 (ko) * 2008-09-04 2009-06-09 (주)신승이앤씨 비탈면에 형성된 인도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110953A (ko) * 2011-03-31 2012-10-10 주식회사 이루켐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22681B1 (ko) * 2011-10-06 2012-03-09 김동수 법면 및 옹벽에 설치되는 확장 인도교 및 자전거 도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184997B1 (ko) * 2012-04-27 2012-10-02 박준남 안전성과 미관을 향상시킨 합성 목재 데크 로드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992B1 (ko) *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더우드 경사면의 보행로 확장을 위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04978B1 (ko) 2021-09-29 2022-06-08 장익식 내진용 데크 지지구조
KR102475707B1 (ko) * 2022-04-05 2022-12-09 김정철 모듈형 보도 블럭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3722B2 (en) Anchor post
WO2020021294A1 (en) Retaining engineering structure and design method for stabilizing deep excavations or earth slope instability near existing civil objects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CN102031760A (zh) 岩堆地段路基的防落石方法
US20140237913A1 (en) Found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87554B1 (ko)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US6874974B2 (en) Reinforced soil arch
KR101358985B1 (ko) 안정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지주 정착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476930B1 (ko) 확장형 합성목재 데크로드의 지지구조
CN1580402A (zh) 一种用悬挑结构拓宽山区道路的方法
KR100726984B1 (ko) 흙막이 가설시스템
JP3054635B2 (ja) 添設構造体の構築方法
EP2478172B1 (en) Anchor post
RU2288325C1 (ru) Винтовая свая
RU2589138C2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CN210104765U (zh) 一种软弱地质边坡的高大支挡结构
Margreth et al. Avalanche Mitigation Measures for Siglufjörður–Realization of the Largest Project with Snow Supporting Structures in Iceland
CN103821073B (zh) 一种小型桥梁及其施工方法
CN103243738A (zh) 开启式钢筋混凝土框架挡墙用基础
CN209837888U (zh) 重力式固定墩围挡
Niroumand et al. Slope stability of the design concept of the sheet pile and contiguous bored pile walls
CN210216121U (zh) 一种m型钢结构桥架
How Stability and survival
KR100467308B1 (ko) 파일 압입시스템
Gruden et al. Splavarska Brv (Rafting Foot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