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922B1 -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 Google Patents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922B1
KR100794922B1 KR1020070045665A KR20070045665A KR100794922B1 KR 100794922 B1 KR100794922 B1 KR 100794922B1 KR 1020070045665 A KR1020070045665 A KR 1020070045665A KR 20070045665 A KR20070045665 A KR 20070045665A KR 100794922 B1 KR100794922 B1 KR 10079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haped steel
main member
steel main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경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7004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댐어깨 사이의 저면에 콘크리트 구조물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 위에 H형강 주부재와 상기 H형강 주부재를 버티는 버팀부재의 하단부가 일정간격으로 매립되며, 상기 H형강 주부재와 다른 H형강 주부재의 ㄷ자 홈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스크린재가 슬라이딩되어지도록 구성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H형강 주부재 및 버팀부재 하단에는 삼각형으로 결합된 버팀재와 수평유지재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어지고, 상기 H형강 주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크린 고정봉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되며, 상기 스크린재의 양단부에 스크린 고정봉을 끼우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스크린 고정봉이 끼워짐으로써 스크린재가 고정되어지고, 상기 H형강 주부재의 ㄷ자홈에 슬라이딩된 스크린재가 스크린 토석차단부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 토석차단부의 상부에는 스크린 간격유지재의 끼움공에 상기 스크린 고정봉이 끼워지면서 상기 H형강 주부재의 ㄷ자홈에 스크린재와 스크린 간격유지재가 교대로 슬라이딩되어 스크린 유목차단부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형강, 주부재, 버팀부재, 스크린재, 스크린 고정봉, 스크린 토석차단부,

Description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The beam creen rhombic dam which H-steel and screen are combined}
도1a,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방댐을 도시한 사시도.
도2a,2b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사시도.
도3a,3b,3c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분해 사시도.
도5a~5c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10':주부재 11:ㄷ자홈
20:버팀부재 30:스크린재
31:끼움공 40:버팀재
50:수평유지재 51: 고정앵커
60:스크린 고정봉 70:스크린 간격유지재
71:끼움공 90:H형강 연결캡
100:스크린 토석차단부 200:스크린 유목차단부
300:콘크리트 토석차단부 310:설치기준면
400:콘크리트 구조물 410:댐어깨
본 발명은 H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된 H형강의 ㄷ자홈 사이로 가로방향의 스크린재가 틈이 없이 상하부로 적층되어지도록 결합되어 하나의 스크린 토석차단부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스크린 토석차단부의 상부에는 스크린 간격유지재와 다른 스크린재가 교대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하나의 스크린 유목차단부가 설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시공을 용이하게 하여 공기와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집중 호우시 상류에서 내려오는 토석 및 유목이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동시에 차단하여 하류 지역의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산사태 및 홍수로 인하여 떠내려 오는 바위·흙·모래나 나무가 하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하천의 상류에 하천을 가로지르는 사방(砂防)댐을 설치하고 있다.
도1a,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방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방댐(500)은 중앙 부분이 양측에 비하여 낮은 높이를 갖도록 콘크리트로 시공되어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토석이 하부로 흘러 내려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1b는 다른 실시예의 사방댐(500)으로써 댐어깨 사이의 가운데 부분을 낮게 형성하고, 낮게 형성된 부분에 다수개의 스크린(510)을 경사지게 세워 산간계곡 등의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나무(流木)가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유목이 하류로 흘러 내려가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사방댐을 콘크리트만으로 시공할 경우 기초와 거푸집 설치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지며 이로 인해 공기가 길어지면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토석은 차단하지만 떠내려오는 유목은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댐어깨 사이로 다수개의 스크린이 경사지게 세우는 사방댐의 경우 스크린이 유목은 차단하지만 스크린 사이로 흙과 모래 등의 토석이 빠져 나가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댐의 하단부에 토석의 흐름을 차단하는 토석차단부를 콘크리트로 시공하고 그 위에 버트리스를 얹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콘크리트와 버트리스를 결합시키는 시공과정이 복잡하고 스크린의 강도가 약할 경우 굴러내리는 바위에 부딪치면서 파손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된 H형강의 ㄷ자홈 사이로 가로방향의 스크린재가 틈이 없이 상하부로 적층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스크린 토석차단부가 설치되어지도록 하고, 스크린 토석차단부의 상부로 스크린 간격유지재와 다른 스크린재가 교대로 슬라이딩 결합되어 스크린 유목차단부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토석차단부와 유목차단부가 하나로 설치되어 현장 시공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기와 비용을 줄이는 한편, 집중호우시 상류에서 쓸려 내려오는 토석 및 유목이 하류로 흘러 내려가 발생하는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H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H형강 주부재와 버팀부재의 하부에는 각각 버팀재가 수평유지재에 의하여 삼각형태로 결합됨에 따라, H형강의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 유목차단부의 최상부에는 H형강 주부재와 다른 H형강 주부재를 연결하는 H형강 연결캡이 이웃한 다른 H형강 주부재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H형강 주부재 사이의 최상단에 결합된 스크린재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댐어깨(410) 사이의 저면에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H형강 주부재(10)와 상기 H형강 주부재(10)를 버티는 버팀부재(20)의 하단부가 일정간격으로 매립되며, 상기 H형강 주부재(10)와 다른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 홈(11)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스크린재(30)가 슬라이딩되어지도록 구성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 하단에는 삼각형으로 결합된 버팀재(40)와 수평유지재(5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매립되어지고,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크린 고정봉(60)이 위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매립되며,
상기 스크린재(30)의 양단부에는 끼움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31)이 상기 스크린 고정봉(60)에 끼워지면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홈(11)에 슬라이딩된 스크린재(30)가 스크린 토석차단부(100)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는 스크린 간격유지재(70)의 끼움공(71)이 상기 스크린 고정봉(60)에 끼워지면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홈(11)에 스크린재(30)와 스크린 간격유지재(70)가 교대로 슬라이딩되어 스크린 유목차단부(20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 사이에는 상기 버팀재(40)와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스트럿부재(80)가 형성되고,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유지재(50)에는 고정앵커(5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크린 유목차단부(200)의 상부에는 H형강 주부재(10)와 다른 H형강 주부재(1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H형강 연결캡(9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지면보다 높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의 내부에 수평유지 재(50)가 설치되어지는 설치기준면(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스크린재(30)는 사각통 또는 원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2b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사시도이고, 도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5a~5c는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빔크린 사방댐은 도2a,2b 및 도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어깨(410) 사이의 저면에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H형강 주부재(10)와 상기 H형강 주부재(10)를 버티는 버팀부재(20)의 하단부가 일정간격으로 매립되어지고, 상기 H형강 주부재(10)와 다른 H형강 주부재(10')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스크린재(30)가 슬라이딩되어지도록 구성되어있다.
여기에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 하단의 매립부는 버팀 재(40)와 수평유지재(50)가 삼각형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좌측 및 우측에 스크린 고정봉(60)의 하단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매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재(30)의 양단부에는 관통된 형태를 갖는 끼움공(31)이 형성되어 스크린 고정봉(60)에 각각 끼워지도록 하고, 이러한 스크린재(30)는 도4,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통 또는 원통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사각통 또는 원통의 폭이 후술하는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홈(11)의 폭과 동일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린재(30)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공(31)이 스크린 고정봉(60)에 끼워지면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홈(11)에 슬라이딩되어 상부를 향하여 적층되어지게 결합되어짐에 따라 도3a,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토석을 차단하는 스크린 토석차단부(100)가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는 끼움공(71)이 형성된 스크린 간격유지재(70)가 슬라이딩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크린 간격유지재(70)의 상부에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형태의 스크린재(30)가 상기 스크린 간격유지재(70)와 교대로 반복되게 결합되어져 물은 통과되고 유목만이 걸리는 스크린 유목차단부(200)가 제공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와 스크린 유목차단부(200)가 지지되는 콘크리트 구조물(400)은 도2a 및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L)의 높이와 같도록 시 공되어지며, 이는 빔크린 사방댐이 설치될 곳의 지면을 암반이 나올 때까지 절토하거나 지면의 바닥을 굳게 다짐질한 후 암반 또는 단단한 지반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H형강 주부재(10)(10')를 지탱하거나 버팀부재(20)를 지탱하는 각각의 버팀재(40)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로 노출되어지도록 하거나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에 매립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빔크린 사방댐을 높게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높게 타설하여 별도의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가 형성되어지게 하고, 그 내부의 설치기준면(420)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수평유지재(50)가 설치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설치기준면(420)에 수평유지재(50)가 고정앵커(51)와 결합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H형강 주부재(10)(10')를 지탱하거나 버팀부재(20)를 지탱하는 각각의 버팀재(40)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로 노출되어지도록 하거나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내부에 매립되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H형강 주부재(10)(10')의 하부에는 각각 버팀재(40)가 수평유지재(50)에 의하여 삼각형태로 결합되어지고, 버팀부재(20)에 버팀재(40)가 수평유지재(50)에 의하여 삼각형태로 결합되어진 것을 공장에서 결합시킨 제품을 사용하거나 현장에서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H형강 주부재(10)와 버팀부재(20) 및 버팀재(40) 사이에는 스트 럿부재(80)의 양측단이 삼각형 모양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강도를 더 높여 H형강 주부재(10)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유지재(50)에는 고정앵커(51)가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유목차단부(200)의 최상부에는 H형강 주부재(10)와 다른 H형강 주부재(10')를 연결하는 H형강 연결캡(90)이 이웃한 다른 H형강 주부재(10')의 상단을 덮도록 결합됨으로써 외부의 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H형강 주부재(10)(10') 사이의 최상단에 결합된 스크린재(30)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H형강 연결캡(90)은 스크류나 볼트 또는 용접 이음을 통해 H형강 주부재(10)(10')에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는 스크린재(30)는 목재 또는 철재 및 합성수지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빔크린 사방댐은 먼저 사방댐이 시공되어질 지면을 절토하여 암반이 드러나도록 하거나 굳게 다짐질을 한 후 암반 또는 굳게 다짐질된 지반의 상부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설치기준면(420)에 고정앵커(51)가 설치되어지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상태에서 H형강 주부재(10)의 하부에 버팀재(40)를 삼각형태로 결합시키는 수평유지재(50)를 고정앵커(51)에 끼워 너트로 고정시킨다.
다음, 버팀부재(20)의 하부에 결합된 다른 수평재(50)를 고정앵커(51)에 끼워 너트로 고정시킨 후 버팀부재(20)의 상단이 H형강 주부재(10)에 볼팅이나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H형강 주부재(10)와 버팀부재(20) 및 버팀재(40)의 사이에 스트럿부재(80)의 양측단이 볼팅이나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홈(11)에 스크린 고정봉(60)의 하부가 위치되어지도록 한 후 버팀재(40)의 중간부분이나 상단부분까지 콘크리트를 타설, 매립되도록 하여 양생된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얻는다.
다음, 스크린재(30)에 형성된 끼움공(31)을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시공된 스크린 고정봉(60)에 끼워 하부로 슬라이드 결합되어지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스크린재(30) 사이의 간격이 없는 스크린 토석차단부(100)가 시공되어진다.
다음,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의 최상단에 위치된 스크린재(30)에 스크린 간격유지재(70)의 하부가 안착되어지도록 상기 스크린 간격유지재(70)에 형성된 끼움공(71)을 스크린고정봉(60)에 끼워 슬라이딩되어지도록 하고, 스크린 간격유지재(70)가 끼워진 상태에서 스크린 간격유지재(70)의 상부로 다른 스크린재(30)의 하부가 밀착되어지도록 교대로 슬라이딩되도록 조립함으로써 스크린 유목차단부(200)가 시공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유목차단부(200)의 최상부에 H형강 주부재(10)와 다른 H형강 주부재(1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H형강 연결캡(90)이 덮혀지도록 하는 것으로 빔크린 사방댐의 시공이 마무리되어지게 된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빔크린 사방댐은 집중호우시 물에 쓸려 내려오는 토석은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에 의하여 하류로 흘러 내려가게 되는 것을 막고, 물에 떠 내려오는 유목은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 유 목차단부(200)에 의하여 차단되어짐에 따라 하류로 유목이 떠 내려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빔크린 사방댐을 구성하는 H형강 주부재(10)(10')와 버팀부재(20) 및 버팀재(40)가 지면(G.L)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매립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매립방식 이외에 도2b 및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400)을 지면보다 높게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 구조물(400)의 자체가 토석의 흐름을 차단하는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의 기능을 가지며 그 상부로 스크린 토석차단부(100) 및 스크린 유목차단부(200)가 시공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의 내부에는 설치기준면(420)이 설치되어지며 양측에는 댐어깨(410)가 시공되어지고, 이러한 경우 스크린 토석차단부(100) 및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를 하나로 합하여 토석차단부의 기능이 제공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된 H형강 사이로 가로방향의 스크린재가 틈이 없이 상하부로 적층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스크린 토석차단부가 설치되도록 하고, 스크린 토석차단부의 상부로 스크린 간격유지재와 다른 스크린재가 교대로 슬라이딩되어지도록 결합되어 스크린 유목차단부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토석차단부와 간격유지재가 하나로 시공되어 현장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와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중 호우시 상류에서 내려오는 토석 및 유목이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동시에 방지하여 그 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스 크린재 또는 H형강 연결캡이 바위 등에 부딪혀 파손되었을 경우에는 스크린재 또는 H형강 연결틀을 꺼내어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면보다 높게 설치할 경우 그 상부에 설치된 스크린 토석차단부와 더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면이 토석의 흐름을 차단하는 효과를 더 얻고, 콘크리트 구조물에 H형강 주부재, 버팀부재, 버팀재와 수평유지재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의 설치기준면이 형성되도록 하고, 설치기준면 위에 설치하는 H형강 주부재, 버팀부재, 버팀재와 수평유지재를 공장에서 조립한 그대로 설치하거나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구조물에 묻히는 H형강 주부재, 버팀부재, 버팀재와 수평유지재에 사용되는 H형강의 ㄷ자홈이 콘크리트 구조물과 밀착·결합되어 앵커의 역할을 함으로써 상류에서 굴러 내려오는 바위 등에 부딪힐 경우 충격에 견디는 힘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댐어깨(410) 사이의 저면에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H형강 주부재(10)와 상기 H형강 주부재(10)를 버티는 버팀부재(20)의 하단부가 일정간격으로 매립되며, 상기 H형강 주부재(10)와 다른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 홈(11)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스크린재(30)가 슬라이딩되어지도록 구성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 하단에는 삼각형으로 결합된 버팀재(40)와 수평유지재(50)가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매립되어지고,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스크린 고정봉(60)이 위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에 매립되며,
    상기 스크린재(30)의 양단부에는 끼움공(31)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31)이 상기 스크린 고정봉(60)에 끼워지면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홈(11)에 슬라이딩된 스크린재(30)가 스크린 토석차단부(100)를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는 스크린 간격유지재(70)의 끼움공(71)이 상기 스크린 고정봉(60)에 끼워지면서 상기 H형강 주부재(10)의 ㄷ자홈(11)에 스크린재(30)와 스크린 간격유지재(70)가 교대로 슬라이딩되어 스크린 유목차단부(20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 사이에는 상기 버팀재(40)와 삼각형으로 연결되는 스트럿부재(80)가 형성되고, 상기 H형강 주부재(10) 및 버팀부재(20)의 하단을 연결하는 수평유지재(50)에는 고정앵커(51)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스크린 유목차단부(200)의 상부에는 H형강 주부재(10)와 다른 H형강 주부재(10)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H형강 연결캡(9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400)이 지면보다 높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콘크리트 토석차단부(300)의 내부에 수평유지재(50)가 설치되어지는 설치기준면(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3. 삭제
  4. 삭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재(30)는 사각통 또는 원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H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1020070045665A 2007-05-10 2007-05-10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10079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65A KR100794922B1 (ko) 2007-05-10 2007-05-10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665A KR100794922B1 (ko) 2007-05-10 2007-05-10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922B1 true KR100794922B1 (ko) 2008-01-21

Family

ID=39218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665A KR100794922B1 (ko) 2007-05-10 2007-05-10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92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73B1 (ko) * 2008-07-28 2009-01-23 대한민국 빔크린 사방댐
KR100918028B1 (ko) 2009-03-19 2009-09-24 대한민국 슬라이딩형 콘크린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94578B1 (ko) * 2009-11-24 2010-11-15 산림조합중앙회 사방댐
KR101015789B1 (ko) 2008-06-17 2011-02-18 박주태 분해 조립형 사방댐 및 그 기둥
JP2015098735A (ja) * 2013-11-20 2015-05-28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砂防堰堤、鋼管壁の補強方法
KR20160149682A (ko) 2015-06-19 2016-12-28 우건이앤씨(주)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JP2019183485A (ja) * 2018-04-09 2019-10-24 Jfe建材株式会社 堰堤および捕捉体
KR102037464B1 (ko) * 2019-01-09 2019-11-26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KR102308996B1 (ko) * 2021-05-24 2021-10-06 신화건설(주) 전면 경사형 토석류 에너지 저감용 사방 구조체
KR102579544B1 (ko) * 2023-04-05 2023-09-15 장미경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자립식 안전장치
JP7386371B1 (ja) 2023-08-28 2023-11-24 株式会社エスイー 防災構造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223A (en) 1979-04-26 1981-04-14 Kensetsusho Weir for riverbed
JPS612532U (ja) 1985-04-01 1986-01-09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流木防止柵
KR100560986B1 (ko) 2005-11-02 2006-03-17 대한민국 다기능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223A (en) 1979-04-26 1981-04-14 Kensetsusho Weir for riverbed
JPS612532U (ja) 1985-04-01 1986-01-09 日鐵建材工業株式会社 流木防止柵
KR100560986B1 (ko) 2005-11-02 2006-03-17 대한민국 다기능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89B1 (ko) 2008-06-17 2011-02-18 박주태 분해 조립형 사방댐 및 그 기둥
KR100879973B1 (ko) * 2008-07-28 2009-01-23 대한민국 빔크린 사방댐
KR100918028B1 (ko) 2009-03-19 2009-09-24 대한민국 슬라이딩형 콘크린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0994578B1 (ko) * 2009-11-24 2010-11-15 산림조합중앙회 사방댐
JP2015098735A (ja) * 2013-11-20 2015-05-28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砂防堰堤、鋼管壁の補強方法
KR20160149682A (ko) 2015-06-19 2016-12-28 우건이앤씨(주)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JP2019183485A (ja) * 2018-04-09 2019-10-24 Jfe建材株式会社 堰堤および捕捉体
JP7118709B2 (ja) 2018-04-09 2022-08-16 Jfe建材株式会社 堰堤および捕捉体
KR102037464B1 (ko) * 2019-01-09 2019-11-26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다기능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부분투과형 조립체
KR102308996B1 (ko) * 2021-05-24 2021-10-06 신화건설(주) 전면 경사형 토석류 에너지 저감용 사방 구조체
KR102579544B1 (ko) * 2023-04-05 2023-09-15 장미경 하수암거 보수작업용 자립식 안전장치
JP7386371B1 (ja) 2023-08-28 2023-11-24 株式会社エスイー 防災構造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EA037484B1 (ru) Способ подпор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блочного тип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вала и оползня
KR100719523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조립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JP7061002B2 (ja) 橋梁の補修方法
US6874974B2 (en) Reinforced soil arch
KR101418998B1 (ko)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KR101661320B1 (ko) 조립식 투과형 체크댐
CN110984193A (zh) 一种严寒山区公路路堑边坡生态防护系统
CN204551491U (zh) 一种边坡防护绿化结构
KR100918028B1 (ko) 슬라이딩형 콘크린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
KR100592416B1 (ko)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JP7197879B2 (ja) 落石防護柵
KR101610070B1 (ko) 급속시공이 가능한 투과형 사방댐
KR100841081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KR101131814B1 (ko) 유수 흐름이 원활한 경량철골과 사석을 이용한 사방댐
KR101449963B1 (ko) 골막이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CN104631474A (zh) 一种边坡防护绿化结构
KR100879973B1 (ko) 빔크린 사방댐
CN215594068U (zh) 一种插埋地桩式边坡支护结构
KR102186118B1 (ko) 고정부의 보호 커버를 구비하는 사방댐
JP7421670B1 (ja) 防護柵
CN113373973B (zh) 一种u型槽路堑组合结构挡土墙
CN115199078B (zh) 一种地下墙体维修装置及其施工方法
KR101419000B1 (ko) 토석류 방지용 기둥 구조물,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 및 토석류 방지용 안전펜스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