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682A -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 Google Patents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682A
KR20160149682A KR1020150087172A KR20150087172A KR20160149682A KR 20160149682 A KR20160149682 A KR 20160149682A KR 1020150087172 A KR1020150087172 A KR 1020150087172A KR 20150087172 A KR20150087172 A KR 20150087172A KR 20160149682 A KR20160149682 A KR 2016014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ris barrier
wood
vertical beam
vertical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434B1 (ko
Inventor
황지환
Original Assignee
우건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건이앤씨(주) filed Critical 우건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15008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43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E02B7/14Buttress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석류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사방댐 구조물에 있어서, 토석류 이동 방향의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되는 바닥구조물(SP)과; 상기 바닥 구조물의 상면에서 토석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배열되며 중간 지지편(120)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의 날개편(140)을 가지는 "H" 형상의 수직빔(100a)(100b)과; 상기 수직빔과 수직빔 사이사이에 상하로 배열되어 내부에 채움콘크리트(ST)가 타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단에 상기 날개편에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직빔에 슬라이드 고정되며 방부목 또는 간벌목으로 이루어진 가공목(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방댐 설치시 외관이 목재 소재인 가공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친환경 소재의 적용에 따른 외관의 미려함을 이룰 수 있고 또한 가공목이 양쪽으로 분할 가능한 조립식 분할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방댐 설치후 외관 훼손시 훼손된 분할바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용이성 확보는 물론 제품 자체의 내구수명 증대가 가능하고, 방치된 간벌목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직접적인 자재비 절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함께 산불, 홍수, 나무 병충해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비용 절감효과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A Slit Debris Barrier using Environment-friendly wood}
본 발명은 토석류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사방댐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방댐을 이루는 바닥콘크리트의 상면에 소정 두께와 높이를 가지며 내측에 채움제가 채워질 수 있도록 복수의 수직빔을 양쪽으로 배열하고 이 수직빔과 수직빔이 방부목 또는 간벌목으로 이루어진 가공목을 사용하여 연결 고정된 구조로서 목재 소재의 미려한 외관을 확보하며 간벌목 활용에 따른 사회적 비용 효과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은 물의 흐름을 제한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 목적과 제어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저수댐, 취수댐, 사방댐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방댐의 경우 산사태의 우려가 예상되는 계곡이나, 유목 및 암석의 유실이 심한 강 등의 상류에 설치되어 우수에 의한 토석류(土石流)를 방지하고 있고, 또한 목적 및 형상에 따라 슬릿 사방댐, 버트리스 사방댐, 저사 및 저수사방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각종 검사장비의 발달에 따라 지질 조사 등에 의해 토석류 발생의 위험 우려 지역이 다수 발견되고 있고 해당 위치에 사방댐을 설치하여 재해에 대비하고 있다.
상기에서의 토석류란 오랫동안 반복된 풍화작용으로 토사와 암석으로 형성되는 산사면이 폭우나 장마로 인한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하며 최근 자주 발생되고 있는 것으로 토석류 발생시 산지 하측에 위치한 거주지 및 도로에 치명적인 현상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유목의 경우 우리나라는 숲가꾸기 일환으로 간벌에만 주력한 나머지 수집, 운반이 거의 이뤄지지 않고 산 중턱에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간벌목이 유목이 되는 실정으로 간벌목 활용량은 사업 면적의 10%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산불 발생 시 방치되어 있는 간벌목에 의해 초기확산을 일으킬 우려와 산불의 전파속도가 빨라지며 재발화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홍수 발생 시 유목이 비점지역에 적체되고 댐을 이루면서 한꺼번에 터져나와 치명적인 현상을 제공하게 되며, 방치되어 쌓여있던 간벌목이 썩어 나무 병충해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토석류를 방지하고자 설치되는 사방댐은, 종래 다양한 구조물을 통해 제시된 바 있다.
일 실시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03086호 생태통로가 구비된 사방댐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좌우 양측 기슭면에 좌우로 대칭되게 설치된 좌측댐어깨 및 우측 댐어깨와, 상기 좌측 댐어깨 및 우측 댐어깨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 사이에 저사 및 저수를 담당하도록 상기 좌우측 댐어깨와 일체로 설치된 방수로와, 상기 방수로의 하부에 상류 및 하류를 연결하도록 개구된 개구부와, 일단면이 상기 개구부의 상류측 단면과 연통되고, 타단면이 상기 좌우 양측 기슭면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내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인 생태통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토사유출 방지 및 저사, 저수 기능을 확보하면서도 풍수기 때는 어류의 이동통로로서 수중 생태계를 보존하고, 갈수기 때는 야생동물의 이동통로로서 육지 생태계를 함께 보존할 수 있는 생태통로가 구비된 사방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49689호 복합식 사방댐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토석류의 하류 유출을 차단하는 기능과 유목을 차단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복합식 사방댐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사방댐은 설치 이후, 토석류 산사태 발생시 이에 대한 준설이 적절한 시기에 진행되지 않을 경우 이로 인하여 사방댐의 기능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5102호 공고일 2012년 11월 26일 회전개폐형 저수사방댐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수직면 사이에 상류에서 하류로 물이 흘러가도록 유수로가 형성된 좌측 댐어깨 및 우측 댐어깨와, 상기 좌측 댐어깨 및 우측 댐어깨 사이에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유수로를 기준으로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수로와 평행하게 수평방향으로 누운 경우 상기 유수로를 개방하며, 상기 유수로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세워질 경우 상기 유수로를 폐쇄하는 방수로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따라 좌우측 댐어깨 사이에 설치된 회전개폐형 방수로블럭을 통해 풍수기때에는 물론 급작스러운 홍수 발생시에도 저사 및 저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갈수기 때에는 상류 및 하류를 연통시켜 상하류 간 어류의 소통이 자유로우며, 급작스러운 홍수 시에 쌓인 토사를 물이 빠지면서 함께 하류 쪽으로 흘러가도록 하여 별도의 토사 제거작업이 필요없어 매우 실용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46103호 공고일 2013년 12월 31일 급속시공이 가능한 투과형 사방댐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경사진 협곡이나 계곡에 설치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제1경사지주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된 제1받침지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1지지대를 상기 협곡의 폭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좌우한쌍의 제1지주부와, 상기 제1경사지주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제2경사 지주의 길이중간에 상단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연결된 제2받침지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제2지지대를 좌우한쌍의 제1지주부사이에 배치한 제2지주부를 갖추어 상기 협곡에 하부단 일부가 매입되어 고정설치되는 지주부 ; 및 상기 제1지주부의 제1경사지주와 교차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스크린재와, 상기 제2지주부의 제2경사지주와 교차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연속하여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2스크린재를 갖추어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통과하는 물흐름이나 유목흐름을 제어하는 스크린부;를 포함한다.
이는, 현장에서 조립식으로 지주부를 설치하고, 지주부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상류강재틀과 하류강재틀을 조립식으로 설치하고, 상,하류 강재틀을 지반부에 매입하여 견고한 하부고정력을 갖는 사방댐을 시공함으로써 협곡이나 계곡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양생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기간을 단축하여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452943호 공고일 2011년 03월 29일 혼용 스크린부를 적용한 버트러스 사방댐이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댐 기초부; 상기 댐 기초부 양측에 각각 연장되는 댐측부; 및 상기 댐 측부 사이에 설치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세로부재와, 상기 다수의 세로부재를 하류 측에서 각각 지지하는 다수의 버트러스를 구비한 투과형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댐 기초부에 평행하게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각파이프와 다수의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강재로 이루어진 각관과 와이어로프를 혼용한 스크린부를 구비함으로써, 사방댐의 투과형 차단부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탄력성을 갖도록 하여 계곡을 따라 떠내려 오는 유목이나 암석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사방댐의 경우 철근 및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용하여 설치함에 따라 자연 미관이 크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더불어, 강우에 의해 쓸림 현상이 발생되면 철근 등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환경 오염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449689호 공개일 2008년 10월 01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5102호 공고일 2012년 11월 26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46103호 공고일 2013년 12월 31일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452943호 공고일 2011년 03월 29일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94922호 공고일 2008년 01월 21일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사방댐 설치시 외관이 목재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친환경 소재의 적용에 따른 외관의 미려함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은 물론 시공성 향상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사방댐 설치후 외관 훼손시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여 유지 보수의 용이성은 물론 내구수명을 증대 시키는데 있다.
넷째; 방치된 간벌목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직접적인 자재비 절감효과와 함께 산불, 홍수, 나무 병충해에 대한 사회적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토석류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사방댐 구조물에 있어서, 토석류 이동 방향의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되는 바닥 구조물과; 상기 바닥 구조물의 상면에서 토석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배열되며 중간 지지편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의 날개편을 가지는 "H" 형상의 수직빔과; 좌우로 배열된 상기 수직빔과 수직빔 사이사이에 상하로 배열 고정되는 복수개의 가공목; 및 상기 가공목이 배열 결합되며 전후로 배열된 상기 수직빔과 수직빔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가공목을 지지하게 되는 채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첫째; 사방댐 설치시 외관이 목재 소재로 가공된 가공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친환경 소재의 적용에 따른 외관의 미려함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은 물론 시공성 향상에 따른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목재가 양쪽으로 분할 가능한 분할바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방댐 설치후 외관 훼손시 훼손된 분할바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의 용이성 확보는 물론 내구수명을 증대 시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방치된 간벌목을 이용할 수 있음에 따라 직접적인 자재비 절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와 함께 산불, 홍수, 나무 병충해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서 수직빔과 수직빔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가공목이 설치된 상태의 제1실시예,
도 4는 도 3의 제1실시예에서 상하 배열된 가공목과 가공목 사이의 틈새를 차단시트로 차단시킨 상태의 분해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목을 사용한 제2실시예로서 목재가 양쪽으로 분할된 분할바로 이루어지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수직빔에 결합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로서 양쪽으로 분할된 분할바 사이에 차단부재가 설치 조립된 상태에서 분할바가 결합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로서 상하 배열된 가공목과 가공목 사이의 틈새가 조립된 차단판을 통해 차단되도록 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외관용 분할바의 직립면 양쪽 단부에 단턱이 형성 조립된 상태에서 분할바가 결합됨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양쪽으로 분할된 분할바 사이에 차단부재가 설치 조립된 상태에서 분할바가 교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됨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0 또는 도 11의 실시예로서 외관이 훼손된 가공목을 교체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토석류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사방댐(S)에 관한 것이다.
<제1실시예>
사방댐(S)은 도 1 및 도 2의 도시에 의하여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설치되는 바닥 구조물(SP)과, 상기 바닥 구조물(SP)의 상면 양쪽에 복수개 세워져 설치되며 수직빔(100)과, 상기 수직빔(100)과 수직빔(100a) 사이에 배열되어 내부에 채움제(ST)가 채움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가공목(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구조물(SP)은, 토석류 이동 방향의 지반 상면에 버림콘크리트를 통해 타설되어 형성되는 것이며, 지반의 상면에 버림콘크리트가 타설되고 버림콘크리트 상면에 기초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빔(100)(100a)은,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상기 바닥구조물(SP)의 상면에서 토석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배열된다. 이는, 공지와 동일한 것이 적용되며, 그 외형이 중간 지지편(120)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의 날개편(140)이 형성된 "H" 형상을 갖는다.
상기 가공목(200)은, 목재 소재로 원형 다각 사각 등의 형태가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가공이 비교적 간단한 원형 단면의 구조가 적용되고, 방부목 또는 간벌목이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양쪽으로 분할된 분할바의 경우 외관의 미려함과 방수효과가 필요한 외측에는 방부목을 채움제의 거푸집 역할이 필요한 내측 분할바의 경우에는 간벌목이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가공목(200)은, 상기 수직빔(100)과 수직빔(100a)들 사이 사이에 상하로 배열되며 양쪽으로 설치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채움제(ST)가 채움된다. 그리고 양단에는 상기 수직빔(100)(100a)의 날개편(140)에 상하 슬라이드 결합되는 홈(220)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직빔(100)(100a)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날개편(140)에 각각 슬라이드 결합되어 고정된다.
다시말해, 상기 가공목(200)의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된 2개의 홈(220)이 상기 수직빔(100)(100a)의 날개편(140)에 각각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물을 통해 사방댐(S)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토석류 이동 위치의 바닥면에 버림콘크리트를 통해 바닥구조물(SP)을 이루도록 하고 상기 바닥구조물(SP)의 상면에 복수개의 수직빔(100)(100a)이 배열되어 세워지도록 한다. 그런다음 가공목(200)의 양단부에 형성됨 홈(220)이 상기 수직빔(100)과 수직빔(100a)의 대응 위치에 돌출되는 날개편(140)에 각각 끼워켜 고정되도록 한 후, 상기 가공목(200)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에 채움제(ST)를 채움시키면 된다.
상기 채움제(ST)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되며 이때, 간벌목을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함께 채움시켜도 무방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더하여 틈새 차단을 위한 차단시트(300)가 설치됨을 보인 것이다.
이는, 상하로 배열된 상기 가공목(200)의 외면에 비닐지 또는 방수천으로 이루어진 차단시트(300)를 밀착시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설치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구조물(SP)의 양쪽에 배열된 수직빔(100)(100a)들 사이 사이에 상기 가공목(200)이 상하로 배열되도록 설치하고 배열된 상기 가공목(200)의 표면에 차단시트(300)가 밀착 결합되도록 하면 된다.
<제2실시예>
도 6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설치되는 바닥 구조물(SP)과, 상기 바닥 구조물(SP)의 상면 양쪽에 복수개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빔(100)(100a)과, 상기 수직빔(100)과 수직빔(100a)들 사이사이에 배열되어 내부에 채움제(ST)가 채움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가공목(200a)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목(200a)은, 평활한 직립면과 호형면을 갖는 반원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양쪽으로 분할되는 분할바(202a)(204a)로 구성된다.
상기 분할바(202a)(204a)에는 단부에 각각 상기 수직빔(100)(100a)의 대응된 날개편(140)에 끼워지도록 홈(220)이 형성된다.
상기 분할바(202a)(204a)는 서로 대응되어 밀착되는 직립면이 서로 접하여 밀착되고 또한 상기 수직빔(100)(100a)에 결합시 상하 위치를 달리하며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공목(200a)의 상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전후방 틈새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는 도 6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분할바(202a)와 분할바(204a) 사이에 전후면이 직립형태의 평활면을 갖는 차단부재(500)가 위치되어 틈새를 차단하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상기 차단부재(500)는, 금속, 목재, 합성수지 소재가 가능하며 복수개로 분할 구성이 가능하고 상기 수직빔(100)(100a)들 사이사이에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바(202a)(204a)는 대응되는 양쪽 직립면이 상기 차단부재(500)의 양쪽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 위치를 달리하며 밀착될 수 있고 각각 양단에 형성된 홈(220)이 상기 수직빔(100)(100a)의 날개편(14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다른 예로서 상하로 배열된 윗쪽 가공목(200)과 아랫쪽 가공목(200) 사이 사이의 틈새를 차단판(400)으로 차단시킨 것을 보인 것이다.
즉, 상기 가공목(200)의 상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40)을 형성하고 서로 마주보는 가이드홈(240)과 가이드홈(241)에 차단판(400)의 상하단을 각각 끼워서 틈새를 차단시킨 것이다.
<제4실시예>
도 10 또는 도 12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설치되는 바닥 구조물(SP)과, 상기 바닥 구조물(SP)의 상면 양쪽에 복수개 세워져 설치되는 수직빔(100)(100a)과, 상기 수직빔(100)과 다른 수직빔(100a)들 사이 사이에 배열되어 내부에 채움제(ST)가 채움되도록 형성하는 가공목(20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공목(200b)은, 평활한 직립면과 호형면을 갖는 반원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양쪽으로 분할되는 분할바(202b)(204b)로 구성된다.
상기 분할바(202b)(204b)는 서로 대응되는 직립면이 서로 접하여 밀착되고 또한 서로 마주보는 상기 분할바(202b)와 분할바(204b) 사이에 전후면이 직립형태의 평활면을 갖는 차단부재(500)가 위치되어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바(202b)(204b)의 양쪽 단부에는 상기 수직빔(100)(100a)의 날개편(140) 외측을 감싸면서 걸림될 수 있도록 단턱(260)이 형성된다.
이는, 외관을 이루는 상기 분할바(202b)(204b)가 상기 수직빔(100)(100a)에 결합시 상기 수직빔(100)(100a)의 날개편(140) 표면이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하며 가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따라 외부에서 볼 때, 상하로 배열된 가공목(200b)만이 노출되는 형상을 취하게 되어 사방댐의 외관을 미려하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분할바(202a)(204a)는 채움제를 지지하는 지지용 분할바(202b)와, 외관을 이루는 외관용 분할바(204b)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외관용 분할바(204a)의 직립면 양쪽 단부에 단턱(260)을 형성시켜 상기 수직빔(100)(100a)의 날개편(140)을 가림하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관용 분할바의 외관 훼손 시 외관용 분할바만 부분 교체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S: 사방댐
SP: 바닥구조물 ST: 채움콘크리트
100,100a: 수직빔
120: 중간 지지편 140: 날개편
200,200a,200b: 가공목
202a,204a: 분할바
220: 홈 240: 가이드홈
260: 단턱
300: 차단시트
400: 차단판
500: 차단부재

Claims (10)

  1. 토석류 차단을 위해 설치되는 사방댐 구조물에 있어서,
    토석류 이동 방향의 바닥면에 콘크리트 타설로 형성되는 바닥 구조물과;
    상기 바닥 구조물의 상면에서 토석류 흐름 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개 배열되며 중간 지지편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쌍의 날개편을 가지는 "H" 형상의 수직빔과;
    좌우로 배열된 상기 수직빔과 수직빔 사이사이에 상하로 배열 고정되는 복수개의 가공목; 및
    상기 가공목이 배열 결합되며 전후로 배열된 상기 수직빔과 수직빔 사이의 공간에 채워져 상기 가공목을 지지하게 되는 채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제는,
    간벌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목의 양단에 상기 수직빔의 날개편에 각각 슬라이드 고정되도록 각각 한 쌍의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4. 제3항에 있어서,
    상하로 배열된 상기 가공목의 외측에 차단시트가 밀착 결합되어 상기 가공목과 가공목 사이의 틈새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목이,
    축방향에 따른 중간라인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리 구성된 것으로,
    각각 평활한 직립면과 호형면을 갖는 반원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는 한 쌍의 분할바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보는 상기 분할바가 서로 대칭 또는 서로 교차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6. 제5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며 상하로 배열된 상기 분할바와 분할바 사이에 전후면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직립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직립형태의 평활면을 갖는 차단부재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 위치되어 상하 틈새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하로 배열된 상기 가공목의 상하 대응면에 서로 마주보며 개방된 형태의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차단판의 상하단이 각각 끼워져 틈새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목이,
    축방향에 따른 중간라인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리 구성된 것으로,
    각각 평활한 직립면과 호형면을 갖는 반원의 단면 형태를 가지며 양쪽으로 대칭되게 분할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분할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분할바의 직립면 양쪽 단부에 상기 날개편을 가리면서 걸림 밀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9. 제8항에 있어서,
    서로 대응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배열되는 상기 제1 및 제2분할바가 서로 교차되면서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10. 제8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분할바와 제2분할바 사이에 전후면이 상기 직립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직립형태의 평활면을 갖는 차단부재가 가로 또는 세로방향을 가지며 복수개 배열되어 상하로 배열되는 가공목 사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KR1020150087172A 2015-06-19 2015-06-19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KR10176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172A KR101766434B1 (ko) 2015-06-19 2015-06-19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172A KR101766434B1 (ko) 2015-06-19 2015-06-19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682A true KR20160149682A (ko) 2016-12-28
KR101766434B1 KR101766434B1 (ko) 2017-08-08

Family

ID=57724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172A KR101766434B1 (ko) 2015-06-19 2015-06-19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43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22B1 (ko) 2007-05-10 2008-01-21 대한민국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200449689Y1 (ko) 2008-06-18 2010-08-02 (합)현대철구산업 복합식 사방댐
KR200452943Y1 (ko) 2010-07-13 2011-03-29 니스코 주식회사 혼용 스크린부를 적용한 버트러스 사방댐
KR101205102B1 (ko) 2012-06-11 2012-11-26 경상남도 회전개폐형 저수사방댐
KR101346103B1 (ko) 2013-06-25 2013-12-31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급속시공이 가능한 투과형 사방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035B1 (ko) * 2005-12-09 2006-07-03 (주)동림컨설턴트 친환경적인 도로방음벽 설치구조
JP4961483B2 (ja) * 2010-02-10 2012-06-27 財団法人日本森林林業振興会 コンクリート用化粧型枠およびこれを外表面に装着し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1419185B1 (ko) * 2013-07-22 2014-07-14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기층이 포함된 기밀성 차단 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922B1 (ko) 2007-05-10 2008-01-21 대한민국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KR200449689Y1 (ko) 2008-06-18 2010-08-02 (합)현대철구산업 복합식 사방댐
KR200452943Y1 (ko) 2010-07-13 2011-03-29 니스코 주식회사 혼용 스크린부를 적용한 버트러스 사방댐
KR101205102B1 (ko) 2012-06-11 2012-11-26 경상남도 회전개폐형 저수사방댐
KR101346103B1 (ko) 2013-06-25 2013-12-31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급속시공이 가능한 투과형 사방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434B1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Rijn Coastal erosion and control
EP0741205B1 (de) Hochwasserschutzsystem mit einem oder mehreren versenkbaren Wandelementen
CA2268189C (en)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land erosion and improving streams, or for revetments,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preventing mountain landslides
US11155973B1 (en) Triangular modular ecological seawall
KR20110120165A (ko) 호안 보호용 개비온
CN105256811B (zh) 具有止水功能的板桩支护结构进行基坑支护的施工方法
KR101581806B1 (ko) 다기능 복합 모듈댐
KR101766434B1 (ko) 친환경 소재의 목재가 적용된 조립식 사방댐
CN201296929Y (zh) 嵌接式护坡块
CN201962648U (zh) 堤防抗洪抢险快速组合挡水钢板墙
KR101586247B1 (ko) 어류 서식처가 구비된 사방댐
GB2529207A (en) Flood defence
KR101788623B1 (ko) 리모델링으로 홍수 및 토석류 조절기능을 강화한 사방댐
KR20110083935A (ko) 친환경 복합 사방댐
KR20150118726A (ko) 산지 계곡 유속 저감 구조물
US11603636B2 (en) Interlocking modular smart seawall diversion and recreation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990548B1 (ko) 벽면보강 조립식 기둥
CN207685837U (zh) 一种边坡框架加固结构
KR20100001503U (ko) 비탈면 보호용 격자틀
van Rijn TIMBER GROYNES by Leo C. van Rijn; www. leovanrijn-sediment. com
Perdok et al. Design of timber groynes
KR100707723B1 (ko)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KR20040009052A (ko) 친자연형 통나무 수중보 구조물
JP2020183614A (ja) 河川構造
KR20170075497A (ko) 비탈어깨식 사방댐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