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7723B1 -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7723B1 KR100707723B1 KR1020050102734A KR20050102734A KR100707723B1 KR 100707723 B1 KR100707723 B1 KR 100707723B1 KR 1020050102734 A KR1020050102734 A KR 1020050102734A KR 20050102734 A KR20050102734 A KR 20050102734A KR 100707723 B1 KR100707723 B1 KR 1007077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ver
- support members
- base member
- members
- fasten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5871 repell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940 repellen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Abstract
하천 제방의 법면에 차수막을 설치하여 하천의 수로를 통해 흐르는 하천수의 범람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 법면부 침하방지용 차수막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즉, 법면의 지중에 섬유마대 등과 같은 차수막을 시공하는 하천 제방의 법면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천(350)의 정비작업을 위해 수로를 변경한 제방(300) 하단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 부재(400)가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부재(400)의 사각홈(410)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500')의 볼트부(560)가 다른 지지 부재(500)의 체결홀(520)에 체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장되고 기초 부재(400)와 지지 부재(500')(500)를 체결 부재(480)로 고정시켜 지지 부재(500')(500)를 법면(310)의 상단측까지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 부재(500')(500)가 설치된 사이 삼각홈(510)에 삽설되어 안착되는 한편,
차수막(6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가이드편(630)이 지지 부재(500)(500')의 삼각홈(510)에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부재(400)와 지지 부재(500')(500) 및 차수막(6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복토를 시행하는 단계와;
상기 법면(310) 상단에 위치된 지지 부재(500)를 절곡하여 다시 법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가이드편(63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부재(400)와 차수막(600)의 상부에 재차 토사 마대(700)를 적층하고 토사를 적층함과 아울러, 법면 상부측을 마감하는 단계;로 시공된다.
하천, 차수막, 기초부재, 지지부재
Description
도 1은 종래 하천 법면에 차수막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하천 제방 차수막 시공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천 제방에 설치되는 각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천 제방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제방 310: 법면
350: 하천 400: 기초 부재
410: 사각홈 420: 슬릿홈
500: 지지 부재 510: 삼각홈
520,530: 체결홀 600: 차수막
630: 가이드편 700: 토사 마대
본 발명은 하천 제방의 법면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 제방 의 법면에 차수막을 설치하여 하천의 수로를 통해 흐르는 하천수의 범람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환경 정비방식은 치수, 이수목적의 대규모 토목공사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즉, 이러한 하천환경의 정비방식에 따른 변화에 따라, 콘크리트 법면 구조로 인한 변화는 하천이 갖는 고유한 자연환경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물론 하천의 수질오염은 물론 생태계 구성요소로서 하천 식생과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의 조류의 서식밀도가 낮아지고 있는 바, 생태계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쇠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천 주변의 토지이용 밀도가 높은 도시하천의 경우에는, 저수로 및 고수부지의 정비, 하도의 선형정비, 하천제방의 축조 등으로 하천환경이 변화되고, 특히 저수로가 직강화되면서 자연하천의 곡선 선형은 직선으로 바뀌었고 저수로 법면부는 콘크리트화 되고 있다.
부연 하자면, 이러한 하천환경의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하천 정비형태를 살펴보면, 자연형 하천을 지향하는 방법으로서 순수 식생공법이 있고, 석재를 이용하는 공법, 야자섬유나 통나무를 이용하는 공법 및 호안 블록(환경블록, 식생블록 포함)을 이용한 법면의 축조공법이 있다.
도 1은 종래 하천 법면에 차수막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천(R)의 법면(10)에 섬유 마대 등과 같은 차수막(20)이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제방 법면(10)에 차수막(20)을 시공시 길이방향의 경사면을 따라 시공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차수막(20)이 원래 위치를 이탈되는 경우가 있어 제방 붕괴에 따른 대형의 인명 피해가 발생된 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제방의 법면을 따라 차수막이 설치되어 하천의 수로를 통해 흐르는 하천수의 범람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법면의 지중에 섬유마대 등과 같은 차수막을 시공하는 하천 제방의 법면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천의 정비작업을 위해 수로를 변경한 제방 하단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기초 부재가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부재의 사각홈에 삽입된 지지 부재와 다른 지지 부재를 다수개 연장시켜 법면을 따라 지지 부재가 법면의 상단측까지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 부재가 설치된 사이에 삽설되어 안착되고 가이드편이 지지 부재의 삼각홈에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부재와 지지 부재 및 차수막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복토를 시행하는 단계와;
상기 법면 상단에 위치된 지지 부재를 절곡하여 다시 법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가이드편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 부재와 차수막의 상부에 재차 토사 마대를 적층하고 토사를 적층함과 아울러, 법면 상부측을 마감하는 단계;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천(350)의 제방(300)은 토사가 적층되어 둑이 형성되고, 상기 제방(300)에는 법면(310)을 따라 차수막(600)이 2중으로 설치되어 법면(310)의 붕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방(300)의 법면(310)에는 토사층 사이에 차수막(600)이 하천(350) 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시공된다.
상기 제방(300)은 콘크리트 옹벽이 시공되지 않은 구조로, 최초 하천(350)의 정비 작업시 차수막(600)이 시공된다.
상기 제방(300)에는 바닥 위치에 기초 부재(400)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위치된다.
즉, 상기 기초 부재(400)는 직사각형 형태로 일측면에 사각홈(410)이 형성되고 그 사각홈(410)의 양측 길이방향으로 슬릿홈(420)이 형성되며, 사각홈(410)의 내부와 상부측에 체결홀(4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초 부재(400)에는 사각홈(410)에 지지 부재(500)가 삽입되고 슬릿홈(420)에 차수막(600)이 삽입되는 한편, 상기 기초 부재(400)에는 체결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480)가 결합되어 지지 부재(500)(50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지지 부재(500)(500')는 직사각형 형태로 굴곡이 가능한 고무 재질로 제작되는 한편, 폭 방향 양측에 각각 삼각홈(510)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일측에 체결홀(520)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지지 부재(500')는 볼트부(560)만 형성된 타입이고 상기 지지 부재(500)는 볼트부(560)에 대향되는 체결홀(530)이 형성된 타입이다.
상기 지지 부재(500)에는 체결홀(520)의 내측에 볼트부(56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너트(도면상 미도시됨)가 일체로 설치되어 고정된다.
부연 하자면, 상기 지지 부재(500')는 기초 부재(400)의 사각홈(410)에 삽입되어 체결 부재(480)로 고정되는 한편, 하천(350)의 법면(310)이 사면으로 길게 형성되어 수심이 깊은 하천에서는 지지 부재(500)(500')가 체결홀(530)과 볼트부(560)가 체결되어 다수개가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500')(500)는 길이방향 일측에 볼트부(560)가 돌출되어 있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장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 부재(500)는 차수막(6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편(630)을 삽입설치하여 하천의 제방을 시공할 때 매설된다.
상기 차수막(600)은, 양측 가이드편(630)에 삽입되어 박음질처리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차수막(600)은 삼각형 형태로 형성시킨 가이드편(630)에 삽입설치되어 일체 구조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차수막이 시공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하천 제방(300)에 기초 부재(400)가 설치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기초 부재(400)는 하천의 정비작업을 위해 수로를 변경한 제방 하단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기초 부재가 설치된다.
상기 기초 부재(400)에는 최소 2개 이상의 사각홈(410)이 형성되어 지지 부재(500)가 고정되고, 특히 상기 기초 부재(400)에는 사각홈(410)이 다수개 형성하고 가이드편(630)을 삽입할 때 기초 부재(400)와 다른 기초 부재가 밀착되는 이음부를 관통하여 하나의 가이드편(630), 즉 차수막(600)의 양측 가이드편(630)이 기초 부재(400)의 이음부에 동시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 부재(400)에 제방(300)을 따라 지지 부재(500)가 체결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기초 부재(400)의 사각홈(410)에 지지 부재(5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480)로 체결고정되고, 다수개의 지지 부재(500)가 법면(310)의 상단측까지 위치된다.
부연 하자면, 상기 지지 부재(500)에는 다른 지지 부재(50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 부재(500)(500')에 차수막(600)과 고정된 가이드편(630)을 체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차수막(600)에는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가이드편(630)이 고정된 바, 상기 가이드편(630)이 지지 부재(500)(500')에 삽설되어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 부재(400)와 차수막(600)의 상부에 토사 마대(700)를 적층하고 토사를 적층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가이드편(630)의 상부에 토사 마대(700)를 적층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차수막(600)의 상부에 차수막이 파손되지 않도록 바위(암석)를 제거하고 토사 를 30cm 이상의 두께로 적층하는 한편, 상기 차수막(600)이 위치된 법면(310) 상단위치까지 토사를 적층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법면(310) 상단에 위치된 지지 부재(500)를 절곡하여 다시 법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지지 부재(500)를 도면과 같이 굴곡시킨 후 그 사이에 가이드편(63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이다.
부연 하자면, 상기 법면(310) 하단에서 상단으로 지지 부재(500)(500')에 가이드편(630)을 삽입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이드편(630)이 삽입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초 부재(400)와 차수막(600)의 상부에 토사 마대(700)를 적층하고 토사를 적층하는 단계이다.
즉, 요사이는 국지적 폭우가 많이 쏟아지고 있는 바, 하천을 통한 우수의 유입량이 많아지고 있어 이중의 차수막(600)의 필요성에 따라 하천 변의 법면에 이중 구조로 차수막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방(300)의 법면(310)에는 기초 부재(400)와 지지 부재(50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바, 그 지지 부재(400)의 사이에 차수막(600)과 일체로 체결된 가이드편(630)이 삽설되어 2중의 차수막(600) 구조가 설치되고 있어 폭우에 의해 하천의 법면에 대한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기초 부재(400)와 지지 부재(500)에는 상부에 토사 마대(700)가 적층되어 있어 하천의 세굴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제방(300)의 붕괴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방(300)의 차수막(600) 시공방법은, 국지적으로 내리는 폭우에 대한 사전 대처가 가능하도록 시공되는 바, 자연 재해에 따른 대형의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하천(350)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 제방의 법면을 따라 차수막이 설치되어 하천의 수로를 통해 흐르는 하천수의 범람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하천의 제방 법면 구조는, 비탈면의 붕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기초 부재, 지지 부재, 차수막, 가이드편, 토사 마대로 구성되는 바, 하천 변에 국지적 폭우가 내리는 경우에도 법면 소실에 따른 제방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 법면의 지중에 섬유마대 등과 같은 차수막을 시공하는 하천 제방의 법면 시공방법에 있어서,하천(350)의 정비작업을 위해 수로를 변경한 제방(300) 하단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편,측면에 다수개의 사각홈(410)이 형성되고, 그 사각홈(410)에 다른 슬릿홈(420)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사각홈(410) 내부와 상부측에 체결홀(430)이 형성된 기초 부재(400)가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기초 부재(400)의 사각홈(410)에 삽입되는 지지 부재(500')의 볼트부(560)가 다른 지지 부재(500)의 체결홀(520)에 체결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장되고 기초 부재(400)와 지지 부재(500')(500)를 체결 부재(480)로 고정시키는 한편,폭 방향 양측에 각각 삼각홈(510)이 형성되고, 직사각형 형태로 고무 재질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체결홀(520)이 형성되며, 볼트부(560)와 체결홀(530)이 형성된 지지 부재(500')(500)를 법면(310)의 상단측까지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지지 부재(500')(500)가 설치된 사이 삼각홈(510)에 삽설되어 안착되는 한편,차수막(6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가이드편(630)이 지지 부재(500)(500')의 삼각홈(510)에 체결하는 단계와;상기 기초 부재(400)와 지지 부재(500')(500) 및 차수막(60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복토를 시행하는 한편,기초 부재(400)와 지지 부재(500')(500) 및 차수막(600)의 상부에 토사 마대(700)와 토사를 적층하고 복토하는 단계와;상기 법면(310) 상단에 위치된 지지 부재(500)를 절곡하여 다시 법면 상단에서 하단으로 위치시키고 그 사이에 가이드편(630)을 삽입하여 설치하는 단계와;상기 기초 부재(400)와 차수막(600)의 상부에 재차 토사 마대(700)를 적층하고 토사를 적층함과 아울러, 법면 상부측을 마감하는 단계;로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차수막(600)의 상부에 차수막이 파손되지 않도록 바위(암석)를 제거하고 토사를 30cm 이상의 두께로 적층함과 아울러,상기 차수막(600)이 위치된 법면(310) 상단위치까지 토사를 적층하고 재차 토사 마대와 토사를 적층하는 이중 구조로 차수막이 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2734A KR100707723B1 (ko) | 2005-10-31 | 2005-10-31 |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2734A KR100707723B1 (ko) | 2005-10-31 | 2005-10-31 |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1083U Division KR200406812Y1 (ko) | 2005-11-02 | 2005-11-02 |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7723B1 true KR100707723B1 (ko) | 2007-04-16 |
Family
ID=3818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2734A KR100707723B1 (ko) | 2005-10-31 | 2005-10-31 |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772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4484B1 (ko) | 2016-11-22 | 2017-03-09 | 지에스건설주식회사 | 해상 폐기물처리장의 차수시트를 활용한 침출수 누출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119Y1 (ko) * | 2003-03-14 | 2003-06-27 |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 골판틀 호안블록과 에프알피 레일을 이용한 하천제방법면 보호구조 |
KR100545132B1 (ko) * | 2005-10-06 | 2006-01-24 |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 굴곡진 하천 제방 측면 보강대 |
-
2005
- 2005-10-31 KR KR1020050102734A patent/KR1007077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119Y1 (ko) * | 2003-03-14 | 2003-06-27 | 주식회사 건화엔지니어링 | 골판틀 호안블록과 에프알피 레일을 이용한 하천제방법면 보호구조 |
KR100545132B1 (ko) * | 2005-10-06 | 2006-01-24 |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 굴곡진 하천 제방 측면 보강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14484B1 (ko) | 2016-11-22 | 2017-03-09 | 지에스건설주식회사 | 해상 폐기물처리장의 차수시트를 활용한 침출수 누출 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97736A (en) | Seawalls and shoreline reinforcement systems | |
JP5157710B2 (ja) | 堤防の補強構造 | |
JP5052872B2 (ja) | 擁壁の構築方法 | |
US20110033237A1 (en) | Device and method for floor protection, coastal protection, or scour protection | |
CN209854656U (zh) | 一种堤防 | |
JP6164949B2 (ja) | 盛土の補強構造 | |
JP5407995B2 (ja) | 盛土の補強構造 | |
JP4835940B2 (ja) | 堤脚保護擁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 |
KR100707723B1 (ko) |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 |
KR100245048B1 (ko) | 보강토 구조물 | |
KR200406812Y1 (ko) |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구조 | |
JP3927222B2 (ja) | 堤脚水路構築物を構成する排水溝ブロック、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 |
JP7073163B2 (ja) | 盛土構造 | |
KR101097055B1 (ko) | 주철 판넬로 축조된 사방댐과 골막이 및 그 축조방법 | |
KR200318120Y1 (ko) |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 |
JP4056522B2 (ja) | 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 |
KR101839576B1 (ko) | 지오그리드가 적용된 호안 제방 | |
KR20060082370A (ko) |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 |
CN218090948U (zh) | 一种倾斜式挡土墙 | |
KR200370046Y1 (ko) | 하천 제방 누수 방지용 에스자형 매트가 설치된 제방 | |
CN217378975U (zh) | 一种临海软弱基础挡潮闸复合型基础结构 | |
KR20130034340A (ko) | 투수성 호안블록 | |
KR102244753B1 (ko) | 친환경 목재 옹벽 | |
KR100256993B1 (ko) | 보강토 구조물을 판넬 및 내부골조로 이용하는 방법 | |
KR102231712B1 (ko) | 목재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