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125B1 - 조립식 확장 인도교 - Google Patents

조립식 확장 인도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125B1
KR101779125B1 KR1020170024628A KR20170024628A KR101779125B1 KR 101779125 B1 KR101779125 B1 KR 101779125B1 KR 1020170024628 A KR1020170024628 A KR 1020170024628A KR 20170024628 A KR20170024628 A KR 20170024628A KR 101779125 B1 KR101779125 B1 KR 101779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ridge structure
bridge
coupl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범
Original Assignee
이정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범 filed Critical 이정범
Priority to KR1020170024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확장 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교량 구조물과 결합되는 바닥부와 난간부를 갖는 확장 인도교에 있어서,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며 상기 바닥부와 난간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지지부 및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하는 홀이나 홈을 포함하는 상부면,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거나 이웃하는 상기 단위지지부와 결합하는 측부면 및 양측의 상기 측부면을 연결하는 하부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확장 인도교{PREFABRIATED EXTENSION FOOTBRIDGE}
본 발명은 조립식 확장 인도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교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차량용 교량에 보행자 및 자전거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보행자 및 자전거가 지나다니는 인도교의 확장을 위해 지지구조물을 설치한다. 지지구조물은 H형 빔으로 이루어진 지지 브라켓과, 이 지지 브라켓의 상면에 구비되는 발판 및 난간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통행로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바닥판의 길이 증가와 함께 H형 빔의 길이도 증가되어야 한다. H형 빔의 길이가 증가 될 경우 안전난간의 설치 위치가 변동되므로 이에 대한 설치 구조가 필요한다. 또한 H형 빔은 바닥판이 받는 통행 하중을 교량측에 전달하므로 통행 하중에 충분히 버틸 수 있는 강성 및 지지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82052호로서 '교량용 확장 인도교'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통행량 증대로 인해 지지 브라켓의 통행 폭을 더 늘리고자 할 경우, 지지 브라켓은 그 전체가 일체화된 하나의 구조로 제작되어 있는 경우 폭 방향으로는 연장 가설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통행 폭의 길이가 연장된 지지 브라켓을 새로 제작하고, 현장에서 새롭게 제작된 지지 브라켓과 교체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브라켓을 새로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자재비용도 상승한다. 또한, 일체화된 지지 브라켓을 운송하게 되면, 지지 브라켓의 부피로 인해 운반은 물론 현장에서 가설을 위한 이동이 수월하지 못하여 설치 작업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지지 브라켓이 일체화된 구조로 제작되면, 파손과 노화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분을 보강 수리하게 되면, 구조적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해 유지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지지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는 교량 구조물과 결합되는 바닥부와 난간부를 갖는 확장 인도교에 있어서,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며 상기 바닥부와 난간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지지부 및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하는 홀이나 홈을 포함하는 상부면,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거나 이웃하는 상기 단위지지부와 결합하는 측부면 및 양측의 상기 측부면을 연결하는 하부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는, 상기 상부면의 일측과 연결되는 상기 측부면의 길이가 상기 상부면의 타측과 연결되는 상기 측부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는 상기 단위지지부의 측부면의 길이가 가장 길고 상기 난간부와 결합하는 상기 단위지지부의 측부면의 길이가 가장 짧을 수 있다.
상기 단위지지부는 배선이나 하중 감소를 위해 내부에 3개로 분할되는 빈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의 상부면에 제1상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거나, 상기 단위지지부의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상부면에 제2상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의 하부면에 제1하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거나, 상기 단위지지부의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하부면에 제2하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위지지부의 이웃하는 상기 측부면을 나사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는 상기 난간부와 결합하는 상기 단위지지부 하부면과 결합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교량 구조물의 하부구조와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는 상기 바닥부 상부면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구조의 카다놀계 에폭시 수지 1-5 중량부, 0.1-0.5 중량부의 Al-MCM-41, 0.01-0.02 중량부의 실리카, 0.03-0.05 중량부의 티타니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유닛의 단위지지부가 별개로 각각 제작되어 이를 조립식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단위지지부가 현장에서 조립 및 분리 가능하여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단위지지부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 운송이 편리하고 운송비가 절감된다.
조립식 단위지지부의 추가 설치가 간편하여 통행량에 따라 확장 인도교의 폭 증감이 용이하다.
상부결합대 뿐만 아니라 하부결합대를 사용하여 단위지지부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확장 인도교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확장 인도교 지지유닛의 파손이나 노후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부분의 단위지지부만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보수비가 간편하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며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지지유닛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과 상부결합대 또는 하부결합대의 개략적인 분해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지지유닛(100)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부면(111) 또는 하부면(114)과 상부결합대(121, 122) 또는 하부결합대(123, 124)의 개략적인 분해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는 바닥부(20)와 지지유닛(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는 교량 구조물(10)과 결합되는 바닥부(20)와 난간부(30)를 갖는 확장 인도교(300)에 있어서,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며 바닥부(20)와 난간부(30)를 지지하는 지지유닛(100)을 포함하며, 지지유닛(100)은,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지지부(110) 및 복수 개의 단위지지부(110)를 결합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며, 단위지지부(110)는, 바닥부(20)와 결합하는 홀이나 홈(112)을 포함하는 상부면(111),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거나 이웃하는 단위지지부(110)와 결합하는 측부면(113) 및 양측의 측부면(113)을 연결하는 하부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인도교(300)는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여 사람이나 자전거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교량을 지나는 차량에 대해 보행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바닥부(20), 난간부(30), 지지유닛(1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0)는 보행자가 통행하는 확장 인도교(300)의 통행로의 바닥을 이루는 것으로 후술하는 지지유닛(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닥부(20)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판의 일측이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할 수 있다.
지지유닛(100)은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여 바닥부(20)와 난간부(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단위지지부(110)와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지지부(11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교량 구조물(10)에 대한 확장 인도교(300)를 설치하는 현장에서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지지부(110)는 확장 인도교(300)의 폭에 따라 단위지지부(110)의 결합 갯수가 증감 될 수 있다. 일례로 단위지지부(110)의 확장 인도교(300)의 폭 방향 길이는 1000㎜로 일정하여 확장 인도교(300)의 폭에 따라 단위지지부(110)의 결합 갯수가 증감될 수 있다.
단위지지부(110)는 상부면(111), 측부면(113), 및 하부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단위지지부(110)는 통행로 방향으로 측면에 빈 공간(115)을 포함하고 두 개의 측부면(113)의 길이가 서로 다른 육면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111)은 전술한 바닥부(20)와 결합하는 것으로 바닥부(20)와 결합하는 홀이나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닥부(20)는 상부면(111) 쪽으로 돌출한 부분(21)이 상부면(111)의 홀 또는 홈(112)과 결합할 수 있다.
측부면(113)은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거나 이웃하는 단위지지부(110)와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지지부(110)는 교량 구조물(10)과 직접 결합할 수 있으며, 일례로 교량 구조물(10)과 접하는 일측 측부면(113)은 교량 구조물(10)과 나사 결합이나 리벳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는 단위지지부(110)의 타측 측부면(113)은 이웃하는 단위지지부(110)의 일측 측부면(113)과 나사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부면(111)의 일측과 연결되는 측부면(113)의 길이가 상부면(111)의 타측과 연결되는 측부면(113)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는 단위지지부(110)의 측부면(113)의 길이가 가장 길고 난간부(30)와 결합하는 단위지지부(110)의 측부면(113)의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지지부(110)는 상부면(111)의 일측과 결합하는 측부면(113)의 길이와 상부면(111)의 타측과 결합하는 측부면(113)의 길이가 달라 조립식으로 결합되는 단위지지부(110)가 전체적으로 교량 구조물(10)과 접하는 쪽에서 난간부(30)와 결합하는 쪽으로 갈수록 측부면(113)의 길이가 줄어드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위지지부(110)는 통행로 방향으로 측면에 빈 공간(115)을 포함할 수 있다. 빈 공간(115)은 확장 인도교(300) 하부로 배선이나 파이프 등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단위지지부(110)의 자체 하중을 줄여 구조적으로 안정할 수 있으며, 재료비 절감의 효과도 있다. 일례로, 도 3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지지부(110)는 지지유닛(100)의 구조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3 개로 분할되는 빈 공간(115)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면(114)은 상부면(111)과 대응하는 면으로 양 측부면(113)을 연결하여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위지지부(110)는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의 측부면(113), 상부면(111) 또는 하부면(114)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120)는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를 결합하고 복수 개의 단위지지부(110)를 서로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결부(120)는,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의 상부면(111)에 제1상부결합대(121)를 부가하여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를 결합하거나, 단위지지부(110)의 이웃하는 2개의 상부면(111)에 제2상부결합대(122)를 부가하여 이웃하는 2개의 단위지지부(110)를 결합할 수 있다.
제1상부결합대(121)는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의 상부면(111)을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상부결합대(121)는 단위지지부(110)의 상부면(111)의 폭과 일치하거나 상부면(111)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을 수 있으며, 길이는 확장 인도교(3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상부결합대(121)는 홀(125)을 포함하여 교량 구조물(10) 및 단위지지부(110)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제2상부결합대(122)는 이웃하는 단위지지부(110)의 상부면(111)을 서로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상부결합대(122)는 단위지지부(110)의 상부면(111)의 폭과 일치하거나 상부면(111)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을 수 있으며, 길이는 확장 인도교(3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제2상부결합대(122)는 홀(125)을 포함하여 교량 구조물(10) 및 단위지지부(110)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는,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에 제1하부결합대(123)를 부가하여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를 결합하거나, 단위지지부(110)의 이웃하는 2개의 하부면(114)에 제2하부결합대(124)를 부가하여 이웃하는 2개의 단위지지부(110)를 결합할 수 있다.
제1하부결합대(123)는 교량 구조물(10)과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을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하부결합대(123)는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의 폭과 일치하거나 하부면(114)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고, 길이는 확장 인도교(3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제1하부결합대(123)가 교량 구조물(10)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교량 구조물(10)과 결합하는 단위지지부(110)의 측부면(113)의 길이가 교량 구조물(10)의 돌출부(12) 길이와 일치하거나, 제1하부결합대(123)와 결합하는 단위지지부(110) 하부면(114)의 상응하는 부분이 교량 구조물(10)의 돌출부(12)의 하측과 평행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제1하부결합대(123)는 홀(125)을 포함하여 교량 구조물(10) 및 단위지지부(110)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제2하부결합대(124)는 이웃하는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을 서로 결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하부결합대(124)는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의 폭과 일치하거나 하부면(114)보다 약간 좁은 폭을 갖고, 길이는 확장 인도교(300)의 하중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일례로 도 2를 참조하면, 제2하부결합대(124)가 이웃하는 단위지지부(110)를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교량 구조물(10)과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단위지지부(110)의 우측 측부면(113)의 길이와 이와 인접하는 단위지지부(110)의 좌측 측부면(113)의 길이가 일치하고, 제2하부결합대(124)의 길이에 상응하는 인접하는 2 개의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 부분의 기울기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일례로, 제2하부결합대(124)는 홀(125)을 포함하여 교량 구조물(10) 및 단위지지부(110)와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120)는 단위지지부(110)의 이웃하는 측부면(113)을 나사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이웃하는 단위지지부(110)의 나사결합을 위해 단위지지부(110)의 측부면(113)은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유닛(100)의 단위지지부(110)가 각각 별개로 제작되어 확장 인도교(300)의 폭에 따라 필요한 단위지지부(110) 갯수 만큼 결합하는 것으로 인도교(300)의 확장이 편리하다. 인도교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노후된 경우에 땜질 등의 임시방편이나 전면 교체의 보수가 아니라 부식된 단위지지부(110)만 분리해서 교체 가능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하고 경제적이다. 단위지지부(110)가 현장에서 조립 및 분리 가능하여 신속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단위지지부(110)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 운송이 편리하고 운송비가 절감된다. 조립식 단위지지부(110)의 추가 설치가 간편하여 통행량에 따라 확장 인도교의 폭 증감이 용이하다. 또한 상부결합대(121, 122) 뿐만 아니라 하부결합대(123, 124)를 사용하여 단위지지부(110)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확장 인도교(300)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는 바닥부(20), 지지유닛(100), 및 다리부(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0) 및 지지유닛(1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확장 인도교(3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간부(30)와 결합하는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과 결합하는 다리부(200)를 더 포함하며, 다리부(200)는 교량 구조물(10)의 하부구조(11)와 결합할 수 있다. 다리부(200)는 확장 인도교(300)에 통행량 등이 많아 지는 경우에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리부(200)의 상측은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과 결합하며 다리부(200)의 하측은 교량 구조물(10)의 하부구조(11)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다리부(200)는 단위지지부(110)의 하부면(114)과 나사결합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교량 구조물(10)의 하부구조(11)는 교각의 기둥이나,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교각의 기초슬래브일 수 있다. 다리부(200)가 교량의 하부구조(11)와 결합함으로써 별도로 다리 하부를 고정하는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아 하천의 환경 오염을 줄이고 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바닥부(20) 상부면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구조의 카다놀계 에폭시 수지 1-5 중량부, 0.1-0.5 중량부의 Al-MCM-41, 0.01-0.02 중량부의 실리카, 0.03-0.05 중량부의 티타니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4종의 첨가제가 위에 언급한 함량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바닥부(20)과 그 인접한 바닥부(20)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의 간격이 동일하더라도 그 사이로의 투수성이 크게 증가하고, 생활 오염으로 바닥면(20) 상부면의 훼손 또는 오염이 전혀 발생하지 않고, 다만 위 4종의 첨가제 중 어느 하나라도 누락되거나 또는 위 함량 범위 중 어느 하나라도 벗어나는 경우에는 투수성이 크게 저하되고, 상부면의 훼손 또는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19225281-pat00001
상기 구조식에서, n과 m 및 p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며; R1은 1개 내지 3개의 C=C 결합을 포함하는 C13-C15 알켄이고; R2는 C1-C6 알킬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다공성 물질 중에서 균일한 크기의 기공이 균일하게 배열된 물질을 분자체(molecular sieve)라고 한다. 미국의 모빌사에서 개발된 MCM (Mobile Crystalline Material) 중 MCM-41은 실리카 판 위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일직선 모양의 기공이 육각형 배열, 즉 벌집 모양으로 균일하게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갖는 물질이다. MCM-41은 최근까지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액정 주형 경로를 통하여 제조된다고 알려져 있다. 즉, 계면 활성제가 수용액 내에서 액정구조를 형성하고 이 주위를 규산염 이온이 둘러싸면서 수열 반응(hydrothermal reaction)을 통해 계면활성제와 MCM-41의 접합체가 형성되고 계면활성제를 500 내지 600의 온도에서 소성 처리하여 제거하게 되면 MCM-41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변화시키거나 다른 유기 물질을 넣어주는 등 제조 조건을 변화시키게 되면 기공 크기를 1.6 내지 10nm까지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CM-41이 가장 바람직한 이유는 기공도가 약 80에 이를 정도로 높으며 이에 따라 인산의 함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MCM-41과 같은 다공성 구조체 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다공성 구조체의 합성 시에 금속염화물을 첨가함으로써 금속이 그래프팅된 다공성 구조체를 제조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금속 그래프팅 다공성 구조체의 예시로서 Al 그래프팅 MCM-41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는 Al-MCM-41로 나타낸다. 상기 Al이 그래프팅되었다는 의미는 다공성 구조체의 제조시에 실리콘과 산소의 사이에 Al이 삽입되어 결합을 하고 있는 구조라고 할 수 있으며, MCM-41의 경우는 육각형 모양의 균일한 채널을 이루는 벽이 SiO2(실리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양자는 화학적 구조가 전혀 다르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교량 구조물 11 : 하부구조
20 : 바닥부 30 : 난간부
100 : 지지유닛 110 : 단위지지부
111 : 상부면 112 : 상부면 홈
113 : 측부면 114 : 하부면
120 : 연결부 121 : 제1상부결합대
122 : 제2상부결합대 123 : 제1하부결합대
124 : 제2하부결합대 200 : 다리부
300 : 확장 인도교

Claims (8)

  1. 교량 구조물과 결합되는 바닥부와 난간부를 갖는 확장 인도교에 있어서,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며 상기 바닥부와 난간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거나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지지부; 및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고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지지부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하는 홀이나 홈을 포함하는 상부면;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거나 이웃하는 상기 단위지지부와 결합하는 측부면; 및
    양측의 상기 측부면을 연결하는 하부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 상부면에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기 구조의 카다놀계 에폭시 수지 1-5 중량부, 0.1-0.5 중량부의 Al-MCM-41, 0.01-0.02 중량부의 실리카, 0.03-0.05 중량부의 티타니아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식 확장 인도교.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는,
    상기 상부면의 일측과 연결되는 상기 측부면의 길이가 상기 상부면의 타측과 연결되는 상기 측부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교량 구조물과 결합하는 상기 단위지지부의 측부면의 길이가 가장 길고 상기 난간부와 결합하는 상기 단위지지부의 측부면의 길이가 가장 짧은 조립식 확장 인도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지지부는 배선이나 하중 감소를 위해 내부에 3개로 분할되는 빈 공간을 포함하는 조립식 확장 인도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의 상부면에 제1상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거나,
    상기 단위지지부의 이웃하는 2개의 상기 상부면에 제2상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는 조립식 확장 인도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의 하부면에 제1하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상기 교량 구조물과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거나,
    상기 단위지지부의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하부면에 제2하부결합대를 부가하여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단위지지부를 결합하는 조립식 확장 인도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위지지부의 이웃하는 상기 측부면을 나사결합하는 조립식 확장 인도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부와 결합하는 상기 단위지지부 하부면과 결합하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리부는 상기 교량 구조물의 하부구조와 결합하는 조립식 확장 인도교.
  8. 삭제
KR1020170024628A 2017-02-24 2017-02-24 조립식 확장 인도교 KR101779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628A KR101779125B1 (ko) 2017-02-24 2017-02-24 조립식 확장 인도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628A KR101779125B1 (ko) 2017-02-24 2017-02-24 조립식 확장 인도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125B1 true KR101779125B1 (ko) 2017-09-18

Family

ID=6003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628A KR101779125B1 (ko) 2017-02-24 2017-02-24 조립식 확장 인도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766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하이탑 보강형 확장 인도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488B1 (ko) * 2011-03-08 2012-03-09 알루텍 (주)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615320B1 (ko) * 2015-10-01 2016-05-11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KR101664785B1 (ko) * 2016-01-26 2016-10-11 주식회사다우스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확장형 인도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488B1 (ko) * 2011-03-08 2012-03-09 알루텍 (주) 조립식 지지구조물
KR101615320B1 (ko) * 2015-10-01 2016-05-11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시공성과 안전성이 향상된 인도교
KR101664785B1 (ko) * 2016-01-26 2016-10-11 주식회사다우스 캔틸레버 구조를 응용한 확장형 인도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9766A (ko) * 2021-04-08 2022-10-17 주식회사 하이탑 보강형 확장 인도교
KR102503300B1 (ko) * 2021-04-08 2023-02-23 주식회사 하이탑 보강형 확장 인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48455A (ja) 長いエスカレータと動く歩道の支持構造体
CN102704355B (zh) 一种跨座式单轨交通的无缝线路的实现方法
JP2010156167A (ja) 道路用柵
KR20130027819A (ko) 교량유지점검용 안전점검대
CN102653931B (zh) 弹性支撑隔振构件道床
KR101390169B1 (ko)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79125B1 (ko) 조립식 확장 인도교
KR101071642B1 (ko) 피에스씨 측면빔과 슬래브를 이용한 하로교 시공방법
KR20160026260A (ko) 교량의 난간을 거더로 활용하는 장지간 보도교의 설계 및 시공 방법
KR101260947B1 (ko) 궤도지지 장치
KR102027941B1 (ko) 난간기초와 거더가 일체화된 보도교
KR20160148416A (ko) 거치식 벽체-강합성 거더 연결구조를 갖는 강합성 라멘교
KR20140014604A (ko) 케이블 교량의 박스 거더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KR20190122925A (ko)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KR20160033561A (ko) 기설 교량에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한 교량 하부구조
KR20100069847A (ko) 프리캐스트 강합성 거더 및 제작방법
KR101439947B1 (ko) 링플레이트가 장착된 원형 거더와 횡방향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313920A (zh) 车道和车道托架的定位连接方法
KR101119488B1 (ko) 조립식 지지구조물
CN212224669U (zh) 超大箱型钢柱安装体系
KR101339959B1 (ko) 중로형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 시공방법
KR101653559B1 (ko) 철도 교량의 유도상화 공법
JP2006144282A (ja) 橋梁の撤去方法
JP5295332B2 (ja) 桁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