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2925A -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2925A
KR20190122925A KR1020180046458A KR20180046458A KR20190122925A KR 20190122925 A KR20190122925 A KR 20190122925A KR 1020180046458 A KR1020180046458 A KR 1020180046458A KR 20180046458 A KR20180046458 A KR 20180046458A KR 20190122925 A KR20190122925 A KR 20190122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eight
support
vent par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섭
Original Assignee
이일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섭 filed Critical 이일섭
Priority to KR1020180046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22925A/ko
Publication of KR20190122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벤트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다수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벤트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중간벤트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간벤트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벤트부;를 마련하여 중량물의 이동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이동대상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이동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대상물의 높이를 중간벤트부에 의해 적정 높이로 유지시키면서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Bridges Construction Vents}
본 발명은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경간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벤트로 안정되게 이동시킴은 물론 교량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상판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거푸집을 이용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지반 등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의 위치에서 상기 교량상판이 시공된다.
교대 및 다수의 교각을 설치한 후 교량 상판을 포함한 교량 상부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교량 시공공법이 종래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교량의 제원, 현장여건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현재 교량시공에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교량 시공공법들 중의 하나가 F.S.M 공법(Full Staging Method, 강재지주 지지공법)이다.
상기 F.S.M 공법은 교대와 교각 또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지주(일종의 가설벤트)를 각 경간마다 다수로 설치된다.
상기 강재지주 상면에 종방향으로 메인거더를 다수 설치하고, 상기 메인거더를 가로질러 가로빔 또는 가로빔 없이 교량상부구조물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을 제작하는 공정을 각 경간마다 반복함으로서 교량을 완성시키는 공법이다.
지반조건이 우수한 지형에 비교적 낮은 교각 높이(30M이하)에서 주로 사용되며, 강재지주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콘크리트 및 그 타설 하중, 거푸집 자중 등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서 통상은 철골, 강관 등을 조립한 프레임 구조체로서 임시구조물로 제작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시공에 필요한 자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숙련된 작업인원이 풍부하여 널리 이용되는 공법으로서, 곡선교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연약지반을 포함한 지반조건(지내력 부족)이 불리하면, 지반처리를 위한 추가적인 공사비가 투입되어야 하며, 강재지주 설치 시 그 설치, 해체를 반복해야하므로 시공성이 저하되고, 통상은 기성제품인 I형 강재빔을 가설동바리 상면에 메인거더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 지지력부족 및 처짐량 증가, 운반 등에 제한요인이 있어 15M 이내의 강재빔을 사용하게 된다.
이로서 강재지주도 15M 마다 설치된 메인거더를 지지해야 하므로 역시 15M 마다 설치를 반복함으로서 필요이상의 강재지주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반복될 수밖에 없었다.
이에 교량시공의 시공성 및 경제성이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로서 F.S.M 공법을 이용하는 교량 시공방법은 상당히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교량시공 공법들 중의 하나가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공법)이다. 상기 M.S.S 공법은 교대와 교각 또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교량 상부구조물 시공 시 교량 상부구조물용 거푸집이 부착된 이동식비계시스템을 교각에 설치하여, 한 경간씩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량 상부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공법이다.
상기 이동식 비계공법의 가장 큰 특징은 이동식 비계시스템이 지반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체로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M.S.S공법의 이동식비계시스템은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각 경간에 있어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지형적 조건 및 교량 구조형식 등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이동식 비계시스템은 기계화시스템이므로 품질관리 및 공기단축 등에 유리하여 비교적 높은 교량과 하천 또는 바다 등 지반조건과 무관하게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동식비계시스템이 상당히 고가이므로 중소교량에서는 경제성이 없으며, 장비제작 및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타 교량에 전용이 불가능하여 고가의 이동식비계시스템이 대개 1회 사용 후 폐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접이식 가설벤트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접이식 가설벤트 및 그 시공방법은 구조물을 임시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설구조물로서, 상기 프레임조립체에 형성된 슬라이딩홈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프레임조립체의 간격을 조절하는 연결부재에 의하여 다수의 프레임조립체가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도록 조립되어 구조물을 하부에서 지지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은 다경간을 연속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교량 시공시스템으로서, 각 경간 사이에 설치한 기초판 상면에 양측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임시지지구조물로서, 하면에는 스크류잭을 포함하는 승강지지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지지수단과 더불어 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수단1이 구비된 가설벤트, 상기 각 가설벤트 상면에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면에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이동수단2가 더 구비된 메인거더, 상기 메인거더 상면에 메인거더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빔 및 상기 가로빔 상면에 지지되어 설치된 교량상부구조물용 거푸집을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48117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3484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47437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483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의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포터, 이동대차 등의 다양한 종류의 이동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벤트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다수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벤트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중간벤트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간벤트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벤트부는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가설서포트; 상기 중간벤트부 및 상부벤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설서포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 상기 중간벤트부 및 상부벤트부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스크류의 회전으로 높이 조절되는 스크류 잭 또는 유압으로 높이 조절되는 유압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벤트부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서포트; 상기 한 쌍의 서포트 상면과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서포트 양면에 각각 상하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 상기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앵글; 상기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 사이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교차앵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설서포트는 일정 크기를 갖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웨브; 상기 수직웨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강재; 상기 수직웨브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에 의하면, 중량물의 이동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이동대상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이동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대상물의 높이를 중간벤트부에 의해 벤트 구조물의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함은 물론 높이조절장치에 상판 등의 상부구조물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을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하부벤트부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중간벤트부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중간벤트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상부벤트부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이 트랜스포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이 이동대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이 이동대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벤트부(10),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다수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벤트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중간벤트부(20), 교량의 상부구조물(2)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간벤트부(20)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벤트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은 중량물인 교량의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 등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 등의 높이를 조절함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을 도시한 확대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은 트랜스포터 또는 이동대차 등의 이동수단이 장착되게 함은 물론 상부구조물(2)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는 하부벤트부(10)와 상기 하부벤트부(10)의 상부에 소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중간벤트부(20) 및 상기 중간벤트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벤트부(30)로 이루어진다.
도 1,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교각(1) 사이에는 교량의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 등을 시공하게 되는데, 상기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부벤트부(10)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하부벤트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상기 하부벤트부(10)는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가설서포트(11), 상기 중간벤트부(20) 및 상부벤트부(3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설서포트(11)의 상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16), 상기 중간벤트부(20) 및 상부벤트부(30)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높이조절장치(16)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서포트(17)를 포함한다.
상기 가설서포트(11)는 일정 크기를 갖는 하판(12), 상기 하판(12)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웨브(13), 상기 수직웨브(13)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강재(14) 및 상기 수직웨브(13)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15)을 포함한다.
상기 하판(12) 및 상판(15)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이들 하판(12)과 상판(15)은 강성을 갖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 하판(12)의 상면에는 수직웨브(13)가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웨브(13)는 대략 십(十)자 형태로 배치된다. 이는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수직웨브(13)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외측에 보강재(14)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재(14)는 하판(12) 및 상판(15)에 가해지는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수직웨브(13)의 각 면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16)는 가설서포트(1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16)는 스크류를 회전시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크류잭 또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잭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크류잭 및 유압잭은 통상의 것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중간벤트부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중간벤트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벤트부(20)는 소정 높이로 적층되는 벤트로써, 상기 중간벤트부(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서포트(21), 상기 한 쌍의 서포트(21) 상면과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22), 상기 한 쌍의 서포트(21) 양면에 각각 상하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23), 상기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23)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앵글(24), 상기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23) 사이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교차앵글(25)을 포함한다.
상기 중간벤트부(20)는 다수로 적층되어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을 적정 높이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21)는 소정 높이를 갖는 H빔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트(21)의 상면 및 저면에는 각각 플레이트(22)가 설치된다.
상기 플레이트(22)는 중간벤트부(20)를 상하로 적층할 때 안정되게 적층되도록 서포트(21)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21)의 양면에는 각각 수직스티프너(23)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스티프너(23)는 서포트(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수직스티프너(23)에는 수평앵글(24) 및 교차앵글(25)이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스티프너(23)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앵글(24)이 설치되고, 이와 함께 수직스티프너(23)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교차앵글(25)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앵글(24)은 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교차앵글(25) 또한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교차앵글(25)은 서로 마주보는 면을 맞대어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며, 수평앵글(24) 및 교차앵글(25)에는 수직스티프너(23)의 고정구멍에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상부벤트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벤트부(30)는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31)과 상기 수평프레임(31)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3)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프레임(31)은 일정 길이를 갖는 H빔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수평프레임(31)에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갖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스티프너(32)가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31)에는 스티프너(32) 사이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제1 스티프너(32a)가 설치됨은 물론 수평프레임(31) 사이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2 스티프너(32a)가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33)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H빔(34)과 상기 H빔(34) 사이에 설치되는 교차브레이싱(36)을 포함한다.
상기 H빔(34)은 소정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H빔(34)의 양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보강스티프너(35)가 설치되며, 이들 보강스티프너(35) 사이에는 대략 'X'자 형상으로 교차브레이싱(36)이 설치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은 하부벤트부(10), 중간벤트부(20) 및 상부벤트부(30)를 각각 제작하여 하부벤트부(10)의 상면에 중간벤트부(20)를 설치하고, 상기 중간벤트부(20)의 상면에 상부벤트부(30)를 설치한다.
상기 하부벤트부(10)의 가설서포트(11)는 십(十)자 형으로 이루어진 수직웨브(13)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하판(12) 및 상판(15)을 설치하며, 수직웨브(13)와 하판(12) 및 상판(15) 사이에 보강재(14)를 설치한다.
이러한 수직웨브(13), 보강재(14) 및 하판(12)과 상판(15)은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아울러 가설서포트(11)의 상면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16)를 설치하며, 상기 높이조절장치(16)로는 스크류잭 또는 유압잭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높이조절장치(16)의 상면에는 H빔으로 이루어진 지지서포트(17)를 설치하며, 상기 지지서포트(17)의 상면에는 중간벤트부(20)를 설치한다.
상기 중간벤트부(20)는 서포트(2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일정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22)를 설치하며, 상기 서포트(21)의 양면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수직스티프너(23)를 설치한다.
상기 수직스티프너(23) 사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앵글(24)을 설치하고, 'X'자 형상으로 교차앵글(25)을 설치한다. 이들 수직스티프너(23)와 수평앵글(24) 및 교차앵글(25)은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체결하거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부벤트부(30)는 강성을 갖도록 수평프레임(31)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스티프너(32)를 설치하며, 지지프레임(33)의 H빔(34)에는 다른 H빔(34)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보강스티프너(35)를 설치한다. 이러한 보강스티프너(35) 사이에는 교차브레이싱(36)을 설치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이 트랜스포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은 트랜스포터에 의해 벤트 구조물과 함께 이동시키고자 하는 상판 또는 교량의 상부구조물(2)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트랜스포터(40)는 지지서포트(17)를 받치게 되고, 상기 가설서포트(11) 및 높이조절장치(16)는 트랜스포터(4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벤트 구조물은 트랜스포터(40)에 의해 이동되며, 트랜스포터(40)의 상면에는 지지서포트(17)와 함께 중간벤트부(20) 및 상부벤트부(30)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부벤트부(30)의 상면에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교량의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이 장착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벤트부(30)의 지지프레임(31)은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의 이동 거치 시 철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이 이동대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이 이동대차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벤트 구조물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수단(50)은 레일(51)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5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바퀴(52)를 회전시키는 구동원(53)의 상면에는 이동대차(54)가 설치된다.
아울러 이동대차(54)의 상면에는 높이 조절되도록 유압잭(55)이 설치되며, 유압잭(55)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상하지지대(56) 및 수평지지대(57)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50)은 H빔(61)의 상면에 레일(62)을 설치하고, 상기 레일(62)에는 이동 가능하게 바퀴(63)를 설치하며, 상기 바퀴(63)의 상측에는 유압펌프(64)와 함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잭(65)이 설치된다.
이들 H빔(61)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상하지지대(66)가 설치되며, 유압책(65) 사이에는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평지지대(6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동수단은 레일(51, 62)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벤트 구조물과 함께 상부구조물(2)을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은 트랜스포터(40), 이동대차 등의 다양한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동수단(50)인 이동대차 및 모노레일은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을 횡 이동시킬 수 있는 횡이동장치(70)가 설치된다.
상기 횡이동장치(70)는 유압잭(55, 65)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슬라이딩패드(71), 상기 제1 슬라이딩패드(7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2 슬라이딩패드(72), 상기 제2 슬라이딩패드(72)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 유압잭(73), 상기 제1 유압잭(73)의 일측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압잭(73)을 이동시키는 제2 유압잭(74) 및 상기 지지서포트(17)를 지지하는 보조서포트(75)를 포함한다.
상기 횡이동장치(70)는 이동수단(50)의 유압잭(55, 65)의 상면에 크기가 큰 제1 슬라이딩패드(7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슬라이딩패드(71)의 상면에는 제1 유압잭(73)이 슬라이딩 되도록 크기가 작은 제2 슬라이딩패드(72)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슬라이딩패드(72)의 상면에는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을 승강시키는 제1 유압책(73)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압잭(73)의 일측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제2 유압잭(74)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유압잭(74)은 제1 유압잭(73)을 수평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을 수평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유압잭(73)의 양측에는 지지서포트(17)를 지지하는 보조서포트(75)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은 이동수단(50)에 의해 이동되며, 중간벤트부(20) 및 상부벤트부(30)에 의해 높이 조절될 뿐만 아니라 이동수단(50)의 유압잭(55, 65)에 의해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횡이동장치(70)에 의해 상판 또는 상부구조물(2)을 수평 이동시켜 설치하고자 위치로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하부벤트부 11: 가설서포트
12: 하판 13: 수직웨브
14: 보강재 15: 상판
16: 높이조절장치 17: 지지서포트
20: 중간벤트부 21: 서포트
22: 플레이트 23: 수직스티프너
24: 수평앵글 25: 교차앵글
30: 상부벤트부 31: 수평프레임
32: 스티프너 33: 지지프레임
34: 빔 35: 보강스티프너
36: 교차 브레이싱

Claims (6)

  1.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부벤트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다수로 적층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벤트부의 상측에 구비되는 중간벤트부;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중간벤트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부벤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벤트부는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가설서포트;
    상기 중간벤트부 및 상부벤트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가설서포트의 상면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
    상기 중간벤트부 및 상부벤트부가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상기 높이조절장치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스크류의 회전으로 높이 조절되는 스크류 잭 또는 유압으로 높이 조절되는 유압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벤트부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서포트;
    상기 한 쌍의 서포트 상면과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서포트 양면에 각각 상하로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
    상기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앵글;
    상기 한 쌍의 수직스티프너 사이에 대각선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교차앵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벤트부는 일정 길이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서포트는 일정 크기를 갖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웨브;
    상기 수직웨브의 외측에 설치되는 보강재;
    상기 수직웨브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KR1020180046458A 2018-04-23 2018-04-23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KR20190122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458A KR20190122925A (ko) 2018-04-23 2018-04-23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458A KR20190122925A (ko) 2018-04-23 2018-04-23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925A true KR20190122925A (ko) 2019-10-31

Family

ID=6842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458A KR20190122925A (ko) 2018-04-23 2018-04-23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229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9953A (zh) * 2020-03-17 2020-07-07 王斌 一种桥梁工程领域的桥梁施工用支撑设备
KR102578491B1 (ko) * 2022-11-07 2023-09-14 태광중건설 주식회사 램프교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거더 해체 공법
CN117107642A (zh) * 2023-08-07 2023-11-24 重庆交通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数字桥梁液压爬模同步爬升plc闭环智能控制系统及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70B1 (ko) 2004-03-04 2005-04-07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접이식 가설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634848B1 (ko) 2005-04-27 2006-10-19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20090047437A (ko) 2009-04-22 2009-05-12 진성토건 주식회사 가설벤트
KR20120048388A (ko) 2010-11-05 2012-05-15 유한회사 덕암중공업 가설용 벤트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170B1 (ko) 2004-03-04 2005-04-07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접이식 가설벤트 및 그 시공방법
KR100634848B1 (ko) 2005-04-27 2006-10-19 주식회사 벤트코리아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KR20090047437A (ko) 2009-04-22 2009-05-12 진성토건 주식회사 가설벤트
KR20120048388A (ko) 2010-11-05 2012-05-15 유한회사 덕암중공업 가설용 벤트의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9953A (zh) * 2020-03-17 2020-07-07 王斌 一种桥梁工程领域的桥梁施工用支撑设备
KR102578491B1 (ko) * 2022-11-07 2023-09-14 태광중건설 주식회사 램프교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거더 해체 공법
CN117107642A (zh) * 2023-08-07 2023-11-24 重庆交通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数字桥梁液压爬模同步爬升plc闭环智能控制系统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3320A1 (en) Method for removal of temporary support system for road bridge pre-fabricated small box girder-type concealed bent cap, and equipment therefor
KR100634848B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을 이용한교량시공방법
JP5179804B2 (ja) 移動吊支保工
KR101654742B1 (ko)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4414906B2 (ja) 橋桁の架設および撤去方法と橋桁工事用装置
JP5649637B2 (ja) 橋梁の架設装置および橋梁の架設方法
KR20190122925A (ko) 교량 시공용 벤트 구조물
KR20210054303A (ko) 경사구간 시공이 가능한 터널용 콘크리트 라이닝 거푸집장치
CN109629439B (zh) 一种独塔斜拉桥施工方法
CN112726411B (zh) 一种单孔大悬臂钢桁梁整体拖拉施工方法
WO2022142193A1 (zh) 大跨度薄壁混凝土声屏障浇筑台车的施工方法
CN211947993U (zh) 大跨度现浇桥梁施工用支架
JP3991067B1 (ja) 鉄道ホーム間仮設橋
CN112211112A (zh) 一种在既有桥梁上采用双导梁架桥机的钢箱梁安装方法
CN108708292A (zh) 一种工字型钢混组合梁混凝土叠合施工装置及施工方法
JP6493322B2 (ja) 床版取替え装置および床版取替え工法
KR101130166B1 (ko) 박스형 거더교의 교량받침 교체장치 및 방법
CN109098441B (zh) H型钢胎架
JP4980257B2 (ja) 柱頭部施工用架設装置およびその一部を利用した移動作業車の構築方法ならびに橋梁の張出し施工方法
CN113802471B (zh) 一种钢箱梁顶推施工方法
CN213233106U (zh) 一种拱圈支架
CN110438907B (zh) 一种基于钢拱架的上承式拱桥施工方法
CN209114884U (zh) 一种高空钢结构现场拼装用h型钢轨道式胎架
KR200391232Y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
EP3741957B1 (en) Modular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