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841B1 - 인도용 석교 - Google Patents

인도용 석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841B1
KR101034841B1 KR1020110006860A KR20110006860A KR101034841B1 KR 101034841 B1 KR101034841 B1 KR 101034841B1 KR 1020110006860 A KR1020110006860 A KR 1020110006860A KR 20110006860 A KR20110006860 A KR 20110006860A KR 101034841 B1 KR101034841 B1 KR 10103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gstone
longitudinal
stone
fixtur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평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Priority to KR1020110006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대 사이에 인도용 석교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 측면 또는 어느 일 측면에 횡 방향 H 빔 고정판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두 교대 사이에서 교좌장치의 상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종 방향 H 빔과; 양단부에 각각 고정편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서로 인접한 종 방향 H 빔 사이에서 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기 종 방향 H 빔의 횡 방향 H 빔 고정판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횡 방향 H 빔과; 상면 일측부에 수개의 바닥 판석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종 방향 H 빔과 횡 방향 H 빔의 상면에서 종 방향 H 빔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장선 각관과;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고 저면에는 소정형상을 갖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이 정해진 간격을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장선 각관의 상면에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설치되는 수개의 바닥 판석과;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과 접촉되는 장선 각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수개의 충격 흡수용 고무판과; 상기 바닥 판석에 형성된 고정구 설치홈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선 각관의 바닥 판석 고정편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을 통해 볼트 결합공에 결합되는 수개의 볼트에 의해 바닥 판석 자체가 충격 흡수용 고무판을 사이에 두고 장선 각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 판석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인도용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및 테라스 등에서 사용되는 데크를 구조용 판석으로 계획하고, 측면에는 마감 판석을 부착함은 물론 난간도 석재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기존 목교에 비하여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고 반 영구적이어서 경제성이 좋고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석재들을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주변환경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인도용 석교{Stone bridge for pedestrian}
본 발명은 인도용 석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많이 걸어다니는 작은 인도용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및 테라스(이하 "인도용 석교"로 총칭함) 등에서 사용되는 데크를 구조용 판석으로 계획하고, 측면에는 마감 판석을 부착함은 물론 난간도 석재를 사용하여 인도 자체를 외관상 석교의 이미지로 부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과 건물 사이 등에 설치되는 보행자 전용의 인도교는 바닥용 데크로 방부목이나 합성목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부목이나 합성목재는 내구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하천변이나 수분이 많은 지역에 사용하는 경우는 내구성 확보가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반면, 화강석 등과 같은 석재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주변 환경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인도교, 자전거 도로 및 테라스 등의 바닥재로 적용가능한데, 그동안 가공성이나 구조적 균질성 확보 등의 문제로 건축물의 외장재로 주로 사용되었고 휨을 받는 구조부재로는 거의 사용된 적이 없다.
한편, 인도교나 자전거 도로 및 테라스 등의 바닥재는 작용하중이 크지않고 지지구조인 장선각관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휨 응력이나 전단 응력을 조절가능하므로 이러한 목적으로 석재를 사용하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인도용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및 테라스 등에서 사용되는 데크를 구조용 판석으로 계획하고, 측면에는 마감 판석을 부착함은 물론 난간도 석재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기존 목교에 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반 영구적이며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석재를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인 인도용 석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대 사이에 인도용 석교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 측면 또는 어느 일 측면에 횡 방향 H 빔 고정판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두 교대 사이에서 교좌장치의 상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종 방향 H 빔과; 양단부에 각각 고정편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서로 인접한 종 방향 H 빔 사이에서 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기 종 방향 H 빔의 횡 방향 H 빔 고정판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횡 방향 H 빔과; 상면 일측부에 수개의 바닥 판석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종 방향 H 빔과 횡 방향 H 빔의 상면에서 종 방향 H 빔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장선 각관과;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고 저면에는 소정형상을 갖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이 정해진 간격을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장선 각관의 상면에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설치되는 수개의 바닥 판석과;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과 접촉되는 장선 각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수개의 충격 흡수용 고무판과; 볼트 결합공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판석에 형성된 고정구 설치홈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선 각관의 바닥 판석 고정편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을 통해 볼트 결합공에 결합되는 수개의 볼트에 의해 바닥 판석 자체가 충격 흡수용 고무판을 사이에 두고 장선 각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 판석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종 방향 H 빔들 중 인도 석교의 양 외측부에 설치되는 종 방향 H 빔의 외면에는 수개의 마감 판석을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고정 설치하여 종 방향 H 빔의 노출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 판석 중 서로 인접된 일부 바닥 판석의 접촉부에는 각각 반원형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을 더 천공하고, 상기 바닥 판석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과 종 방향 H 빔의 상면 사이에 난간주 고정용 강관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난간주 고정용 강관 내에는 에폭시를 충진시키고 난간주의 저부에 돌출 성형한 고정돌기를 끼워 에폭시를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난간주들의 상하부 사이에는 석재 난간봉들을 더 고정 설치하되, 상기 난간봉 사이에는 수직형 석재 난간 중간주를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은 바닥 판석의 길이방향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는 수개의 볼트 결합공을 구비하고 고정구 설치홈 형상에 대응하여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바닥 판석보다 연질인 합성수지형 봉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은 소정깊이와 폭을 갖는 원형 홈의 형태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는 볼트 결합공을 구비하고 고정구 설치홈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 두께와 폭을 갖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원판 형상을 갖게 성형하되,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판석의 고정구 설치홈에 각각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종단면이 역삼각형 또는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는 저면 일부가 고정구 설치홈을 통해 바닥 판석의 저면보다 더 돌출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은 소정깊이와 지름을 갖는 원통 홈의 형태를 갖도록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로는 원통 형상의 앵커 너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대의 내측 저부에서 종 방향 H 빔의 저면 사이에는 자연석들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더 축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 방향 H 빔과 장선 각관은 아치형으로 절곡 성형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도용 교량이나 자전거 도로 및 테라스 등에서 사용되는 데크를 구조용 판석으로 계획하고, 측면에는 마감 판석을 부착함은 물론 난간도 석재로 설치하여 줌으로써 기존 목교에 비하여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고 반 영구적이어서 경제성이 좋고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석재들을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주변환경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중 바닥 판석 고정구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인도용 석교의 일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일부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중 바닥 판석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인도용 석교의 일부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중 바닥 판석과 앵커 너트 및 충격 흡수용 고무판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9의 (a)-(e)는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구축과정을 보인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중 바닥 판석 고정구의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인도용 석교의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일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 중 바닥 판석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된 인도용 석교의 일부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 중 바닥 판석과 앵커 너트 및 충격 흡수용 고무판의 저면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a)-(e)는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구축과정을 보인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로 지반에 축조시킨 교대(1) 사이에 인도용 석교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 측면 또는 어느 일 측면에 수개의 볼트 통과공(21a)이 천공된 횡 방향 H 빔 고정판(2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두 교대(1) 사이에서 교좌장치(1a)의 상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종 방향 H 빔(2)과;
양단부에 수개의 볼트 통과공(31a)이 구비된 고정편(31)이 각각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서로 인접한 종 방향 H 빔(2) 사이에서 수개의 볼트(15)와 너트(16)를 통해 상기 종 방향 H 빔(2)의 횡 방향 H 빔 고정판(21)에 각각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횡 방향 H 빔(3)과;
상면 일측부에 "ㄱ"자형 형강과 같은 수개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을 구비하고 상기 종 방향 H 빔(2)과 횡 방향 H 빔(3)의 상면에서 종 방향 H 빔(2)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장선 각관(4)과;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고 저면에는 소정형상을 갖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이 정해진 간격을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장선 각관(4)의 상면에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설치되는 수개의 바닥 판석(5)과;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과 접촉되는 장선 각관(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수개의 충격 흡수용 고무판(6)과;
한 개 또는 수개의 볼트 결합공(71)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판석(5)에 형성된 고정구 설치홈(51)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41a)을 통해 볼트 결합공(71)에 결합되는 수개의 볼트(15)에 의해 바닥 판석(5) 자체가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을 사이에 두고 장선 각관(4)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종 방향 H 빔(2)들 중 인도 석교의 양 외측부에 설치되는 종 방향 H 빔(2)의 외면에는 수개의 마감 판석(8)을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고정 설치하여 종 방향 H 빔(2)의 노출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 판석(5) 중 서로 인접된 일부 바닥 판석의 접촉부에는 각각 반원형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52)을 더 천공하고, 상기 바닥 판석(5)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52)과 종 방향 H 빔(2)의 상면 사이에 난간주 고정용 강관(9)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난간주 고정용 강관(9) 내에는 에폭시(13)를 충진시키고 난간주(10)의 저부에 돌출 성형한 고정돌기(10a)를 끼워 에폭시를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난간주(10)들의 상하부 사이에는 석재 난간봉(11)들을 더 고정 설치하되, 상기 난간봉(11) 사이에는 수직형 석재 난간 중간주(12)를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은 바닥 판석(5)의 길이방향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51)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는 수개의 볼트 결합공(71)을 구비하고 고정구 설치홈(51) 형상에 대응하여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바닥 판석(5)보다 연질인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긴 봉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은 바닥 판석(5)의 양측 면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하지 않고 외측으로 노출되는 바닥 판석(5)의 일측부에는 일부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은 소정깊이와 폭을 갖는 원형 홈의 형태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51)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는 볼트 결합공(71)을 구비하고 고정구 설치홈(51)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 두께와 폭을 갖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원판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되,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는 에폭시(13)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판석(5)의 고정구 설치홈(51)에 각각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종단면이 역삼각형 또는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는 저면 일부가 고정구 설치홈(51)을 통해 바닥 판석(5)의 저면보다 더 돌출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은 소정깊이와 지름을 갖는 원통 홈의 형태를 갖도록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51)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로는 원통 형상의 앵커 너트(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대(1)의 내측 저부에서 종 방향 H 빔(2)의 저면 사이에는 자연석(14)들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더 축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종 방향 H 빔(2)과 장선 각관(4)은 아치형으로 절곡 성형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도용 석교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인도용 석교는 지반에 축조시킨 콘크리트 구조물인 두 교대(1) 사이에 수개의 종 방향 H 빔(2)과 횡 방향 H 빔(3), 장선 각관(4), 충격 흡수용 고무판(6) 및 바닥 판석 고정구(7)을 구비한 바닥 판석(5)들을 순차적으로 설치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종 방향 H 빔(2)들은 양 측면 또는 어느 일 측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수개의 볼트 통과공(21a)이 천공된 횡 방향 H 빔 고정판(21)들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한 두 교대(1) 사이에서 앵커 볼트를 통해 고정 설치된 교대(1)의 교좌장치(1a) 상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인도용 석교에 대한 전체적인 하중을 집중적으로 받아주는 메인 멍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한 수개의 횡 방향 H 빔(3)은 각각 양단부에 수개의 볼트 통과공(31a)이 구비된 고정편(31)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서로 인접한 종 방향 H 빔(2) 사이에서 위치된 상태에서 수개의 볼트(15)와 너트(16)를 통해 상기 종 방향 H 빔(2)의 횡 방향 H 빔 고정판(21)에 각각 양단부의 고정편(31)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종 방향 H 빔(2)들을 격자모양으로 상호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인도용 석교에 대한 일부 하중을 받아주는 서브 멍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수개의 장선 각관(4)은 상면 일측부에 "ㄱ"자형 형강과 같은 형태를 갖는 수개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종 방향 H 빔(2)과 횡 방향 H 빔(3)의 상면에서 종 방향 H 빔(2)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종 방향 H 빔(2)과 장선 각관(4)은 수평을 유지하게 성형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아치형으로 절곡 성형하여 인도용 석교 자체가 외관상 미려한 아치교의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수개의 바닥 판석(5)은 본 발명 자체가 사람들이 많이 걸어다니는 인도용 석교라는 점을 감안하여 충분한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도록 화강석 등을 절단 설치하되, 저면에는 소정형상을 갖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이에 각각 후술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들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장선 각관(4)의 상면에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설치하여 데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 상기 충격 흡수용 고무판(6)들은 탄성력이 매우 좋은 비교적 두꺼운 고무판으로 성형하여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과 접촉되는 장선 각관(4)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대부분 완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 판석 고정편(41)을 포함한 장선 각관(4)의 상면 전체에 접착제 등을 통해 고정 설치하는 방식 이외에도 바닥 석판(5)의 저면에 직접 접착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들은 한 개 또는 수개의 볼트 결합공(71)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 판석(5)에 형성된 고정구 설치홈(51)에 끼워지는 형태 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닥 판석(5)과 함께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의 상면에 올려진 다음 상기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41a)을 통해 볼트 결합공(71)에 결합되는 수개의 볼트(15)에 의해 바닥 판석(5) 자체가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을 사이에 두고 장선 각관(4)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과 이에 결합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첫 번째로 상기 고정구 설치홈(51)들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바닥 판석(5)의 길이방향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51)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는 바닥 판석(5)보다 연질인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수개의 볼트 결합공(71)을 구비하고 고정구 설치홈(51) 형상에 대응하여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를 갖는 긴 봉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바닥 판석(5)에 형성된 고정구 설치홈(51)들 자체가 역삼각형의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고정구 설치홈(51)에 끼워져 결합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 자체가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를 바닥 판석(5)의 고정구 설치홈(51)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은 다음 별도의 고정구나 접착제 등으로 이용하여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가 고정구 설치홈(5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수개의 볼트(15)를 이용하여 바닥 판석 고정구(7)를 상기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에 고정시켜 주게 되면 상기 바닥 판석(5)들이 바닥 판석 고정구(7)와 볼트(15) 및 바닥 판석 고정편(41)을 통해 장선 각관(4)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을 바닥 판석(5)의 양측 면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할 경우 인도용 석교의 외측에서 볼 때 바닥 판석(5)에 형성된 고정구 설치홈(51)을 포함하여 이에 설치된 바닥 판석 고정구(7)가 보이게 되므로 외형상 미려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을 성형할 때 바닥 판석(5)의 양측 면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하지 않고 외측으로 노출되는 바닥 판석(5)의 일측부에는 일부 고정구 설치홈(51)을 성형하지 않음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두번째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은 소정깊이와 폭을 갖는 원형 홈의 형태로 상기 장선 각관(4)에 설치된 바닥 판석 고정편(41)의 설치 간격에 대응하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51)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는 볼트 결합공(71)을 구비하고 고정구 설치홈(51)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 두께와 폭을 갖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원판 형상으로 성형하되,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는 에폭시(13)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판석(5)의 고정구 설치홈(51)에 각각 고정 설치하였다.
이 경우 에폭시(13)에 의해 고정된 바닥 판석 고정구(7)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나 기온변화 등에 의해 바닥 판석(5)의 고정구 설치홈(51)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을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으나, 실제로 바닥 판석(5) 자체가 중량체이고, 또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가 바닥 판석(5)과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 사이에서 바닥 판석(5)의 자중에 의해 압지된 형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에폭시(13) 자체가 완충기능도 수행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어떠한 충격이나 기온변화 등에도 바닥 판석(5)의 고정구 설치홈(51)에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수개의 볼트(15)를 이용하여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를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에 고정시켜 주게 되면 상기 바닥 판석(5)들이 바닥 판석 고정구(7)와 볼트(15) 및 바닥 판석 고정편(41)을 통해 장선 각관(4)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실시 예와 같이 바닥 판석 고정구(7) 자체를 종단면이 역삼각형 또는 원판 형상을 갖도록 바닥 판석(5)보다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할 때, 그 두께가 바닥 판석(5)의 고정구 설치홈(51) 깊이보다 정해진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7)의 저면 일부가 고정구 설치홈(51)을 통해 바닥 판석(5)의 저면보다 더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 자체가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한 바닥 판석 고정구(7)와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을 통해 2중으로 차단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바닥 판석(5)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바닥 판석 고정구(7)와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을 통해 2중으로 완충되어 바닥 판석(5) 자체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번째로 도 7과 같이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51)은 소정깊이와 지름을 갖는 원통 홈의 형태를 갖도록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51)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7)로는 원통 형상의 앵커 너트(7')를 고정 설치하였는데, 이 경우는 드릴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바닥 판석(5)의 저면에 소정깊이와 지름을 갖는 원통 홈 형태의 고정구 설치홈(51)을 천공하고 이게 바닥 판석 고정구(7)로써 원통 형상의 앵커 너트(7')만 설치하면 되므로 작업성과 생산성이 전술한 두 실시 예보다 양호하다.
이때, 상기 바닥 판석(5)의 저면에 있어서 상기 앵커 너트(7')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 도 8과 같이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 상면 형상 및 면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갖도록 재단시킨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별도로 부착시켜 바닥 판석(5)에 설치된 앵커 너트(7')의 단부를 포함하여 액커 너트(7) 주변의 바닥 판석(5)이 장선 각관(4)의 바닥 판석 고정편(41)에 직접 첩촉되는 것을 방지시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앵커 너트(7)가 설치된 부위의 바닥 판석(5) 일부가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또, 상기 종 방향 H 빔(2)들 중 인도 석교의 양 외측부에 설치된 종 방향 H 빔(2)의 외면은 외부로 노출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비록 상판을 바닥 판석(5)으로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인도용 석교 자체의 외형이 미려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종 방향 H 빔(2)들 중 인도 석교의 양 외측부에 설치되는 종 방향 H 빔(2)의 외면에는 외장 석재 패널을 건식 방법으로 설치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수개의 마감 판석(8)을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고정 설치하여 줌으로써 인도 석교의 양 외측부에 설치되는 종 방향 H 빔(2)의 노출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인도용 석교 자체의 외형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 판석(8)를 종 방향 H 빔(2)의 외면에 고정시켜 주는 건식 고정방법으로는 외장 석재 패널 등에서 다양한 방법이 널이 알려져 있는데, 전술한 바닥 판석(5) 고정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여도 무방하고, 본 발명의 도면상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개의 앵커 볼트나 너트 및 "ㄱ"지형 형강 등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인도용 석교를 왕래하는 사람들의 안전을 위해 난간을 설치해야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바닥 판석(5)이마 마감 판석(8) 등과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룰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인도용 석교의 난간 역시 석재 난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바닥 판석(5) 중 서로 인접된 일부 바닥 판석의 접촉부에 각각 반원형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52)을 더 천공하고, 상기 바닥 판석(5)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52)과 종 방향 H 빔(2)의 상면 사이에는 원통 형상을 갖는 난간주 고정용 강관(9)을 강제로 삽입 설치하며, 상기 난간주 고정용 강관(9) 내에는 에폭시(13)를 충진시키고 난간주(10)의 저부에 돌출 성형시킨 고정돌기(10a)를 끼워 넣어, 에폭시에 의해 상기 난간주(10)가 난간주 고정용 강관(9) 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상기 난간주(10)들의 상하부 사이에는 석재 난간봉(11)들을 고정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난간봉(11) 사이에는 수직형 석재 난간 중간주(12)를 더 고정 설치하여 석재로 된 인도용 석교의 난간 자체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교대(1)의 내측 저부에서 종 방향 H 빔(2)의 저면 사이에는 자연석(14)들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더 축조시켜 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인 교대(1)의 노출도 배제할 수 있어 본 발명이 적용된 인도용 석교 자체가 외부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석재로 축조된 형태를 낳게 되어 목재나 콘크리트로 축조되는 교량에 비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주변환경 및 경관을 보다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의 (a)-(e)은 지반에 콘크리트 구조물인 두 교대(1)를 축조하고, 그 위로 수개의 종 방향 H 빔(2)과 횡 방향 H 빔(3), 장선 각관(4) 및 충격 흡수용 고무판(6)을 설치한 다음 마감 판석(8)과 바닥 판석 고정구(7)을 구비한 바닥 판석(5)을 설치하고, 이어서 난간주(10)와 석재 난간봉(11) 및 석재 난간 중간주(12)를 설치한 다음 자연석(14)을 축조시키는 본 발명 인도용 석교의 구축과정을 보인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교대 1a : 교좌장치
2 : 종 방향 H 빔
21 : 횡 방향 H 빔 고정판 21a : 볼트 통과공
3 : 횡 방향 H 빔
31 : 고정편 31a : 볼트 통과공
4 : 장선 각관
41 : 바닥 판석 고정편 41a : 볼트 통과공
5 : 바닥 판석
51 : 고정구 설치홈 52 : 난간주 고정용 구멍
6 : 충격 흡수용 고무판
7 : 바닥 판석 고정구 71 : 볼트 결합공
7' : 앵커 너트
8 : 마감 판석
9 : 난간주 고정용 강관
10 : 난간주 10a : 고정돌기
11 : 석재 난간봉 12 : 석재 난간 중간주
13 : 에폭시 14 : 자연석
15 : 볼트 16 : 너트

Claims (12)

  1. 교대 사이에 인도용 석교를 구성함에 있어서,
    양 측면 또는 어느 일 측면에 횡 방향 H 빔 고정판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구성을 갖고 두 교대 사이에서 교좌장치의 상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종 방향 H 빔과;
    양단부에 각각 고정편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구성을 갖고 서로 인접한 종 방향 H 빔 사이에서 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기 종 방향 H 빔의 횡 방향 H 빔 고정판에 각각 양단부가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횡 방향 H 빔과;
    상면 일측부에 수개의 바닥 판석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종 방향 H 빔과 횡 방향 H 빔의 상면에서 종 방향 H 빔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수개의 장선 각관과;
    소정 폭과 길이 및 두께를 갖고 저면에는 소정형상을 갖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이 정해진 간격을 형성된 형태에서 상기 장선 각관의 상면에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설치되는 수개의 바닥 판석과;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과 접촉되는 장선 각관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력을 완화시켜 주는 수개의 충격 흡수용 고무판과;
    상기 바닥 판석에 형성된 고정구 설치홈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선 각관의 바닥 판석 고정편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을 통해 자체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에 결합되는 수개의 볼트에 의해 바닥 판석 자체가 충격 흡수용 고무판을 사이에 두고 장선 각관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바닥 판석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 H 빔들 중 인도 석교의 양 외측부에 설치되는 종 방향 H 빔의 외면에는 수개의 마감 판석을 서로 인접되게 연이어 고정 설치하여 종 방향 H 빔의 노출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석 중 서로 인접된 일부 바닥 판석의 접촉부에는 각각 반원형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을 더 천공하고, 상기 바닥 판석의 난간주 고정용 구멍과 종 방향 H 빔의 상면 사이에 난간주 고정용 강관을 삽입 설치하며, 상기 난간주 고정용 강관 내에는 에폭시를 충진시키고 난간주의 저부에 돌출 성형한 고정돌기를 끼워 에폭시를 통해 일체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난간주들의 상하부 사이에는 석재 난간봉들을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난간봉 사이에는 수직형 석재 난간 중간주를 더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은 바닥 판석의 길이방향으로 역삼각형 형태로 성형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 설치홈 형상에 대응하여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바닥 판석보다 연질인 합성수지형 봉으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종단면이 역삼각형 형태를 갖도록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은 바닥 판석의 양측 면을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하도록 외측으로 노출되는 바닥 판석의 일측부에는 일부 형성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은 소정깊이와 폭을 갖는 원형 홈의 형태로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는 볼트 결합공을 구비하고 고정구 설치홈 형상에 대응하여 소정 두께와 폭을 갖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원판 형상을 갖게 성형하되, 원판 형상을 갖는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는 에폭시를 이용하여 상기 바닥 판석의 고정구 설치홈에 각각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종단면이 역삼각형 또는 원판 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재로 성형한 상기 바닥 판석 고정구는 저면 일부가 고정구 설치홈을 통해 바닥 판석의 저면보다 더 돌출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 판석의 저면에 형성되는 수개의 고정구 설치홈은 소정깊이와 지름을 갖는 원통 홈의 형태를 갖도록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 설치홈에 설치되는 바닥 판석 고정구로는 원통 형상의 앵커 너트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앵커 너트가 설치된 바닥 판석의 저면에 장선 각관의 바닥 판석 고정편 상면 형상 및 면적에 대응되는 형상과 면적을 갖도록 재단시킨 충격 흡수용 고무판을 더 접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대의 내측 저부에서 종 방향 H 빔의 저면 사이에는 자연석들을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더 축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 방향 H 빔과 장선 각관은 아치형으로 절곡 성형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도용 석교.
KR1020110006860A 2011-01-24 2011-01-24 인도용 석교 KR10103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860A KR101034841B1 (ko) 2011-01-24 2011-01-24 인도용 석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860A KR101034841B1 (ko) 2011-01-24 2011-01-24 인도용 석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841B1 true KR101034841B1 (ko) 2011-05-17

Family

ID=4436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860A KR101034841B1 (ko) 2011-01-24 2011-01-24 인도용 석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8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86B1 (ko) * 2012-06-18 2013-03-15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인도교용 보강 석재데크
KR101390169B1 (ko) * 2013-12-13 2014-04-30 주식회사다우스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8210B1 (ko) * 2014-08-12 2015-05-12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491293B1 (ko) * 2022-02-18 2023-01-26 주식회사 파크조경 파일보강 캡 및 풀림방지볼트가 적용된 데크결합 지주식 인도교
KR102492698B1 (ko) * 2022-02-18 2023-01-27 주식회사 파크조경 Y형 클립 데크 및 선형에 구애받지 않는 난간이 적용된 풀림방지볼트로 조립하는 교량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909B2 (ja) 2006-10-26 2008-03-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KR100939484B1 (ko) 2008-11-05 2010-01-29 김의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102849A (ko) * 2009-03-12 2010-09-27 에이스엔지니어링(주) 목교량 방진고무판
KR100998202B1 (ko) 2010-02-08 2010-12-07 금창준 교량 확장 인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909B2 (ja) 2006-10-26 2008-03-1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KR100939484B1 (ko) 2008-11-05 2010-01-29 김의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102849A (ko) * 2009-03-12 2010-09-27 에이스엔지니어링(주) 목교량 방진고무판
KR100998202B1 (ko) 2010-02-08 2010-12-07 금창준 교량 확장 인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586B1 (ko) * 2012-06-18 2013-03-15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인도교용 보강 석재데크
KR101390169B1 (ko) * 2013-12-13 2014-04-30 주식회사다우스 아치형 인도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18210B1 (ko) * 2014-08-12 2015-05-12 주식회사 피피에스브릿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491293B1 (ko) * 2022-02-18 2023-01-26 주식회사 파크조경 파일보강 캡 및 풀림방지볼트가 적용된 데크결합 지주식 인도교
KR102492698B1 (ko) * 2022-02-18 2023-01-27 주식회사 파크조경 Y형 클립 데크 및 선형에 구애받지 않는 난간이 적용된 풀림방지볼트로 조립하는 교량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841B1 (ko) 인도용 석교
KR101349948B1 (ko) 가설 인도교
KR101792440B1 (ko) 산책로용 목재 데크
KR101010256B1 (ko) 데크로드 장치
KR100878141B1 (ko) 변형방지 목재데크
KR101771926B1 (ko)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322249B1 (ko) 확장 가능한 모듈형 인도교
JP2011006944A (ja) 橋梁構造
KR102087554B1 (ko)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120033667A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KR101523005B1 (ko) 확장형 인도교
KR101295823B1 (ko) 확장 인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83303B1 (ko) 교량 또는 옹벽용 조립식 확장 보도
KR100552276B1 (ko) 도로용 보도의 침하방지구조
KR101086346B1 (ko) 조립식 탄성데크
KR101791144B1 (ko) 데크부재를 이용한 아치형 목교
KR101537762B1 (ko) 복합소재 인발 패널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76553B1 (ko) 이종 데크재 결합용 디바이더를 이용하여 곡선 시공이 가능한 조경용 패턴 데크로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4772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6355B1 (ko) 데크 구조체
KR10088478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240586B1 (ko) 인도교용 보강 석재데크
KR102291171B1 (ko) 인도교
KR20200062606A (ko) 개보수가 용이한 면진 데크로드
KR101241400B1 (ko) 아치형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