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926B1 - 데크 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크 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926B1
KR101771926B1 KR1020170043546A KR20170043546A KR101771926B1 KR 101771926 B1 KR101771926 B1 KR 101771926B1 KR 1020170043546 A KR1020170043546 A KR 1020170043546A KR 20170043546 A KR20170043546 A KR 20170043546A KR 101771926 B1 KR101771926 B1 KR 101771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late
longitudinal direction
shap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종석
김현규
국승찬
노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Priority to KR1020170043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6Foundations for 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04H2017/1452
    • E04H2017/14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은 직육면체 형상의 데크판과, 상기 데크판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데크판 하부에 양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에 하방으로 개방되고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인 홈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데크판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데크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판을 구비하는 데크; 상기 데크판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데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되는 지주와,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울타리; 및 상기 데크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데크와 결합하여 상기 데크를 지중에 고정하는 기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 로드 시스템{Deck road system}
본 발명은 데크 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의 변형 방지 및 울타리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고, 하부 기초에 스크류 파일을 활용함으로써 시공성 및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데크 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자연친화적 환경과 시설 붐이 일어나면서 등산로, 공원 내에 설치한 산책로, 호수 주변, 카페나 펜션 등의 실내 또는 실외 바닥면에 다른 재료에 비해 자연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해 주고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조립식 데크를 바닥 마감재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데크는 데크의 고정수단이 체결되는 곳에서부터 단부까지 쉽게 금이 가거나 갈라지고, 사람이 걸어다닐 때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에 의해 또는 햇빛이나 온도, 습도 등에 의하여 로 된 데크가 뒤틀리거나 변형되면서 변형력을 받아, 가장 취약한 데크의 단부에서부터 변형되게 되면서 고정수단의 결합력이 변형력을 견디지 못하게 되어 데크와 데크 사이에 단차가 생기게 됨은 물론 고정수단이 돌출되게 되어 보행자가 단차에 걸려 넘어지거나 돌출된 고정수단에 발바닥이 찔려 상처를 입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등산로, 공원 내에 설치한 산책로 등에는 추락사고의 위험성을 감안하여 울타리를 설치하는데, 울타리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상태로 고정되는 기둥과, 인접한 기둥의 상부 또는 중간끼리를 연결하여 울타리 역할을 하는 난간으로 구성된다.
등산로나 생태공원 등과 같은 야외에 설치하는 울타리는 경사도 일정하지 않지만 대부분 친환경적 소재인 로 만든 것을 설치하기 때문에 기둥과 난간을 용접으로 고정 결합시킬 수 없어 기둥의 측면에 홈을 판 후 난간을 홈에 끼워 넣거나 별도의 브라켓 및 나사로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기둥의 측면에 홈을 파서 난간을 설치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 신축 현상으로 인하여 지주와 난간의 결합 부분에 틈새가 확장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083호(2016.12.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데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데크 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구조적으로 강한 결합을 이룰 수 있는 데크 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은 직육면체 형상의 데크판과, 상기 데크판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데크판 하부에 양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에 하방으로 개방되고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인 홈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데크판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데크판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데크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을 구비하는 데크; 상기 데크판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데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되는 지주와,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울타리; 및 상기 데크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데크와 결합하여 상기 데크를 지중에 고정하는 기초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크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장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초부재는 상기 장선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장선과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데크의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장선을 지지하는 지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중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분을 지중에 고정하는 고정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분은 상기 장선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선과 수직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H형강과, 상기 제1H형강의 상기 울타리 측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장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울타리의 하중을 받는 제2H형강과, 일단이 상기 제1H형강의 일단과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2H형강의 한 쌍의 플랜지와 웨지에 의해 형성된 제1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H형강 및 상기 제2H형강과 결합하는 결합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H형강은 한 쌍의 플랜지와 웨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공간부에는 상기 제2H형강의 강성을 높이는 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분은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장선과 결합하여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 양단 하부를 가리는 제1가림판과,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1가림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H형강의 길이방향 일면을 가리는 제2가림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제2H형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H형강을 지지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H형강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H형강과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H형강을 받치는 제3H형강과, 상기 제3H형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H형강을 지지하는 제2기둥과, 상기 제1기둥 및 상기 제2기둥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고 지중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기둥과 상기 제2기둥을 지중에 고정하는 스크류파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주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 및 상기 빔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및 상기 외피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빔은 몸체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제1돌기와, 상기 연장편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장재가 상기 빔과 결합하도록 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주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제1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부와 맞대어지는 제3부재와,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부재의 외면과 맞대어지는 제4부재와,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장편의 일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제5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체는 상기 외피의 일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피와 결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일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은 판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본체부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외측면은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이고 내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직삼각형 형상인 측면보강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하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양 측면보강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데크는 상기 보강판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 고정되었을 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측면보강부의 외측면이 상기 데크판의 상기 체결부와 접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지지받아 상기 데크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장선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양 데크의를 고정하여 상기 테크의 변형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장선에 고정되는 판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각 선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며, 2차 절곡된 선단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상기 데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양 데크의 단부를 동시에 고정하여 상기 데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에 의하면, 스크류 파일을 활용함으로써 시공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의 전체에 보강판을 구비하여 데크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울타리의 구조적 결합을 통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크 로드 시스템의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울타리의 평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울타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울타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데크 로드 시스템의 데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데크의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10)은 데크(100), 울타리(200) 및 기초부재(300)를 구비할 수 있다.
데크(100)는 직육면체 형상의 데크판(110), 데크판(110)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120), 데크판(110) 하부에 양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에 하방으로 개방되고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인 홈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130) 및 체결부(130)에 삽입되고 데크판(110)에 부착 고정되어 데크판(110)이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크판(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14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데크(100)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데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데크(10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장선(20)이 구비될 수 있다.
울타리(200)는 데크판(110)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되 데크판(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되는 지주(210),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지주(210) 사이에 위치하는 레일(220), 및 레일(22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레일(220)을 지주(21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데크(100)와 울타리(200)에 대해서는 추후에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기초부재(300)는 데크(100)의 하측에 위치하고 데크(100)와 결합하여 데크(100)를 지중에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초부재(300)는 장선(20)의 하부에 구비되되 장선(20)과 수직을 형성하도록 데크(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장선(20)을 지지하는 지지부분(300a)과 지지부분(300a)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중에 삽입되어 지지부분(300a)을 지중에 고정하는 고정부분(300b)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분(300a)은 장선(2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장선(20)과 수직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H형강(310), 제1H형강(310)의 울타리(200) 측 일단에 위치하고 장선(20)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울타리(200)의 하중을 받는 제2H형강(320), 제1H형강(310) 및 제2H형강(320)과 결합하는 결합판(3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H형강(310)과 제2H형강(3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H빔과 마찬가지로 한 쌍의 플랜지(311,321)와 한 쌍의 플랜지(311,321)를 연결하는 웨지(312,322)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H형강(320)의 너비방향 일단과 다수개의 제1H형강(3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H형강(320)에는 한 쌍의 플랜지(321)와 웨지(322)에 의해 제1공간부(320a)와 제2공간부(320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공간부(320a)에 상기의 결합판(330)이 위치할 수 있다. 결합판(330)은 일부분이 제1H형강(310)의 웨지(312)와 체결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하고, 나머지 일부분이 제1공간부(320a)에 삽입되어 제2H형강(320)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공간부(320b)에는 제2H형강(320)의 강성을 높이는 보강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강부재(340)와 웨지(322) 사이에 제2공간부(320b)가 존재하는 것을 보였으나, 보강부재(340)는 제2공간부(320b)가 존재하지 않도록 웨지(322)와 맞대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분(300a)은 데크(100)의 길이방향 양단 하부를 가리는 제1가림판(35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가림판(350)은 데크(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장선(2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가림판(350) 중 제2H형강(3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장선(20)과 결합하는 제1가림판(350)은 제2H형강(320)의 상부에 구비되는 보강부재(340)와도 결합하여 제1가림판(35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가림판(350) 중 제2H형강(320) 측에 위치하는 제1가림판(350)의 하부에는 보강부재(340)와 결합하여 제2H형강(320)의 길이방향 일면을 가리는 제2가림판(3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가림판(350)과 제2가림판(360)을 통해 데크(100)의 하부를 가림으로써 데크(100)의 하부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제1H형강(310) 및 제2H형강(320)을 보호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분(300b)은 제1기둥(370), 제3H형강(380), 제3기둥(390) 및 스크류파일(301)을 구비할 수 있다.
제1기둥(370)은 제2H형강(320)의 반대 측 즉, 데크(100)의 상부에 울타리(200)가 구비되지 않은 데크(100)의 길이방향 일단을 지지하도록 제1H형강(310)의 하부에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H형강(310)과 제1기둥(370) 사이에는 제3H형강(380)이 구비되어 다수개의 제1기둥(370)과 연결됨으로써 고정부분(300b)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3기둥(390)은 제2H형강(320)의 하부와 맞대어지도록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제2H형강(320)에 의해 제3기둥(390)이 일체화되어 구조적 강성이 높아질 수 있다.
스크류파일(301)은 제1기둥(370)과 제3기둥(390)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며 지중에 삽입될 수 있다. 제1기둥(370)과 제3기둥(390)에 스크류파일(301)이 구비됨에 따라 제1기둥(370)과 제3기둥(390)이 지중에 고정될 수 있어 데크(100)를 더욱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10)의 울타리(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크 로드 시스템의 울타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울타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울타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10)의 울타리(200)는 지주(210), 레일(220) 및 연결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지주(210), 레일(220) 및 연결부재(230)는 공장에서 각각 제작되며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을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지주(210)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구비되고, 레일(220)은 서로 이웃하는 지주(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재(230)는 지주(210)와 결합하여 지주(210)와 레일(2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주(210)에 대해 더욱 자세하게 살펴보면, 지주(210)는 데크(100)의 데크판(110)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1),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212) 및 빔(212)과 결합하여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213)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211)는 빔(212)과 외장재(213)를 받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빔(212)과 외장재(213)의 밑면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하여 별도의 고정부(231)를 통해 용이하게 데크판(1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형태가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212)은 베이스플레이트(211)에 고정된 상태로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상부에 구비되고 단면이 '+'자 형태로 형성되며 빔(212)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몸체(2121)와 몸체(2121)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212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연장편(2122)의 일단에는 빔(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연결부재(230)와 결합하는 제1돌기(2123)가 구비됨으로써 지주(210)와 연결부재(230)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연장편(2122)에는 외장재(213)가 빔(212)과 결합하는 한 쌍의 제2돌기(2124)가 빔(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빔(212)과 외장재(213)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돌기(2123)가 'T'자 형상이고, 제2돌기(2124)가 'ㅡ'자 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상기 제1돌기(2123)와 제2돌기(2124)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외장재(213)는 목재 또는 합성목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연장편(2122)과 두 면이 맞대어지는 형태로 빔(212)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재(213)는 빔(212)과 결합한 후 연장편(2122)이 너비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연장편(2122)에 의해 울타리(200)를 지나는 보행자가 상해를 당하거나 옷가지가 찢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외장재(213)가 사각기둥형태로 구비된 것을 보였으나, 외장재(213)는 설치 위치나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230)는 제1돌기(2123)와 결합하여 연결부재(230)가 지주(21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231), 레일(220)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232) 및 제1연결부(232), 고정부(231)와 연결되어 제1연결부(232)가 고정부(231)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231)는 빔(212)과 마찬가지로 일 방향으로 긴 형태로 제작되며, 빔(212)과 동일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분(231)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하지 않고 제1돌기(2123)와 끼워 맞춤 방식을 통해 지주(2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30)를 지주(210)에 결합하는 데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연결부재(230)를 지주(210)로부터 분리할 시에도 신속한 해체가 가능할 수 있다.
힌지부(233)는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고정부(23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힌지부(233)는 공장에서 사전에 고정부분(231)에 고정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항시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1연결부(232)는 힌지부(233)의 일측에 구비되어 레일(220)과 직접적으로 맞대어지며, 힌지부(233)에 의해 고정부(231)를 축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선형태의 도로 등에도 울타리(2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1돌기(2123)는 연장편(2122)의 일단에서 고정부분(231)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부재(2123a)와 제1부재(2123a)의 일단에서 제1부재(2123a)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212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부재(2123b)는 연장편(2122)의 너비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고정부(231)가 제1돌기(2123)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분(231)는 일면이 힌지부(233)와 맞대어지는 제3부재(2311), 제3부재(2311)에서 연장되어 제2부재(2123b)의 외면과 맞대어지는 제4부재(2312), 제4부재(2312)에서 연장되어 연장편(2122)의 일면, 제1부재(2123a), 제2부재(2123b)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제5부재(2313)를 구비하여 'C'자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제1돌기(2123)에 고정부(231)가 결합할 시, 제1부재(2123a)와 제5부재(2313) 사이 및 제2부재(2123b)와 제3부재(2311), 제4부재(2312), 제5부재(2313)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돌기(2123)와 고정부(231)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부분(231)가 'C'형상인 것을 보였으나, 고정부(231)는 제1돌기(2123)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레일(220)은 내부공간(221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지주(21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지주(210)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221), 내부공간(221a)에 구비되어 외피(221)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222) 및 외피(22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223)를 구비할 수 있다.
외피(221)는 외장재(213)와 마찬가지로 목재 또는 합성목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사각기둥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파이프(222)는 외피(221)의 내부공간(221a)에 구비되어 레일(220)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결합체(223)는 외피(221)의 일단을 감싸는 형태로 외피(221)와 결합하는 본체(2231), 본체(2231)의 일면 외부에 구비되어 제1연결부(232)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232) 및 본체(2231)의 일면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공간(221a)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2233)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2231)의 일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피(221)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다.
제2연결부(2232)는 제1연결부(232)와 연결되어 레일(220)이 지주(210)와 결합한 연결부재(23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연결부(232)와 제2연결부(2232)는 나사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부(2233)는 외피(221)의 내부공간(221a)에 삽입되어 결합체(223)와 외피(221)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제3연결부(2233)가 상기의 내부공간(221a)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의 파이프(222)는 내부공간(221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울타리(200)는 빔(212), 연결부재(230), 결합체(223)로 이어지는 결합을 통해 지주(210)와 레일(220)의 결합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일(220)의 위치를 각각 측정하여 스크류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장에서 힌지부(233) 및 제1연결부(232)의 위치가 고정부(231)에 미리 정해져 현장에서 끼워 맞춤 방식으로 레일(220)을 지주(210)에 결합함으로써 외관을 훼손하는 일 없이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일(220)의 교체가 필요할 시에는 울타리(200) 전체를 해체하거나 교체할 필요없이 레일(220)을 연결부재(230)에서 분리만 하면 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효과적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10)의 울타리(200)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울타리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10)의 울타리(2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11)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212)과, 상기 빔(212)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213)를 구비하는 지주(210); 내부공간(221a)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21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지주(210)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221)와, 상기 내부공간(221a)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221)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222)와, 상기 외피(22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223)를 구비하는 레일(220); 및 상기 빔(212)과 결합하고 상기 결합체(223)와 연결되어 상기 레일(220)을 상기 지주(210)에 연결하는 연결부재(23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울타리(200)는 서로 이웃하는 지주(21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복수개의 레일(220)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레일(220) 사이에 다수개의 보조레일(224)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지면과 수직을 이룬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10)의 데크(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데크 로드 시스템의 데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도 8에 도시된 데크의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10)의 데크(100)는 데크판(110)의 측면에 고정구(180)가 삽입되는 삽입홈(120)이 형성되고, 양단부 부분에는 보강판(140)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데크판(110)은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20)은 데크판(110)의 양측면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일측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일측면에 삽입홈(120)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고정턱(150)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일측면에만 삽입홈(120)을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아무것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고정턱(150)은 데크판(110)의 일측면을 상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 깊이까지 경사지게 턱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부(130)는 보강판(140)의 체결을 위해 데크판(110)의 양단의 하부에 일정 길이에 하방으로 개방된 홈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130)의 단면 형상은 등변사다리꼴 형상으로 하여 보강판(140)의 삽입 및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강판(140)은 금속재로 제작되어 데크판(110)이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과 같은 변형 방지는 물론 데크(100)의 강도 보강할 수 있으며, 체결부(130)에 삽입되어 체결수단(160)에 의해 데크판(11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강판(140)은 판상의 본체부(141)와, 측면보강부(142) 및 지지부(14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보강부(142)는 본체부(141)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본체부(141)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그 형상은 외측면이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이고 내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직삼각형 형상인데, 직각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보강판(140)의 지지력을 높여 줄 수 있다. 또한, 지지부(143)는 본체부(141)의 하면에서 수직 하향으로 본체부(1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양 측면보강부(14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지지부분(143)는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고 지지력 강화를 위해 2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고정구(180)는 스크류와 같은 고정수단(170)에 의해 장선(20)에 고정 설치되는데, 장선(20)마다 설치할 수도 있고, 데크(100)의 단부가 위치하는 부분의 장선(20)에만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고정구(180)는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는 데크판(110)의 양측면을 고정함으로써 데크판(110)의 변형을 방지해 준다는 점이다.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양 데크(100)의 단부가 하나의 고정구(180)에 놓여져 설치되므로, 하나의 고정구(180)로 연속하여 설치된 양 데크(100)의 단부를 고정하여 데크(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구(180)는 금속재로 만들어져 장선(20)에 고정되는 판상의 수평부(181)와, 수평부(181)의 양단에서 수직 상방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182)와, 절곡부(183) 또는 걸림부(184)를 구비할 수 있다.
절곡부(183)는 1차 절곡되어 형성된 수직부(182)의 각 선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며, 2차 절곡된 선단을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거나 겹쳐지도록 다시 절곡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걸림부(184)는 판상의 수평부(181)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1차 절곡되어 수직부를 형성하고, 수직부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2차 절곡시킨 다음, 2차 절곡된 선단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시켜 형성할 수 있다.
고정구(180)를 데크(100)에 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장선(20)에 고정된 고정구(180)의 절곡부(183)를 데크판(110)의 삽입홈(120)에 삽입시킨 다음, 데크판(110)의 타측에 힘을 가해 누른다. 이에 따라 고정구(180)가 약간 벌어지면서 데크판(110)의 고정턱(150)이 고정구의 걸림부(184)에 걸리게 되고 데크(100)가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184)의 경사진 부분에서 데크(100)에 피스와 같은 체결수단을 더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데크(100)를 고정시킬 때 데크판(110)의 삽입홈(120)과 고정턱(150)을 고정구(180)의 절곡부(183)와 걸림부(184)에 맞춰서 끼워넣을 수도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데크(100)에 고정구(200)를 구비함으로써 데크(100)의 변형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크 로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데크 로드 시스템 20: 장선
100: 데크 200: 울타리
300: 기초부재

Claims (15)

  1. 직육면체 형상의 데크판과, 상기 데크판의 양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데크판 하부에 양단으로부터 일정 길이에 하방으로 개방되고 단면이 등변사다리꼴인 홈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데크판에 부착 고정되어 상기 데크판의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데크판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판을 구비하는 데크;
    상기 데크판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데크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구비되는 지주와,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레일을 상기 지주에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울타리; 및
    상기 데크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데크와 결합하여 상기 데크를 지중에 고정하는 기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는 빔 및 상기 빔과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는 외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레일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주와 이웃하는 또 다른 상기 지주 사이에 위치하는 외피, 상기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외피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파이프 및 상기 외피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빔은 몸체와, 상기 몸체를 중심으로 하여 사방으로 연장되는 연장편과,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제1돌기와, 상기 연장편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장재가 상기 빔과 결합하도록 하는 제2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지주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체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연결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회전되도록 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데크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장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재는 상기 장선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장선과 수직을 형성하도록 상기 데크의 너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장선을 지지하는 지지부분과,
    상기 지지부분의 하부에 구비되고 지중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분을 지중에 고정하는 고정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분은 상기 장선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장선과 수직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제1H형강과,
    상기 제1H형강의 상기 울타리 측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장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울타리의 하중을 받는 제2H형강과,
    일단이 상기 제1H형강의 일단과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2H형강의 한 쌍의 플랜지와 웨지에 의해 형성된 제1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H형강 및 상기 제2H형강과 결합하는 결합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H형강은 한 쌍의 플랜지와 웨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공간부와 대응되는 제2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공간부에는 상기 제2H형강의 강성을 높이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분은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장선과 결합하여 상기 데크의 길이방향 양단 하부를 가리는 제1가림판과,
    상기 보강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1가림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H형강의 길이방향 일면을 가리는 제2가림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분은 상기 제2H형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H형강을 지지하는 제1기둥과,
    상기 제1H형강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H형강과 수직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H형강을 받치는 제3H형강과,
    상기 제3H형강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3H형강을 지지하는 제2기둥과,
    상기 제1기둥 및 상기 제2기둥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고 지중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기둥과 상기 제2기둥을 지중에 고정하는 스크류파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연장편의 일단에서 상기 고정부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제1부재와 수직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힌지부와 맞대어지는 제3부재와, 상기 제3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부재의 외면과 맞대어지는 제4부재와, 상기 제4부재에서 연장되어 상기 연장편의 일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제5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외피의 일단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외피와 결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와,
    상기 본체의 일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3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판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본체부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외측면은 하향으로 경사진 형상이고 내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직삼각형 형상인 측면보강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서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하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양 측면보강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상기 보강판이 상기 체결부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부착 고정되었을 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측면보강부의 외측면이 상기 데크판의 상기 체결부와 접하게 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데크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지지받아 상기 데크의 지지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1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양 데크의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데크의 변형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장선에 고정되는 판상의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서 수직방향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각 선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직각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되며, 2차 절곡된 선단이 상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곡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상기 데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양 데크의 단부를 동시에 고정하여 상기 데크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0170043546A 2017-04-04 2017-04-04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771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46A KR101771926B1 (ko) 2017-04-04 2017-04-04 데크 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546A KR101771926B1 (ko) 2017-04-04 2017-04-04 데크 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1926B1 true KR101771926B1 (ko) 2017-08-28

Family

ID=5975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546A KR101771926B1 (ko) 2017-04-04 2017-04-04 데크 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92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472B1 (ko) * 2018-01-25 2018-09-12 (주)티엔팀버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KR101930844B1 (ko) * 2018-09-11 2018-12-19 아이앤지산업(주)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488715Y1 (ko) * 2018-02-07 2019-06-24 이승준 조립식 캠핑 마루
KR102055652B1 (ko) * 2019-03-28 2019-12-13 (주)울림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KR102078285B1 (ko) * 2019-07-18 2020-02-17 김정철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KR20210096922A (ko) * 2020-01-29 2021-08-06 정진호 난간 결합체
KR102382992B1 (ko)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더우드 경사면의 보행로 확장을 위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00905B1 (ko) 2022-02-16 2022-05-24 주식회사 더우드 데크의 변형 및 밀림을 방지하며 전방향 각도조절이 용이한 데크 로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70Y1 (ko) * 2011-11-30 2012-08-29 백흥주 조립성이 증진되고 자유로운 각도 형성이 가능한 조립형 펜스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557419B1 (ko) * 2015-03-16 2015-10-13 (주)이건환경 단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구비한 데크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데크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170Y1 (ko) * 2011-11-30 2012-08-29 백흥주 조립성이 증진되고 자유로운 각도 형성이 가능한 조립형 펜스
KR101437060B1 (ko) * 2014-02-06 2014-09-02 주식회사 임성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557419B1 (ko) * 2015-03-16 2015-10-13 (주)이건환경 단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부를 구비한 데크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한 데크 설치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472B1 (ko) * 2018-01-25 2018-09-12 (주)티엔팀버 스페이서와 데크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체
KR200488715Y1 (ko) * 2018-02-07 2019-06-24 이승준 조립식 캠핑 마루
KR101930844B1 (ko) * 2018-09-11 2018-12-19 아이앤지산업(주) 데크로드 난간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55652B1 (ko) * 2019-03-28 2019-12-13 (주)울림 목재와 연결철물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킨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
KR102078285B1 (ko) * 2019-07-18 2020-02-17 김정철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KR20210096922A (ko) * 2020-01-29 2021-08-06 정진호 난간 결합체
KR102362861B1 (ko) * 2020-01-29 2022-02-11 정진호 난간 결합체
KR102382992B1 (ko) 2021-06-21 2022-04-08 주식회사 더우드 경사면의 보행로 확장을 위해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킨 데크 로드 시스템
KR102400905B1 (ko) 2022-02-16 2022-05-24 주식회사 더우드 데크의 변형 및 밀림을 방지하며 전방향 각도조절이 용이한 데크 로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926B1 (ko)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767677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기둥구조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KR101295740B1 (ko) 콘크리트충전강관기둥의 상하 분리식 접합부구조
US8840341B2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wall
JP2010101094A (ja) 橋脚とコンクリート桁の剛結合構造
KR100993096B1 (ko) 터널 공사용 조립식 격자지보
US11313144B2 (en) Seismic reinforcement strucutre and seismic retrofitting method
KR100890836B1 (ko) 슬릿 사방댐
JP5905502B2 (ja) Rc造梁における開口部補強構造
KR20180093174A (ko) 간격결합체를 갖는 트러스 거더근 철물 및 이를 이용한 골 데크의 시공 방법
KR101352280B1 (ko) 목재데크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목재데크 체결구조
KR101663591B1 (ko) 상부 두부를 보강한 브라켓 플레이트 거더 보도교
KR101468101B1 (ko)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JP6122740B2 (ja) 耐震補強構造体
JP4696843B2 (ja) 合成梁構造
KR101691914B1 (ko) 트러스-케이블 복합구조의 거더
KR102314546B1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1579269B1 (ko) 탈부착형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보강구조체
KR101709209B1 (ko) 돌출형 케이블과 트러스구조로 변단면 구조를 보강하여 강성을 증대시킨 저형고 pc콘크리트빔 구조
JP5268470B2 (ja) 鉄筋かごの揚重方法
KR20150095049A (ko) 구조물의 강성 및 인성 개선을 위한 내진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보강방법
KR20170007194A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543651B1 (ko) 탄성 데크클립과 탄성 데크클립을 이용한 디자인형 울타리 일체형 데크로드
KR101304501B1 (ko) 강관파일 두부 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