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285B1 -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 Google Patents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285B1
KR102078285B1 KR1020190086749A KR20190086749A KR102078285B1 KR 102078285 B1 KR102078285 B1 KR 102078285B1 KR 1020190086749 A KR1020190086749 A KR 1020190086749A KR 20190086749 A KR20190086749 A KR 20190086749A KR 102078285 B1 KR102078285 B1 KR 10207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ck
joint
fit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김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철 filed Critical 김정철
Priority to KR1020190086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00Bridg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지면 또는 법면에 일정간격의 폭과 길이로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지지부 상부에 데크지지대가 연결되어 설치되어지고, 상기 데크지지대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이 설치되어지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높이 조정을 위하여 원통형 강봉의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가 조인트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조인트는 중앙부의 원판형 수평플레이트를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끼움부 및 상부끼움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의 하부끼움부는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단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의 상부끼움부는 상기 상부지지부의 하단에 끼움 삽입되며, 상기 데크지지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바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길이연결바가 설치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데크플레이트는 상기 데크지지대의 길이연결바 상부에 데크가 설치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난간은 난간지주에 길이방향으로 난간레일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난간지주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지지부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PREFABRICATED PEDESTRIAN EXCLUSIVE DECK}
이 건 발명은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간을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데크지지대가 지지부에 의하여 지면 또는 법면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원, 호수, 산 등과 같이 사람들의 원활한 보행을 요하는 산책로나 등산로에는 보행자의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하거나 자연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데크가 설치되고 있다.
데크(Deck)는 주변의 자연경관에 맞춰 자연친화적인 미려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보행자들에게 최적의 보행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시공된다.
최근 들어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여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추구하는 현상과 맞물리면서 목조를 주재료로 사용하는 데크의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13-0000056호(2013.01.02)의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은 현장에서 가설틀을 이용하여 불규칙한 지면에 설치할 기초 위치를 우선 선정하여 표시하고, 상하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공장에서 상기 가설틀에 근거하여 구조틀, 데크틀 및 난간완성틀을 제작하는 단계; 현장에서 상기 구조틀을 기초 위에 고정하고, 다음으로 기초 부분과 연결된 구조틀 지주로 높낮이를 조정하여 수평 또는 정해진 기울기로 조정한 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구조틀에 데크틀을 조립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공장조립된 난간완성틀을 조립한다.
이러한 조립식 데크는 구조틀, 데크틀 및 난간완성틀의 3부분으로 미리 제작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현장 적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공과정에서 지주의 높이나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관리 및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3-0000056호(2013.01.02)
이 건 발명은 난간을 갖는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데크지지대가 다양한 길이를 갖는 지지부에 의하여 지면 또는 법면에 안정되게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관리 및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지면 또는 법면에 일정간격의 폭과 길이로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지지부(10) 상부에 데크지지대(30)가 연결되어 설치되어지고, 상기 데크지지대(30)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0)가 설치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50)이 설치되어지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A)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는 높이 조정을 위하여 원통형 강봉의 하부지지부(110)와 상부지지부(120)가 조인트(130)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조인트(130)는 중앙부의 원판형 수평플레이트(131)를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는 상기 하부지지부(110)의 상단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130)의 상부끼움부(133)는 상기 상부지지부(120)의 하단에 끼움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부에는 상기 데크지지대(30)와 난간(5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ㅜ자형의 연결브라켓(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지지부끼움부(23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끼움부(230)가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단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상부면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끼움부(23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난간지주끼움부(240)가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난간지주끼움부(240)가 상기 난간(50)의 난간지주(51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지며, 상기 조인트(130)의 수평플레이트(131) 저면에는 하부끼움부(132) 외측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변위방지부(13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끼움부(132)와 변위방지부(134) 사이의 수평플레이트(131)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135)이 형성되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 상부와 상부지지부(120) 하부 및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에는 1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 상부 및 상부지지부(120)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P) 또는 볼트(B)로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는 지중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류(111)가 형성되어지고, 하단부에는 뾰족하게 뾰족부(112)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는 암석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평판형태의 고정플레이트(113)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지고, 상기 평판형태의 고정플레이트(113)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앵커볼트 고정홀(114)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크지지대(30)의 폭연결바(310) 및 길이연결바(320)는 사각파이프, 찬낼 또는 앵글로 사용되어지며, 상기 데크플레이트(40)의 데크(410)는 목재로 사용되어 상기 데크지지대(30)의 상부에 볼트나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데크지지대(30)를 수평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는 상기 데크지지대(30)를 수평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데크지지대(3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바(310)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길이연결바(320)가 설치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데크플레이트(40)는 상기 데크지지대(30)의 길이연결바(320) 상부에 데크(410)가 설치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난간(50)은 난간지주(510)에 길이방향으로 난간레일(520)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난간지주(51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부에는 연결브라켓(20)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연결브라켓(20)은 ㅜ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 내측에는 상기 데크지지대(30)의 폭연결바(310)가 끼움결합되는 폭연결바끼움홈(210)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20)이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데크지지대(30)의 길이연결바(320)가 끼움결합되는 길이연결바끼움홈(220)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ㅜ자형의 연결브라켓(20)의 폭연결바끼움홈(210) 및 길이연결바끼움홈(220)의 측벽부와 상기 데크지지대(30)의 폭연결바(310) 및 길이연결바(320) 단부에는 1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상기 데크지지대(30)의 폭연결바(310) 및 길이연결바(320) 단부가 상기 자형의 연결브라켓(20)의 폭연결바끼움홈(210) 및 길이연결바끼움홈(2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P) 또는 볼트(B)로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다양한 길이를 갖는 지지부에 의하여 데크지지대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간을 갖는 데크플레이트가 바닥이 평평한 형태를 갖는 지면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바닥이 불균일하거나 경사진 형태를 갖는 법면에도 안정된 상태로 시공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관리 및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품들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됨으로써, 현장여건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가 가능하며,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건 발명은 용접방식이 아닌 조립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금속 도금층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건 발명은 상부지지부가 지면에 매설된 하부지지부에 조인트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잭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데크지지대를 들어올릴 수 있어 특정 부위의 수리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가 시공된 상태를 길이방향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가 시공된 상태를 폭방향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연결브라켓 및 연결브라켓에 결합되는 난간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9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도9의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종단면도 및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 건 발명에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가 시공된 상태를 길이방향에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가 시공된 상태를 폭방향에서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A)는 바닥이 평평한 형태를 갖는 지면이나, 바닥이 불균일하며 경사진 형태를 갖는 법면에 안정된 상태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관리 및 유지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고, 시공 과정에서 용접 이음이 필요치 않음에 따라 금속 도금층의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잭과 같은 도구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여 수리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또는 법면에 일정간격의 폭과 길이로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지지부(10) 상부에 데크지지대(30)가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데크지지대(30)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0)가 설치되는 가운데 상기 데크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50)이 설치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부(10)는 높이 조정을 위하여 원통형 강봉의 하부지지부(110)와 상부지지부(120)가 조인트(130)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110)는 상부지지부(120)의 하단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 것으로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류(111)가 형성되어지고, 하단부에는 뾰족하게 뾰족부(112)가 구비되어 지중에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110)는 중공형태를 갖는 것으로, 하단부는 하부지지부(110)에 조인트(130)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단부는 후술하는 연결브라켓(20)에 의하여 데크지지대(30)가 안정된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하부지지부(110)는 단순히 끼워맞춤형태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하단에 각각 별도의 체결공(H)을 형성하여 피스(P)나 볼트(B)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110)는 지면 또는 법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데크지지대(30)를 수평으로 조정 또는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도4 및 도5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 또는 법면의 윗면과 바닥면 사이의 기울기 또는 깊이가 상이할 경우, 기울기와 깊이에 맞는 길이를 갖는 하부지지부(10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트(130)는 상부지지부(120)의 하단이 하부지지부(110)의 상단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가운데 상부로부터 하부로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단순히 끼워맞춤형태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상부지지부(120)의 상부로 구비된 테크지지대(30) 및 데크플레이트(40)를 미도시한 인양수단인 잭 등을 이용하여 인양되도록 한 상태에서 부분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중앙부의 원판형 수평플레이트(131)를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는 상기 하부지지부(110)의 상단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130)의 상부끼움부(133)는 상기 상부지지부(120)의 하단에 끼움의 형태로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 상부와 상부지지부(120) 하부 및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에는 1개 이상의 체결공(H)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 상부 및 상부지지부(120)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P) 또는 볼트(B)로 체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지지부(120)는 데크지지대(30)를 수평으로 조정 또는 유지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서로 차이가 있는 다양한 길이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다양한 길이에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길이를 갖는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은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부로 데크지지대(30)와 난간(5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ㅜ자형으로 구비된 것으로, ㅜ자형의 중앙 내측에는 후술하는 데크지지대(30)의 폭연결바(310)가 끼움결합되는 폭연결바끼움홈(210)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브라켓(2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데크지지대(30)의 길이연결바(320)가 끼움결합되는 길이연결바끼움홈(220)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폭연결바끼움홈(210), 길이연결바끼움홈(220)의 측벽부 및 후술하는 폭연결바(310) 및 길이연결바(320) 단부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폭연결바(310) 및 길이연결바(320)의 단부가 상기 연결브라켓(20)의 폭연결바끼움홈(210) 및 길이연결바끼움홈(220)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P) 또는 볼트(B)로 체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지지부끼움부(230)가 돌출형성되어 지지부끼움부(230)가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데크지지대(30)는 지지부(10)의 상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바(310)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길이연결바(320)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폭연결바(310) 및 길이연결바(320)는 사각파이프, 찬낼 또는 앵글로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연결바(310)와 길이연결바(320)로 형성되는 사각형 프레임 내부에 길이 방향 즉, 상기 길이연결바(320)의 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바(330)가 보강 설치되어 데크(410)의 중간부분이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바(330) 역시 사각파이프, 찬낼 또는 앵글로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크플레이트(40)는 데크지지대(30)의 폭연결바(310), 길이연결바(320)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목재로 이루어진 판재 형태를 갖는 데크(410)가 상기 데크지지대(30)의 상부에 얹혀저 미도시한 볼트나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난간(50)은 지지부(10)의 상부로 위치되는 연결브라켓(20)에 하부가 결합된 상태로 지지되는 가운데 일측의 난간(50)과 타측의 난간(50) 사이에 길이방향을 갖는 다수개의 난간레일(520)이 구비되어 보행자가 외부로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난간지주(510)는 상부지지부(120)에 연결된 형태로 설치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부 및 상기 난간지주(510)의 하부와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지지부끼움부(230) 및 후술하는 난간지주끼움부(240)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지지부끼움부(230) 및 난간지주끼움부(240)가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부 및 상기 난간지주(510)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P) 또는 볼트(B)로 체결되어지도록 구비되어 있다.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는 상부지지부(120)의 하부로 조인트(13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는 하부지지부(110)가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류(111)가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하단부에 뾰족하게 뾰족부(112)가 형성되지도록 하여 지중에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는 하단부에 평판형태의 고정플레이트(113)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지고, 상기 평판형태의 고정플레이트(113)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앵커볼트 고정홀(114)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여 암석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는 하부지지부(110)와 상부지지부(120)를 결합시키는 조인트(130)가 원판형 수평플레이트(131)를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원판형 수평플레이트(131)를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 중 어느 하나는 중심에서 벗어나 편심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행자 전용데크의 시공과정에서 시공을 위한 설계 위치에 비하여 어느 정도의 오차가 발생되었을 경우, 즉, 상부지지부(120)의 중심과 하부지지부(11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하부지지부(110)를 재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편심된 길이 만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도8은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연결브라켓 및 연결브라켓에 결합되는 난간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 데크지지대(30)의 폭연결바(310)와 길이 연결바(320)가 각각 연결브라켓(20)의 폭연결바끼움홈(210), 길이연결바끼움홈(220)에 끼워져 피스(P)나 볼트(B)에 의하여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난간(50)의 난간 지주(510) 하단이 연결브라켓(20)의 내부로 끼워져 피스(P)나 볼트(B)에 의하여 단순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브라켓(20)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끼움부(23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난간지주끼움부(240)가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난간지주끼움부(240)가 상기 난간지주(51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저면에 하향으로 형성된 지지부끼움부(230)는 상기 연결브라켓(20)의 내부에 상향으로 형성된 난가지주끼움부(240)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간지주(510)는 원통형 또는 사각통형으로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사각통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중앙부에 사각끼움부(250)가 형성되어지도록하며, 원통형인 경우에는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중앙부에 원통끼움부(250')가 형성되어지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사각끼움부(250), 원통끼움부(250')에 끼워지는 각각의 난간지주(510)의 하단에는 동일한 형태를 갖는 사각끼움홈 또는 원통끼움홈이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는 이 건 발명에 따른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의 요부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에 있어 종단면도 및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서 하부지지부(110)와 상부지지부(120)가 연결되도록 하는 조인트(130)가 단순한 원판형 수평플레이트(131)의 형태를 갖도록 하여 지면 또는 법면의 표면에 밑면이 안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130)의 수평플레이트(131) 저면에는 하부끼움부(132) 외측으로 하부가 개방된 변위방지부(13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변위방지부(134)의 지름(D)은 상기 하부끼움부(132)의 지름(d)보다 크고, 상기 변위방지부(134)의 길이(L)는 상기 하부끼움부(132)의 길이(l)보다 작게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끼움부(132)와 변위방지부(134) 사이의 수평플레이트(131)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135)이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부지지부(110)가 수분 또는 습기가 많은 진흙이나 뻘 등에 구비되도록 할 경우, 변위방지부(134)의 내부로 진흙이나 뻘 등이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공간에 진흙이나 뻘이 채워지도록 하여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는 상부끼움부(133)보다 길게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하부지지부(110)의 상단에 깊숙히 삽입되어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이 건 발명에서는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가 단순히 수직인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는 구조적인 보강을 위하여 브레이싱(140)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건 발명에서는 데크지지대(30)의 상부로 구비되는 데크플레이트(40)가 단순히 평평한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도5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플레이트(40)의 상부에는 포장재(420)가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포장재(420)에 의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재(420)는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천시 빗물이 중앙에서 양측으로 흘러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지지부 20:연결브라켓
30:데크지지대 40:데크플레이트
50:난간 110:하부지지부
120:상부지지부 130:조인트
131:수평플레이트 132:하부끼움부
133:상부끼움부 134:변위방지부
210:폭연결바끼움홈 220:길이연결바끼움홈
310:폭연결바 320:길이연결바
410:데크 510:난간지주 520:난간레일

Claims (9)

  1. 지면 또는 법면에 일정간격의 폭과 길이로 설치되어지는 다수의 지지부(10) 상부에 데크지지대(30)가 연결되어 설치되어지고, 상기 데크지지대(30)의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0)가 설치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난간(50)이 설치되어지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A)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는 높이 조정을 위하여 원통형 강봉의 하부지지부(110)와 상부지지부(120)가 조인트(130)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조인트(130)는 중앙부의 원판형 수평플레이트(131)를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는 상기 하부지지부(110)의 상단에 끼움 삽입되고, 상기 조인트(130)의 상부끼움부(133)는 상기 상부지지부(120)의 하단에 끼움 삽입되며,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부에는 상기 데크지지대(30)와 난간(5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ㅜ자형의 연결브라켓(20)이 구비되어지되,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지지부끼움부(230)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끼움부(230)가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 상단에 끼움 결합되어지고, 상기 연결브라켓(20)의 상부면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끼움부(23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난간지주끼움부(240)가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난간지주끼움부(240)가 상기 난간(50)의 난간지주(510)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어지며, 상기 조인트(130)의 수평플레이트(131) 저면에는 하부끼움부(132) 외측으로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변위방지부(13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하부끼움부(132)와 변위방지부(134) 사이의 수평플레이트(131)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공(135)이 형성되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 상부와 상부지지부(120) 하부 및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에는 1개 이상의 체결공(H)이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130)의 하부끼움부(132) 및 상부끼움부(133)가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 상부 및 상부지지부(120)의 하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스(P) 또는 볼트(B)로 체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는 지중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나선형의 스크류(111)가 형성되어지고, 하단부에는 뾰족하게 뾰족부(112)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는 암석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단부에 평판형태의 고정플레이트(113)가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지고, 상기 평판형태의 고정플레이트(113)의 테두리에는 다수의 앵커볼트 고정홀(114)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지지대(3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바(310)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길이연결바(320)가 설치되어 형성되어지고, 상기 데크플레이트(40)는 상기 데크지지대(30)의 길이연결바(320) 상부에 데크(410)가 설치되어 형성되어지며, 상기 난간(50)은 난간지주(510)에 길이방향으로 난간레일(520)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난간지주(510)는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에 연결되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하부지지부(110)는 지면의 상태에 따라 상기 데크지지대(30)를 수평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의 상부지지부(120)는 상기 데크지지대(30)를 수평으로 조정하기 위하여 그 길이가 서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8. 삭제
  9. 삭제
KR1020190086749A 2019-07-18 2019-07-18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KR10207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49A KR102078285B1 (ko) 2019-07-18 2019-07-18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49A KR102078285B1 (ko) 2019-07-18 2019-07-18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285B1 true KR102078285B1 (ko) 2020-02-17

Family

ID=6967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49A KR102078285B1 (ko) 2019-07-18 2019-07-18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226B1 (ko) * 2022-03-29 2022-11-28 김정철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
KR102601740B1 (ko) * 2023-07-26 2023-11-13 (주)새길산업 데크로드의 지지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056A (ko) 2011-06-22 2013-01-02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1696862B1 (ko)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복합구조재로 제작되는 건축물 구조체
KR101771926B1 (ko) * 2017-04-04 2017-08-28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793243B1 (ko) * 2017-05-26 2017-11-03 주식회사 임성 블록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1895269B1 (ko) *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056A (ko) 2011-06-22 2013-01-02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KR101567412B1 (ko) * 2015-04-15 2015-11-13 주식회사 로드파크 데크로드의 지지대 결속용 지주 결속구
KR101696862B1 (ko) * 2016-06-21 2017-01-17 김승한 복합구조재로 제작되는 건축물 구조체
KR101771926B1 (ko) * 2017-04-04 2017-08-28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데크 로드 시스템
KR101793243B1 (ko) * 2017-05-26 2017-11-03 주식회사 임성 블록 프레임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1895269B1 (ko) * 2018-02-09 2018-09-05 지비케이건설 유한회사 친환경 데크로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1226B1 (ko) * 2022-03-29 2022-11-28 김정철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
KR102601740B1 (ko) * 2023-07-26 2023-11-13 (주)새길산업 데크로드의 지지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317B2 (en) Systems and support assemblies for restraining elevated deck components
US11268276B2 (en) Modular deck apparatus
US10704222B2 (en) Reinforcement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reinforcing the foundation of a structure
US20090188189A1 (en) Stabilizing Systems For Deck Pedestals
US20010046415A1 (en) Concrete foundation pierhead and method of lifting a foundation using a jack assembly
US6205722B1 (en) Molded plastic stairway and rail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KR102078285B1 (ko)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US11661719B2 (en) Building elements for making retaining walls, and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70266659A1 (en) Perimeter foundation panel, and method of use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US3927518A (en) Site assembled multi-story stair
KR100886343B1 (ko)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KR102209904B1 (ko) 앵커소켓 높이조절이 가능한 받침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52076B1 (ko) 천정 구조물용 트러스
KR102050001B1 (ko) 펜스 지주대 고정용 지중구조체
KR102471226B1 (ko) 모듈형 보행로 및 그 시공방법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KR200300124Y1 (ko) 신설 도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성토부 규준틀
KR102229674B1 (ko) 데크로드 시공공법
KR200348534Y1 (ko) 날개형 보도 블록
KR102599522B1 (ko) 횡대연결구를 이용한 자유각 울타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360774Y1 (ko) 트러스트 일체형 거푸집 지지장치.
KR102638590B1 (ko) 고강도 콘크리트 조립식 계단 구조물
KR101194062B1 (ko) 보행로 설치용 발판 지지대
KR101202608B1 (ko) 경사지용 인도 확장장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