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343B1 -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343B1
KR100886343B1 KR1020080078438A KR20080078438A KR100886343B1 KR 100886343 B1 KR100886343 B1 KR 100886343B1 KR 1020080078438 A KR1020080078438 A KR 1020080078438A KR 20080078438 A KR20080078438 A KR 20080078438A KR 100886343 B1 KR100886343 B1 KR 10088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fixed
hole
support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아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아스트
Priority to KR1020080078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3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6Centre-pole supported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과는 오직 하나의 지지기둥으로 지지되어 형성되는 천막과 같은 구조물에서 그 천막의 형상에 다양한 변화를 주도록 하고 지면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며,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지면에 형성되는 지지기반에 매몰되어 그 상단은 지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인접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기둥 및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막부재로 구성되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에는 법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이 적어도 같은 높이에서 3개 이상씩 쌍을 이루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경보다 소폭 큰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측단에 인접하여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구비하며, 저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과 동일한 제2 삽입홀 및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되어 관통된 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에 상응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브라켓 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막부재와 함께 하부 및 상부브라켓을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피팅링과;
일측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제1 또는 제2 고정돌출부에 결합 고정되는 턴버클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막구조물, 승강

Description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The ascent and descent where the assembly dissolution is possible just the infra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막구조물의 주 형상을 좌우하는 막의 펼쳐진 형상을 용이하게 변화를 줄 수 있도록 차별화하고, 지반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막구조물은 흔히 볼 수 있는 천막의 형태에서 발전하여 공원이나 전시회 부스 등에서도 여러 가지 다양한 디자인으로 미적인 효과와 햇빛이나 비를 차단하는 기능적인 구조물로 사용되고 증가하고 있다.
그중 가장 간단한 형태로는 지면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지지기둥에서 우산과 같이 다각 또는 원뿔의 형태를 이루는 막구조물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유사한 형태로 원뿔의 끝단이 일반적인 형태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바깥쪽 부분이 자연스럽게 쳐지는 형태를 가진 것과 또는 뒤집힌 형태 즉 깔대기의 형태를 가진 것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진 것들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기본적인 골격은 동일하고 막의 형태만 다를 뿐이지만 임의로 그 형상을 바꿀 수 있는 막구조물의 개발은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그 구조적인 특성상 바람 등의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을 지지하는 것은 수직기둥에만 의존하는 형태이므로 보다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막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변화를 줄 수 있는 막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지면과의 고정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막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형성되는 지지기반에 매몰되어 그 상단은 지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지기둥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인접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기둥 및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막부재로 구성되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에는 법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이 적어도 같은 높이에서 3개 이상씩 쌍을 이루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경보다 소폭 큰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측단에 인접하여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구비하며, 저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브라켓과; 상기 하부브라켓과 동일한 제2 삽입홀 및 제2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되어 관통된 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에 상응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브라켓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막부재와 함께 하부 및 상부브라켓을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피팅링과; 일측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제1 또는 제2 고정돌출부에 결합 고정되는 턴버클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3개 이상씩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브라켓은 일정 높이마다 다수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의 제1 및 제2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브라켓을 삽입 관통하여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의 각각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미끄럼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미끄럼수단은 승하강에 따라 지지기둥의 외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수 개의 고무바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면에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봉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결합하는 원판형태의 상판과; 상기 상판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용접장착되는 원통형의 수직지지부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부에 용접되되 그 중앙에는 관통된 몰탈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판과;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경사진 형상으로 수평의 판이 장착되는 수 개의 보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설치된 막부재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을 용이하게 그 높이를 달리하고 또는 비틀어져 있는 형상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막구조물을 용이하게 설치 및 변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면과의 고정부를 교체가 용이하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단면도 로서, 지면에 형성되는 지지기반(100)에 매몰되어 그 상단은 지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브라켓(1)과, 상기 지지브라켓(1)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입설되는 지지기둥(2)과, 상기 지지기둥(2)의 상단에 인접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21)과, 상기 지지기둥(2) 및 지지프레임(21)에 의하여 고정되는 막부재(3)로 구성되는 막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2)에는 법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22)이 적어도 같은 높이에서 3개 이상씩 쌍을 이루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며;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는 상기 지지기둥(2)의 외경보다 소폭 큰 제1 삽입홀(41)이 형성되고, 외측단에 인접하여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제1 관통홀(42)을 구비하며, 저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형성되는 제1 고정돌출부(43)가 형성되는 하부브라켓(4)과;
상기 하부브라켓(4)과 동일한 제2 삽입홀(51) 및 제2 관통홀(52)을 구비하고, 상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되어 관통된 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53)가 형성되는 상부브라켓(5)과;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42, 52)에 상응하는 제3 관통홀(61)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브라켓(5)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막부재(3)와 함께 하부 및 상부브라켓(4, 5)을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피팅링(6)과;
일측단은 상기 브라켓(2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제1 또는 제2 고정돌출부(43, 53)에 결합 고정되는 턴버클(7)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의 주목적은 상기 막부재(3)의 중앙에 장착되어 상기 삽입기둥(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상기 삽입기둥(2)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2)에 고정되도록 함으로 이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기둥(2)의 상단에는 빗물차단 캡(23)을 장착하여 일련의 승강을 위한 구조가 있는 곳을 통하여 빗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3개 이상씩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브라켓(22)은 일정 높이마다 다수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5, 4)에서 제1 및 제2 삽입홀(41, 51)의 내주면에는 상기 브라켓(22)을 삽입 관통하여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 삽입홈(44, 54)이 형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즉, 다수의 브라켓(22)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승강함에 따라 상기 브라켁(22)이 승강을 막는 장애물이 되어 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브라켓 삽입홈(44, 54)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5, 4)의 제1 및 제2 삽입홀(41, 51)에는 내경이 상기 지지기둥(2)의 외경에 상응하여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되는 미끄럼수단(8)을 추가로 구비하도록 하여 승하강시켜 일정 위치에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보다 원활하게 승강이 가능하도록 한 실시 예를 추가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상기 미끄럼 수단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건 베어링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고안에서 주로 상면이 뾰족한 원뿔 또는 다각뿔에서 뒤집힌 형상으로 고정하는 브라켓(22)의 위치를 바꾸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5, 4)의 제1 및 제2 삽입홀(41, 51)의 외측으로는 빗물 배수홈(45, 55)을 다수 형성하여 하향된 형상으로 있을 경우 빗물이 용이하게 배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다단으로 브라켓(22)이 형성될 경우 그 위치를 약간 조절함으로 상기 도면과 같이 상기 막부재(3)의 외측은 하부로 쳐진 특이한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기둥(2)에 구비되는 빗물 차단캡(23)은 상기 브라켓(22)에 고정설치되는 턴버클(7)의 상부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빗물 차단캡(23)은 지지기둥(2)에 고정식으로 형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당업자가 착탈식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턴버클(7)을 고정시킬 때 정상 위치보다 회전된 위치에 고정시키면 원하는 정도로 꼬인 형태로 막부재(3)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활용 예에서 보듯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로 용이하게 전환이 가능하여 하나의 구조물로 상황에 따라 디자인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c는 본 발명의 제4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막구조물만 독립적으로 설치된 형태뿐만 아니라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막구조물이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상향 방향의 뿔 형상과 하향의 뿔 형상이 연속적으로 교차하는 형상을 주어 색다른 심미감을 주도록 하는 연출도 가능하다고 하겠다.
또한, 하향 설치된 경우 빗물이 상기 지지기둥(2)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도록 거터(24, gutter)를 별도로 장착하여 상기 거터(24)에 모여서 별도의 관을 따라 지면으로 보내도록 하는 실시 예의 안출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거터(24)의 경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확대사시도로서, 상기 미끄럼수단(8)은 승하강에 따라 지지기둥(2)의 외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다수개의 고무바퀴(81)로 이루어지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예는 보다 용이하게 승하강되도록 한 실시예이면서 수직으로의 승 하강이 반복되다보면 상기 지지기둥(2)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지게 되는 미관상의 우려를 줄이기 위하여 제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무바퀴(81)가 승강하는 경로에는 상기 고무바퀴(81)의 양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25)을 형성하여 상하 이동시 좌우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단면도로서, 상기 지지브라켓(1)은 상면에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봉(11)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2)과 결합하는 원판형태의 상판(12)과;
상기 상판(1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상기 상판(12)의 하부에 용접장착되는 원통형의 수직지지부(13)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13)의 하부에 용접되되 그 중앙에는 관통된 몰탈 관통홀(14)이 형성되는 하판(15)과;
상기 수직지지부(13)의 하단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경사진 형상으로 수평의 판이 장착되는 수 개의 보강편(16)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때, 상기 상판(12)과 하판(15)은 필요에 따라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이 하나의 지지기둥(2) 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동시에 잦은 승강작업에 따른 형상의 변화를 줄 경우 작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등에 보다 취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보통 지면에 거푸집을 형성하고 시멘트 몰탈을 양생시킴으로 이루어지는 지지기반(100)에 함께 하부가 매몰되어 고정되는 지지브라켓(1)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실시 예를 제시한 것이다.
먼저 두 개의 원판 형을 가진 상판과 하판(12, 15)의 사이에 외경이 보다 작은 원통형의 수직지지부(13)를 용접하였을 때 수직방향의 힘에 의한 수직유동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하는 구조이다.
또한 이때 상기 하판(15)의 형성되는 몰탈 관통홀(14)로 몰탈이 충진되어 수평방향의 유동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보강편(16)은 회전에 따른 저항력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 보강편(16)이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경사진 형상으로 수평의 판이 장착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것은 수직 및 수평 그리고 회전에 대한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구조 등은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4 활용 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확대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브라켓
11 : 지지봉 12 : 상판
13 : 수직지지부 14 : 몰탈 관통홀
15 : 하판 16 : 보강편
2 : 지지기둥
21 : 지지프레임 22 : 브라켓
23 : 빗물 차단캡 24 : 거터
25 : 가이드레일
3 : 막부재
4 : 하부브라켓
41 : 제1 삽입홀 42 : 제1 관통홀
43 : 제1 고정돌출부 44 : 브라켓 삽입홈
45 : 빗물 배수홈
5 : 상부브라켓
51 : 제2 삽입홀 52 : 제2 관통홀
53 : 제2 고정돌출부 54 : 브라켓 삽입홈
55 : 빗물 배수홈
6 : 피팅링
61 : 제3 관통홀
7 : 턴버클
8 : 미끄럼수단
81 : 고무바퀴
100 : 지지기반

Claims (5)

  1. 지면에 형성되는 지지기반에 매몰되어 그 상단은 지면으로 돌출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입설되며, 법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브라켓이 적어도 같은 높이에서 3개 이상씩 쌍을 이루며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에 인접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기둥 및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고정되는 막부재;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경보다 소폭 큰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측단에 인접하여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제1 관통홀을 구비하며, 저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형성되는 제1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하부브라켓;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앙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경보다 소폭 큰 제2 삽입홀이 형성되고, 외측단에 인접하여 방사형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는 제2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면에는 적어도 3개 소 이상 돌출되어 관통된 홀이 형성되는 제2 고정돌출부가 형성되는 상부브라켓;
    상기 제1 및 제2 관통홀에 상응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브라켓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막부재와 함께 하부 및 상부브라켓을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피팅링; 및
    일측단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제1 또는 제2 고정돌출부에 결합 고정되는 턴버클;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개 이상씩 쌍을 이루어 형성되는 브라켓은 일정 높이마다 다수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브라켓에서 제1 및 제2 삽입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브라켓을 삽입 관통하여 승강하도록 형성되는 브라켓 삽입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홀 및 제2 삽입홀의 각각의 내주면과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미끄럼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수단은 승하강에 따라 지지기둥의 외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는 수 개의 고무바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면에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지지봉이 다수 형성되어 상기 지지기둥과 결합하는 원판형태의 상판;
    상기 상판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상기 상판의 하부에 용접장착되는 원통형의 수직지지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부에 용접되되 그 중앙에는 관통된 몰탈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판; 및
    상기 수직지지부의 하단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경사진 형상으로 수평의 판이 장착되는 수 개의 보강편;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KR1020080078438A 2008-08-11 2008-08-11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KR10088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438A KR100886343B1 (ko) 2008-08-11 2008-08-11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438A KR100886343B1 (ko) 2008-08-11 2008-08-11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343B1 true KR100886343B1 (ko) 2009-03-03

Family

ID=4069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438A KR100886343B1 (ko) 2008-08-11 2008-08-11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3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293B1 (ko) * 2010-01-11 2012-07-05 이상헌 다목적 기둥 기초
KR101217333B1 (ko) * 2010-01-08 2012-12-31 박성회 연결각도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조인트
KR102042193B1 (ko) * 2019-07-25 2019-12-02 (주)드림레저 개량형 그늘막 장치
CN114046056A (zh) * 2021-11-15 2022-02-15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水泥遮挡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644A (ja) * 2000-06-22 2002-01-09 Oriental Land Co Ltd 大型パラソル
KR20040043019A (ko) * 2002-11-15 2004-05-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기압 배출수단을 구비한 막지붕구조
KR200390342Y1 (ko) 2005-04-26 2005-07-20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원추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4644A (ja) * 2000-06-22 2002-01-09 Oriental Land Co Ltd 大型パラソル
KR20040043019A (ko) * 2002-11-15 2004-05-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공기압 배출수단을 구비한 막지붕구조
KR200390342Y1 (ko) 2005-04-26 2005-07-20 (주)에스아이테크놀로지 원추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333B1 (ko) * 2010-01-08 2012-12-31 박성회 연결각도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조인트
KR101163293B1 (ko) * 2010-01-11 2012-07-05 이상헌 다목적 기둥 기초
KR102042193B1 (ko) * 2019-07-25 2019-12-02 (주)드림레저 개량형 그늘막 장치
CN114046056A (zh) * 2021-11-15 2022-02-15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水泥遮挡设备
CN114046056B (zh) * 2021-11-15 2023-06-23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水泥遮挡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62683B (zh) 一种装配式房屋及其施工方法
KR100886343B1 (ko)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KR101754932B1 (ko) 주춧돌 위의 목재기둥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와 그에 따른 정자 및 퍼걸러
KR102078285B1 (ko) 조립식 보행자 전용데크
KR101203083B1 (ko) 조립식 펜스
KR102023036B1 (ko) 고강도 강판 속주형 목재 펜스용 지주
KR101179252B1 (ko) 상하 조절이 용이한 지주 커버 장치
KR101939825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KR200418034Y1 (ko) 방음벽 지주받침대
KR20170025768A (ko) 수직변이를 억제한 모노레일 지주
KR100765230B1 (ko) 천막구조물의 승강식 천막 장력조절구
KR102119014B1 (ko) 조립식 원형지붕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하우스
KR200390342Y1 (ko) 원추형 막구조를 갖는 야외용 조경물
CN107700768B (zh) 一种市政园林建筑内装饰楼梯的加固结构
KR200471519Y1 (ko) 텐트용 폴대 지면 고정구
KR100962931B1 (ko) 지주 설치용 기초 구조물
CN219100862U (zh) 一种圆形廊架
CN212583042U (zh) 一种景亭支柱安装结构
KR200390378Y1 (ko) 펜스
CN219196927U (zh) 一种栏杆及具有该栏杆的桥体、建筑
KR101729175B1 (ko) 강성 구조의 목재 지주를 갖는 목재 펜스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2596724B1 (ko)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KR101610674B1 (ko) 조립식 파라솔의 방사형 살
KR102229674B1 (ko) 데크로드 시공공법
KR200466045Y1 (ko) 외기둥 고정 방갈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