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724B1 -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 Google Patents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724B1
KR102596724B1 KR1020210151016A KR20210151016A KR102596724B1 KR 102596724 B1 KR102596724 B1 KR 102596724B1 KR 1020210151016 A KR1020210151016 A KR 1020210151016A KR 20210151016 A KR20210151016 A KR 20210151016A KR 102596724 B1 KR102596724 B1 KR 102596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ing
fixed
strut
suppor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5451A (ko
Inventor
양병준
Original Assignee
양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준 filed Critical 양병준
Priority to KR1020210151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72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 승하강장치는, 야외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에 고정지주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외부에는 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 되는 승하강지주를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지지수단은 고정지주와 다단승하강지주의 상단과 하단을 이중으로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는 인접하는 외측의 승하강지주의 상승을 제어하는 상승제어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지주와 다단의 승하강지주를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지주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하측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승제어수단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각 부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한 제조공저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조립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수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고장 및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내측(사이사이)에는 가이드지지링을 내외측 이중으로 설치하여 고정지주에서 인접하는 다단의 승하강지주들이 승/하강할 때에 마찰력을 줄이면서 흔들림(요동) 없이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Description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A Buoyancy Function Apparatus of Facilities}
본 발명은 주로 야외에 설치되는 부양건축물이 강우량으로 지대보다 높아지는 수위의 변동에 따라 부양건축물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 승하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야외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에 고정지주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외부에는 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 되는 승하강지주를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고정지주와 다단의 승하강지주를 가이드지지하는 가이드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지주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는 인접하는 외측의 승하강지주의 상승을 제어하는 상승제어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주로 홍수 또는 태풍 등으로 수위가 둔치(고수 부지)의 높이보다 월등하게 상승하게 되는 저지대(강변의 둔치; 고수 부지)에 설치되는 건축물(파출소, 편의점, 화장실 등)들은 홍수 등으로 인하여 강의 수위가 올라가면 건물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지붕까지 물에 잠기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강변의 둔치(고수 부지)에 설치된 건물이 지붕까지 물에 잠기게 되면 각종 이물질들이 건물의 내부에 유입되고, 따라서 물이 빠진 후에 건물의 내부를 청소하는데 많은 어려움(시간과 노력)이 있으며, 특히 설치된 건축물이 화장실일 경우에는 분뇨가 외부로 누출되어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현상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는 지반에 고정되어 있는 건축물을 수위의 변동(높낮이)에 따라 건축물이 부력에 의해 부상(浮上)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이 수위에 따라 부상하도록 하는 것으로는 국내의 특허등록 제10-783119호(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09-85355호(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및 특허등록 제10-1139707호(조형물 침수방지장치) 및 등록특허 제10-1248063호(야외건축물 부력승하강장치)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등록 제10-783119호(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와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 10-2009-85355호(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는, 시설물이 상측에 설치되는 부양본체의 외측에는 다수의 가이드포스트를 고정 설치하고, 부양본체의 외면에 장착되는 이송장치를 가이드포스트에 결합하여, 부양본체가 부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이송장치가 가이드포스트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상하 이동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부양본체의 외측에 설치되는 각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를 조정할 수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를 짧게 유지시키게 되면 시설물을 포함하는 부양본체를 높게 부양시킬 수 없게 되므로 시설물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되고, 반면에 시설물을 포함하는 부양본체를 높게 부양시키기 위하여 각 가이드포스트의 길이를 길게 유지시키게 되면 시설물의 미관을 해치고 주변 경관도 해치게 된다.
또, 특허등록 제10-1139707호(조형물 침수방지장치)는, 펌핑관이 구비된 다수의 지주관을 지중에 매설하고, 각 지주관의 내부에는 가이드롤러에 의해 가이드 지지 되는 지지로드를 삽입하여 설치하되, 각 지지로드의 상단을 조형물의 하단에 설치된 부력체의 밑면에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지주관이 지중에 배설되므로 물과 함께 물에 포함된 토사 등이 지주 관의 내부에 쌓여 폐쇄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지주관의 내부에 토사 등이 쌓이게 되면 수위가 낮아지더라도(물이 빠져나가더라도) 부력체의 하단에 장착된 지지로드가 쌓인 토사 등에 의해 하강하지 못하고 부력에 의해 상승 되었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지주관의 내부에 별도의 물을 공급하여 토사를 지지관에 연결된 펌핑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제거)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와 폐단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다소 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본인은 등록특허 제10-1248063호(야외건축물 부력승하강장치)를 개발하였다.
본인에 의해 개발된 등록특허 제10-1248063호(야외건축물 부력승하강장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된 다단승하강조립체의 상단에 부양본체를 설치하되, 부양본체의 상면에는 부양형 야외건축물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수위의 높낮이에 따라 부양형 야외건축물이 설치된 부양본체가 승/하강하면 다단승하강지주조립체가 자동으로 전개되어 상승하거나 절첩 되면서 하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다단으로 조립되는 다단승하강지주조립체의 고정지주와 다단(1단 및 2단) 승하강지주가 단순하게 삽입되어 면 접촉 상태에 있으므로 고정지주에서 다단(1단 및 2단) 승하강지주가 승/하강(전개 및 절첩) 될 때에 이들 간의 면접촉에 의한 저항(강한 마찰력)으로 인하여 다단(1단 및 2단) 승하강지주가 원활하게 작동(승/하강: 전개 및 절첩)할 수 없게 된다.
또, 고정지주와 다단(1단 및 2단)승하강지주의 상단에만 가이드롤러뭉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지주에서 다단(1단 및 2단) 승하강지주가 전개 및 절첩될 때에 고정지주 및 각 승하강지주의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롤러뭉치에 의해서만 지지해주므로 다단승하강지주의 지지력(흔들림 모멘트)이 빈약하여 각 승하강지주를 견고하게 지지해 주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각 승하강지주가 승/하강(전개 및 절첩) 될 때에 부양본체에 가해지는 수압 및 충격(진동)에 의해 각 승하강지주가 극심하게 흔들리거나 변형되는 형상을 배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에 고정지주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외부에는 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 되는 승하강지주를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지지수단은 고정지주와 다단승하강지주의 상단과 하단을 이중으로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주와 다단의 승하강지주를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지주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는 인접하는 외측의 승하강지주의 상승을 제어하는 상승제어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하측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승제어수단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각 부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한 제조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조립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수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고장 및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내측(사이사이)에는 가이드지지링을 내/외측 이중으로 설치하여 고정지주에서 인접하는 다단의 승하강지주들이 승/하강할 때에 마찰력을 줄이면서 흔들림(요동) 없이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개선하여서 된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 승하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야외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고정지주(1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10)의 외부에는 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 되는 승하강지주를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지지수단은 고정지주(10)와 다단승하강지주의 상단과 하단을 이중으로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지주(10)와 그 고정지주(10)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지주(10)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주(10)와 그 고정지주(10)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는 인접하는 외측의 승하강지주의 상승을 제어하는 상승제어수단으로서 고정지주(10)와 각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 스톱퍼링(50)을 고정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에 외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측링테(20)의 하단을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 내주연에 일체로 고정한 것과;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측링테(20)에는 복수의 장착공(2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과;
각 장착공(21)에는 외향지지블록(30)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하여 설치한 것과;
상기 외향지지블록(30)이 결합되는 내측링테(20)의 내주연에는 장착공(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링테(40)를 결합한 것과;
상기 장착링테(40)에서 체결수단을 외향지지블록(30)에 체결하여 외향지지블록(30)과 장착링테(40)를 내측링테(20)에 일체형으로 결합 고정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 승하강장치는, 야외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에 고정지주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의 외부에는 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 되는 승하강지주를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지지수단은 고정지주와 다단승하강지주의 상단과 하단을 이중으로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주와 다단의 승하강지주를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지주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는 인접하는 외측의 승하강지주의 상승을 제어하는 상승제어수단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하측가이드지지수단, 및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승제어수단의 구조를 간단히 하여 각 부품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한 제조공저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조립 설치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보수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고장 및 손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상기 고정지주와 그 고정지주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내측(사이사이)에는 가이드지지링을 내/외측 이중으로 설치하여 고정지주에서 인접하는 다단의 승하강지주들이 승/하강할 때에 마찰력을 줄이면서 흔들림(요동) 없이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를 평면에서 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에서 고정지주와 2단승하강지주의 상단에 장착되는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에서 2단승하강지주와 1단승하강지주의 하단에 장착되는 가이드수단장착외측링테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에서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에 장착되는 외향지지블록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에서 가이드수단장착외측링테에 장착되는 내향지지블록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7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에서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의 내주면 및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결속링테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에서 고정지주와 2단승하강지주와의 사이 및 2단승하강지주와 1단승하강지주와의 사이에 각각 결합되는 내측가이드링과 외측가이드링을 각각 발췌하여 보인 절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를 이용하여 부양형 야외건출묵물로서 야외화장실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며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용 부력승하강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용 부력승하강장치(1)를 정면 및 평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용 부력승하강장치(1)에서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20)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용 부력승하강장치(1)에서 2단승하강지주와 1단승하강지주의 하단에 각각 장착되는 가이드수단장착외측링테(25)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 및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에서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20)에 장착되는 외향지지블록(30) 및 가이드수단장착외측링테(25)에 장착되는 내향지지블록(35)을 각각 발췌하여 보인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에서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20)의 내주면 및 가이드수단장착내측링테(25)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결속링테(40)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에서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사이 및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의 사이에 각각 결합 되는 내측가이드링(60)과 외측가이드링(70)을 각각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를 이용하여 부양형 야외건축물(100)로서 야외화장실을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의 구성을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판(13)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장착설치공(13-1)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 주어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야외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판(13)의 상면 중앙에는 고정지주(10)를 직립하여 고정 설치하되, 고정지주(10)의 외면 하단과 고정판(13)이 서로 접속되는 모서리에는 복수의 지지판(14)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고정)하여 고정지주(10)를 견실하게 지지해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3)의 상면 중앙에 고정 설치된 고정지주(10)의 외측에는 복수의 승하강지주로서 내측 지름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를 순차적으로 끼워 결합하되, 1단승하강지주(11)의 상단에는 덮개판(11-1)을 형성하여 1단승하강지주(11)의 상단을 통해 이물질이 1단승하강지주(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지주(10)와 다단의 승하강지주 즉,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에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으로서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을 설치하여 고정지주(10)에서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가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및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상측가이드지지수단은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에 외향으로 각각 설치하였고,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은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의 하단에 내향으로 각각 설치하였다.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에 외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도 3a 및 도 3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측링테(2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 내주연에 각각 장착(고정)되는 내측링테(20)는 외경을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내경에 부합되도록 형성하였고, 높이(h1)를 충분히 하여 하단을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 내주연에 일체형으로 장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내측링테(20)에는 복수의 장착공(2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외향지지블록(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내측링테(20)의 두께(t1)를 충분히 하여 외향지지블록(30)을 견실(견고)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외향지지블록(30)이 결합되는 내측링테(20)의 내주연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링테(40)를 결합한 상태에서 외향지지블록(30)과 일치되는 장착공(41)을 통해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내측링테(20)와 장착링테(40)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 로 형성하였고, 장착링테(40)에 뚫어지는 장착공(41)은 다열 횡대(바람직하게는 2열 횡대)로 뚫어 주어서 내측링테(20)와 장착링테(40) 및 외향지지블록(30)을 견실하게 일체형으로 조립 설치(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내측링테(20)의 장착공(21)에 결합되는 외향지지블록(30)은 도 5a 및도 5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지지블록본체(31)를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면과 외면을 내만곡면(33)과 외만곡면(34)으로 형성하였고, 내만곡면(33)에는 결속편(32)을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내측링테(20)의 장착공(21)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결속편(32)의 전면에는 전술한 장착링테(40)의 장착공(41)과 일치하도록 2개의 장착공(32-1)을 상하로 형성하였다.
상기 외향지지블록(30)은 엔지리어링 플라스틱 같은 합성수지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의 하단에서 내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은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측링테(25)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외측링테(25)의 하단에는 받침링판(26)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의 하단 외주연에 각각 장착(고정)되는 외측링테(25)는 내경을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의 외경에 부합되어 밀접하게 연접되도록 형성하였으며, 높이(h2)를 충분히 하여 상측부를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의 하단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장착(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외측링테(25)에는 복수의 장착공(27)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여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내향지지블록(35)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외측링테(25)의 두께(t2)를 충분히 하여 내향지지블록(35)을 견실(견고)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내향지지블록(35)이 결합되는 외측링테(25)의 외주연에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링테(40)를 결합한 상태에서 내향지지블록(35)과 일치되는 장착공(41)을 통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결합하여 일체형으로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외측링테(25)와 장착링테(40)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 같은 금속재로 형성하였고, 장착링테(40)에 뚫어지는 장착공(41)은 다열 횡대 바람직하게는 2열 횡대로 뚫어주어서 외측링테(25)와 장착링테(40) 및 내향지지블록(35)을 견실하게 일체형으로 조립 설치(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측링테(25)의 장착공(27)에 장착되는 내향지지블록(35)은 도 6a 및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지지블록본체(36)를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면과 외면을 외만곡면(38)과 내만곡면(37)으로 형성하였고, 외만곡면(38)에는 결속편(37)을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측링테(25)의 장착공(27)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결속편(39)의 전면에는 전술한 장착링테(40)의 장착공(41)과 일치하도록 2개의 장착공(39-1)을 상하로 형성하였다.
상기 내향지지블록(35)은 엔지리어링 플라스틱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외주연 상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스톱퍼링(50)을 일체형으로 형성(고정)하여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을 형성하는 내향지지블록(35)이 무단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측가이드지지수단을 형성하는 외향지지블록(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고정지주(10)와 그 외측에 결합되는 각 승하강지주들과의 사이 즉,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와의 사이 및 2단승강지주(12)와 1단승강지주(11)와의 사이에는 가이드지지링으로서 도 8과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은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을 장전하여 2단승강지주(12)와 1단승강지주(11)가 원활하게 승/하강할 수 있도록 가이드 및 지지하고 승/하강시에 흔들림(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은 지름을 서로 다르게 하면서 각각의 두께(t3)(t4)를 충분히 하여 우수한 가이드 및 지지력을 갖도록 하였으며,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은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 및 엔지리어링 플라스틱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형성하여 녹이 발생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가이드 및 지지와 같은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의 사용상태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를 이용하여 야외화장실과 같은 각종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을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일 실시예이다.
야외화장실과 같은 각종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을 부양본체(110)의 상면에 일체형 또는 일체로 설치하되,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를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의 가장자리 사면 모서리부에 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설치다.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의 고정판(13)을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고정시키고,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승하강지주 즉,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1단승하강지주(11)를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에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고정 설치한다.
상기,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를 이용하여 야외화장실과 같은 각종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을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설치한 상태에서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을 사용한다.
우기 또는 장마철에 비가 많이 내려 수위가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의 높이보다 높아지게 되면서 부력이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의 무게보다 커진게 되면 부양형 야외건축물(100)가 안치되어 있는 부양본체(110)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야외건축물(100)가 안치되어 있는 부양본체(110)가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면 야외건축물(100) 및 부양본체(110)와 함께 1단승하강지주(11)가 상승하게 된다.
야외건축물(100) 및 부양본체(110)와 함께 1단승하강지주(11)가 상승하게 되면, 1단승하강지주(11)의 하단에 설치된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의 내향지지블록(35)이 상승하게 된다.
1단승하강지주(11)와 함께 하단에 설치된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의 내향지지블록(35)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하는 1단승하강지주(11)는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에 장착된 상측가이드수단의 외향지지블록(30)이 1단승하강지주(11)의 내주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1단승하강지주(11)는 요동(흔들림) 없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1단승하강지주(11)와 함께 상승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의 내향지지블록(35)이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을 상향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향지지블록(35)과 함께 상승하는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은 상승하는 1단승하강지주(11)를 지지하므로 1단승하강지주(11)는 요동(흔들림)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만약, 야외건축물(100) 및 부양본체(110)와 함께 1단승하강지주(11)가 완전히 상승하지 못하고, 2단승하강지지주(12)의 중간에 머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2단승하강지지주(12)의 상단에 설치된 외향지지블록(30)이 1단승하강지주(11)을 지지하고, 1단승하강지주(11)의 하단에 장착된 내향지지블록(35)이 2단승하강지지주(12)의 외면을 지지하며, 1단승하강지주(11)와 2단승하강지지주(12)와의 사이에 장전된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이 1단승하강지주(11)와 2단승하강지지주(12)를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1단승하강지주(11)는 2단승하강지지주(12)에서 요동(흔들림) 없이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1단승하강지지주(11)가 완전히 상승한 상태에서도 수위가 더욱 높아지게 되면, 1단승하강지지주(11)의 하단에 장착된 냉향지지블록(35)이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을 상승시키게(밀어올리게) 되고, 이와 같이 상승하는(밀어올리는)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이 2단승하강지주(12)의 외주 상단부에 장착(고정)된 스톱퍼링(50)을 밀어올리게 되며, 따라서 2단승하강지주(2)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1단승하강지지주(11)의 상승에 의해 2단승하강지주(2)가 상승하게 되고, 2단승하강지주(12)가 상승하게 되면, 2단승하강지주(12)의 하단에 설치된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의 내향지지블록(35)이 상승하게 되고, 고정지주(10)의 상단에 장착된 상측가이드수단의 외향지지블록(30)이 2단승하강지주(12)의 내주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2단승하강지주(12)는 요동(흔들림) 없이 직립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되고, 2단승하강지주(12)와 함께 상승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의 내향지지블록(35)이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을 상향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향지지블록(35)과 함께 상승하는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은 상승하는 2단승하강지주(12)를 지지하므로 2단승하강지주(12)는 요동(흔들림)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만약, 야외건축물(100) 및 부양본체(110)와 함께 2단승하강지주(12)가 완전히 상승하지 못하고 고정지주(10)의 중간에 머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고정지주(10)의 상단에 설치된 외향지지블록(30)이 2단승하강지주(12)을 지지하고, 2단승하강지주(12)의 하단에 장착된 내향지지블록(35)이 고정지주(10)의 외면을 지지하며,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지주(12)와의 사이에 장전된 내측가이드지지링(60)과 외측가이드지지링(70)이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지주(12)를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2단승하강지주(12)는 고정지주(10)에서 요동(흔들림) 없이 수직으로 직립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지주(10)에서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지주(11)가 완전히 상승(전개)하여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이 부력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물의 수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완전히 상향되어 있던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이 자중에 의해 낮아지면서 1단승하강지주(11)가 2단승하강지주(12)로 깊이 삽입되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수위가 더욱 낮아지게 되면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이 자중에 의해 더욱 낮아지게 되고, 1단승하강지주(11)가 2단승하강지주(12)로 깊이 삽입되어 절첩되고, 2단승하강지주(12)는 고정지주(10)로 삽입되어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수위가 완전히 낮아져 부력이 완전히 제거되면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은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1)를 이용하여 야외화장실과 같은 각종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을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설치하게 되면 수위에 따른 부력에 의해 1단승하강지주(11)와 2단승하강지주(12)가 전개 또는 절첩되면서 부양본체(110)와 부양형 야외건축물(100)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1: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10: 고정지주
11: 1단승하강지주 12: 2단승하강지주
13: 고정판 14: 지지판
20: 내측링테 21, 27: 장착공
26: 받침링판 30: 외향지지블록
31, 36: 지지블록본체 32, 39: 결속편
33, 37: 내만곡면 34, 38: 외만곡면
40: 장착링테 41: 장착공
50: 스톱퍼링 60: 내측가이드지지링
70: 외측가이드지지링 100: 부양형 야외건축물
110: 부양본체 200: 기초콘크리트구조물

Claims (13)

  1. 야외에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구조물(200)에 고정지주(1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지주(10)의 외부에는 가이드지지수단에 의해 가이드 지지 되는 승하강지주를 다단으로 설치하되, 상기 가이드지지수단은 고정지주(10)와 다단승하강지주의 상단과 하단을 이중으로 가이드 지지하는 이중가이드지지수단으로서, 상기 고정지주(10)와 그 고정지주(10)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지주(10)의 외측에 다단으로 결합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으로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주(10)와 그 고정지주(10)에 인접하여 다단으로 조립 설치되는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는 인접하는 외측의 승하강지주의 상승을 제어하는 상승제어수단으로서 고정지주(10)와 각 승하강지주들의 외주 상단부에 스톱퍼링(50)을 고정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에 외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상측가이드지지수단은;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측링테(20)의 하단을 고정지주(10)와 2단승하강지주(12)의 상단 내주연에 일체로 고정한 것과;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측링테(20)에는 복수의 장착공(21)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과;
    각 장착공(21)에는 외향지지블록(30)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결합하여 설치한 것과;
    상기 외향지지블록(30)이 결합되는 내측링테(20)의 내주연에는 장착공(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링테(40)를 결합한 것과;
    상기 장착링테(40)에서 체결수단을 외향지지블록(30)에 체결하여 외향지지블록(30)과 장착링테(40)를 내측링테(20)에 일체형으로 결합 고정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2단승하강지주(12)와 1단승하강지주(11)의 상단에 내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하측가이드지지수단은;
    외측링테(25)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되, 외측링테(25)의 하단에는 받침링판(26)을 일체로 형성한 것과;
    상기 외측링테(25)에는 복수의 장착공(27)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외측링테(25)의 각 장착공(27)에는 내향지지블록(35)을 내측에서 외측으로 결합하여 설치한 것과;
    내향지지블록(35)이 결합되는 외측링테(25)의 외주연에는 장착공(41)이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진 장착링테(40)를 결합한 것과;
    상기 내향지지블록(35)과 일치되는 장착공(41)을 통해 체결수단을 체결하여 내향지지블록(35)과 장착링테(40)를 외측링테(25)에 일체형으로 결합 고정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내측링테(20)의 장착공(21)에 결합되는 외향지지블록(30)은;
    지지블록본체(32)를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면과 외면을 내만곡면(33)과 외만곡면(34)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내만곡면(33)에는 결속편(32)을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내측링테(20)의 장착공(21)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결속편(32)의 전면에는 장착링테(40)의 장착공(41)과 일치하는 2개의 장착공(32-1)을 상하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외측링테(25)의 장착공(27)에 장착되는 내향지지블록(35)은;
    지지블록본체(36)를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면과 외면을 외만곡면(38)과 내만곡면(37)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외만곡면(38)에는 결속편(39)을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외측링테(25)의 장착공(27)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결속편(39)의 전면에는 장착링테(40)의 장착공(41)과 일치하도록 2개의 장착공(39-1)을 상하로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내측링테(20)와 외측링테(25) 및 결속링테(40)는;
    스틸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외향지지블록(30)은;
    금속재 또는 엔지리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10.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내향지지블록(35)은;
    금속재 또는 엔지리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151016A 2021-11-05 2021-11-05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KR102596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16A KR102596724B1 (ko) 2021-11-05 2021-11-05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1016A KR102596724B1 (ko) 2021-11-05 2021-11-05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451A KR20230065451A (ko) 2023-05-12
KR102596724B1 true KR102596724B1 (ko) 2023-11-01

Family

ID=8638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1016A KR102596724B1 (ko) 2021-11-05 2021-11-05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72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693B1 (ko) * 2013-12-12 2014-11-03 양병준 야외건축물의 내장형 부력승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693B1 (ko) * 2013-12-12 2014-11-03 양병준 야외건축물의 내장형 부력승하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5451A (ko) 202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048B2 (en) Telescopic structural systems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710920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101709274B1 (ko) 부력식 보강판을 구비하는 복합 차수벽
CN115986594B (zh) 一种防水淹户外配电柜及其安装结构
KR102596724B1 (ko)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JP5150611B2 (ja) 仮設構造物
KR101469949B1 (ko) 수면 부상식 시설물
KR101248063B1 (ko) 부양형 야외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US10081962B1 (en) Buoying structure and method
KR100710917B1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배수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연결장치
JP2013096064A (ja) 津波対策用避難小屋
KR101453693B1 (ko) 야외건축물의 내장형 부력승하강장치
KR20170064301A (ko) 홍수시 덮개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맨홀의 구조
KR101698459B1 (ko) 창문 전용 차수장치
JP2022041520A (ja) 住宅の浮上構造及びこの住宅の浮上構造に用いられる連結部材
KR20190033677A (ko) 충격흡수기능이 부가된 부력형 야외건축물용 부력승하강지지장치
KR101216895B1 (ko) 구조물 지주 지지장치
US6904724B1 (en) Piling based pool system and method
CN216921520U (zh) 乡村振兴基础设施建设用可调观景亭
KR20140023100A (ko) 하수관거용 가림막 장치
CN109296243B (zh) 一种改进型的防地震建筑物
KR102670657B1 (ko)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CN110318551B (zh) 一种建筑防震校正构造及校正方法
JP5999512B2 (ja) フロート式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