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0657B1 -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0657B1
KR102670657B1 KR1020230095896A KR20230095896A KR102670657B1 KR 102670657 B1 KR102670657 B1 KR 102670657B1 KR 1020230095896 A KR1020230095896 A KR 1020230095896A KR 20230095896 A KR20230095896 A KR 20230095896A KR 102670657 B1 KR102670657 B1 KR 10267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pressing
locking module
stag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목숙자
정예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씨앤폴
정예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씨앤폴, 정예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씨앤폴
Priority to KR1020230095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0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0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코프 방식으로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폴들을 인출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 잠금 장치를 구비하여, 다단식 폴이 인입되어 접히는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다단식 폴의 내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매입 설치하여 적응적으로 유동되고, 지주를 인출시키는 와이어 로프를 다단식 폴의 크기나 제조비용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배치한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TELESCOPIC POLE HAVING FALL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스코프 방식으로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 폴들을 인출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 잠금 장치를 구비하여, 다단식 폴이 인입되어 접히는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다단식 폴의 내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매입 설치하여 적응적으로 유동되고, 지주를 인출시키는 와이어 로프를 다단식 폴의 크기나 제조비용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배치한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단식 폴(pole)은 다수의 단위 폴들을 끼워 조립함으로써 가장 내측의 단위 폴부터 순차로 인출하여 길이를 늘리며, CCTV, 탐조등, 피뢰 폴, 전조등, 조명등, 투광기 등의 다양한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다단식 폴은 아래로 하강하면 인공물이 높이 인출되지 않게 되어 자연스러운 경관을 조성하거나 목적물을 편리하게 유지 보수하며, 강한 바람이나 재해 예고시 장치를 지면 가까이 낮추어 안전을 제공한다.
이러한 다단식 폴은 여러개의 단위 폴들을 스코프(scope) 형태로 접거나(인입) 혹은 반대로 펼칠(인출) 수 있도록 여러 구조로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와이어와 모터를 이용한 자동 인출식도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다단식 폴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모터로 와이어를 당겨 다단식 폴을 인출 후, 다단식 폴의 인출 상태를 유지시키는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기 때문에, 단위 폴들이 낙하하여 접히는(인입) 추락을 방지할 수 없다.
(2) 장치가 설치된 단위 폴들을 인출하여 펼쳤을 때 그 늘어나는 길이만큼 전원 공급용 전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해당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므로, 전선을 통한 전원 공급이 어렵다.
(3)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을 설치하기 위해 다단식 폴의 외부에 전선을 설치할 수는 있으나, 외부 환경에 노출되면 전선이 쉽게 손상되거나 전기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4) 또한, 모터에 의해 폴을 동작시키는 와이어 로프를 안내하는 장치가 이웃한 두 개의 지주 사이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서는 이웃한 지주 사이의 간격이 넓어야 한다.
(5) 이는, 조명을 지주를 기준으로 볼 때 나머지 지주의 폭 단면이 커져야 하므로, 그만큼 다단 폴의 무게가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도 올라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91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57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616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코프 방식으로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폴에 있어서, 단위 폴들을 인출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 잠금 장치를 구비하여, 다단식 폴이 인입되어 접히는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다단식 폴의 내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매입 설치하여 적응적으로 유동되고, 지주를 인출시키는 와이어 로프를 다단식 폴의 크기나 제조비용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배치한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여러개의 단위 폴(pole)이 순차로 끼워져 스코프(scope) 방식으로 인출됨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폴에 있어서, 외측폴 및 상기 외측폴의 중공부에 끼워지는 내측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폴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동 잠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잠금 장치는 상기 외측폴에 내측면에 구비된 제1 잠금모듈; 및 상기 내측폴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폴이 상승되어 인출시 상기 제1 잠금모듈에 의해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2 잠금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잠금모듈은 상기 외측폴의 내측면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승 인출되는 제2 잠금모듈을 누르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2 잠금모듈이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하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부와 겹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의 측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잠금모듈은 내측폴의 외측면 하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슬롯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하부 가이드과; 상기 하부 가이드의 상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축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가이드과; 상기 상부 가이드의 축공 및 상기 하부 가이드의 슬롯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장착되는 누름 샤프트와; 상기 누름 샤프트가 상기 제1 잠금모듈의 누름부에 의해 눌러져 하측으로 이동시,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샤프트 스프링과; 상기 누름 샤프트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누름 샤프트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상부 가이드과 하부 가이드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 누름편; 및 상기 하부 가이드과 상부 가이드 사이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누름 샤프트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 누름편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잠금모듈의 지지부 위에 걸려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잠금쇠;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누름편의 전방측 연단부에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제1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쇠의 후방측 연단부에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제2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누름 샤프트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 누름편의 제1 누름면으로 상기 잠금쇠의 제2 누름면을 경사 방향으로 눌러 상기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잠금모듈의 누름부에 의해 상기 누름 샤프트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잠금쇠를 상기 제1 잠금모듈의 지지부 위에서 상기 제2 잠금모듈의 하부 가이드과 상부 가이드 사이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해제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식 폴은 제1 폴과; 상기 제1 폴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2 폴과; 상기 제2 폴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3 폴과; 상기 제3 폴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단부에는 설치 대상인 목적물이 조립되는 제4 폴과; 상기 제4 폴 내지 제2 폴을 순차로 인양시키도록 권취된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측으로 당기거나 푸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단위 폴들을 인출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 잠금 장치를 구비하여, 다단식 폴이 인입되어 접히는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다단식 폴의 내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매입 설치하여 적응적으로 유동되고, 지주를 인출시키는 와이어 로프를 다단식 폴의 크기나 제조비용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을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잠금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잠금모듈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상기 제2 잠금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폴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폴의 전체 형상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폴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상기 도 6에서의 "A"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폴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상기 도 6에서의 "B"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의 작동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일부를 동작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폴을 사용하지 않을 때의 전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전선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폴을 스코핑할 때의 전선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전선의 이동 상태를 보여주는 작동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도록 제1 폴 및 제2 폴의 결합 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telescopic pole, 지주)의 정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여러 기술적 구성들 중 먼저 자동 잠금 장치(900)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다단식 폴에 적용된 자동 잠금 장치(900)는 단위 폴(100, 200, 400, 600)들을 인출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 잠금 장치(900)를 구비하여, 다단식 폴이 인입되어 접히는 추락을 방지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여러개의 단위 폴(100, 200, 400, 600)이 순차로 끼워져 스코프(scope) 방식으로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다단식 폴은 다단식 지주 혹은 스코프 지주 타워라고도 불리며, 최근에는 단위 폴들을 스코프 형태로 접거나(인입) 혹은 반대로 펼칠(인출) 수 있도록 와이어와 모터를 이용한 자동 인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일 예로 4개의 단위 폴(100, 200, 400, 600)들이 순차로 끼워져, 가장 내측에 있는 제4 폴(600)부터 인출되기 시작하여, 제3 폴(400) 및 제2 폴(200)이 인출되며, 직경이 커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제1 폴(100)은 지면 등에 고정된다.
상기 자동 잠금 장치(900)는, 외측폴 및 상기 외측폴의 중공부에 끼워지는 내측폴 사이에 구비되어, 내측폴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즉, 다단으로 끼워진 여러 단위 폴(100, 200, 400, 600)들 중 서로 인접한 2개의 단위 폴들 사이에 장치된다.
이러한 자동 잠금 장치(900)가 적용되는 위치는 단위 폴들 사이마다 존재하는 모든 설치 공간들 중 일부에만 장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단위 폴들 사이마다 설치하여 지주의 추락(인입)을 온전히 방지한다.
예컨대, 제1 폴(100)과 제2 폴(200) 사이, 제2 폴(200)과 제3 폴(400) 사이 및 제3 폴(400)과 제4 폴(600) 사이 중 어느 한 곳 이상에 설치할 수 있지만, 이들 모두에 각각 본 발명의 자동 잠금 장치(900)를 설치될 수 있다.
자동 잠금 장치(900)는 외측폴(예: 100)에 내측면에 구비된 제1 잠금모듈(910) 및 내측폴(예: 20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해당 내측폴이 상승되어 인출시 제1 잠금모듈(910)에 의해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2 잠금모듈(92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길이를 늘려 확장시 동작되는 내측폴이 인출(상승)되면, 해당 내측폴의 하단부에 있던 제2 잠금모듈(920)이 외측폴의 상단부에 있는 제1 잠금모듈(910)과 결합되는 과정을 통해 잠금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식 폴이 제1 폴(100) 내지 제4 폴(600)로 구성된 경우, 상기 외측폴은 제1 폴(100)이고 내측폴은 제2 폴(200)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그 이외에 외측폴은 제2 폴(200)이고 내측폴은 제3 폴(400)이거나, 같은 방식으로 외측폴은 제3 폴(400)이고 내측폴은 제4 폴(600)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폴(100)과 제2 폴(200) 사이에 설치되는 자동 잠금 장치(900)를 대표적인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외측폴은 제1 폴(100)이고, 내측폴은 제2 폴(200)이며, 제1 폴(100) 내에서 제2 폴(200)이 인출되는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외측폴과 내측폴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개가 끼워진 단위 폴(100, 200, 400, 600)들 중 서로 인접한 단위 폴들이 순차로 인출되어 동작시 상대적인 관계에서 그 중 어느 하나를 일 예로 선택하여 설명하는 것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한편, 도 2의 (a)는 외측폴의 평면도이고, 도 2의 (b)는 외측폴의 정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잠금모듈(910)은 외측폴(100)에 구비된 누름부(911)와 지지부(912)를 포함한다.
누름부(911)는 제2 잠금모듈(920)을 눌러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외측폴(100)의 내측면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폴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어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승 인출되는 제2 잠금모듈(920)을 누른다.
또한, 누름부(9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 설치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외측폴(100)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하게 배치된다. 일 예로 90°간격마다 구비되어 4개가 제공된다. 이 경우, 제1 잠금모듈(910)에 대응하여 제2 잠금모듈(920)도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4개 구비된다.
지지부(912)는 잠금시 내측폴(200)의 제2 잠금모듈(920)이 걸려 지지되게 하는 것으로, 상술한 누름부(911)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2 잠금모듈(920)이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912)는 일 예로, 외측폴(100)의 내벽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된 판 형상의 지지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누름부(911)와 마찬가지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개(예: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912)는 수직 방향(축 방향)을 기준으로 누름부(911)와 겹치지 않도록 누름부(911)의 측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승에 의해 제2 잠금모듈(920)이 눌러지면 내측폴(200)의 접선 방향(측방향)으로 잠금쇠(도 4의 '926' 참조)가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방향(폴의 축 방향)으로 기준으로 지지부(912)는 누름부(911)의 측부에 위치한다. 즉, 단위 폴(1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이동된 위치에 구비되어, 폴 내부를 들여다보면 서로 어긋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잠금모듈(920)은 내측폴(200)의 상승시 그 상승에 의한 작용으로 제1 잠금모듈(910)에 의해 눌러져 동작됨에 따라 제1 잠금모듈(910)에 걸려 자동으로 잠금동작이 이루어지며, 제1 잠금모듈(910)에 대응하여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잠금모듈(920)은 내측폴(20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하부 가이드(921), 상부 가이드(922), 누름 샤프트(923), 샤프트 스프링(924), 이동 누름편(925) 및 잠금쇠(926)를 포함하여, 내측폴(200)의 외주면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상기 잠금쇠(926)를 작동시킨다.
이를 위해, 하부 가이드(921)는 내측폴(200)의 외측면 하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에 의해 눌러질 때 누름 샤프트(923)와 이동 누름편(925)이 통과할 수 있는 슬롯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슬롯은 누름 샤프트(923)와 이동 누름편(925)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누름 샤프트(923)의 승강이 가능하면서도 좌우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가이드(922)는 하부 가이드(921)의 상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축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부 가이드(922) 역시 내측폴(200)의 외측면에 고정되며, 축공에는 상술한 누름 샤프트(923)가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조립된다.
누름 샤프트(923)는 내측폴(200)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인출(상승)시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에 의해 눌러지는 부분으로, 상부 가이드(922)의 축공 및 하부 가이드(921)의 슬롯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장착된다.
샤프트 스프링(924)은 상기 누름 샤프트(923)가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에 의해 눌러져 하측으로 이동시,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상부 가이드(922)의 상면과 누름 샤프트(923)의 상단 걸림턱에 걸리도록 누름 샤프트(923)에 끼워 조립한다.
이동 누름편(925)은 누름 샤프트(923)의 측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누름 샤프트(923)와 함께 승강되며, 누름 동작이 없는 원 상태에서는 상부 가이드(922)과 하부 가이드(921)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누름 샤프트(923)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부 가이드(922)과 하부 가이드(921) 사이의 위치에서 하부 가이드(921)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슬롯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잠금쇠(926)는 제1 잠금모듈(910)의 지지부(912) 위에 걸려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부 가이드(921)과 상부 가이드(922) 사이에서 지지부(912) 위로 인출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누름 샤프트(923)가 하측으로 이동시, 이동 누름편(925)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제1 잠금모듈(910)의 지지부(912) 위에 걸려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내측폴(200)이 상승하여 제2 잠금모듈(920)의 누름 샤프트(923)가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눌러지면, 제2 잠금모듈(920)의 잠금쇠(926)가 이동 누름편(925)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인출되어 제1 잠금모듈(910)의 지지부(912)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내측폴(200)이 다시 하강하는 것이 방지되는 잠금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잠금동작을 위해, 실시예로서 이동 누름편(925)의 전방측 연단부에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제1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누름면의 길이는 잠금쇠(926)가 충분한 변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에 대응하여, 잠금쇠(926)의 후방측 연단부에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제2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누름면과 제2 누름면이 서로 맞닿는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누름 샤프트(923)가 하측으로 이동시, 이동 누름편(925)의 제1 누름면으로 잠금쇠(926)의 제2 누름면을 경사 방향으로 눌러 제1 잠금모듈(910)의 지지부(912)가 있는 외측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즉, 잠금쇠(926)의 단부가 지지부(912) 위에 놓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쇠(926)는 내측폴(200)의 외측면에 대한 접선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하부 가이드(921)과 상부 가이드(922) 역시 상기한 접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잠금쇠(926)가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때, 사용자의 정상적인 조작에 따라 다단식 폴들을 인입시켜 다시 접는 경우에는 잠금쇠(926)가 후방으로 후퇴하여 잠금 상태를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잠금 해제 스프링(92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금 해제 스프링(927)은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에 의해 누름 샤프트(923)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잠금쇠(926)를 제1 잠금모듈(910)의 지지부(912) 위에서 제2 잠금모듈(920)의 하부 가이드(921)과 상부 가이드(922) 사이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잠금 해제 스프링(927)은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 위에 조립되며 필요시 이탈이나 뒤틀림을 방지하도록 가이드를 통해 조립된다. 또한, 후단부는 외측폴(100)의 내벽측에 고정되고, 전단부는 지지부(912)의 끝단까지 연장된다.
잠금 해제 스프링(927)로 인해 제2 잠금모듈(920)의 상승시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잠금쇠(926)가 인출되어 지지부(912) 위에 놓일 때는 압축되었다가 누름부(911)에 의한 누름이 해제시 잠금쇠(926)를 밀어 다시 복귀(잠금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서, 잠금 해제 스프링(도시 생략)은 내측폴(10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잠금 해제 스프링의 일단은 잠금쇠(926)의 일측에 돌출된 끼움구에 결합하고, 타단은 내측폴(100)의 외벽이나 하부 가이드(921) 혹은 상부 가이드(922)에 고정시켜, 잠금쇠(926)를 후방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폴들을 인출하여 길이가 늘어난 상태에서 자동으로 잠기는 자동 잠금 장치(900)를 구비하여, 다단식 폴이 인입되어 접히는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자동 잠금 장치(900, 추락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다단식 폴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다단식 폴의 내부에 전원 공급용 전선을 매입 설치하여 적응적으로 유동되고, 지주를 인출시키는 와이어 로프를 구비시에도 다단식 폴의 크기나 제조비용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로, 다단식 폴은 제1 폴(100), 상기 제1 폴(100)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2 폴(200), 상기 제2 폴(200)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3 폴(400) 및 상기 제3 폴(400)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단부에는 설치 대상인 목적물(612)이 조립되는 제4 폴(6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4 폴(600) 내지 제2 폴(200)을 순차로 인양시키도록 권취된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측으로 당기거나 푸는 액추에이터(611)를 포함하여, 전동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 와이어 로프를 당겨 다단의 폴들을 인출시킨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이 내장된 다단식 지주 타워는, 도 5 내지 도 12와 같이, 제1 내지 제4 폴(100, 200, 400, 600), 제1 내지 제3 와이어 로프(300, 500, 700), 그리고 전선(8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전선(800)은 지주 안에 설치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동시에 지주의 길이가 신축함에 따라 해당 전선(800)도 연동하여 신축하게 구성함으로써, 별도로 전선 길이를 조절하지 않더라도 쉽고 편리하게 전선(800)을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612"는 CCTV, 탐조등, 피뢰 폴, 전조등, 조명등, 그리고 투광기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으로, 후술할 전선(800)을 통해 액추에이터(611)와 함께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는 목적물을 말한다.
제1 폴(10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미리 정한 길이의 관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상기 제1 폴(100)은 한쪽(상단부)을 개방하여 후술할 다를 지주를 수용할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하단부)을 막히게 제작하여 누수나 이물 등이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한다.
제1 폴(100)의 막힌 한쪽에는 장착 브래킷 등을 더 추가로 구성하여 지면이나 지반 등에 바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폴(100)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개방된 한쪽에 제1 플랜지(110)를 장착한다. 제1 플랜지(110)는 개방된 제1 폴(100)를 마감하고, 후술할 제2 폴(200)가 끼워져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플랜지(110)를 갖춘 제1 폴(100)의 개방된 한쪽의 내주에는 미리 정한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의 제1 롤러(111)를 설치하고, 이 제1 롤러(111)가 제2 폴(200) 외면과 밀착되게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롤러(111)는 제1 폴(100)의 내주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제2 폴(20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때 발생한 힘을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1 롤러(111)는 두 개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제1 폴(100)의 폭 단면의 크기에 따라 3 ~ 8개를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1 폴(100)은, 도 12와 같이, 내주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지용 돌기(130)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방지용 돌기(100)는 제1 폴(100)에 끼워서 설치하는 제2 폴(200)가 회전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방지용 돌기(130)는 제1 폴(100)의 폭 단면에 따라 미리 정한 간격, 바람직하게는 같은 간격으로 적어도 두 개를 설치하여 회전하는 힘을 각 회전 방지용 돌기(130)로 분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면에서는 두 개의 회전 방지용 돌기(130)를 설치한 예를 보여주나, 제1 폴(100)의 폭 단면 크기에 따라 더 많은 개수로 설치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서, 미설명부호 "120"은 제1 폴(100)에 끼운 제2 폴(200)가 더는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제한하는 스토퍼를 나타내며, 이 스토퍼(120)에는 제2 폴(200)와 맞닿는 면에 고무와 같은 완충 부재를 장착하여 소음발생 억제와 완충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폴(20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중공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쪽에는 제2 플랜지(210)와 제2 롤러(211)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2 플랜지(210)와 제2 롤러(211)는 후술할 제3 폴(400)가 끼워지게 하여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제1 폴(100)에서 설명한 제1 플랜지(110)와 제1 롤러(111)와 같은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2 폴(200)은 도 6, 도 8 및 도 12와 같이, 제1 폴(100)에 끼워진 다른 한쪽에 적어도 두 개의 제3 롤러(220)와 제1 가이드(231)를 갖춘다. 여기서, 제3 롤러(220)는 제1 폴(100)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하여 제1 폴(100)에서 제2 폴(200)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때 원활하게 신축할 수 있도록 구름 작용을 한다.
이에, 제3 롤러(220)는 제2 폴(200)의 외주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여 신축 작용할 때 가해지는 마찰력을 골고루 분산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4개를 같은 간격으로 배치한 예를 보여준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231)는 도 6, 도 8 및 도 12와 같이, 제1 및 제2 폴(100, 200) 사이에 있는 제 1와이어 로프(300)가 제2 폴(200) 안에 끼워져서 제3 폴(4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방향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장착한다.
이때, 제1 가이드(231)는 도 8과 같이, 제2 폴(200) 끝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돌출하도록 끝에 장착함으로써, 제1 및 제2 폴(100, 200) 사이에 제1 가이드(231)를 설치할 수 있게 별도로 공간 확보를 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공간 확보를 위해 제1 폴(100)를 넓게 제작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중량 증가와 제조 원가 등의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로, 제1 가이드(231)는 도 8 및 도 12와 같이, 제2 폴(2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게 제작한 브래킷(230)의 각 끝에 하나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주의 폭 단면에 따라 여러 개의 와이어 로프가 필요할 때 여러 개의 와이어 로프를 장착하여 지주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230)은 쌍으로 십자 형태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230)에는 제2 폴(200)에 끼워지는 제3 폴(400)의 브래킷과 마주하는 면에 고무와 같은 완충 부재를 장착하여 소음 발생이나 충격 흡수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제2 폴(200)은 도 12와 같이, 외주에 상술한 회전 방지용 돌기(130)와 마주하는 위치에 회전 방지용 가이드(240)를 구성한다. 회전 방지용 가이드(240)는 제1 폴(100) 안에서 제2 폴(200)가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때 회전하지 않고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한다.
제1 와이어 로프(300)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한쪽을 제1 플랜지(110)에 고정하고 다른 한쪽을 제3 폴(400)의 다른 한쪽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 와이어 로프(300)는 한쪽이 제1 및 제2 폴(100, 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1 플랜지(110)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1 가이드(231)의 안내를 받으면서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다른 한쪽이 제2 폴(200) 안에 끼워진 제3 폴(400)의 다른 한쪽에 고정한다. 이에, 제1 와이어로프(300)는 도 9와 같이 제3 폴(400)가 위로 당겨짐에 따라 제2 폴(200)를 위로 끌어올려 함께 연동하게 한다.
이러한 제1 와이어 로프(300)는 도면에서 두 개를 같은 간격으로 배치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지주의 폭 단면 크기와 그 중량 등을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을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와이어 로프(300)는, 도 7과 같이, 장력 조절기(310)를 통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력 조절기(310)는 제1 와이어 로프(300)의 길이를 통해 장력을 조절하여 지주가 신축함에 따라 가해지는 힘을 균일하게 분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장력 조절기(310)는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제1 와이어 로프(300)의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조절 볼트가 제1 플랜지(110)에 체결하여 제1 폴(100) 밖으로 돌출하게 장착하고, 이 조절 볼트에 두 개의 조절 너트를 체결한 구조로 이루어진 장력 조절기(310)를 예로 보여준다.
따라서, 장력 조절기(310)는 조절 너트를 이완한 다음 조절 볼트로 제1 와이어 로프(300)의 장력을 조절한 뒤에 다시 조절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쉽게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제3 폴(40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상술한 제2 폴(200)에 끼워져서 길이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러한 제3 폴(400)은 후술할 제4 폴(600)를 장착하여 안내하기 위한 제3 플랜지(410)와 제4 롤러(411), 제3 폴(400)가 원활하게 신축할 수 있게 다른 한쪽에 장착한 제5 롤러(420), 그리고 후술할 제2 와이어 로프(500)를 안내하기 위한 제2 가이드(430)를 포함한다.
제3 폴(400)의 구성은 상술한 제2 폴(200)의 구성과 같은 구성이나, 제3 폴(400)가 제2 폴(200)안에 끼워져서 신축할 수 있게 그 크기에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제3 폴(400)의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와이어 로프(500)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한쪽이 제2 플랜지(210)에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제2 가이드(430)의 안내를 받아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제4 폴(600)의 다른 한쪽에 고정한다.
제2 와이어 로프(500)의 장착은 상술한 제1 와이어 로프(300)의 설치 방법과 같으나, 양단을 장착하는 지주에서만 차이가 있다. 이에, 그 자세한 연결과 작동에 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서, 미설명부호 "510"과 "710"은 제2 및 제3 와이어 로프(300, 50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 조절기를 나타내며, 이들 장력 조절기(510, 710)는 제1 와이어 로프(3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조절기를 이용할 수 있음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제4 폴(600)은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제4 플랜지(610), 제7 롤러(620), 그리고 제3 가이드(6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술한 제2 폴(200)와 같은 구성이나, 이 제2 폴(200)의 제2 플랜지(210) 주변에 형성하여 다른 지주를 안내하는 롤러의 구성이 삭제된 것과 같은 구성이다.
이는, 제4 폴(600)가 가장 안에 있는 지주로서 더는 다른 지주를 지지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이므로, 그 외 제2 폴(200)와 같은 구성이나 제2 폴(200)의 제2 롤러(211)를 삭제한 것과 같은 구성이 되게 된다. 이에,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4 플랜지(610)에는 도 5 내지 도 8과 같이, 액추에이터(611)와 목적물(612)을 장착한다. 상기 액추에이터(611)는 후술할 제3 와이어 로프(700)를 지주 방향으로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모터를 통해 구동함에 따라 체인(C)이 제3 와이어 로프(700)를 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611)는, 도 8과 같이, 이외에도 호이스트나 실린더와 같이 체인(C)이나 제3 와이어 로프(700)를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611)는 도 7과 같이, 제4 폴(600)의 제4 플랜지(610)에 장착하므로, 액추에이터(611)를 장착할 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아도 되며,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처럼 장착 공간 마련을 위해 지주 사이의 간격을 넓게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지주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다단 지주 타워의 전체 중량 감소와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액추에이터(611)는 체인(C)을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를 잡아당기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체인 대신에 와이어 로프나 와이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동일한 권취 방식의 와이어 로프를 하측으로 연장하면 액추에이터(611)를 지주의 하단부에 구비(도시 생략)할 수도 있다.
제3 와이어 로프(700)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한쪽을 상술한 제3 폴(400)와 제4 폴(6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제3 플랜지(410)에 고정한다. 그리고 다른 한쪽을 제3 가이드(630)의 안내를 받아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제4 폴(600) 안에서 액추에이터(611)에 연결한다.
전선(800)은, 도 5 및 도 6와 같이, 제1 내지 제4 폴(100, 200, 400, 600) 안에 장착하여 지주가 신축함에 따라 간섭 없이 함께 움직이면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를 위해, 전선(800)은, 도 7, 도 8,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1 전선 구간(800a), 제2 전선 구간(800b), 그리고 제3 전선구간(800c)을 포함한다.
그 중 제1 전선 구간(800a)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술한 제1 폴(100)와 제2 폴(200) 사이에 장착하고, 이때 한쪽이 제1 플랜지(110)를 장착한 제1 폴(100) 부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은 제1 폴(100)에 삽입한 제2 폴(200) 끝에 장착한다.
이에, 제1 전선 구간(800a)은 도 10과 같이 제1 폴(100)에 제2 폴(20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길게 펴지게되고, 도 11과 같이 제1 폴(100)에서 제2 폴(200)가 빠져나감에 따라 제1 폴(100) 안에서 "U"자 형태로 휘어지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제2 전선 구간(800b)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전체적으로 역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U"자 형상의 꺾인 부분이 상술한 제3 플랜지(410)에 구성한 도르래(412)에 끼워 안내를 받게 장착한다. 또한, 제2 전선 구간(800b)은 제4 폴(600) 안에서 한쪽을 상술한 제1 전선 구간(800a)에 연결하고, 다른 한쪽을 제3 폴(400)에 끼운 제4 폴(600)의 다른 한쪽에 고정한다.
이에, 제2 전선 구간(800b)은, 도 10과 같이 역"U"자 형상으로 있다가 지주가 늘어남에 따라 도 11과 같이 도르래(412)를 중심으로 한쪽이 점차 긴 직선 형태로 펼쳐지면서 제2 및 제3 폴(200, 400)의 길이 변화에 알맞게 직선 형태로 길어지게 된다.
제3 전선 구간(800c)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한쪽이 상술한 제2 전선 구간(800b)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이 상술한 액추에이터(611) 및 목적물(61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3 전선 구간(800c)은 제4 폴(600)와 함께 움직이므로 길이 변화는 없게 된다.
이처럼 이루어진 전선(800)은,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1 전선 구간(800a)과 제3 전선 구간(800c)이 각각 제1 폴(100)와 제4 폴(600)의 길이를 유지하고, 제3 전선 구간(800c)이 "U"자 형태로 이루어져서 제2 및 제3 폴(200, 40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직선 형태(또는 "U"자 형태)에서 나 "U"자 형태(직선 형태)로 변형하면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선이 내장된 다단식 지주 타워는 일 실시예로서 4단으로 펼쳐지거나 접을 수 있게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더 많은 단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술한 제2 및 제3 폴(200, 400)과 제2 와이어 로프(500)를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고, 이 세트를 필요한 길이에 알맞게 적어도 한 셋트를 제3 폴(400)와 제4 폴(600) 사이에 추가하여 구성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주의 신축에 따라 전선(800)의 길이가 변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전선(800) 길이를 변하게 하는 이들 구성, 즉 제2 및 제3 폴(200, 400)와 제2 와이어 로프(500)로 이루어진 세트를 추가하는 간단한 구성 변화를 통해 원하는 길이의 다단 지주 타워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추가하는 세트는 제3 폴(400)와 제4 폴(600) 사이에 구성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폴(100)와 제2 폴(200) 사이에 추가 구성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단으로 구성한 지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구성하므로, 안전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혹한 주변 환경에 노출되지 않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가 길이 방향으로 신축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길게 펴지거나 역 U자 형태로 접히면서 전선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전선 조절에 어떠한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고 자연스럽게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러한 전선 조절을 통해 지주 타워의 높이에 따라 쉽게 지주의 개수를 추가하여 원하는 높이로 쉽고 편리하게 지주 타워를 확장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200, 400, 600 : 제1, 제2, 제3, 제4 폴
110 : 제1 플랜지 111 : 제1 롤러
210 : 제2 플랜지 211 : 제2 롤러
220 : 제3 롤러 230 : 제1 가이드
300, 500, 700 : 제1, 제2, 제3와이어 로프
800 : 전선
900: 자동 잠금 장치
910: 제1 잠금모듈
911: 누름부
912: 지지부
920: 제2 잠금모듈
921: 하부 가이드
922: 상부 가이드
923: 누름 샤프트
924: 샤프트 스프링
925: 이동 누름편
926: 잠금쇠
927: 잠금 해제 스프링

Claims (6)

  1.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여러개의 단위 폴(pole)이 순차로 끼워져 스코프(scope) 방식으로 인출됨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단식 폴에 있어서,
    외측폴 및 상기 외측폴의 중공부에 끼워지는 내측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내측폴이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동 잠금 장치(900)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잠금 장치(900)는, 상기 외측폴에 내측면에 구비된 제1 잠금모듈(910); 및 상기 내측폴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폴이 상승되어 인출시 상기 제1 잠금모듈(910)에 의해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제2 잠금모듈(9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잠금모듈(910)은, 상기 외측폴의 내측면 상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승 인출되는 상기 제2 잠금모듈(920)을 누르며,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누름부(911); 및 상기 누름부(911)로부터 하측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제2 잠금모듈(920)이 하강하지 않도록 지지하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누름부(911)와 겹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911)의 측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설치된 다수개의 지지부(9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모듈(920)은,
    내측폴의 외측면 하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슬롯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하부 가이드(921)과;
    상기 하부 가이드(921)의 상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축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가이드(922)과;
    상기 상부 가이드(922)의 축공 및 상기 하부 가이드(921)의 슬롯을 관통하여 수직하게 장착되는 누름 샤프트(923)와;
    상기 누름 샤프트(923)가 상기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에 의해 눌러져 하측으로 이동시,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샤프트 스프링(924)과;
    상기 누름 샤프트(923)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누름 샤프트(923)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상부 가이드(922)과 하부 가이드(921)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슬롯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이동 누름편(925); 및
    상기 하부 가이드(921)과 상부 가이드(922) 사이에서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누름 샤프트(923)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 누름편(925)에 의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1 잠금모듈(910)의 지지부(912) 위에 걸려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잠금쇠(9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누름편(925)의 전방측 연단부에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제1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쇠(926)의 후방측 연단부에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제2 누름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누름 샤프트(923)가 하측으로 이동시, 상기 이동 누름편(925)의 제1 누름면으로 상기 잠금쇠(926)의 제2 누름면을 경사 방향으로 눌러 상기 외측으로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모듈(910)의 누름부(911)에 의해 상기 누름 샤프트(923)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잠금쇠(926)를 상기 제1 잠금모듈(910)의 지지부(912) 위에서 상기 제2 잠금모듈(920)의 하부 가이드(921)과 상부 가이드(922) 사이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잠금 해제 스프링(9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폴은,
    제1 폴(100)과;
    상기 제1 폴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2 폴(200)과;
    상기 제2 폴의 내측에 끼워지는 제3 폴(400)과;
    상기 제3 폴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단부에는 설치 대상인 목적물이 조립되는 제4 폴(600)과;
    상기 제4 폴(600) 내지 제2 폴(200)을 순차로 인양시키도록 권취된 와이어 로프(300, 500, 700); 및
    상기 와이어 로프를 상측으로 당기거나 푸는 액추에이터(6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KR1020230095896A 2023-07-24 2023-07-24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KR102670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896A KR102670657B1 (ko) 2023-07-24 2023-07-24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5896A KR102670657B1 (ko) 2023-07-24 2023-07-24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0657B1 true KR102670657B1 (ko) 2024-05-31

Family

ID=91330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5896A KR102670657B1 (ko) 2023-07-24 2023-07-24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06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56U (ko) * 1994-06-20 1996-01-19 김복수 천막 지주의 연결장치
KR100896169B1 (ko) 2007-04-09 2009-05-12 박영훈 다단식 에어 폴
KR101032575B1 (ko) 2008-12-29 2011-05-06 박종호 자력을 이용한 다단식 자동폴
KR101809144B1 (ko) 2017-07-06 2017-12-14 (주)케이제이티 전선이 내장된 다단식 지주 타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56U (ko) * 1994-06-20 1996-01-19 김복수 천막 지주의 연결장치
KR100896169B1 (ko) 2007-04-09 2009-05-12 박영훈 다단식 에어 폴
KR101032575B1 (ko) 2008-12-29 2011-05-06 박종호 자력을 이용한 다단식 자동폴
KR101809144B1 (ko) 2017-07-06 2017-12-14 (주)케이제이티 전선이 내장된 다단식 지주 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9004B1 (ko) 절첩 텐트프레임
JP5138817B2 (ja) キャノピーテント
WO2012119963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US10252895B2 (en) Solar array lifter and method
JP2013518786A (ja) 入れ子式伸縮動力装置
KR20100021534A (ko) 작업 플랫폼
US20140311057A1 (en) Maximum Strength, Reduce Weight Telescoping Mast with Interlocking Structural Elements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KR102670657B1 (ko) 추락 방지 장치가 있는 다단식 폴
KR20070078521A (ko) 승강구동식 조명타워
RU2756644C1 (ru) Оболочка конструкционного каната для сооружения, способы установки и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CN113508228A (zh) 风力涡轮机塔架中的电力线缆安装
KR101809144B1 (ko) 전선이 내장된 다단식 지주 타워
KR101049893B1 (ko) 내풍압성이 우수한 가로등
EP2286045A1 (en) Telescopic mast
KR100900050B1 (ko)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CN115810897A (zh) 一种电力时间授时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768580B1 (ko) 확장형 연등 리프팅 장치
KR102629477B1 (ko) 조명탑의 다단식 지주
JP2022112630A (ja) 仮囲い養生装置
KR102596724B1 (ko) 야외부양건축물의 부력승하강장치
KR100904093B1 (ko) 다단식 조명탑의 와이어링 하네스
JP4079061B2 (ja) 吊り足場
CN206636467U (zh) 绕绳机构、上轨组件及窗帘
KR101587242B1 (ko)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