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3628A - 승강형 지주대 - Google Patents

승강형 지주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3628A
KR20130033628A KR1020110097390A KR20110097390A KR20130033628A KR 20130033628 A KR20130033628 A KR 20130033628A KR 1020110097390 A KR1020110097390 A KR 1020110097390A KR 20110097390 A KR20110097390 A KR 20110097390A KR 20130033628 A KR20130033628 A KR 20130033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fting
elevating
op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명자
Original Assignee
안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명자 filed Critical 안명자
Priority to KR1020110097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3628A/ko
Publication of KR20130033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형 지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방범카메라나 전등의 승강구조를 기존에 비해 간소하게 구현하여 외관성을 높이고 제작 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승강과정에서 전선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성을 높이고 노출에 의한 훼손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승강과정에서 전선의 과도한 꺽임을 방지함과 더불어 타 구성요소와의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선의 훼손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형 지주대{POLE OF ELEVATING TYPE}
본 발명은 cctv카메라 또는 조명기구가 설치되는 지주대에 관한 것으로, cctv나 조명기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기존에 비해 구조를 간소화 하고 전선의 꺽임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방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로 인해 cctv카메라나 가로등의 설치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cctv용 카메라나 가로등은 모두 지주의 최상단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시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통해 지주 상단까지 올라가서 작업을 실시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추락사고 발생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28870호가 있는데, 이 기술은 메인지주 일측에 레일 형태의 보조지주를 설치하고 cctv카메라가 설치된 승하강브라켓이 별도의 윈치부를 통해 보조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보조지주 일측에는 별도의 전선관이 설치되어 승강과정에서 승하강브라켓과 연결된 전선케이블이 전선보호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도록 하여 삽입상태에서 전선의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위 종래기술은 전선보호관과 보조지주가 별도 분리된 구조로 설치됨에 따라 제작 및 설치구조가 복잡해지고 전체적으로 소요되는 부품이 많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승강브라켓의 하강과정에서 전선케이블이 전선보호관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못하고 바람등에 의해 전선이 과도하게 흔들려 불필요한 접촉으로 인해 훼손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승강브라켓의 상승에 의해 전선이 전선보호관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전선 일부가 전선보호관의 하단모서리에 접촉되어 꺽이게 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의 피복이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만약 시공과정에서 전선보호관이 보조지주와 정확히 수평상태로 위치하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경우 승강과정에서 전선과의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되어 전선피복이 훼손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전선보호관과 보조지주와의 정확한 수평 설치가 실질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위와 같은 전선의 훼손발생을 막기 힘들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28870호(등록일자 2009.11.20)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방범카메라나 전등의 승강구조를 기존에 비해 간소하게 구현하여 외관성을 높이고 제작 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도 낮출 수 있는 승강형 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승강과정에서 전선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성을 높이고 노출에 의한 훼손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승강형 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승강과정에서 전선의 과도한 꺽임을 방지함과 더불어 타 구성요소와의 불필요한 접촉을 최소화 함으로써 전선의 훼손가능성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승강형 지주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지면 상에 세워져 있는 메인지주, 상기 메인지주 일측에 수평 상태로 세워져 있고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연통된 전선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지주, 상기 보조지주에 결합되어 보조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고 상기 전선수용공간에 배설되어 상기 전선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전선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의 승강대상물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주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 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보조지주와 일체로 외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되어 승강프레임의 승강 과정에서 함께 승강 가능하고 승강과정에서 상기 전선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선인출구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은 측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훼손방지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케이블은 상기 훼손방지롤러 둘레면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전선인출구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의 전면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제2걸림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 중 상기 전선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는 받침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케이블은 상기 받침편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보조지주가 승강프레임의 승강경로 역할 및 전선의 수용기능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보조지주와 전선보호관이 별도로 구비된 종래기술에 비해 전체 구성이 간소화되어 제작 및 설치가 손쉬워 지고 외관상으로도 간소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승강프레임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전선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전선의 외부노출이 최소화됨에 따라 외관상 간소해지고 전선의 훼손 가능성이 최소화 되는 장점도 갖게 된다.
또한 승강과정에서 전선이 보조지주 모서리와 불필요하게 접촉되지 않고 개폐판의 훼손방지롤러 둘레면에 걸쳐진 상태로 인출 및 인입되기 때문에 전선피복이 훼손되는 현상이 차단되고, 전선의 원활한 인출 인입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일부 확대 사시도
도3은 분해사시도
도4는 평단면도
도5는 보조지주의 평 단면도
도6은 전체 측단면도
도7은 하강 상태의 전체 측단면도
도8은 하강 상태의 전체 사시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승강형 지주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메인지주(100)와 보조지주(200), 개폐판(300), 승강프레임(400), 승강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메인지주(100)는 본 발명의 전체 지지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가로등지주처럼 봉 형태이고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참고로 메인지주(100)는 설치상태에서 바람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위쪽으로 다단 형태로 직경이 줄어드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설치장소 등에 따라 외부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면 전체가 동일직경인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지주(1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승강대상물, 즉 cctv카메라나 등기구로 전원공급하고 영상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전선케이블이 배설되어 있고 전선케이블은 일부가 메인지주(100)로부터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상 설명한 메인지주(100)에는 보조지주(200)가 연결설치된다.
보조지주(200)는 cctv카메라나 조명기구 등의 승강대상물(1)과 전선 등이 설치됨과 동시에 승강대상물의 승강하는 과정에서 승강경로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메인지주(100)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중공각관 형태를 띠며 메인지주(100)와 수평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중공각관 형태로 인해 내부에는 전선수용공간(210)이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지주(200)의 전후측 외부면에는 후술하는 승강프레임(400)의 승강경로 역할을 하기 위한 가이드레일(220)이 보조지주(200)의 전체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레일(220)의 단면형상이 삼각형 구조인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가이드레일(220)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승강롤러(410)의 모양에 따라 사각형이나 반원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이드레일(220)을 보조지주(200)로부터 돌출형성된 구조가 아니라 홈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의 보조지주(200)는 종래기술과 달리 승강레일구조과 전선보호관의 구조 및 기능이 통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지주(200)의 일측부에는 승강과정에서 전선케이블의 외부인출을 위한 전선인출구(230)가 보조지주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지주(200)는 일측부가 개방된 각관 형태를 갖는 것이다.
이때 보조지주(200) 중 전선인출구(230)의 양측면에는 후술하는 개폐판(300)의 설치 및 승강경로 역할을 하기 위한 가이드홈(240)이 보조지주 전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보조지주(200)는 메인지주(10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수평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별도의 연결프레임(2)을 통해 메인지주(100)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지주(200)에는 개폐판(300)이 설치된다.
개폐판(300)은 후술하는 승강프레임(400)의 승강과정에서 보조지주(200)의 전선인출구(2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전선케이블의 외부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전선케이블의 승강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조지주(200)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사각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개폐판(300)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훼손방지롤러(340)의 설치를 위한 설치홈(310)의이 형성되고 설치홈(310)의 하단에는 돌기 형태의 제1걸림부(320)가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개폐판(300)의 하단부에는 판재형태의 받침편(330)이 수직방향으로 꺽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폐판(300)은 양측단부가 보조지주(200)의 가이드홈(240)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보조지주(200)의 전선인출구(230)는 개폐판(300)에 의해 폐쇄된 형태가 되는데,
이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개폐판(300)의 길이가 보조지주(200)보다 짧기 때문에 보조지주(200)의 전선인출구(230) 전체가 폐쇄되지는 않고 상하 일부 구간은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개폐판(300)은 보조지주(200)와의 길이차이만큼 가이드홈(240)의 형성경로를 따라 슬라이딩 형태로 승강이 가능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개폐판(300)에는 훼손방지롤러(340)가 설치되는데,
훼손방지롤러(340)는 전선케이블(3) 중 외부로 인출된 구간이 개폐판(300)의 모서리와 접촉되어 급격하게 꺽이거나 피복 등이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단순 원형 롤러 형태이고 양단의 롤러축이 개폐판(300)의 설치홈(310)에 연결되어 설치홈(31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개폐판(300)이 설치된 상태에서 메인지주(100)로부터 배설된 전선케이블(3)은 보조지주(200)의 전선수용공간(210)의 하측으로 인입된 후 전선수용공간(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쪽으로 배설된 뒤 단부가 전선인출구(230)의 위쪽 개방지점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이때 전선인출구(230)를 통해 인출되어 있는 전선케이블은(3) 훼손방지롤러(340)의 둘레면에 걸쳐진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보조지주(200)의 전선수용공간(210)에 수용된 전선케이블(3)은 승하강 과정에서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수용공간(210) 내에서 축 늘어진 형태로 위치되는데, 이때 전선케이블(3)은 개폐판(300)의 받침편(330) 상에 안착되어 개폐판(300)의 승강과정에서 전체가 함께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개폐판(3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보조지주(200)에는 승강프레임(400)이 연결된다.
승강프레임(400)은 cctv카메라나 조명등과 같은 승강대상물(1)이 설치되어 승강대상물을 승강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박스 형태이고 양측부에는 승강롤러(4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면에는 cctv카메라나 조명등기구와 같은 승강대상물(1)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승강프레임(400)은 보조지주(200)의 상단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의 승강롤러(410)가 보조지주(200)의 각 가이드레일(220)에 연결됨에 따라 보조지주와 결합됨과 동시에 승강과정에서 승강롤러(410)와 보조지주(200)간의 연결구조로 인해 원활하게 상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승강프레임(400)의 상부면에는 전선케이블(3)이 통과할 수 있는 장공 형태의 관통공(40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승강프레임(400)의 하단에는 걸림턱 형태의 제2걸림부(420)가 형성되어 있고 개폐판(300)의 제1걸림부(320)가 제2걸림부(420) 상에 안착됨에 따라 승강프레임(400)이 승강과정에서 개폐판(300)도 함께 승강되는 구조를 갖게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제1걸림부(320)와 제2걸림부(420)가 모두 돌기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둘 중 어느 하나는 홈 형태로 구현되어 상호 삽입구조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보조지주(200)의 전선인출구(230)로부터 인출된 전선케이블(3)은 단부가 승강프레임(400)의 관통공(401) 아래에서부터 관통한 뒤 승강대상물(1)에 연결된다.
이때 전선케이블(3)은 훼손방지롤러(340)의 곡면 상에 걸쳐진 상태로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대상물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전선케이블이 급격하게 꺽이는 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보조지주(200) 상단모서리와의 접촉에 의해 피복이 벗겨지는 등의 훼손이 방지된다.
이렇게 설치된 승강프레임(400)은 별도의 승강구동부(500)와 연결된다.
승강구동부(500)는 승강프레임(400)의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이 발생되는 부분으로, 다시 케이스(510)와 구동모터(520), 권취휠(530), 제2케이스(540), 지지롤러(550) 및 연결와이어(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중 케이스(510)는 명칭 그대로 승강구동부(500)의 커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박스 형태이고 내부에는 설치공간(51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구동모터(520)는 실체 승강에 필요한 구동력이 발생 되는 요소로 일반적인 dc 또는 ac모터가 사용되며 케이스(510)의 설치공간(512) 내에 위치된다.
그리고 권취휠(530)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후술하는 연결와이어를 당기거나 풀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롤러 형태이고 회전축이 구동모터(520)의 모터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2케이스(540)는 후술하는 지지롤러(55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제1케이스(510)처럼 박스 형태이고 메인지주(100)와 보조지주(200) 상단부에 안착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롤러(550)는 후술하는 연결와이어(560)의 원활한 이동유도 및 이동경로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단순 롤러 형태이고 제2케이스(540) 내부에 위치하되 메인지주(100) 상단부와 보조지주(200) 상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연결와이어(560)는 구동모터(520)의 구동력을 승강프레임(400)으로 전달하는 매채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권취휠(530)에 감겨있는 상태에서 케이스(510) 외부로 인출되어 지지롤러(550)에 권취된 후 다시 아래로 인출되어 단부가 승강프레임(400)에 연결된다.
따라서 승강프레임(400)은 연결와이어(560)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위치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승강구동부의 구동모터(520) 대신에 회전레버를 권취휠(530)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회전레버를 회전시켜 권취휠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조 등으로도 구현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과정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승강대상물(1)이 사용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승강대상물(1)을 비롯해 승강프레임(400) 전체가 보조지주(200) 최상단 부근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연결와이어(560)는 팽팽하게 당겨져 있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승강프레임(400)이 상승된 상태가 유지되고, 양측 승강롤러(410)가 보조지주(200)의 양측에 맞물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승강프레임(400)의 흔들림이 차단된다.
그리고 전선케이블(3)이 항시 보조지주(200)의 전선수용공간(210)에 수용되어 있고 전선수용공간(210)은 개폐판(300)에 의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수용공간(210)내 전선케이블(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부접촉 등으로 인해 훼손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전선케이블(3)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가 보조지주(200)에 통합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보호관이 별도로 구비된 종래기술에 비해 구조가 훨씬 간소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지보수 등을 위해 승강대상물을 아래로 하강시키고자 할 경우, 구동모터(520)를 작동시키면 권취휠(530)이 회전함에 따라 연결와이어(560)가 권취휠로 부터 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승강프레임(400)을 비롯해 승강대상물(1)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승강대상물(1)은 항시 연결와이어(56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급격히 아래로 하강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하강과정에서 양측 승강롤러(410)가 가이드레일(220)의 형성경로를 따라 회전되기 때문에 승강프레임(400)이 안정적으로 하강된다.
이이렇게 승강프레임(40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제1, 2걸림부(320)(420)를 통해 승강프레임(400)에 걸쳐져 있던 개폐판(300)도 자중에 의해 아래로 함께 하강한다.
승강프레임과 차단막이 그리고 승강프레임(400)이 하강하는 연결되어 있는 개폐판(300)도 자중에 의해 함께 하강되고 이때 전선수용공간(210)내 전선케이블(3)이 개폐판(300)의 받침편(330)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케이블(3) 전체도 함께 하강된다.
이렇게 승강프레임(400)과 개폐판(300) 및 전선케이블(3)이 함께 하강되기 때문에 승강프레임(400)의 하강과정에서 전선케이블(3)이 외부로 추가적으로 인출되지 않고 최초 인출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종래기술은 승강프레임(400)의 하강과정에서 전선케이블이 전선보호관으로 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는 반면, 본 발명은 하강과정에서도 전선케이블(3)이 보조지주(200)의 전선수용공간(210)내에 수용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그만큼 외부노출에 의한 전선케이블의 훼손방지효과를 높일 수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유지보수가 완료된 후 승강대상물(1)을 다시 위쪽으로 승강시키고자 할 경우, 구동모터(520)를 통해 권취휠을 반대로 회전시켜 연결와이어를 잡아당기면 승강프레임(400)과 승강대상물(1)이 함께 상승된다.
이 과정에서 승강프레임(400)이 제1, 2걸림부(320)(420)를 통해 연결된 개폐판(300)을 끌고 올라가게 되고 개폐판(300)이 상승함에 따라 받침편(330)에 안착된 전선케이블(3)도 함께 상승함으로써 전선케이블(3)이 팽팽하게 당겨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하나의 보조지주(200)에 전선케이블(3)의 노출차단기능과 승강프레임(400)의 승강경로 가이드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전체 구조를 간소화 함은 물론, 항시 전선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전선케이블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승강과정에서 전선케이블(3)도 개폐판(300)에 의해 함께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전선케이블이 팽팽하게 당겨지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Claims (8)

  1. 지면 상에 세워져 있는 메인지주,
    상기 메인지주 일측에 수평 상태로 세워져 있고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상기 전선수용공간과 연통된 전선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보조지주,
    상기 보조지주에 결합되어 보조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고 상기 전선수용공간에 배설되어 상기 전선인출구로부터 인출된 전선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의 승강대상물이 설치되어 있는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승강형 지주대.
  2. 제1항에서,
    상기 보조지주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의 승강 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이동하는 가이드롤러
    를 더 포함하는 승강형 지주대.
  3. 제2항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보조지주와 일체로 외부를 향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승강형 지주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승강프레임과 연결되어 승강프레임의 승강 과정에서 함께 승강 가능하고 승강과정에서 상기 전선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을 더 포함하는 승강형 지주대.
  5. 제4항에서,
    상기 전선인출구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은 측부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승강형 지주대.
  6. 제5항에서,
    상기 개폐판의 상단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훼손방지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케이블은 상기 훼손방지롤러 둘레면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전선인출구를 통과하고 있는
    승강형 지주대.
  7.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개폐판의 전면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에는 상기 제2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걸림부가 상기 제2걸림부 상에 안착되어 있는
    승강형 지주대.
  8. 제4항 또는 제5항에서,
    상기 개폐판 중 상기 전선수용공간을 향하는 면에는 받침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선케이블은 상기 받침편에 안착되어 있는 승강형 지주대.
KR1020110097390A 2011-09-27 2011-09-27 승강형 지주대 KR201300336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90A KR20130033628A (ko) 2011-09-27 2011-09-27 승강형 지주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90A KR20130033628A (ko) 2011-09-27 2011-09-27 승강형 지주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28A true KR20130033628A (ko) 2013-04-04

Family

ID=4843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90A KR20130033628A (ko) 2011-09-27 2011-09-27 승강형 지주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3628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786B1 (ko) * 2015-07-30 2015-12-29 (주)페타네트워크 Cctv 수동 리프터
KR101583611B1 (ko) * 2015-02-12 2016-01-19 김경환 벽부 승강 조명시스템
KR101635539B1 (ko) * 2016-02-17 2016-07-01 유한회사 혁신엔지니어링 Cctv용 조립식 폴
KR101638516B1 (ko) * 2016-02-17 2016-07-11 주식회사 현승 Cctv용 조립식 폴
KR101644857B1 (ko) * 2016-03-15 2016-08-02 (주)서울전업공사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KR101701640B1 (ko) * 2015-10-13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CN107869640A (zh) * 2017-10-27 2018-04-03 国网新疆电力公司检修公司 变电站可升降监控摄像头立杆装置
KR20200047857A (ko) * 2018-10-25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로 장애물 인지에 의한 열차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00308B1 (ko) * 2021-06-08 2021-09-09 티앤피 주식회사 Cctv카메라의 위치변경용 브라켓과 높이조절용 폴대가 구비된 포터블 함체
KR102309655B1 (ko) * 2021-07-15 2021-10-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CN113483210A (zh) * 2021-06-03 2021-10-0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环境监控装置
KR200495667Y1 (ko) * 2021-10-29 2022-07-21 김연충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3611B1 (ko) * 2015-02-12 2016-01-19 김경환 벽부 승강 조명시스템
KR101580786B1 (ko) * 2015-07-30 2015-12-29 (주)페타네트워크 Cctv 수동 리프터
KR101701640B1 (ko) * 2015-10-13 2017-02-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높이 조절장치
KR101635539B1 (ko) * 2016-02-17 2016-07-01 유한회사 혁신엔지니어링 Cctv용 조립식 폴
KR101638516B1 (ko) * 2016-02-17 2016-07-11 주식회사 현승 Cctv용 조립식 폴
KR101644857B1 (ko) * 2016-03-15 2016-08-02 (주)서울전업공사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CN107869640A (zh) * 2017-10-27 2018-04-03 国网新疆电力公司检修公司 变电站可升降监控摄像头立杆装置
KR20200047857A (ko) * 2018-10-25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선로 장애물 인지에 의한 열차속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483210A (zh) * 2021-06-03 2021-10-0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环境监控装置
KR102300308B1 (ko) * 2021-06-08 2021-09-09 티앤피 주식회사 Cctv카메라의 위치변경용 브라켓과 높이조절용 폴대가 구비된 포터블 함체
KR102309655B1 (ko) * 2021-07-15 2021-10-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KR200495667Y1 (ko) * 2021-10-29 2022-07-21 김연충 변전소용 카메라 리프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TWI603032B (zh)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KR101295982B1 (ko) 가로시설물의 회전식 지주
JP4637783B2 (ja) 照明装置
KR102155502B1 (ko)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장치
KR101236049B1 (ko) 가로시설물 지지용 지주
KR101497661B1 (ko) 접이식 폴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KR101780418B1 (ko)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CN211667690U (zh) 一种便于安装与维护的路灯安装装置
KR101436751B1 (ko) 가로등의 기(旗) 게양장치
KR100900050B1 (ko) 매립형 승강식 조명타워
KR101678032B1 (ko) 세트 틸트 배튼
KR101587242B1 (ko)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
CN211393761U (zh) 矿用井下传感器吊挂装置
JP5899586B2 (ja) 旗類掲揚・収納装置
JP4562450B2 (ja) 照明装置
KR102063481B1 (ko) 괘불화 자동 승강 장치
KR100859074B1 (ko)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JP3956451B2 (ja) 照明ポール
CN218455833U (zh) 一种小区活动场所安防用监控照明装置
JP2006149717A (ja) 舞台幕折上げ昇降装置
CN217974144U (zh) 一种道路交通用视频监控安装架
KR101587184B1 (ko) 승강식 조명타워
KR102419997B1 (ko) 현수막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