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55B1 -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55B1
KR102309655B1 KR1020210092921A KR20210092921A KR102309655B1 KR 102309655 B1 KR102309655 B1 KR 102309655B1 KR 1020210092921 A KR1020210092921 A KR 1020210092921A KR 20210092921 A KR20210092921 A KR 20210092921A KR 102309655 B1 KR102309655 B1 KR 102309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fixture
support
support body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현
윤상국
박경원
서석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9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으로서,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설치영역에 상기 관거용 보강구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관거용 보강구조를 설치하는 현장을 촬영수단을 통해 상시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수단은 카메라 브라켓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하며,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카메라커버(10); 및 카메라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커버를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부(21)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1)과 연결되는 수평프레임부(22)을 포함하되,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상에 연동되어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력과 촬영성능을 확보를 위한 연동고정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고정구조체는, 벽체구조물(1100)과,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단패널부(1120)와, 상기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하단패널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을 진퇴유동시키는 수평프레임구동체(1130)를 포함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PROVIDING METHOD FOR PEDESTAL STRUCTURE}
본 발명은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 등이 설치되는 터파기부에 상하수도관 등이 지지되는 기초콘크리트블록을 횡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수평버팀목을 설치하여 상하수도관 등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천유역이나 해안지역과 같이 흙에 수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수도관 및 배관이나, 또는 산간지역과 같이 지반의 붕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로도관은 지반의 침하로 인하여 해당 도관이 파손되는 경우가 비교적 자주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하수도관 및 침출수도관 및 배수도관 등(이하, '상하수도관'에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 한다.)의 설치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하수도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지지구의 구조가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부품수가 많아서 생산단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구는 상하수도관을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를 서로 결합하여 지반에 고정하여야 하는데, 그 결합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상호 결합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므로, 상하수도관의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관거용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어 주변의 상황을 상시 관찰하여 관거용 보강구조의 설치와 보수 상황에서 의도치 않은 불의의 사고로 각종 자산의 손실의 피해를 입거나, 반대로 피해를 입히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245061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침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천유역, 해안지역 및 산간지역 등에 상하수도관을 설치할 때 상하수도관이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하수도 또는 도시계획에 의한 단지도로 또는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 등을 위한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하수도관을 지지하는 받침틀의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되어 설치되는 받침틀의 구조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상하수도 또는 도시계획에 의한 단지도로 또는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 등을 위한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거용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어 주변의 상황을 상시 관찰하여 관거용 보강구조의 설치와 보수 상황에서 의도치 않은 불의의 사고로 각종 자산의 손실의 피해를 입거나, 반대로 피해를 입히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찰수단의 설치 및 유지에 있어 각종 물리적 충격 등에 대한 내진성능을 부여하여 기본적인 구조적 안정성은 물론, 촬영을 안정적으로 하여 촬영 관찰을 양호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촬영수단의 카메라, 브라켓 등 자체의 안정적인 동작이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저해되거나 파손이 가해지는 것 등을 방지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와 함께 구비되는 각각의 브라켓의 주요 구성부들이 상호간에 연계되어 고정되고, 이러한 연계에 있어 고정력을 부여하여 카메라 촬영의 안정성과 촬영품질 향상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력을 부여함에 있어 카메라와 브라켓이 설치되는 환경(예: 해당 현장의 종류, 충격발생 빈도, 충격발생 강도 등)을 고려하여 브라켓 구성부 상호간의 고정력 정도를 조절하여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카메라의 상하 이동 등에 따라 발생된 충격 취약해질 수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카메라의 이동에 대응하여 고정력을 보강시키고 신뢰성 있는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으로서,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설치영역에 상기 관거용 보강구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관거용 보강구조를 설치하는 현장을 촬영수단을 통해 상시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수단은 카메라 브라켓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하며,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카메라커버(10); 및 카메라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커버를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부(21)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1)과 연결되는 수평프레임부(22)을 포함하되,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상에 연동되어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력과 촬영성능을 확보를 위한 연동고정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고정구조체는, 벽체구조물(1100)과,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단패널부(1120)와, 상기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하단패널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을 진퇴유동시키는 수평프레임구동체(113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의 상기 진퇴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커버(10)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침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하천유역, 해안지역 및 산간지역 등에 상하수도관을 설치할 때 상하수도관이 침하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하수도관을 지지하는 받침틀의 구조를 간단하게 제작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줄여 생산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결합되어 설치되는 받침틀의 구조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관거용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있어 주변의 상황을 상시 관찰하여 관거용 보강구조의 설치와 보수 상황에서 의도치 않은 불의의 사고로 각종 자산의 손실의 피해를 입거나, 반대로 피해를 입히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찰수단의 설치 및 유지에 있어 각종 물리적 충격 등에 대한 내진성능을 부여하여 기본적인 구조적 안정성은 물론, 촬영을 안정적으로 하여 촬영 관찰을 양호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촬영수단의 카메라, 브라켓 등 자체의 안정적인 동작이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저해되거나 파손이 가해지는 것 등을 방지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와 함께 구비되는 각각의 브라켓의 주요 구성부들이 상호간에 연계되어 고정되고, 이러한 연계에 있어 고정력을 부여하여 카메라 촬영의 안정성과 촬영품질 향상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력을 부여함에 있어 카메라와 브라켓이 설치되는 환경(예: 해당 현장의 종류, 충격발생 빈도, 충격발생 강도 등)을 고려하여 브라켓 구성부 상호간의 고정력 정도를 조절하여 설치되도록 할 수 있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상하 이동 등에 따라 발생된 충격 취약해질 수 있는 부분을 보강하여 카메라의 이동에 대응하여 고정력을 보강시키고 신뢰성 있는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보강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보강구조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에서 발광수단을 다른 방향으로 장착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통신부, 제어부 및 센서부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통신부, 제어부 및 센서부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1c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를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는 상하수도관을 매설하기 위하여 땅을 소정 깊이로 굴토한 터파기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기 상하수도관이 지지되도록 반원형상의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블록과; 일측은 상기 기초콘크리트블록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터파기부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를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수평버팀목과; 상기 수평버팀목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기초콘크리트를 종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는 지지버팀목과; 상기 기초콘크리트가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터파기부의 지면에 수직으로 삽입되며, 상면이 상기 지지버팀목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버팀목과; 상단부는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하면에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수평버팀목 및 상기 지지버팀목에 관통되어 상기 수직버팀목의 상면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하면에는 자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콘크리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봉이 삽입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봉은 상기 기초콘크리트블록을 고정할 때 상기 수평버팀목에 지지되도록 중앙부에 걸림판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a과 도 1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수도관(1')을 매설하기 위하여 땅을 소정 깊이로 굴토한 터파기부(3')의 지면에는 상하수도관(1')이 지지되는 기초콘크리트블록(10')이 설치되어 있다.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상면에는 상하수도관(1')의 하측 외면이 지지되도록 반원형상의 결합홈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면 양측에는 결합봉(50')이 삽입되는 결합구멍(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기초콘크리트블록(10')은 수평버팀목(20')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지지되는데, 수평버팀목(20')의 일측은 기초콘크리트블록(10')에 고정되고, 타측은 터파기부(3')의 벽면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다. 수평버팀목(20')에는 결합봉(50')이 관통되도록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초콘크리트블록(10')은 지지버팀목(30')에 의하여 종방향으로도 지지되어 있다. 지지버팀목(30')은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하면 양측에서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며, 수평버팀목(20')의 하측에서 결합봉(50')에 의하여 수평버팀목(20')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버팀목(30')은 결합봉(50')이 관통되는 관통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양측 하면에 마련되어 있는 지지버팀목(30') 사이 즉, 파기부(3')의 지면과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하면 사이에는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자갈(60')이 더 마련되어 있다.
지지버팀목(30')의 하면에는 수직버팀목(40')이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고정되어 있으며, 수직버팀목(40')은 터파기부(3')의 지면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기초콘크리트블록(10')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 수직버팀목(40')은 결합봉(50')에 의하여 지지버팀목(30')에 고정되도록 상면에 결합봉(50')이 삽입되는 결합공(4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결합봉(50')은 기초콘크리트블록(10')을 고정할 때 결합봉(50')이 수평버팀목(20')에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수평버팀목(20')에 지지되는 걸림판(51')이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의 설치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하수도관(1')을 매설할 지면을 굴토하여 터파기부(3')를 형성하고, 터파기부(3')의 지면 양측에 수직버팀목(40')을 박아서 고정시킨다. 이때 수직버팀목(40')은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가로 길이와 동일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수직버팀목(40')의 결합공(41')과 지지버팀목(30')의 관통구멍(31')이 정렬되도록 수직버팀목(40')의 상면에 지지버팀목(30')을 위치시킨다. 이후, 수평버팀목(20')의 관통구멍(21')과 지지버팀목(30')의 관통구멍(31')이 정렬되도록 수평버팀목(20')을 터파기부(3')의 양측벽에 박아서 고정시킨 후, 결합봉(50')을 수평버팀목(20') 및 지지버팀목(30')의 관통구멍(31')과 수직버팀목(40')의 결합공(41')에 삽입하여 수평버팀목(20'), 지지버팀목(30') 및 수직버팀목(40')을 상호 고정시킨다. 그리고 지지버팀목(30') 사이에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하면이 지지되도록 자갈(60')을 깔고, 기초콘크리트블록(10')을 결합봉(50')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필요한 촬영수단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c을 참조하면, 따른 본 발명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1)은 카메라 커버(10) 및 프레임(20)을 주요하게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커버(10)는, 발광수단(11)에서 발광하는 빛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 카메라 커버(10)는 빛이 반사되지 않고 확산되는 재질(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술 될 프레임(20) 또한 커버(10)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수단(11)은 첨부된 도면의 도 2와 같이 카메라 커버(10)의 횡 방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종 방향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수단(11)의 배열 방식은 발광수단의(11)의 빛이 구현될 수 있도록 다양한 배열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수단(11)은 가로, 세로, 대각선 및 사선 등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발광수단(11)은 LED 및 면발광시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외에도 빛을 발광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이 되어도 무방하다. 발광수단(11)이 LED인 경우 칩, 램프 또는 소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수단(11)은 위험을 감지하여 위험을 경고할 수 있도록 복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발광수단(11)을 통해 구현되는 빛의 색깔은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및 백색 등의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이때, 여기서 백색 빛은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을 혼합하여 백색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백색 빛은 야간에 조명 기능 또는 방범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야간(평상시)에는 백색의 빛을 발광하여 주변을 밝힐 수 있으며, 위험을 감지하면, 백색 이외의 다른 색(청색, 적색, 황색 및 녹색)을 발광하여 주변에 위험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되는 빛이 점멸 또는 교번 되도록 설계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한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 카메라 커버(10)는 첨부된 도면에 의한 돔형 카메라 외에도 박스형, 사각형 및 총알형 등의 카메라의 다양한 종류에 대응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의 종류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를 적용가능하여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프레임(20)은 CCTV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서 카메라 커버(10)의 상부 또는 사용자에 따라 카메라 커버(10)의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
도 1c과 같이 돔형 카메라는 프레임(20)이 상부에 구성될 수 있으나, 박스형 및 총알형 카메라는 상부 또는 하부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커버(1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별개로 구성하여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프레임의 외면과 프레임이 연결되는 카메라 커버(10) 일측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이들을 돌려끼움으로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20)은, 카메라 커버(10)에 연결되어 카메라 커버(10)를 벽, 천장 또는 폴대 등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1c과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경우, 브라켓이 벽에 고정될 수 있으며, 프레임(20)이 도 1c과 같이 '「'형태로 구성되지 않고, 카메라 커버(10)의 수직방향인 일자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브라켓이 천장에 고정될수도 있다. 나아가, 도 1c과 같이 프레임(20)을 '「'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폴대에 고정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때 프레임(20)은, 상술된 바와 같이 그 재질을 빛의 투과율이 높은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커버(10) 발광수단(11)에서 발광되는 빛이 프레임(20)을 통해 확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은 CCTV 카메라를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일단에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CCTV 카메라 및/또는 카메라 커버(10)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은, 주변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이를 알리기 위해서 통신부(100), 제어부(200) 및 센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의 도 4 및 도 5를 통해 설명한다.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통신부, 제어부 및 센서부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즉, 첨부된 도면의 도 4와 같이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1)이 위험을 인식하고 주변에 위험을 알리기 위해서 프레임(20)은, 통신부(100), 제어부(200) 및 센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00)는,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센터와 무선통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으로는 블루투스, wCDMA, 지그비 또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채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400)는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조작할 수 있는 조작수단으로 구성되어, 마이크(410) 및 스피커(4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통신인터페이스(400), 마이크(410) 및 스피커(4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가 설치되는 벽 또는 폴대 등에 구성되거나, 프레임(2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통신인터페이스(400)를 통해서 마이크(410) 및 스피커(420)를 활성화시켜 관제센터에 위치한 관리자와 음성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관제센터 측에도 마이크 및 스피커(도면의 미표시)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따라서, 관제센터에 위치한 관리자가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 주변에서 발생한 위험을 신속히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CTV 카메라를 조작하고 조명을 제어하여 주변에 위험을 알리고, 관할처에 신고 등 신속한 후속 조치가 가능하다. 제어부(200)는 위험인식 모듈(210), 조명제어 모듈(220) 및 위험알림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위험인식 모듈(210)은 센서부(300)의 감지 값에 의해 위험발생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300)의 설명은 후술한다.
위험인식 모듈(210)은 위험 정도를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총 3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1단계는 위험이 인식되지 않는 단계로 평상시의 주변 상황을 조도감지 센서(330)를 통해 어둠을 인식하고, 열및 연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없으면, 1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2단계는 주의 및 경고의 단계로, 연기감지 센서(320)를 통해서 주변의 연기를 감지하면, 2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3단계는 비상사태의 단계로 열 감지 센서(310) 및 연기감지 센서(320)를 통해 열 및 연기를 동시에 감지하면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위에서 서술한 3단계는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예를 든 것으로, 다른 설계조건에 따라서 4단계, 5단계등 더 다양한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조명제어 모듈(220)은 위험인식 모듈(210)에 의해 위험이 인식되면, 발광수단(11)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수단(11)의 발광은 상술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하나의 색(백색)을 발광하고 있다가 위험정도에 따라 다른 하나의 색(황색, 적색 등)을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발광수단(11)에서 발광되는 빛이 단일 색으로 점멸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발광수단(11)에 의해 발광 될 수 있는 복수의 색(적색, 청색, 황색, 녹색 및 백색)의 색이 번갈아가며, 교번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발광수단(11)에서 빛이 점멸 또는 교번 되도록 함으로써, 위험이 발생한 경우,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들로 하여금 위험을 더욱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기 감지 센서(320)를 통해 주변 연기가 감지되면 낮과 밤에 상관없이 위험인식 모듈(210)이 2단계로 인식하여, 황색의 발광수단(11)을 점멸하여 주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열 감지 센서(310)와 연기 감지 센서(320)를 통해 동시에 열 및 연기를 감지하면 위험인식 모듈(210)이 3단계의 비상사태로 인식하여, 적색의 발광수단(11)을 점멸할 수 있다.
여기서 점멸은 발광수단이 on/off를 반복하면서 주변에서 위험상황을 빨리 인식할 수 있으며, 경고를 나타내는 황색과 비상사태를 나타내는 적색의 발광수단(11)의 색이 번갈아 가면서 발광하여 하여 위험을 빨리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제어 모듈(220)은 위험 발생을 인식하여 발광수단(11)을 제어하여 주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다. 센서부(300)는 주변의 열을 감지할 수 있는 열 감지 센서(310), 연기를 감지 할 수 있는 연기감지 센서(320) 및 주변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는 조도감지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되는 CCTV 카메라의 장소에 따라 다양한 센서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화합물을 취급하는 공장주변에는 가스센서, 불꽃 센서 및 방사능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위험알림 모듈(230)은 위험발생을 인식하면 위험을 통신모듈(110)을 통해서 관제센터의 관리자에게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통신부, 제어부 및 센서부의 다른 일예를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통신부(100)에 카메라통신모듈(120), 제어부(200)에 영상분석 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통신 모듈(120)은 카메라 커버(10)에 장착된 카메라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분석 모듈(240)은 CCTV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고 수신할 수 있는 영상수신 유닛(241)과 영상분석 유닛(242)을 포함한다. 영상분석 유닛(242)은 CCTV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을 통해 위험 상황을 분석할 수 있다. 특정 시간대의 사람, 금지구역 또는 화재 등이 발생되면 영상분석 유닛(242)을 통해 위험을 분석하고, 영상수신 유닛(241)을 통해 영상을 수신하여 관제센터에 위험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는 설치되어있는 센서를 통해서 위험을 감지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으로 전송된 CCTV영상을 관리인이 분석하여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한 위험을 인지하여 주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도록 설계된 다양한 색의 발광수단을 통해서 위험순위에 따라 주변에 위험을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CCTV에 CCTV 카메라용 브라켓 장치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CCTV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냉용게 기반하여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카메라커버(10); 및 카메라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커버를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부(21)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1)과 연결되는 수평프레임부(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상에 연동되어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력과 촬영성능을 확보를 위한 연동고정구조체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연동고정구조체는, 벽체구조물(1100)과,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단패널부(1120)와, 상기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하단패널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을 진퇴유동시키는 수평프레임구동체(11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의 상기 진퇴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커버(10)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고정구조체는,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1받침몸체(1141)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 하단패널부(1120)에 고정 설치되는 제1받침구조체(1142)와 상기 제1받침몸체(1141)의 외측으로 이웃하도록 설치되는 제2받침몸체(115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 하단패널부(1120)에 고정 설치되는 제2받침구조체(1152)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와 상기 제2받침구조체(1152)는 각각 상기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로부터 하부로 유동하고, 상기 하단패널부(1120)로부터 상기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가 상기 수평프레임부(22)를 상부로 눌러 받치도록 제1 상승힘을 가하며, 상기 상단패널부(1110)는, 하부에 상기 수평프레임부(22)를 하부로 압입고정하여 상기 제1 상승힘과 대응하는 제1 하강힘을 가하는 압입고정체가 설치된다.
상기 압입고정체(116)는, 상기 제1받침몸체(1141)의 상부 대향부에 위치되어 압입하는 제1압입고정체(116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의 상부 대향부에 위치되어 압입하는 제2압입고정체(1162)와, 상기 제1압입고정체(1161)와 상기 제2압입고정체(116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 사이의 중간영역을 압입하는 중간압입고정체(1163)와, 상기 제2압입고정체(1162)의 외측에 이웃하는 제3압입고정체(1164)와, 상기 제3압입고정체(1164)의 외측에 이웃하는 제4압입고정체(1165)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압입고정체(1161) 내지 상기 제4압입고정체(1165)와, 상기 중간압입고정체(1163)는 상기 제1 상승힘에 대응하거나 추가로 필요한 보강힘에 따라 선택적 혹은 전체적으로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대하여 압입을 수행하며, 상기 제1압입고정체 내지 상기 제4압입고정체(1165)와, 상기 중간압입고정체(1163)는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삽입장착되는 삽입단구조체(116a) 각기 구비되어,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대한 고정력을 다시 가한다.
이러한 상기 상단패널부(1110)의 일단의 하부에는 하단외곽이동체(1110a)와, 상기 하단외곽이동체(1110a) 하방단부에 고정되는 하단외곽구동체(1110b)와, 상기 하단외곽구동체(1110b)에서 상기 하단외곽이동체(1110a)와 직교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수직프레임부(21)에 외삽되는 외삽패널부(1110c)를 포함하되,
상기 외삽패널부(1110c)는 상기 하단외곽구동체(1110b)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여 상기 수직프레임부(21)와 상기 카메라커버(10)를 충격에 의한 진동발생을 억제시키되, 상기 수직프레임부(21)는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서 일정범위 유동하여 하부이동 가능하며, 상기 외삽패널부(1110c)는 상기 하부이동에 따라 위치가 확정된 상태에서 전진 혹은 후진하여 상기 위치가 확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21)를 최종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받침몸체(1141)의 외측면에 외측구동부(1141a)가 설치되며, 상기 외측구동부(1141a)는 푸시수단(1141b)을 통해 상기 제2받침몸체(1151)를 외측으로 푸시힘을 가하며, 상기 벽체구조물(1100)은, 상단영역 출몰하여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밀어 고정하는 제1상단푸시모듈(1100a)과, 하단영역에서 출몰하여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밀어 고정하는 제1하단푸시모듈(1100b)이 구비된다.
상기 제2받침구조체(1152)는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누르는 제2상단푸시모듈(1100c)과,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누르는 제2하단푸시모듈(1100d)을 포함하되, 상기 제2상단푸시모듈(1100c)은 상기 제1상단푸시모듈(1100a)의 반대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의 영역을 누른다. 상기 제2하단푸시모듈(1100d)은 상기 제1하단푸시모듈(1100b)의 반대영역에 해당되는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의 영역을 누른다.
아울러 상기 변체구조물(1100)은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와 상기 제2받침구조체(1152)를 관통하는 관통체(117)와, 상기 관통체(117)의 외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커버(1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는 장착링(118)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체(117)의 유동으로 상기 장착링(118)이 상기 카메라커버(10)를 고정시키도록한다. 상기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하단패널부(1120)는 상기 벽체구조물(1100)상에서 상호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카메라커버는(10)는 카메라의 촬영범위를 변경시키도록 상기 수직프레임(21)상에서 회동되며, 상기 카메라커버(10)는 하부가 전방외측을 향하고 측면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회동된다.
상기 하단패널부(1120)는 외측으로 전후유동되는 구비되는 전진패널(1120a)과, 상기 전진패널(1120a)의 상부로 구비되는 수직패널(1120b)과, 상기 수직패널(1120b)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커버(10)의 상기 하부로 위치된 측면부를 받치는 받침구조체(1120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커버(10)의 상기 측면부는 금속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구조체(1120c)은 상기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측면부를 자성으로 결합하여 받침고정시키며, 상기 카메라커버(10)의 회동에 의하여 상부에서 측면부로 위치된 상면부와 상기 제2받침구조체(1152) 사이에는 보강구조체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구조체는 상기 제2받침구조체(1152)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조체(1152a)와, 상기 고정구조체(1152a)의 전면으로 출몰되며 금속재질을 포함하는 상기 상면부에 자성결합하여 고정되는 결합체(1152b)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상하수도관 3 : 터파기부
10 : 기초콘크리트블록 20 : 수평버팀목
30 : 지지버팀목 40 : 수직버팀목
50 : 결합봉 60 : 자갈

Claims (3)

  1.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으로서,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설치영역에 상기 관거용 보강구조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관거용 보강구조를 설치하는 현장을 촬영수단을 통해 상시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수단은 카메라 브라켓 장치를 포함하는 촬영수단을 포함하며,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카메라커버(10); 및 카메라 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 커버를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20)은 수직프레임부(21)와 상기 수직프레임부(21)과 연결되는 수평프레임부(22)을 포함하되,
    카메라 브라켓 장치는,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상에 연동되어 상기 카메라커버(10)와 상기 프레임(20)의 고정력과 촬영성능을 확보를 위한 연동고정구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고정구조체는,
    벽체구조물(1100)과,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벽체구조물(1100)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단패널부(1120)와,
    상기 상단패널부(1110)와 상기 하단패널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을 진퇴유동시키는 수평프레임구동체(113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의 상기 진퇴유동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커버(10)의 위치이동이 이루어지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고정구조체는,
    상기 수평프레임부(22)의 하단에 설치되는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1받침몸체(1141)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 하단패널부(1120)에 고정 설치되는 제1받침구조체(1142)와
    상기 제1받침몸체(1141)의 외측으로 이웃하도록 설치되는 제2받침몸체(115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 하단패널부(1120)에 고정 설치되는 제2받침구조체(115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와 상기 제2받침구조체(1152)는 각각 상기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로부터 하부로 유동하고, 상기 하단패널부(1120)로부터 상기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가 상기 수평프레임부(22)를 상부로 눌러 받치도록 제1 상승힘을 가하며,
    상기 상단패널부(1110)는,
    하부에 상기 수평프레임부(22)를 하부로 압입고정하여 상기 제1 상승힘과 대응하는 제1 하강힘을 가하는 압입고정체(116)가 설치되며,
    상기 압입고정체(116)는,
    상기 제1받침몸체(1141)의 상부 대향부에 위치되어 압입하는 제1압입고정체(116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의 상부 대향부에 위치되어 압입하는 제2압입고정체(1162)와,
    상기 제1압입고정체(1161)와 상기 제2압입고정체(1162)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받침몸체(1141)와 상기 제2받침몸체(1151) 사이의 중간영역을 압입하는 중간압입고정체(1163)와,
    상기 제2압입고정체(1162)의 외측에 이웃하는 제3압입고정체(1164)와,
    상기 제3압입고정체(1164)의 외측에 이웃하는 제4압입고정체(1165)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압입고정체(1161) 내지 상기 제4압입고정체(1165)와, 상기 중간압입고정체(1163)는 상기 제1 상승힘에 대응하거나 추가로 필요한 보강힘에 따라 선택적 혹은 전체적으로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대하여 압입을 수행하며,
    상기 제1압입고정체 내지 상기 제4압입고정체(1165)와, 상기 중간압입고정체(1163)는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삽입장착되는 삽입단구조체(116a) 각기 구비되어,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 대한 고정력을 다시 가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패널부(1110)의 일단의 하부에는 하단외곽이동체(1110a)와,
    상기 하단외곽이동체(1110a) 하방단부에 고정되는 하단외곽구동체(1110b)와,
    상기 하단외곽구동체(1110b)에서 상기 하단외곽이동체(1110a)와 직교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수직프레임부(21)에 외삽되는 외삽패널부(1110c)를 포함하되,
    상기 외삽패널부(1110c)는 상기 하단외곽구동체(1110b)로부터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여 상기 수직프레임부(21)와 상기 카메라커버(10)를 충격에 의한 진동발생을 억제시키되,
    상기 수직프레임부(21)는 상기 수평프레임부(22)에서 일정범위 유동하여 하부이동 가능하며,
    상기 외삽패널부(1110c)는 상기 하부이동에 따라 위치가 확정된 상태에서 전진 혹은 후진하여 상기 위치가 확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부(21)를 최종 고정시키되,
    제1받침몸체(1141)의 외측면에 외측구동부(1141a)가 설치되며, 상기 외측구동부(1141a)는 푸시수단(1141b)을 통해 상기 제2받침몸체(1151)를 외측으로 푸시힘을 가하며,
    상기 벽체구조물(1100)은,
    상단영역 출몰하여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밀어 고정하는 제1상단푸시모듈(1100a)과,
    하단영역에서 출몰하여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밀어 고정하는 제1하단푸시모듈(1100b)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받침구조체(1152)는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누르는 제2상단푸시모듈(1100c)과,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와 대향하는 대향면에 상기 제1받침구조체(1142)를 누르는 제2하단푸시모듈(1100d)을 포함하는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KR1020210092921A 2021-07-15 2021-07-15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KR102309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21A KR102309655B1 (ko) 2021-07-15 2021-07-15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21A KR102309655B1 (ko) 2021-07-15 2021-07-15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55B1 true KR102309655B1 (ko) 2021-10-08

Family

ID=78609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21A KR102309655B1 (ko) 2021-07-15 2021-07-15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0452A (zh) * 2023-08-21 2023-09-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电缆护管的支撑机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51Y1 (ko) * 2006-01-27 2006-04-05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20130033628A (ko) * 2011-09-27 2013-04-04 안명자 승강형 지주대
KR101694523B1 (ko) * 2015-07-01 2017-01-23 박성진 위험을 알리는 cctv 카메라용 브라켓
KR102214540B1 (ko) * 2020-05-11 2021-02-09 주식회사 나눔정보 감시카메라의 촬영 영역 조정형 전신주
KR102245061B1 (ko) 2020-08-20 2021-04-28 테크줌코리아 합자회사 차집 관거용 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물막이 및 물 돌리기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251Y1 (ko) * 2006-01-27 2006-04-05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하수도, 상수도,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KR20130033628A (ko) * 2011-09-27 2013-04-04 안명자 승강형 지주대
KR101694523B1 (ko) * 2015-07-01 2017-01-23 박성진 위험을 알리는 cctv 카메라용 브라켓
KR102214540B1 (ko) * 2020-05-11 2021-02-09 주식회사 나눔정보 감시카메라의 촬영 영역 조정형 전신주
KR102245061B1 (ko) 2020-08-20 2021-04-28 테크줌코리아 합자회사 차집 관거용 차수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물막이 및 물 돌리기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80452A (zh) * 2023-08-21 2023-09-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电缆护管的支撑机构
CN116780452B (zh) * 2023-08-21 2024-01-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供电公司 一种用于电缆护管的支撑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9655B1 (ko) 하수도와 상수도와 도시계획 단지도로 하천과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보강구조 설치방법
KR101548087B1 (ko) 도로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1021139B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KR102467580B1 (ko) 지반침하 탐지장치
JP2012198652A (ja) 浸水警報発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3201743U (ja) 街中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用の街路灯
KR20090042042A (ko) 바닥분수 구조물 및 그 시스템
KR102329547B1 (ko) 시계열 분석을 위한 지아이에스 기반의 영상처리시스템 제공방법
KR20070076540A (ko) 파이프의 공중 가설 구조 및 파이프의 공중 가설 방법
KR102114588B1 (ko) 안전 전선고리가 설치되는 cctv 지주
KR102456929B1 (ko) 변압기에 접속된 지중송전선로의 케이블 이상 유무 감시 시스템
KR20080081514A (ko) 보안등
CN208346691U (zh) 升降路桩及道路通行管控设备
KR102305464B1 (ko) 딥러닝-기반 현장설치 산사태 감지 모듈
KR102384038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전신주의 기울기 측정시스템 제공방법
KR20040009695A (ko) 맨홀커버의 잠금장치
KR102329549B1 (ko) 픽셀단위로 확보된 영상이미지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제공방법
US20100259613A1 (en) Watching camera
WO1999036633A1 (fr) Trou d'homme a reglage de hauteur
CN217333520U (zh) 一种具备投射图标功能的疏散指示灯具
KR20220165930A (ko) 위험 알림형 맨홀뚜껑
CN213630173U (zh) 一种市政工程用照明装置
KR102338775B1 (ko) 영상 이미지 처리를 위한 영상이미지 확보용 카메라 브라켓 고정장치
CN211902778U (zh) 一种伸缩式基坑照明支架
KR20150019167A (ko) 맨홀 공사용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