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139B1 -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139B1
KR101021139B1 KR1020090031822A KR20090031822A KR101021139B1 KR 101021139 B1 KR101021139 B1 KR 101021139B1 KR 1020090031822 A KR1020090031822 A KR 1020090031822A KR 20090031822 A KR20090031822 A KR 20090031822A KR 101021139 B1 KR101021139 B1 KR 10102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ctv
guide rib
support
support bar
ligh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315A (ko
Inventor
윤은주
Original Assignee
핫씨씨티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핫씨씨티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핫씨씨티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139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특히 가로등에 복수의 CCTV용 카메라를 설치하되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공간을 동시에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조명수단을 연결시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은 가로등의 주벽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파이프(10)와; 상기 지지파이프(10)의 절곡된 하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하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원형고리 형태의 제1가이드리브(30)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의 내경보다 작은 형태로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연결되는 제2가이드리브(40)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와 이 제1가이드리브(30)의 수직하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2가이드리브(4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가이드리브(30,40)의 테두리를 따라 360°슬라이드되는 복수의 지지바(50)와; 이 각 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카메라부(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CCTV, 카메라부, 가로등, 조명구, 힌지수단, 투명커버, 슬라이드, 회전

Description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VARIOUS DIRECTION CAMERA DEVICE HAVING ILLUMINATOR FOR CCTV}
본 발명은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가로등에 복수의 CCTV용 카메라를 설치하되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공간을 동시에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조명수단을 연결시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백화점, 은행, 전시장 등의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침입, 도난 또는 화재 등을 비롯한 재해를 예방·방지 또는 신속한 처리를 위하여 감시카메라(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지하 주차장이나 주차 단속 등을 위한 도로 등에도 감시카메라가 많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는 적외선 LED(Infrared 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하 여 빛이 약한 야간이나 조명이 없거나 약한 장소에서도 감시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감시카메라가 일정한 부분만을 촬영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직각으로 구획되지 않은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위치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기존 가로등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감시카메라를 거치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로등이나 그에 대응되는 지주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각도로 회전되는 감시카메라 장치가 개발되었지만, 이 또한 회전반경에 포함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광범위하다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회전되는 과정에서 카메라의 뒷 배경에 상응하는 부분은 연속적으로 촬영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로등에 복수의 CCTV용 카메라를 설치하되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공간을 동시에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조명수단을 연결시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로등에 복수의 CCTV용 카메라를 설치하되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공간을 동시에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조명수단을 연결시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는 가로등의 주벽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파이프와; 상기 지지파이프의 절곡된 하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원형고리 형태의 제1가이드리브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의 내경보다 작은 형태로 상기 제1가이드리브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연결되는 제2가이드리브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와 이 제1가이드리브의 수직하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2가이드리브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가이드리브의 테두리를 따라 360°슬라이드되는 복수의 지지바와; 이 각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카메라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카메라부에는 야간에도 영상의 촬영의 가능하도록 조명수단이 내장된다.
상기 각 카메라부가 상기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드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바에 대해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바와 카메라부의 연결부분에는 힌지수단이 구비되며, 이 힌지수단은 상기 지지바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ㄷ'자 형태의 고정브라켓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고정브라켓이 상기 지지바에 맞물려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조임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지지바의 상하단부에는 'ㄷ'자 형태의 고정브라켓이 지지바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 고정브라켓이 상기 각 가이드리브의 테두리 단부 상하면에 맞물려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조임볼트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는
첫째, 가로등에 복수의 CCTV용 카메라를 설치하되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공간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둘째,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부에 조명구를 내장시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셋째, 기존의 가로등에 카메라부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복수의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부를 상하좌우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공간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므로 도로망의 형태에 따라 카메라부를 장착하는 지주를 새로이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의 일부가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를 발췌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로등의 주벽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파이프(10)와; 상기 지지파이프(10)의 절곡된 하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하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원형고리 형태의 제1가이드리브(30)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의 내경보다 작은 형태로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연결되는 제2가이드리브(40)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와 이 제1가이드리브(30)의 수직하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2가이드리브(4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가이드리브(30,40)의 테두리를 따라 360°슬라이드되는 복수의 지지바(50)와; 이 각 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카메라부(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1의 도면부호 C는 지지플레이트 테두리에 끼움결합되는 투명커버를 나타내고, 도 1,2,6의 도면부호 21은 투명커버가 끼움결합되도록 지지플레이트의 테두리 하방으로 내향하여 깍인 내향단차부를 나타내며, 도 1,2,4의 도면부호 31은 제1가이드리브를 지지플레이트 하면에 연결시키는 상부연결지지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32는 제1가이드리브와 제2가이드리브를 연결시키는 하우연결지지부를 나타내며, 도 1,6의 도면부호 33은 제1가이드리브의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내측지지부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41은 제2가이드리브의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내측지지부를 나타낸다.
상기 지지바(50)는 도로의 형태나 주변건물의 구조에 따라 호환가능하게 여러 개를 탈부착시킬 수 있고, 물론 상기 각각의 지지바(50)에 카메라부(6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카메라부(60)에는 바람직하게 조명수단(미도시)이 내장된다. 즉 카메라에 조명수단을 연결시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카메라부(600)가 상기 지지바(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드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바(500)에 대해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바(50)와 카메라부(60)의 연결부분에는 힌지수단(70)이 구비된다. 즉, 상 기 힌지수단(70)의 구비로 인해 각각의 지지바(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카메라부(600)는 상하좌우로 폭 넓은 각도로 피사체를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되며, 복수의 지지바(50)의 각각의 카메라부(60)가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모든 방향의 피사체를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수단(70)은 상기 지지바(50)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ㄷ'자 형태의 고정브라켓(7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고정브라켓(71)이 상기 지지바(50)에 맞물려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조임볼트(B1)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볼트(B1)를 를 해제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조임볼트(B1)를 다시 조여 고정하게 된다(도 8참조).
상세하게 상기 힌지수단(70)은 하방으로 돌출된 회동부(73)가 구비된 고정플랜지부(72)와, 상기 회동부(73)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회동되도록 집게형 조임브라켓(74)과, 이 조임브라켓(74)의 하방에 일체로 상기 고정브라켓(7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브라켓(74)에 상기 회동부(73)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이 회동부(73)가 조임브라켓(7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조임브라켓(74)의 집게단부를 관통하는 조임볼트(B3)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힌지수단(70)의 고정플랜지부(72)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카메라부(60)의 하단부에는 바람직하게 원판형의 플랜지부(61)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50)의 상하단부에는 'ㄷ'자 형태의 고정브라켓(51,52)이 지지바(50)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 고정브라켓(51,52)이 상기 각 가이드리브(30,40)의 테두리 단부 상하면에 맞물려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조임볼트(B2)로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바(50)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 및 제2가이드리브(40)의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임볼트(B2)를 해제한 다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드 된 상태에서 조임볼트(B2)를 다시 조여 고정하게 된다(도 6참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복수의 지지바(50)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 및 제2가이드리브(40)의 테두리를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일부를 발췌하여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각각의 지지바(50)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된 카메라부(60)가 지지바(50)의 일정부분에 정지된 상태에서 힌지수단(70)에 의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각각의 지지바(50)에 부착된 카메라부(60)가 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는 가로등에 복수의 CCTV용 카메라를 설치하되 복잡한 도로망이나 후미진 공간을 동시에 시간에 대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조명수단을 연결시켜 야간에도 피사체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의 일부가 분리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를 발췌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를 발췌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6의 일부를 발췌하여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파이프 20 : 지지플레이트
21 : 내향단차부 30 : 제1가이드리브
31 : 상부연결지지부 32 : 하부연결지지부
33 : 내측지지부 40 : 제2가이드리브
41 : 내측지지부 50 : 지지바
51,52 : 고정브라켓 60 : 카메라부
61 : 플랜지부 70 : 힌지수단
71 : 고정브라켓 72 : 고정플랜지부
73 : 회동부 74 : 조임브라켓
C : 투명커버 B1,B2,B3 : 조임볼트

Claims (5)

  1. 삭제
  2. 가로등의 주벽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하방으로 절곡된 지지파이프(10)와; 상기 지지파이프(10)의 절곡된 하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의 하면에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연결되는 원형고리 형태의 제1가이드리브(30)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의 내경보다 작은 형태로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지지연결되는 제2가이드리브(40)와; 상기 제1가이드리브(30)와 이 제1가이드리브(30)의 수직하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2가이드리브(40)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가이드리브(30,40)의 테두리를 따라 360°슬라이드되는 복수의 지지바(50)와; 이 각 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카메라부(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60)에는 조명수단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부(60)가 상기 지지바(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으로 슬라이드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바(50)에 대해 상하좌우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바(50)와 카메라부(60)의 연결부분에는 힌지수단(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70)은 상기 지지바(50)에 연결되는 일단부에 'ㄷ'자 형태의 고정브라켓(7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고정브라켓(71)이 상기 지지바(50)에 맞물려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조임볼트(B1)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50)의 상하단부에는 'ㄷ'자 형태의 고정브라켓(51,52)이 지지바(50)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 고정브라켓(51,52)이 상기 각 가이드리브(30,40)의 테두리 단부 상하면에 맞물려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조임볼트(B2)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KR1020090031822A 2009-04-13 2009-04-13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KR10102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22A KR101021139B1 (ko) 2009-04-13 2009-04-13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1822A KR101021139B1 (ko) 2009-04-13 2009-04-13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15A KR20100113315A (ko) 2010-10-21
KR101021139B1 true KR101021139B1 (ko) 2011-03-14

Family

ID=43132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822A KR101021139B1 (ko) 2009-04-13 2009-04-13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1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86B1 (ko) 2015-03-31 2016-07-13 한은주 안구 형상을 갖는 cctv용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13B1 (ko) * 2012-08-13 2014-06-11 대원전기통신 주식회사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KR101508245B1 (ko) * 2014-09-05 2015-04-07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EP3168819B1 (en) 2015-11-16 2017-12-27 Axis AB Protective dome for monitoring camera system
KR101640071B1 (ko) * 2016-02-22 2016-07-18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피티지(ptz) 카메라와 연동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의 세로형 설치장치
KR101651877B1 (ko) * 2016-03-02 2016-08-29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통합형 다방향 무인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무인 감시시스템
JP7016644B2 (ja) 2017-08-25 2022-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WO2020036388A1 (ko) * 2018-08-14 2020-02-20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댐핑장치, 이미지 센싱용 고정장치 및 이미지 센싱장치
KR102099374B1 (ko) * 2018-09-07 2020-04-09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싱용 고정장치
KR102142586B1 (ko) * 2018-08-14 2020-08-07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댐핑장치 및 이를 포함한 이미지 센싱용 고정장치
KR102529192B1 (ko) * 2021-07-02 2023-05-08 임재학 양방향 글로벌 셔터 카메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8296A (ja) * 2003-04-24 2004-11-18 Iwane Kenkyusho:Kk 監視カメラ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メンテナンス維持装置
KR20060062011A (ko) * 2004-12-02 2006-06-09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0614840B1 (ko) 2004-11-11 2006-08-22 김배훈 360°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8296A (ja) * 2003-04-24 2004-11-18 Iwane Kenkyusho:Kk 監視カメラ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メンテナンス維持装置
KR100614840B1 (ko) 2004-11-11 2006-08-22 김배훈 360°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KR20060062011A (ko) * 2004-12-02 2006-06-09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86B1 (ko) 2015-03-31 2016-07-13 한은주 안구 형상을 갖는 cctv용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315A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139B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US6948826B2 (en) Light box having a solar panel cover
KR101508245B1 (ko)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US8622561B2 (en) Covert security camera within a lighting fixture
KR101350784B1 (ko) 배선관로 및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및 조명시스템
KR101272109B1 (ko) 녹화수단을 구비한 센서 조명기구
KR101590071B1 (ko) 감시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
US11215341B2 (en) Light fixture with drainage system
JP3201743U (ja) 街中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用の街路灯
JP2016072203A (ja) 防犯カメラ付き照明装置
JP6400822B2 (ja) カメラ一体型エルイーディー照明装置
KR100649954B1 (ko) 적외선엘이디가 구비되는 적외선카메라
KR101023531B1 (ko) 조명장치 일체형 방범카메라
KR101139768B1 (ko) 시시티브이 지지대
US20190177936A1 (en) Illuminated Barrier Apparatus
KR20110096343A (ko) 펜던트형 엘이디 조명기구
KR200484267Y1 (ko) 통합형 보안장치
KR101190343B1 (ko)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공간을 구비한 엘이디 보안등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US20150077979A1 (en) Road Surface Lighting Apparatus
KR20130101699A (ko)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20140087917A (ko) 씨씨티비 감시카메라 감시장치
KR20150003499A (ko) Cctv 카메라용 엘이디 램프를 구비한 cctv 카메라 조립체
US9989226B2 (en) Up—down tree ligh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