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011A -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011A
KR20060062011A KR1020040100668A KR20040100668A KR20060062011A KR 20060062011 A KR20060062011 A KR 20060062011A KR 1020040100668 A KR1020040100668 A KR 1020040100668A KR 20040100668 A KR20040100668 A KR 20040100668A KR 20060062011 A KR20060062011 A KR 20060062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ed
cover
support
camera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688B1 (ko
Inventor
황의남
Original Assignee
황의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남 filed Critical 황의남
Priority to KR102004010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688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5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wherein modules are associated together, e.g.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modul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 팬·틸트·줌 기능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몸체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바디 및 외부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 및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세트를 원하는 소정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360°전방위를 감시할 수 있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팬·틸트·줌 기능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고정형 카메라와 다수의 능동형 돔 카메라로 분리 구성된 종래의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설치상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을 피하고, 아울러 각 기기간의 네트워크 연결상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설치상, 연결상 및 작동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감시카메라, 팬, 틸트, 줌, 돔 카메라

Description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OMNI-DIRECTIONAL MONITORING CAMERA DEVICE}
도 1은 종래의 전방향 카메라 및 다수의 회전형 능동 카메라로 구성된 감시시스템의 배치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 모듈이 카메라 캐비넷에 수용,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카메라 캐비넷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 커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고정형 카메라 세트
400 :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
500 :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
600 : 하우징
700 : 감시카메라 세트
본 발명은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팬·틸트·줌 기능 등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보안 및 감시 시스템은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인적 혹은 기술적 자원을 보호 또는 감시할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감시카메라 장치는 아파트를 비롯한 각종 건물이나 백화점 등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될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공장이나 공원 등과 같은 곳에 설치되어 방범 및 화제를 감시하는 등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기업이나 관공서 또는 은행 등의 출입자 감시 및 증거물 확보를 위해 비약적으로 그 활 용이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종래의 대부분의 감시카메라 장치는 1대의 고정식 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정 범위를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미리 예상하여 그 각도로만 촬영하도록 세팅되어 있기 때문에, 한정된 범위내의 관측만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감시위치가 변경되어 촬영각도의 변경이 요구되는 때에는 설치된 카메라 장치를 원래 설치되었던 천장이나 벽면에서 분리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한 후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한 공간내에서 다수의 영역을 감시하고자 할 경우 곳곳에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감시범위를 보다 광범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회전형 능동 카메라가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회전형 능동 카메라는 카메라를 좌우로 회전시켜 일정 각도범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팬(pan) 기능과 감시각도를 상하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틸트(tilt)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형 능동 카메라의 경우에도 광범위한 감시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일정 시점에서는 일정 범위의 구역에 대한 감시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출원 제10-2000-0087602호에서는 파라볼라형(또는 반구형) 거울을 이용하는 전방향 카메라 및 다수의 회전형 능동 카메라로 구성된 감시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상기 전방향 카메라 및 다수의 회전형 능동 카메라로 구성된 감시시 스템의 배치도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감시시스템의 경우 파라볼라형(또는 반구형) 거울을 이용하는 전방향 카메라(1)를 사용하기 때문에, 완전한 전방향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확보한다 하더라도 해상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왜곡된 영상을 복원하기 위하여 맵 프로젝션 기법 등을 이용한 멀티플렉스와 영상처리보드로 이루어진 별도의 영상복구수단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전방향 카메라(1)와 연동하기 위한 다수의 회전형 능동 카메라(2-1,2-2,2-3)를 필요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회전형 능동 카메라가 고가인 특성상 그 비용에 있어서도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회전형 능동 카메라를 각각 곳곳에 설치해야 하므로 그 설치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각 기기들이 서로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각 기기들과의 네트워크 연결상의 여러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팬·틸트·줌 기능 등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감시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설치상의 문제점과 각 기기들과의 연결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아울러 보다 효율적인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 팬·틸트·줌 기능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몸체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바디 및 외부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 및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세트를 원하는 소정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는 촬상을 수행하는 카메라 렌즈, 상기 카메라 렌즈와 결합된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는 촬상 PCB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수의 카메라 모듈;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여 고정하고, 다수의 카메라 렌즈 노출홀을 구비하며, 다수의 카메라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 관통부가 마련된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원통형의 카메라 캐비넷; 상기 카메라 캐비넷을 수용하기 위한 링 형상의 안착턱이 마련되고, 다수의 가이드 서포트에 의해 연결되는 접시형의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카메라 캐비넷 홀더;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와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한 촬상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원통형 투명커버; 및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상 PCB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 전체의 촬상을 제어하는 컨트롤 PC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 메라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내·외부 온도차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에 구비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갯수는 3~5개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에는 햇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렌즈 커버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캐비넷은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엇갈린 각도로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장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는 상기 원통형 투명커버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밀봉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바디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에는 밀봉을 위한 오링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투명커버의 상측 및 하측에는 원통형 투명커버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성에 방지용 열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카메라 모듈이 카메라 캐비넷에 수용,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카메라 캐비넷의 평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200)는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 팬·틸트·줌 기능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610)를 구비하고,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의 몸체(480)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바디(660)와 외부커버(670)를 포함하는 하우징(600); 및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 및 상기 하우징(600)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세트(700)를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5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에는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 모듈(310)이 포함되는데, 상기 카메라 모듈(31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을 수행하는 카메라 렌즈(312), 상기 카 메라 렌즈(312)와 결합된 촬상부(314) 및 상기 촬상부(314)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는 촬상 PCB(3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에 포함되는 카메라 모듈(310)의 갯수는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도록 카메라 렌즈(312)가 갖는 시야율에 따라 적정한 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에서는 92°의 시야율은 갖는 카메라 렌즈가 구비된 5개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큰 시야율을 갖는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3개 또는 4개의 카메라 모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310)은 카메라 캐비넷(320)에 수용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카메라 캐비넷(32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310)의 갯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카메라 렌즈 노출홀(322)을 구비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카메라 모듈(310)의 갯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카메라 케이블 관통홀(323)이 형성되며, 중앙에 케이블 관통부(324)가 마련된 상부 카메라 캐비넷(320a)과 하부 카메라 캐비넷(320b)으로 구성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31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카메라 캐비넷(320b)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 장착부(325)에 장착되어 고정되는데, 카메라 모듈(310) 각각은 그 중심축이 상기 케이블 관통부(324)의 중심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위치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틀어져 서로 엇갈리게 위치고정된다.
즉, 일정 크기를 갖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310)을 상기 카메라 캐비넷(320) 의 한정된 공간내에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부 카메라 캐비넷(320a)에도 카메라 모듈 장착부(미도시)가 상기 하부 카메라 캐비넷(320b)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 장착부(325)와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 장착부(325)에는 카메라 모듈(310)을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카메라 모듈(310)의 촬상 PCB(316)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용 돌기(325a)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모듈(310)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반드시 상기 고정용 돌기(325a)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대등한 수단, 예를 들어 고정용 홈(미도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진 상기 카메라 캐비넷(320)은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310)이 장착되어 고정된 후, 볼트 A(326a) 및 너트 A(326b)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310) 각각에서 인출된 케이블(미도시)은 상기 카메라 케이블 관통홀(323)을 통해 후술할 컨트롤 PCB(356)(도 3d 참조)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310)의 카메라 렌즈(312)에는 햇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렌즈 커버(318)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렌즈 커버(318)는 햇빛이나 열에 견딜 수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310)이 장착되어 고정된 상기 카메라 캐비넷(320)은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캐비넷(320)을 수용하기 위한 링 형상의 안착턱(342a,342b)이 마련되고, 다수의 가이드 서포트(344)에 의해 연결되는 접시형의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에 수용되어, 접시머리볼트(343)에 의해 상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a)에 형성된 안착턱(342a)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서포트(344)는 상단에 볼트부(344a)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암나사부(344b)가 형성된 육각기둥형상을 가지며, 부식 방지 및 약 15~20kg의 중량에 견딜수 있도록 알루미늄합금소재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 역시 알루미늄합금소재와 같이 부식에 견딜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상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a)에는 다수의 상기 가이드 서포트(344)의 볼트부(344a)와 결합되는 다수의 암나사부(346a) 및 후술할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500)의 고정커버(550)(도 5 참조)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볼트 결합홀(34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b)에는 상기 가이드 서포트(344)의 하단이 수용되는 가이드 서포트 수용홀(346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서포트(344)와 동일한 형상을 갖되, 크기가 작은 다수의 PCB 고정대(350)가 안착턱(342b)에 결합되어 있으며, 후술할 하우징(600)의 연결부(610)(도 6 참조)와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지지대 A(352)가 결합되어 있다.
한편,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310)의 촬상 PCB(316)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 전체의 촬상을 제어하는 컨트롤 PCB(356)는 하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b)에 형성된 안착턱(342b)에 결합된 다수의 PCB 고정대(350)에 다수의 볼트 B(358)에 의해 연결고정되며, 중앙에 케이블 관통홀(357)이 마련된다.
한편,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310)의 카메라 렌즈(312)를 보호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312)를 통한 촬상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원통형 투명커버(370)가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에 형성된 안착홈(360)에 끼워져,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에 형성된 안착홈(360)에는 상기 원통형 투명커버(370)와의 결합시 외부와의 밀봉을 위한 밀봉링(361)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밀봉링(361)의 구성재질로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투명커버(370)의 상측 및 하측에는 상기 원통형 투명커버(370)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성에 방지용 열선(37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b)에는 후술할 하우징(600)의 외부바디(660)(도 6참조)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8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380)에는 밀봉을 위한 오링(382)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오링(382)의 구성재질로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카메라 모듈(310)을 포함하는 카메라 캐비넷(320) 및 원통형 투명커버(370)를 사이에 두고, 다수의 가이드 서포트(344)에 의해 상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a)와 하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b)를 연결한 다음, 볼트 C(365)를 상기 가이드 서포트(344)의 하단에 형성된 암나사부(344b)에 체결한 후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310)의 촬상 PCB(316)와 컨트롤 PCB(356)를 케이블(미도시)로 연결함으로써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단면도이고, 도 4d는 카메라모듈 커버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본체(480)와, 본체(480)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408), 카메라 지지부(409), 카메라 모듈(408)의 회전을 구동시키는 팬방향 회전구동부(420) 및 틸트방향 회전구동부(410), 회전구동지지부(401), 메인지지부(430), 메인PCB(440)와, 본체(480)의 상측을 커버하는 외부커버(470) 그리고, 외부커버(470)의 내측에 설치되는 불투명 커버유닛(450)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모듈(408)은 카메라 지지부(409)를 중심으로 상측에 카메라 렌즈(405)와 결합된 촬상부(403)가 설치되고, 카메라 지지부(409)의 하측에 촬상부(403)와 연결되어 찰상부(403)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는 촬상PCB(407)가 설치된다.
회전구동 지지부(401)는 양측에 지지대(401a,401b)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측 지지대(401a,401b)에 카메라 모듈(408)이 설치된 카메라 지지부(409)가 고정축(409a)을 매개로 고정되어 회동된다.
한편, 본체(480)의 저면에는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된 메인PCB(440)가 설치 되어 팬방향 회전구동부(420)와 틸트방향 회전구동부(410)의 구동을 제어하고, 그 상측에는 메인지지부(430)가 설치되며, 메인지지부(430)의 상측에 팬방향 회전구동부(420)가 설치된다.
팬방향 회전구동부(420)는 메인지지부(430)의 상측에 설치되되 팬 구동풀리(425a)가 설치되고, 팬 구동풀리(425a)의 상측 동일축선상에 팬 구동부(425)가 설치되며, 팬 구동풀리(425a)의 회전력을 팬 종동풀리(426)에 전달하도록 팬 타이밍벨트(427)가 설치된다.
팬 종동풀리(426)의 일측부에는 팬 구동부(425)의 회전기준위치를 잡아주기 위해 기준돌기부(421)가 형성되고, 기준돌기부(421)의 위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포토커플러(424)가 설치된다.
여기서, 팬 구동부(425)는 팬 구동풀리(425a)의 상측에 설치되어야 한다.
틸트방향 회전구동부(410)는 틸트 구동부(415)와 동일축선상에 틸트 구동풀리(415a)가 설치되고, 틸트 구동풀리(415a)의 회전력을 틸트 종동풀리(416)에 전달하도록 틸트 타이밍벨트(417)가 설치된다.
이때, 틸트방향 회전구동부(410)의 틸트 종동풀리(416)는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일측 지지대(401a)에 카메라 지지부(409)가 회동가능하도록 고정축(409a)이 관통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틸트 구동부(415)의 회전 기준위치를 잡아주기 위해 틸트 종동풀리(416)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접촉돌기부(411)가 설치되고, 접촉돌기부(411)는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일측 지지대(401a)에 형성된 가이드 홀(412)에 삽입된다.
가이드 홀(412)은 카메라 모듈(400)의 회전이 90°를 넘지 않도록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일측 지지대(401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지지대(401a)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팬방향 회전구동부(420)와 틸트방향 회전구동부(410)를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425)와 틸트방향 구동부(415)는 구동될 때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팬 구동부(425)는 그 저면에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425b)를 설치하여 팬 구동풀리(425a)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틸트 구동부(415)는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일측 지지대(401a)와 접촉되는 면에 완충부재(415b)를 설치하여 틸트 구동부(415)의 진동이 회전구동 지지부(40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 커버유닛(45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양측 지지대(401a,401b)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대(465,467)를 갖으며, 회전구동 지지부(401)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불투명커버 지지브라켓(460)과, 불투명커버 지지브라켓(460)의 상측에 안착되어 카메라 렌즈(405)를 노출시키기 위한 카메라렌즈 구동홀(455)이 형성된 반구형 불투명 커버(451)로 구성된다.
링 형상의 불투명커버 지지브라켓(460)에는 상면에 다수의 고정홀(463)이 형성되고, 불투명 커버(451)의 에지부에는 고정홀(463)에 대응되며 고정홀(463)에 끼워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453)가 형성된다.
카메라렌즈 구동홀(455)은 카메라 렌즈(405)가 노출됨과 아울러, 카메라 모 듈(408)의 회전에 따른 카메라 렌즈(405)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카메라 렌즈(405)의 폭보다 큰 폭을 갖으며, 반구형 불투명 커버(451)의 중심부에서 불투명 커버(451)의 외주면을 따라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불투명 커버(451)는 카메라렌즈 구동홀(455)이 카메라 모듈(408)이 틸트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위치하도록 불투명커버 지지브라켓(460)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불투명 커버유닛(450)의 외측에는 본체(480)의 상측에 안착되는 외부커버(470)가 설치된다.
외부커버(470)는 불투명 커버(451a)의 카메라렌즈 구동홀(455a)을 통해 카메라 모듈(400)이 촬상을 진행 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메라 모듈(408)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렌즈 구동홀(455)을 통해 카메라 모듈(408)을 구성하는 부속품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불투명 커버유닛(450)의 내측에 카메라모듈 커버부재(49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모듈 커버부재(49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카메라 모듈(408)의 상측을 커버하며 그 양측이 카메라 모듈(408)에 고정되도록 고정홀(492a)이 형성된 고정편(492)이 형성되어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양측 지지대(401a, 401b)에 고정되고, 카메라 모듈(408)의 카메라 렌즈(405)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노출홀(491)이 형성된다.
또한, 카메라모듈 커버부재(490)는 반구형 불투명 커버유닛(450)의 내측에 설치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408)의 틸트방향 구동이 원활하도록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카메라 모듈(408)과 외부커버(470) 사이에는 본체(480)의 내측과 외측의 온도차를 극복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48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조절유닛(483)은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외측온도와 내측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차가 감지되면 내측온도를 조절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에 소정의 물체가 감지되면, 메인PCB(440)의 제어에 의해 팬방향 회전구동부(420)의 팬구동부(425)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고, 팬 구동부(425)의 하측에 동일축선상에 고정된 팬 구동풀리(425a)가 구동되므로 팬 타이밍벨트(427)를 통해 구동력이 팬 종동풀리(426)로 전달되어 카메라 모듈(408)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은 360°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카메라 모듈(408)이 회전할 때 회전 기준위치는 팬 종동풀리(426)의 일측에 설치된 기준돌기부(421)가 포토커플러(424)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시 포토커플러(424)는 메인PCB(440)로 오프(Off)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카메라 모듈(408)은 오프신호가 출력된 이 부분을 팬 구동부(425)의 회전기준으로 삼게된다.
이때, 팬 구동부(425)가 팬 구동풀리(425a)의 상측에 설치됨에 따라, 메인PCB(440)는 본체(480)의 저면에 그 면적이 줄어들지 않게 설치되어 커넥터의 설치위치가 자유롭게 된다.
다음, 틸트방향 회전은 틸트회전 구동부(410)의 틸트 구동부(415)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되면 틸트 구동부(415)와 동일축에 고정된 틸트 구동풀리(415a)가 구동되어 틸트 타이밍벨트(417)를 통해 구동력이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일측 지지대(401a)에 설치된 틸트 종동풀리(416)에 전달되어 카메라 모듈(408)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 모듈(408)의 상하방향 회전은 접촉돌기부(411)가 삽입된 가이드 홀(412)이 지지대(401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원호를 그리도록 형성되므로 가이드 홀(412)의 간격만큼 회전되어 90°범위내에서 이루어진다.
카메라 모듈(408)은 불투명 커버유닛(450)에 의해 불투명커버 지지브라켓(460)의 고정홀(463)에 고정돌기(453)가 삽입된 불투명커버(451)의 카메라렌즈 구동홀(455)에 카메라 렌즈(405)가 노출되어 틸트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 팬 구동부(425)와 틸트 구동부(415)에는 각각 그 저면과,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일측 지지대(401a)와 접촉되는 면에 완충부재(415b,425b)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팬 구동부(425)와 틸트 구동부(415)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완화시킨다.
한편, 카메라 모듈(408)은 그 내측에 설치된 카메라모듈 커버부재(490)에 의해 틸트방향 회전구동부(410)를 통해 구동될 때, 카메라렌즈 구동홀(455)을 통해 카메라 모듈(408)의 촬상부(403)와, 촬상PCB(407) 그리고 카메라 지지부(409)가 외부커버(470)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카메라모듈 커버부재(490)는 중앙부에 노출홀(491)이 형성되며 그 양측 에 형성된 고정편(492)을 회전구동 지지부(401)의 양측 지지대(401a,401b)에 고정시켜, 카메라 모듈(408)의 틸트방향구동에 의해 카메라 모듈(408)과 카메라모듈 커버부재(490)가 함께 구동되며, 노출홀(491)을 통해 카메라 렌즈(405)만 외부커버(470) 외측으로 노출시킨다.
따라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투명 커버유닛(450)의 카메라렌즈 구동홀(455)에 의해 카메라 렌즈(405)를 노출시키고, 카메라모듈 커버부재(490)를 통해 카메라 렌즈(405)를 제외한 카메라 모듈(408)을 커버하여 투명재질로 형성된 외부커버(470)를 통해 촬상을 진행한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408)과 외부커버(470) 사이에 설치된 온도조절유닛(483)은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내측온도와 외측온도의 온도차가 감지되면 내측온도와 외측온도의 온도차가 감소되도록 내측온도를 조절하여 투명재질의 외부커버(470)에 성에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카메라 모듈(408)의 촬상효율을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와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를 연결하는 하우징(6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600)은 중앙에 케이블 관통홀(6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를 연결하는 연결부(610);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의 몸체 (480)를 보호하는 외부바디(660); 및 외부커버(67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는 하우징(600)의 연결부(610)를 관통하는 다수의 볼트 D(614)를 하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b)에 결합된 다수의 지지대 A(352)에 체결함으로써 하우징(600)의 연결부(610)에 연결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는 지지대 B(620)를 매개로 볼트 E(622) 및 너트 E(624)에 의해 하우징(600)의 연결부(610)에 연결고정된다.
이때, 지지대 A(352) 및 지지대 B(620)는 도 3c를 통해 설명한 가이드 서포트(344)와 동일한 형상을 갖되, 그 크기를 달리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600)의 연결부(610)에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의 내·외부 온도차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63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600)의 연결부(610)에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640)을 추가로 장착하여 상기 하우징(600)의 연결부(610)에 형성된 공기배출홀(614)을 경유하여 공기배출구(650)를 통해 감시카메라 세트(7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조절유닛(630)과 상기 팬(640)은 컨트롤 PCB(356)(도 3d 참조)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상기 외부커버(670)는 다수의 볼트 F(672)에 의해 상기 외부바디(660)와 연결고정된다.
또한,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의 메인 PCB(440)에서 인출되는 케이블(미도시)은 몸체(480) 및 상기 하우징(600)의 연결부(610)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 홀(482,612)을 통해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의 컨트롤 PCB(356)에서 인출되는 케이블(미도시)과 함께 상기 컨트롤 PCB(356)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홀(357) 및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의 카메라 캐비넷(320)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부(324)를 통하여 후술할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500)의 고정플레이트(530)와 고정파이프(540)를 경유하여 고정커버(550)까지 인입된 연장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세트를 소정 위치에 고정설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은 고정플레이트(530)가 결합되는 스탠드(520)에 제 1 암나사구(531)를 형성하고, 감시카메라 세트(700)(도 2 참조)가 고정설치되는 고정커버(550)에는 제 2 암나사구(551)를 형성하며, 고정파이프(540)의 일단과 타단에는 제 1,2 수나사구(541,542)를 형성하여, 상기 스탠드(520)와 상기 고정커버(550)를 상기 고정파이프(540)에 의해 나사결합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스탠드(520)는 용기체 형태의 본체 중앙에 제 1 암나사구(52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 1 암나사구(521)는 상기 스탠드(520)의 본체 중앙에 관통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암나사산이 구비되며,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 다. 이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되는 제 1 암나사구(521)에는 스크류결합공(522)이 수직되게 관통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530)는 천정 또는 벽에 나사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결합공(531)이 구비되며, 중앙에는 상기 제 1 암나사구(52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구(532)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커버(550)에는 접시 형태의 본체 중앙에 전술한 제 1 암나사공(521)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 2 암나사구(55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커버(550)의 내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 세트(700)를 구성하는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의 상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a)(도 6 참조)가 다수의 볼트 G(354)에 의해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나사고정공(55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커버(550)의 내면 외둘레에는 방수링(555)이 개재된다. 이와 같은 방수링(555)의 구성재질로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파이프(5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봉상체로서,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 1,2 수나사구(541,542)가 일단과 타단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제 1,2 수나사구(541,542)는 전술한 제 1,2 암나사구(521,551)에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파이프(540)를 직선형 봉상체로 구성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를 소정 건물의 천정에 고정설치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상기 고정파이프(540)는 반드시 직선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곡선형으로 절곡 구성된 고정파이프(미도시)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를 소정 건물의 벽면에 고정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나 위치에 따라 고정파이프만을 그 길이나 형태가 다른 여러 유형의 고정파이프로 교체함으로써 각각의 장소나 위치에 용이하게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적 장점을 갖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상태와 이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고정플레이트(530)의 나사결합공(531)을 통한 나사고정으로 건물의 천정에 고정플레이트(530)를 고정하고, 스탠드(520)의 내부에 고정플레이트(530)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고정플레이트(530)의 나사결합구(532)에 스탠드(520)의 제 1 암나사구(521)를 나사결합하여, 스탠드(520)를 건물의 천정에 고정한다.
또한, 고정커버(550)에는 그 내면에 형성된 나사고정공(554)을 통해 감시카메라 세트(700)를 구성하는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의 상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340a)(도 6 참조)가 나사고정된다.
이후, 천정에 고정설치된 스탠드(520)의 제 1 암나사구(521)에는 고정파이프 (540)의 제 1 수나사구(541)를 나사결합하고, 고정파이프(540)의 제 2 수나사구(542)를 고정커버(550)의 제 2 암나사구(551)에 나사고정함으로써 그 설치가 완성된다.
이때, 감시카메라 세트(700)에서 인출되는 케이블(미도시)은 고정플레이트(530)와 고정파이프(540)를 경유하여 고정커버(550)까지 인입된 연장케이블(미도시)과 연결됨으로써, 외부 침입자가 감시카메라 세트(700)의 케이블을 절단할 수 없게 구성된다.
또한, 스탠드(420)와 고정커버(450)를 고정파이프(440)에 결합한 후에는 제 1,2 암나사구(521,551)에 구비되는 스크류결합공(522,552)에 고정스크류(507)를 고정하여, 고정파이프(540)에 나사결합된 스탠드(520) 및 고정커버(55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고정커버(550)에는 방수링(555)을 개재하여 결합부위에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파이프(540)의 제 1,2 수나사구(541,542)를 제 1,2 암나사구(521,551)에 나사결합할 때에도 오-링(543)을 개재시켜 방수처리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고정형 카메라 세트(300)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 모듈(310)을 통해 360°전방위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즉, 각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출력하여 이를 통해 360°전방위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특정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되는 특정 부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영상을 원할 경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400)에 구비된 팬·틸트·줌 기능을 이용하여 그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영상을 출력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감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는 360°전방위를 감시할 수 있는 다수의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팬·틸트·줌 기능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고정형 카메라와 다수의 능동형 돔 카메라로 분리 구성된 종래의 감시카메라 장치에 있어서의 설치상의 어려움과 번거로움을 피하고, 아울러 각 기기간의 네트워크 연결상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설치상, 연결상 및 작동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연결부에 온도조절유닛을 설치함과 아울러 원통형 투명커버의 상측 및 하측에 열선을 삽입하여,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할 경우 이를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렌즈 및 원통형 투명커버에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형 카메라 세트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촬상 화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연결부에 팬을 설치하여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고정형 카메라 세트에 구비된 다수의 카메라 모듈의 작동시 발생하는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점을 온도조절유닛과 연동하여 해결함으로써 최상의 조건하에서 카메라 모듈을 통한 촬상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1)

  1. 360°전방위 감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고정형 카메라 세트;
    팬·틸트·줌 기능을 구비한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의 몸체를 보호하기 위한 외부바디 및 외부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 및 상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세트를 원하는 소정 위치에 설치하기 위한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내·외부 온도차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유닛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와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에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팬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는
    촬상을 수행하는 카메라 렌즈, 상기 카메라 렌즈와 결합된 촬상부, 상기 촬상부의 촬상 동작을 제어하는 촬상 PCB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수의 카메라 모듈;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용하여 고정하고, 다수의 카메라 렌즈 노출홀을 구비하며, 다수의 카메라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앙에 케이블 관통부가 마련된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원통형의 카메라 캐비넷;
    상기 카메라 캐비넷을 수용하기 위한 링 형상의 안착턱이 마련되고, 다수의 가이드 서포트에 의해 연결되는 접시형의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카메라 캐비넷 홀더;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와 결합하여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를 통한 촬상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형성된 원통형 투명커버; 및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촬상 PCB와 연결되어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 전체의 촬상을 제어하고, 중앙에 케이블 관통홀이 마련된 컨트롤 PC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카메라 세트에 구비되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갯수는 3~5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에는 햇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한 렌즈 커버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캐비넷은
    다수의 상기 카메라 모듈을 엇갈린 각도로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장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로 구성된 상기 카메라 캐비넷 홀더는
    상기 원통형 투명커버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밀봉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카메라 캐비넷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바디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홈에는 밀봉을 위한 오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투명커버의 상측 및 하측에는 원통형 투명커버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성에 방지용 열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형 돔 카메라 세트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촬상을 진행하도록 카메라 렌즈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의 동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과 결합된 카메라 지지부;
    양측에 지지대가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양측 지지대에 상기 카메라 지지부가 결합되는 회전구동 지지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틸트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의 지지대 일측에 설치되는 틸트방향 회전구동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팬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며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의 배면에 설치되는 팬방향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와 상기 팬방향 회전구동부 및 틸트방향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저부에 설치된 메인지지부;
    상기 메인지지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의 팬/틸트방향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메인PCB;
    상기 본체의 상측에 안착되며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 돔형 투명커버; 및
    상기 돔형 투명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카메라 렌즈를 제외한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불투명 커버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커버유닛은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에 고정되도록 양측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를 갖으며,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 불투명 커버 지지브라켓; 및
    상기 불투명 커버 지지브라켓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카메라렌즈 구동홀이 형성된 반구형 불투명 커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렌즈 구동홀은
    상기 카메라 렌즈의 폭보다 큰 폭을 갖음과 아울러, 상기 불투명 커버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방향 회전구동부는
    상기 메인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된 팬 구동풀리;
    상기 메인지지부와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 사이에 설치된 팬 종동풀리;
    상기 팬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상기 팬 종동풀리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팬 타이밍벨트; 및
    상기 팬 구동풀리의 상측으로 동일축상에 설치된 상기 팬 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팬 구동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가 노출되는 노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를 제외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커버하는 카메라모듈 커버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돔형 투명커버 사이에는 온도조절유닛이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돔형 투명커버의 내측과 외측의 온도차를 줄여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 커버유닛은 양측이 상기 카메라 모듈을 커버하도록 상기 회전구동 지지부의 양측 지지대에 고정되며 상기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한 카메라렌즈 구동홀이 형성된 반구형 불투명커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 세트 고정설치용 브라켓은 천정 또는 벽에 고정되며,
    중앙에 수나산을 갖는 나사결합구가 돌출형성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나사결합구가 나사고정되는 제 1 암나사구가 구비되는 스탠드;
    상기 스탠드의 제 1 암나사구에 나사결합되도록 일단에 제 1 수나사구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제 2 수나사구가 형성되는 고정파이프; 및
    상기 고정파이프의 제 2 수나사구에 나사결합되도록 제 2 암나사구가 구비되고, 상기 감시카메라 세트와 나사결합되는 다수의 나사고정공이 형성된 고정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의 제 1 암나사구와 상기 고정커버의 제 2 암나사구에는 각각 스크류결합공이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결합공을 통해 고정스크류가 나사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커버의 내면 외둘레에는 방수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파이프는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20040100668A 2004-12-02 2004-12-02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065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68A KR100651688B1 (ko) 2004-12-02 2004-12-02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68A KR100651688B1 (ko) 2004-12-02 2004-12-02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261U Division KR200376617Y1 (ko) 2004-12-02 2004-12-02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011A true KR20060062011A (ko) 2006-06-09
KR100651688B1 KR100651688B1 (ko) 2006-12-01

Family

ID=3715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668A KR100651688B1 (ko) 2004-12-02 2004-12-02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688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45B1 (ko) * 2007-01-26 2008-07-11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팬 또는 틸트 기능과 셔터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감시카메라 장치
KR100929368B1 (ko) * 2007-12-13 2009-12-02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KR100936738B1 (ko) * 2009-01-16 2010-01-14 은강정보통신(주) 파노라마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0959937B1 (ko) * 2009-03-31 2010-05-26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방수기능이 강화된 돔형 감시카메라 구조
WO2010067920A1 (en) * 2008-12-12 2010-06-17 C-Pro Electronics Co., Ltd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KR101021139B1 (ko) * 2009-04-13 2011-03-14 핫씨씨티브이 주식회사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WO2011046394A2 (ko) * 2009-10-16 2011-04-21 Park Chan Duk 광대역 감시 카메라
KR101326062B1 (ko) * 2013-09-03 2013-11-20 한라정보통신(주)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WO2014071400A1 (en) * 2012-11-05 2014-05-08 360 Heros, Inc. 360 degree camera mount and related photographic and video system
KR101421993B1 (ko) * 2013-02-15 2014-07-23 (주) 창조시스템 제습 및 성애 방지용 감시카메라
KR101445490B1 (ko) * 2013-06-10 2014-09-26 리 조나단 돔형 카메라
KR20140116744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508245B1 (ko) * 2014-09-05 2015-04-07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KR101632168B1 (ko) * 2016-02-03 2016-06-22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원샷 전방위탐지와 카메라영상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분석형 스마트 감시카메라장치
KR101644857B1 (ko) * 2016-03-15 2016-08-02 (주)서울전업공사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KR101651877B1 (ko) * 2016-03-02 2016-08-29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통합형 다방향 무인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무인 감시시스템
WO2017047976A1 (ko) * 2015-09-15 2017-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도어벨 장치
KR20180020044A (ko) * 2016-08-17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43469A (ko) * 2016-10-20 2018-04-30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cctv
WO2019050361A1 (ko) * 2017-09-11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43016A (ko) * 2017-10-17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647135A (zh) * 2020-12-17 2022-06-21 浙江衢能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高压低压预装式变电站的监控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68B1 (ko) 2008-04-11 2009-07-14 이상석 광대역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100978721B1 (ko) 2008-08-01 2010-08-30 한국도로공사 전방위 카메라 및 ptz 카메라를 연동하여 촬영하는촬영장치, 촬영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996471B1 (ko) * 2008-10-30 2010-11-24 이종목 사면 감시용 카메라 장치
WO2010064781A1 (ko) * 2008-12-01 2010-06-10 (주)두원전자통신 광대역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101015959B1 (ko) * 2010-07-26 2011-02-23 국방과학연구소 전방위 정밀 안정화가 가능한 감지센서의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감지 시스템
KR101057819B1 (ko) * 2011-01-07 2011-08-19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영상감시장치
KR101358404B1 (ko) * 2013-07-12 2014-02-06 주식회사 하이드로넷 물탱크 감시시스템
KR102017750B1 (ko) * 2015-01-16 2019-09-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수평 유지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1587242B1 (ko) 2015-10-01 2016-01-20 (주)두고테크 감시카메라용 승강장치
KR101991176B1 (ko) * 2017-09-28 2019-06-19 최승권 360도 영상 및 사진 촬영용 짐벌
KR101899321B1 (ko) * 2017-10-18 2018-09-17 (주)씨텍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KR102236547B1 (ko) 2019-08-27 2021-04-06 씨큐리티(주) 카메라부 틸트용 롱 샤프트부를 구비한 방폭 스피드 돔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6088A (ja) 1999-06-17 2001-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監視カメラ装置
JP2001169271A (ja) 1999-12-09 2001-06-22 Tokinoko:Kk 360度デジタルカメラを用いた画像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4135182A (ja) 2002-10-11 2004-04-30 Fuji Photo Film Co Ltd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050063467A (ko) *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주차장용 감시카메라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45B1 (ko) * 2007-01-26 2008-07-11 이스턴 마스텍 주식회사 팬 또는 틸트 기능과 셔터 기능이 동시에 구비된감시카메라 장치
WO2008091034A1 (en) * 2007-01-26 2008-07-31 Eastern Mastec Corp. A monitoring apparatus
KR100929368B1 (ko) * 2007-12-13 2009-12-02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WO2010067920A1 (en) * 2008-12-12 2010-06-17 C-Pro Electronics Co., Ltd Support device for camera modules
KR100936738B1 (ko) * 2009-01-16 2010-01-14 은강정보통신(주) 파노라마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0959937B1 (ko) * 2009-03-31 2010-05-26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방수기능이 강화된 돔형 감시카메라 구조
KR101021139B1 (ko) * 2009-04-13 2011-03-14 핫씨씨티브이 주식회사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WO2011046394A2 (ko) * 2009-10-16 2011-04-21 Park Chan Duk 광대역 감시 카메라
WO2011046394A3 (ko) * 2009-10-16 2011-11-03 Park Chan Duk 광대역 감시 카메라
US9152019B2 (en) 2012-11-05 2015-10-06 360 Heros, Inc. 360 degree camera mount and related photographic and video system
WO2014071400A1 (en) * 2012-11-05 2014-05-08 360 Heros, Inc. 360 degree camera mount and related photographic and video system
KR101421993B1 (ko) * 2013-02-15 2014-07-23 (주) 창조시스템 제습 및 성애 방지용 감시카메라
KR20140116744A (ko) * 2013-03-25 2014-10-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445490B1 (ko) * 2013-06-10 2014-09-26 리 조나단 돔형 카메라
KR101326062B1 (ko) * 2013-09-03 2013-11-20 한라정보통신(주)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KR101508245B1 (ko) * 2014-09-05 2015-04-07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WO2017047976A1 (ko) * 2015-09-15 2017-03-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도어벨 장치
KR101632168B1 (ko) * 2016-02-03 2016-06-22 주식회사 싸인텔레콤 원샷 전방위탐지와 카메라영상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분석형 스마트 감시카메라장치
KR101651877B1 (ko) * 2016-03-02 2016-08-29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통합형 다방향 무인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무인 감시시스템
KR101644857B1 (ko) * 2016-03-15 2016-08-02 (주)서울전업공사 객체 감지 기반의 범죄 예방을 위한 cctv 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정보 수집 방법
KR20180020044A (ko) * 2016-08-17 201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80043469A (ko) * 2016-10-20 2018-04-30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시인성이 향상된 cctv
WO2019050361A1 (ko) * 2017-09-11 2019-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29095A (ko) * 2017-09-11 201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043016A (ko) * 2017-10-17 2019-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4647135A (zh) * 2020-12-17 2022-06-21 浙江衢能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高压低压预装式变电站的监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688B1 (ko)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688B1 (ko)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200376617Y1 (ko)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US9690172B2 (en)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US6637952B2 (en) Notched camera case with swivel base
US8382386B2 (en) Photographic device
JP4270267B2 (ja) 鏡筒回転型撮像装置
US20130169805A1 (en) Device for preventing diffused reflection of lighting for photography using a monitoring camera
KR20190061951A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US7170560B2 (en) Surveillance camera with impact absorbing structure
US6992723B1 (en) Integrated enclosure for video surveillance camera
EP3557859B1 (en) Multi-lens camera
KR20100095260A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KR101387460B1 (ko)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TWI789975B (zh) 模組化泛光燈系統
KR101763845B1 (ko)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20040072788A (ko) 감시카메라 장치
CN112136320B (zh) 三轴圆顶式监控摄像机
KR200369533Y1 (ko)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0277709Y1 (ko) 돔형 감시카메라 장치
JPH08102880A (ja) 監視用ビデオカメラ
KR101061835B1 (ko) 카메라 조립체
JPH0541824A (ja) 小型監視カメラ
KR200316928Y1 (ko) 돔형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CN216565279U (zh) 拍摄装置
US20050007488A1 (en) Surveillance camera moun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