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819B1 - 영상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819B1
KR101057819B1 KR1020110001866A KR20110001866A KR101057819B1 KR 101057819 B1 KR101057819 B1 KR 101057819B1 KR 1020110001866 A KR1020110001866 A KR 1020110001866A KR 20110001866 A KR20110001866 A KR 20110001866A KR 101057819 B1 KR101057819 B1 KR 10105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camera
frame
co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현
최성동
정철기
이진각
김재현
오창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01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감시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전방위 촬영이 가능한 제 1 카메라모듈을 하단에 배치한 후 그 위에 상하 좌우로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필요에 따라 원거리 및 근거리 지역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제 2 카메라모듈을 배열 구성한 것이고, 이를 통해 은행, 백화점, 편의점, 관공서 등의 공공시설과 우범지역에서의 방범이나 도로 상황의 실시간 확인에 필요로 하는 보다 선명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영상 제공으로부터 범인 검거 및 사고 발생시 원활한 사고 상황을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감시장치{VIDEO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위의 제 1 카메라모듈을 통해 1차적으로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있는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의 특정부분을 보다 선명하게 확대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또 다른 제 2 카메라모듈을 통해 확대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공시설(예; 은행, 백화점, 편의점, 관공서 등)이나 우범지역에는 방범을 위한 감시카메라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도로 곳곳에도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감시 카메라는 제한된 각도만을 촬영하기 때문에 촬영에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 978721 호(공개번호 제 10-2010-13921 호, 이하 선행특허 이라함)가 개시되었다.
즉, 선행특허는 제 1 실시예로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PTZ 카메라(200) 및 그 위에 곡면경(110)과 전방위 카메라(120)를 수직 배열하여, 전방위 카메라(120)를 통해 주변상황을 촬영한 후 필요에 따라 PTZ 카메라(200)를 통해서는 특정지역을 확대 촬영할 수 있도록 하거나, 제 2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전방위 카메라(120)와 어안렌즈(140)를 하단에 구성한 후 그 위에 전방위 카메라(120)의 중심축과 회전 중심축이 일치하는 PTZ 카메라(200)를 배열하여 주변 상황 및 특정지역을 확대 촬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선행특허의 제 1 실시예는 전방위 카메라(120)가 직접 주변 상황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곡면경(110)에 비춰지는 화면을 간접 촬영하는 것으로, 이러한 간접 촬영방식은 해상도가 저하됨은 물론 심한 영상 왜곡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따라 제 1 실시예는 영상 보정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 단계의 보정작업을 해야만 하는 것이다.
즉, 선행특허의 제 1 실시예는 1차적으로 곡면경(110)에 비춰지는 화면을 전방위 카메라(120)로 촬영시 그 화면은 역상이므로, 1차적으로 역상 보정이 이루어져야만 하며, 이렇게 1차 보정된 영상을 2차적으로 해상도를 보정함으로써 왜곡된 영상을 보정할 수 있는 등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보정프로그램에 의한 보정작업이 복잡하게 진행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선행특허의 제 2 실시예는 어안렌즈(140)와 전방위 카메라(120)를 통해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필요에 따라 PTZ 카메라(200)를 통해 특정영역을 확대 촬영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선행특허의 제 2 실시예는 전방위 카메라(120)와 PTZ 카메라(200)의 촬영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못하고 분할되면서 상기 PTZ 카메라(200)에 의한 영상 촬영시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즉, 선행특허의 제 2 실시예에 적용되는 PTZ 카메라(200)는 박스형의 구조물로서 그 회전중심축이 전방위 카메라(120)의 중심축과 일치시킨 것인 바, PTZ 카메라(200)의 상하 각도 조절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고, 이에따라 PTZ 카메라(200)를 통해 특정지역을 확대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원거리는 확대 촬영이 가능한 반면, 카메라(120)(200)가 설치되는 근거리 지역을 확대하여 촬영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따라, 선행특허의 제 2 실시예는 카메라(120)(200)가 설치되는 근거리 지역에서의 선명한 확대 영상 제공이 불가능해지면서, 근거리 지역에서의 영상정보는 어안렌즈(140)와 전방위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어안렌즈(140)와 전방위 카메라(120)에 의한 영상정보는 해상도가 떨어짐은 물론, 선행특허의 종래 기술에 언급되는 심한 영상 왜곡의 문제를 그대로 포함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전방위 촬영이 가능한 제 1 카메라모듈을 하단에 배치한 후 그 위에 상하 좌우로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필요에 따라 원거리 및 근거리 지역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제 2 카메라모듈을 배열함으로써, 공공시설(예; 은행, 백화점, 편의점, 관공서 등)이나 우범지역에서의 방범이나 도로 상황의 실시간 확인에 필요로 하는 보다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는 감시영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영상감시장치는, 전방위 촬영을 위한 제 1 카메라모듈, 확대 촬영을 위한 제 2 카메라모듈,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과 제어모듈을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갓 프레임; 상기 갓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의 상단이 걸림 고정되는 고정리브를 형성하는 반구형의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와 대칭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의 확대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반구형의 제 1 투명커버; 상기 고정커버에 걸림 고정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의 선단측이 통과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반구형을 이루는 상기 고정커버와 상기 제 1 투명커버를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 상기 제 1 투명커버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카메라 수용프레임; 및,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의 선단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을 덮어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의 전방위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투명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의 촬영정보를 원격관리센터로 전송하면서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원격제어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아 촬영각도가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갓 프레임으로는 전원케이블과 통신케이블이 인입된 후 분기되어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되, 상기 제 1 투명커버의 내측 둘레면에는 상기 분기되는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케이블 안내 바를 구성하고,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에는 상기 케이블 안내 바를 통해 안내 및 지지되는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카메라모듈과도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단자프레임을 결합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은 카메라와 어안렌즈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은, 걸림턱부를 가지며, 선단측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내에 구성되는 내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에 지지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선단측 투명재질측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촬영각도가 조절되는 IP카메라;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전방위 촬영(360°)이 가능한 제 1 카메라모듈을 하단에 배치한 후 그 위에 상하 좌우로의 각도 조절이 자유로우면서 필요에 따라 원거리 및 근거리 지역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제 2 카메라모듈을 배열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은행, 백화점, 편의점, 관공서 등의 공공시설과 우범지역에서의 방범이나 도로 상황의 실시간 확인에 필요로 하는 보다 선명한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영상 제공으로부터 범인 검거 및 사고 발생시 원활한 사고 상황을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선행특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구조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는 360°의 전방위 촬영을 위해 카메라와 어안렌즈가 포함되는 제 1 카메라모듈(10), 확대 촬영을 위한 제 2 카메라모듈(20),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10)(2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30), 그리고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10)(20)과 제어모듈(30)을 보호하는 커버부재(40), 케이블 안내 바(50), 단자프레임(6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 2 카메라모듈(20)은 걸림턱부(21a)를 가지면서 선단측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21)와, 상기 외부케이스(21)내에 구성되는 내부케이스(22),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스(22)에 지지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21)의 선단측 투명재질측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를 받아 좌,우방향은 물론 상하방향으로 촬영각도가 조절되는 IP카메라(23)를 포함한 것이다.
상기 제어모듈(30)에는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10)(20)의 촬영정보를 원격관리센터(300)로 전송하면서 원격관리센터(예; 경찰청 관제실, 지방자치단체 관제실, 도로공사 관제실, 아파트 관리실 등)(300)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31)를 포함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제 2 카메라모듈(20)은 상기 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되는 원격제어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를 받아 촬영각도가 원격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10)(20)의 촬영각도 간섭을 최소화시키면서 그 상하 배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갓 프레임(41), 고정커버(42), 제 1 투명커버(43), 연결프레임(44), 카메라 수용프레임(45), 제 2 투명커버(46)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갓 프레임(41)은 지면으로부터 수직 설치되는 등주(또는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건물 내외벽에 설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커버(42)는 상기 갓 프레임(41)의 하단부분에 결합 고정되는 반구형의 구조물로 상하단이 개구되어 있으며, 내측면에는 상기 제 2 카메라모듈(20)에 포함되는 외부케이스(21)의 걸림턱부(21a)가 걸림 고정되는 고정리브(4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투명커버(43)는 상기 고정커버(42)와 대칭되는 반구형의 구조물로서 상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하단측에는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45)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4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카메라모듈(20)의 확대 영상 촬영이 가능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44)은 상기 고정커버(42)에 걸림 고정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모듈(20)의 선단측이 통과되어 그 선단측이 상기 제 1 투명커버(43)측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관통홀(44a)이 형성되며, 상기 반구형을 이루는 상기 고정커버(42)와 상기 제 1 투명커버(43)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44)에는 외주면 상하단에 각각 체결부인 나사산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커버(42)와 상기 제 1 투명커버(43)의 내주면에는 상기 체결부인 나사산부에 대응하는 나사산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상기 나사산부들의 체결로부터 상기 고정커버(42)와 제 1 투명커버(43)는 상기 연결프레임(44)을 사이에 두고 상하 대칭 구조를 이루고, 상기 상하 대칭 구조는 하나의 원형구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45)은 상기 제 1 투명커버(43)의 하단에 형성되는 결합부(43a)에 체결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투명커버(46)는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45)의 선단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을 덮어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의 전방위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 안내 바(50)는 상기 갓 프레임(41)을 통해 인입되는 통신케이블 및 전원케이블이 분기되어 상기 단자프레임(60)으로 연결될 때, 상기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투명커버(43)의 내측 둘레면에 그 설치가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상기 제 1 투명커버(43)의 내측 둘레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 1 투명커버(43)의 곡선면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단자프레임(60)은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45)내에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케이블 안내 바(47)를 통해 안내 및 지지되는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연결됨은 물론,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과도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며, 이에따라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에는 상기 단자프레임(60)을 통해 전원공급이 이루어짐은 물론, 그 동자 제어와 촬영된 영상정보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감시장치는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최하단에 위치하면서 커버부재(40)의 제 2 투명커버(46)를 통해 보호되는 제 1 카메라모듈(10)을 제어모듈(30)에 제어하게 되는 바,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어안렌즈를 통해 360°의 전방위적인 지역을 촬영하게 되고, 상기 촬영되는 영상정보는 제어모듈(30)에 포함되는 통신부(31)를 통해 원격관제센터(300)로 전송된다.
이때, 원격관제센터(300)의 관리자가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로부터 특정지역에 대한 확대 영상을 보고자 원격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되며, 이러한 원격제어신호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30)에 포함되는 통신부(31)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30)은 상기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의 위에 배열되면서 고정커버(42)와 제 1 투명커버(43)를 통해 보호되는 제 2 카메라모듈(20)의 촬영각도가 특정지역을 향하도록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카메라모듈(20)에 포함되는 IP카메라(23)는 상기 제어모듈(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각도가 좌우 360°및 상하 45°내외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는 바, 상기 IP카메라(23)는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이 촬영하는 영상 중 관리자가 요청하는 특정지역을 보다 명확하게 확대 촬영할 수 있는 각도로 그 촬영각도는 물론 줌인(zoom in) 또는 줌아웃(zoom out)이 조절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IP카메라(23)는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고속 회전이 가능하고, 관리자가 원하는 영상을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에 포함되는 카메라보다 선명하게 촬영하기 위해 상,하,좌,우로 회전 및 줌 인/아웃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IP카메라(23)를 통해 특정지역에 대한 확대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면, 상기 촬영되는 정보는 다시 통신부(31)와 통신망을 통해 원격관제센터(300)로 전송되고, 이에따라 원격관제센터(300)의 관리자는 상기 제 1 카메라모듈(10)을 통해 촬영되는 영상정보로부터 확인하지 못하는 특정지역의 영상을 상기 IP카메라(23)로부터 보다 선명하게 제공받은 확대영상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제 1 카메라모듈 20; 제 2 카메라모듈
21; 외부케이스 21a; 걸림턱부
22; 내부케이스 23; IP카메라
30; 제어모듈 31; 통신부
40; 커버부재 41; 갓 프레임
42; 고정커버 42a; 고정리브
43; 제 1 투명커버 43a; 결합부
44; 연결프레임 44a; 관통홀
45; 카메라 수용프레임 46; 제 2 투명커버
50; 케이블 안내 바 60; 단자프레임

Claims (5)

  1. 전방위 촬영을 위한 제 1 카메라모듈, 확대 촬영을 위한 제 2 카메라모듈,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과 제어모듈을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에 각각 연결되도록 인입되는 전원케이블과 통신케이블이 분기되도록 안내하는 갓 프레임; 상기 갓 프레임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의 상단이 걸림 고정되는 고정리브를 형성하는 반구형의 고정커버; 상기 고정커버와 대칭되고, 내측 둘레면에 상기 분기되는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을 안내 및 지지하는 케이블 안내 바를 구성하면서,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의 확대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반구형의 제 1 투명커버; 상기 고정커버에 걸림 고정되는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의 선단측이 통과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반구형을 이루는 상기 고정커버와 상기 제 1 투명커버를 결합시키는 연결프레임; 상기 제 1 투명커버의 하단에 돌출되도록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을 수용하는 카메라 수용프레임;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에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안내 바를 통해 안내 및 지지되는 통신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카메라모듈과도 전기적으로 접속 연결되는 단자프레임; 및, 상기 카메라 수용프레임의 선단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을 덮어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의 전방위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제 2 투명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에는 상기 제 1,2 카메라모듈의 촬영정보를 원격관리센터로 전송하면서 원격관리센터로부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원격제어신호로부터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를 받아 촬영각도가 원격 제어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장치.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모듈은 카메라와 어안렌즈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메라모듈은,
    걸림턱부를 가지며, 선단측이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내에 구성되는 내부케이스; 및,
    상기 내부케이스에 지지되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선단측 투명재질측에 위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라 좌,우방향과 상하방향으로 촬영각도가 조절되는 IP카메라;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감시장치.
KR1020110001866A 2011-01-07 2011-01-07 영상감시장치 KR10105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66A KR101057819B1 (ko) 2011-01-07 2011-01-07 영상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866A KR101057819B1 (ko) 2011-01-07 2011-01-07 영상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819B1 true KR101057819B1 (ko) 2011-08-19

Family

ID=4493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866A KR101057819B1 (ko) 2011-01-07 2011-01-07 영상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81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88B1 (ko) * 2004-12-02 2006-12-0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88B1 (ko) * 2004-12-02 2006-12-0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7730B2 (en) Composite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101439180B1 (ko) 조명 융합형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128367B1 (ko) 광대역 영상 감시 카메라
US9936112B2 (en) Monitoring camera
KR20100095260A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CN206878992U (zh) 一种联动的车载全景摄像机
JP2003250070A (ja) カメラ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7269910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撮影システムの撮影制御方法、装置、記憶媒体及びシステム
KR20100013921A (ko) 전방위 카메라 및 ptz 카메라를 연동하여 촬영하는촬영장치, 촬영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20130071510A (ko) 감시용 카메라 장치, 광역 감시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의 연계 감시 방법
KR102053729B1 (ko)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KR102498194B1 (ko)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하는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10131983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CN112218048B (zh) 一种智能监控系统
KR20170054102A (ko) 원통형 감시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KR101057819B1 (ko) 영상감시장치
KR20150099008A (ko) 3d 영상 촬영용 파노라마 카메라장치
KR102334883B1 (ko)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JP2005277698A (ja) 監視カメラおよび監視方法
KR101405413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설치용 멀티 브래킷
KR101061868B1 (ko) 듀얼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93129B1 (ko) 다자 동시 제어를 허용하는 실시간 원격 360도 전방향 영상 감시 시스템
US20230098753A1 (en) 360-degree panoramic image zoom display camera
KR101511226B1 (ko) 광학 렌즈 시스템 및 이의 활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