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729B1 -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729B1
KR102053729B1 KR1020180045972A KR20180045972A KR102053729B1 KR 102053729 B1 KR102053729 B1 KR 102053729B1 KR 1020180045972 A KR1020180045972 A KR 1020180045972A KR 20180045972 A KR20180045972 A KR 20180045972A KR 102053729 B1 KR102053729 B1 KR 10205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ixed
surveillance
integrat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341A (ko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케이전자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케이전자통신(주) filed Critical 엘에스케이전자통신(주)
Priority to KR1020180045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729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 H04N5/2252
    • H04N5/2259
    • H04N5/2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형 및 회전형 카메라가 일체로 결합한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서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개별적으로 구분 적용하여 감시 영역을 탄력적으로 확대하면서 다방향으로의 객체를 효율적으로 집중감시 및 추적함을 제공하도록,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결합하되 해당 감시영역의 전방향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고 팬/틸트/줌 기능이 내장된 멀티메인카메라와, 상기 멀티메인카메라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고정 장착하는 고정카메라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서 상기 고정카메라는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카메라를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탈착 결합구조의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카메라는 해당 감시영역 내 구분된 위치에서 영상을 촬영가능하게 개별하우징 내 적용하여 구성하는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Integrated or Separated Type Surveillance Camera System for Tracking Multi-Directional}
본 발명은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형 및 회전형 카메라가 일체로 결합한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서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개별적으로 구분 적용하여 감시 영역을 탄력적으로 확대하면서 다방향으로의 객체를 효율적으로 집중감시 및 추적하는 것이 가능한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방범용 및 교통관제감시용, 산업용, 교육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우범지대나 도로와 같은 위험지대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범죄의 예방이나 억제, 범죄현장의 증거확보 및 범인체포의 용이성, 시민들의 두려움 감소 등의 실질적인 효과가 증명되었기 때문에 일각에서의 일반시민에 대한 초상권 및 사생활 침해 등과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용도별 다양한 형태를 갖는 감시카메라의 사용이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감시 목적 및 대상에 따라 다수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생활방범 및 사물자동추적, 불법주정차단속, 무인도로방범, 불법쓰레기배출단속 등의 목적으로 지능화된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구성한 기술들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감시카메라 시스템에서 사각지역 없이 감시지역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집중감시 역할을 할 수 있게 팬/틸트/줌 기능을 갖는 회전형의 집중감시카메라와, 집중감시카메라보다 넓은 영역을 감시하면서 시야와 시점이 고정된 설치구조를 갖는 복수 개의 고정형 카메라를 구성하여 특정지역을 감시 촬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형 구조를 갖는 집중감시카메라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79131호(2012.08.28.)에는 전단에 렌즈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렌즈결합부에 광각렌즈가 결합된 팬/틸트/줌 기능 일체형 동시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으로, 광각렌즈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팬/틸트/줌 카메라를 통해 감시지역의 전방향(360도) 원거리 영상을 촬상하는 카메라장치부; 상기 카메라장치부에 의해 촬상된 왜곡된 원거리 영상신호를 화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영상신호처리부; 상기 영상신호처리부의 영상 왜곡된 화상데이터 중 평면화 영역(unwrapping region)을 선택하여 ROI(Region of interest)로 만들고 상기 ROI 중 필요한 곡면 영역을 룩업테이블(Lookup Table)에 의하여 평면이미지로 변환하여 모니터상에 표시하고, 상기 평면이미지를 이미지 캘리브레이션(image calibration) 과정을 통해 원래의 영상으로 복원하여 적어도 하나의 감시화면으로 구성하는 중앙처리부; 및 상기 중앙처리부를 통해 복원된 영상 중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를 통해 특정 영역을 확대하고, 집중감시화면으로 구성하여 표출하는 집중감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사각지역 없이 감시지역 전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조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설치 및 유지보수관리가 용이한 팬/틸트/줌 기능 일체형 동시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일체형 감시카메라로 대상 물체확인을 위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촬영이 가능하면서 대상 구역만을 확대하여 확인가능한 구조일 뿐, 대상 물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확대한 영상 이외의 구역은 대상 물체를 식별할 수 없는 사각지역이 되기 때문에 감시카메라로서의 기능적 한계가 있었다.
반면 종래의 고정형 카메라의 경우에는 시야와 시점이 고정된 구조로부터 해당 시야 및 시점의 영상 외에는 다른 구역의 대상물체를 식별할 수 없는 사각지역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일체형 감시카메라에 고정형 카메라를 일체로 장착한 통합형 감시카메라를 제작하고 있으나, 통합형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해당 위치에서의 복합적인 촬영 영상만은 취득가능할 뿐, 감시유형이 부동적이며 해당영역 내 감시가능한 범위가 극히 좁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179131호 (2012.08.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당영역 내 회전형 구조의 멀티메인카메라 및 복수 개의 고정형 카메라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면서 복수 개의 고정형 카메라를 선택적으로 분리 적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감시 유형의 유동성 및 탄력성을 도모하고, 감시영역을 더욱 확대하면서 다목적 무인 감시 및 감시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고정형 카메라로부터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하면서 특정 객체인식 및 객체추적 기능을 구현하여 집중감시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은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결합하되 해당 감시영역의 전방향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고 팬/틸트/줌 기능이 내장된 멀티메인카메라와, 상기 멀티메인카메라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고정 장착하는 고정카메라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서 상기 고정카메라는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카메라를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탈착 결합구조의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카메라는 해당 감시영역 내 구분된 위치에서 영상을 촬영가능하게 개별하우징 내 적용하여 구성토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카메라는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1~6대를 장착 구성하되, 개개의 고정카메라별 사양 및 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카메라는 상기 개별하우징에 적용하되, 상기 고정카메라로부터 특정영역만을 집중감시 및 확대감시하도록 줌(zoom) 기능을 갖는 고정형 줌 카메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카메라는 상기 본체하우징 또는 상기 개별하우징에 2대 이상(2~6대)으로 구성하여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메인카메라 및 상기 고정카메라는 촬영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멀티메인카메라 또는 상기 고정카메라는 촬영 영상의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 집중감시를 위한 복합적인 기능을 연동구동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멀티메인카메라 및 복수 개의 상기 고정카메라를 상호 호환하여 촬영 영상을 연동시키되, 특정 객체를 인식한 후 객체인식된 영상정보를 통합 처리하는 통합감시처리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의하면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고정카메라 중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별도의 개별하우징 내 적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해당영역 내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의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감시유형을 갖는 고정카메라의 기능을 유동적으로 추가구현가능하며, 감시영역을 확대하면서 감시 목적별 다양성 및 감시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은 복수 개의 고정카메라를 다양한 형태의 개별하우징에 적용하면서 고정카메라의 사양 및 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하므로, 고정카메라의 감시유형의 변형이 자유로우며, 감시 목적별 감시환경조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은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 및 개별하우징에 분리적용한 고정카메라로부터 사각지대 촬영 및 추적 촬영을 일괄적으로 구현하면서 광역의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하여 감시기능적 효율 및 집중감시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감시처리부에 의한 화면 구성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예시화면.
본 발명은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결합하되 해당 감시영역의 전방향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고 팬/틸트/줌 기능이 내장된 멀티메인카메라와, 상기 멀티메인카메라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고정 장착하는 고정카메라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서 상기 고정카메라는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카메라를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탈착 결합구조의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카메라는 해당 감시영역 내 구분된 위치에서 영상을 촬영가능하게 개별하우징 내 적용하여 구성하는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에 설명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분들을 제외하고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고정카메라(130)를 구비한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100)에 있어서, 상기 고정카메라(130)를 분리형 구조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상기 고정카메라(130)가 일체로 장착될 수 있게 본체하우징(110)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10)은 내측에서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상기 고정카메라(130)가 설치되는 메인본체(111)와, 외측에서 전반적인 외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본체커버(115)를 구성한다.
상기 메인본체(111)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 구조를 이루어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가 장착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메인본체(111)에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카메라(130)를 지지고정하기 위한 홀더브라켓(112)을 구비한다.
상기에서 홀더브라켓(112)은 개개의 고정카메라(130)가 해당 촬영각도에서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고정하되, 상기 고정카메라(130)의 원활한 탈착이 이뤄질 수 있는 결합구조로 형성한다.
상기 본체하우징(110)에는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와 상기 고정카메라(130)로부터 감시영역을 향한 촬영 주시 방향으로 적외선의 조명을 조사할 수 있게 복수 개의 LED조명유닛(117)을 구비한다.
상기 LED조명유닛(117)은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메인본체(111) 상에 배치된 상기 고정카메라(130)의 배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게 구성하므로, 상기 고정카메라(130)로부터 감시대상인 해당지점을 향해 효과적으로 비춰 우수한 감시효율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본체(111)의 상측에는 탑플레이트(113)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탑플레이트(113)에는 내부에 복수의 통신관련장비들(예를 들면, 광통신 기기, 모뎀 기기, 산업용 스위치 허브 기기, 전원공급장치 등)을 지지토록 내장할 수 있는 충분한 내장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탑플레이트(113)에는 사용자로부터 내장공간을 개폐가능하게 결합하는 개폐덮개(114)를 구비하므로, 상기 탑플레이트(113)에 내장된 통신관련장비들의 교체나 수리 등의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커버(115)는 상기 탑플레이트(113)를 포함한 상기 메인본체(111) 및 상기 고정카메라(1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게 구성하며,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가 하부에 노출상태로 위치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에서 본체커버(115)는 복수 개로 분할된 장착구조를 이루되, 상기 탑플레이트(113)의 상부에 위치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상부커버(115a)와, 상기 고정카메라(130)에 대응하여 감싸는 중간커버(115b)와, 상기 LED조명유닛(117)에 대응하여 감싸는 하부커버(115c)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10) 상에 상단부를 결합하여 하부에 노출상태로 촬영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는 자유로운 회전형태의 카메라 구조로서, 상기 본체하우징(110)에 따른 설치지점을 기준으로 해당 감시영역의 전방향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멀티메인카메라(120)는 상기 본체하우징(110) 상에 전기적신호를 입력받아 360도 회전가능하게 구성하고,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각도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조정시킬 수 있는 팬(pan)/틸트(tilt) 기능을 구비하며, 특정 촬영지점을 확대하여 촬영할 수 있는 줌(zoom) 기능 등이 내장되어 해당 감시영역 내 집중감시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와는 구분하여 해당 감시영역 내 주변 고정된 위치지점을 감시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메인본체(111) 상에 고정 장착하되,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의 상측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도 3에는 6대)의 고정카메라(130)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상기 메인본체(111) 상에 서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하되 총 6대의 고정카메라(130)가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를 기준으로 60°의 각도마다 배치하여 해당 방향을 향한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상기 본체하우징(110)의 메인본체(111)에 구비된 홀더브라켓(112) 상에 분리가능한 탈착 결합구조의 분리형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카메라(130)를 상기 본체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하여 개별구성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상기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100)에서 분리된 고정카메라(130)의 경우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감시영역 내 구분된 위치에서 영상을 촬영가능하게 개별하우징(140)을 구비하고, 상기 개별하우징(140) 내 상기 고정카메라(130)를 적용 설치하여 상기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100)과는 구분된 지점의 감시 영상을 촬영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상기 본체하우징(110) 상에 1~6대를 장착 구성하되, 개개의 고정카메라(130)별 사양 및 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가변 및 단초점 등의 구조를 갖는 다양한 카메라의 구조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상기 고정카메라(130)로는 일반적인 어안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해상도의 메가픽셀 카메라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복수 개의 고정카메라(130)를 적용한다는 특성상 어안 렌즈가 적용된 카메라 및 메가픽셀 카메라를 혼용하여 적용가능하며, 가변 초점 카메라 및 단초점 카메라 등을 혼용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상기 개별하우징(140)에 적용하되, 상기 고정카메라(130)로부터 특정영역만을 집중감시 및 확대감시하도록 줌(zoom) 기능을 갖는 고정형 줌 카메라로 구성하므로, 특별히 집중 및 확대 감시가 필요한 지점을 효율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고정카메라(130)를 다양한 사양 및 기능별로 탄력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감시 형태 및 유형에 따라 고정카메라(130)를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개별하우징(140)에 구분 적용할 수 있어 감시의 다양성을 구현하면서 감시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개별하우징(140)은 돔형, 적외선형, 블릿형 등의 다양한 하우징 형태로 감시상황에 맞춰 선택적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카메라(130)를 다양한 형태의 개별하우징(140)에 적용하면서 고정카메라(130)의 사양 및 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하게 되면, 고정카메라의 감시유형의 변형이 자유로우며, 감시 목적별 감시환경조성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상기 본체하우징(110) 또는 상기 개별하우징(140)에 2대 이상(2~6대)으로 구성하여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상기 본체하우징(110) 상에 2~6대가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게 구성하여 각 영상으로부터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하고, 상기 개별하우징(140)에도 2~3대의 고정카메라(130)를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하여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가능하게 구성한다.
예를 들면, 파노라마 영상화면은 상기 고정카메라(130) 3대를 연속 배치하여 180°범위 내 감시영역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구현가능하고, 상기 고정카메라(130) 6대를 연속 배치하여 360°범위 내 감시영역을 파노라마 영상으로 구현가능하다.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양자 모두 해당영역의 감시를 위한 촬영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에서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상기 고정카메라(130)로부터 인식된 특정 객체의 경우 개개의 촬영 영상에서 구분 표시될 수 있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또는 상기 고정카메라(130)는 촬영 영상의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 집중감시를 위한 복합적인 기능(예를 들면, 객체추적 및 객체확대, 객체이동경로표시 등)을 연속적으로 연동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또는 상기 고정카메라(130)에서 감시 중인 촬영 영상에서 유동성 있는 특정 객체가 인식되면, 해당 객체를 감시가능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추적한 후 해당 객체를 확대 촬영하고, 해당 객체가 이동할 경우 객체의 이동경로를 표시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의하면,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100)에서 복수 개의 고정카메라(130) 중 선택적으로 분리한 후 별도의 개별하우징(140) 내 적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해당영역 내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100)의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감시유형을 갖는 고정카메라(130)의 기능을 유동적으로 추가구현가능하며, 감시영역을 확대하면서 감시 목적별 다양성 및 감시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100) 및 개별하우징(140)에 분리적용한 고정카메라(130)로부터 사각지대 촬영 및 추적 촬영을 일괄적으로 구현하면서 광역의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하여 감시기능적 효율 및 집중감시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복수 개의 상기 고정카메라(130)를 상호 호환하여 촬영 영상을 연동시키되, 해당 영상화면을 일괄적으로 구현시키는 통합감시처리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합감시처리부(150)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의 영상 및 상기 고정카메라(130)의 영상을 수신하여 개개의 촬영 영상화면을 그대로 구현가능하며, 복수 개의 상기 고정카메라(130)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이진화 연산하여 복수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 즉 광역의 파노라마 영상화면으로 구현가능하다.
상기 통합감시처리부(150)에서는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또는 복수 개의 고정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하여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왜곡된 색상 및 화질을 보정하여 최적화할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통합감시처리부(150)에서는 상기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상기 고정카메라(130)로부터 특정 객체를 인식한 후 객체인식된 영상정보를 통합 처리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통합감시처리부(150)에서는 특정 객체가 인식된 영상데이터를 분석한 후 해당 카메라별, 날짜별, 유형별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저장하며, 해당 영상정보에 대하여 수시로 검색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통합감시처리부(150)에서는 파노라마 영상에서도 특정 객체를 인식가능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멀티메인카메라(120) 및 복수 개의 고정카메라(130)로부터 감시중인 영상을 일괄적으로 구현하여 광범위한 영역별 통합적 감시구조를 효율적으로 조성함은 물론 주변 감시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
110 : 본체하우징 111 : 메인본체
112 : 홀더브라켓 113 : 탑플레이트
114 : 개폐덮개 115 : 본체커버
115a : 상부커버 115b : 중간커버
115c : 하부커버 117 : LED조명유닛
120 : 멀티메인카메라 130 : 고정카메라
140 : 개별하우징 150 : 통합감시처리부

Claims (7)

  1. 메인본체 및 본체커버를 구비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결합하되 해당 감시영역의 전방향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회전가능하고 팬/틸트/줌 기능이 내장된 멀티메인카메라와, 상기 멀티메인카메라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고정 장착하는 고정카메라를 포함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감시 카메라시스템에서 상기 고정카메라는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의 고정카메라를 상기 본체하우징으로부터 분리가능한 탈착 결합구조의 분리형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카메라는 해당 감시영역 내 구분된 위치에서 영상을 촬영가능하게 개별하우징 내 적용하여 구성함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하우징의 메인본체에는 복수 개의 상기 고정카메라를 지지고정하되 개개의 고정카메라가 해당 촬영각도에서 부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고정하며 상기 고정카메라의 원활한 탈착이 이뤄질 수 있는 결합구조로 형성하는 홀더브라켓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카메라는 상기 본체하우징 상에 1~6대를 장착 구성하되 개개의 고정카메라별 사양 및 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여 구성하며, 상기 고정카메라는 상기 개별하우징에 적용하되 상기 고정카메라로부터 특정영역만을 집중감시 및 확대감시하도록 줌(zoom) 기능을 갖는 고정형 줌 카메라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카메라는 상기 본체하우징 또는 상기 개별하우징에 2대 이상(2~6대)으로 구성하여 파노라마 영상화면을 구현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메인카메라 및 상기 고정카메라는 촬영 영상에서 특정 객체를 인식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메인카메라 또는 상기 고정카메라는 촬영 영상의 특정 객체를 인식하여 객체 집중감시를 위한 복합적인 기능을 연동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멀티메인카메라 및 복수 개의 상기 고정카메라를 상호 호환하여 촬영 영상을 연동시키되, 특정 객체를 인식한 후 객체인식된 영상정보를 통합 처리하는 통합감시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5972A 2018-04-20 2018-04-20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KR10205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972A KR102053729B1 (ko) 2018-04-20 2018-04-20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972A KR102053729B1 (ko) 2018-04-20 2018-04-20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41A KR20190122341A (ko) 2019-10-30
KR102053729B1 true KR102053729B1 (ko) 2019-12-09

Family

ID=6846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972A KR102053729B1 (ko) 2018-04-20 2018-04-20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51164B (zh) * 2020-09-30 2022-06-03 特斯联科技集团有限公司 智能监控装置
KR102334883B1 (ko) * 2021-03-31 2021-12-03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KR102539105B1 (ko) 2021-09-14 2023-06-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비전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방향 영상 처리 방법
KR102614425B1 (ko) * 2022-02-17 2023-12-14 한화오션 주식회사 잠수함용 전자광학체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45B1 (ko) 2014-09-05 2015-04-07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KR101651877B1 (ko) 2016-03-02 2016-08-29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통합형 다방향 무인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무인 감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788A (ko) * 2003-02-11 2004-08-19 주식회사 디펠 감시카메라 장치
KR101179131B1 (ko) 2010-07-20 2012-09-07 허병도 팬/틸트/줌 기능 일체형 동시감시카메라를 이용한 감시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45B1 (ko) 2014-09-05 2015-04-07 다산정보통신주식회사 추가 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복수 개의 적외선 카메라들을 내장한 방범용 다방향 cctv 카메라 장치
KR101651877B1 (ko) 2016-03-02 2016-08-29 주식회사 두원전자통신 통합형 다방향 무인 감시카메라와 이를 이용한 다목적 무인 감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341A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729B1 (ko) 다방향 감시 추적을 위한 통합형 또는 분리형 겸용 감시 카메라시스템
KR101128367B1 (ko) 광대역 영상 감시 카메라
WO2001068540A2 (en) Imaging apparatus
KR101685418B1 (ko)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감시 시스템
MX2012008878A (es) Dispositivo de camara de seguimiento y supervision y sistema remoto de supervision que usa el mismo.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KR101982751B1 (ko) 멀티 카메라를 이용한 이동경로 추적기술이 적용된 영상감시장치
CN109428994B (zh) 摄像设备
JP2011522480A (ja) 監視カメラ装置
CN206878992U (zh) 一种联动的车载全景摄像机
KR101937143B1 (ko) 비구면 반구 돔으로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시킨 cctv 장치
JP5295076B2 (ja) カメラ・アセンブリ
KR100633033B1 (ko) 보조 카메라를 구비하는 팬틸트 카메라 장치
KR102498194B1 (ko) 화각 가림현상을 최소화하는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KR101763845B1 (ko) 서라운드 카메라 장치
JP2019033407A (ja) 多眼カメラ装置
KR102010778B1 (ko) 360도 주야간 영상 촬영 및 파노라마 구현장치
KR101319838B1 (ko) 감시카메라 시스템
WO2015001528A1 (en) Distributed aperture sensor camera system
KR102334883B1 (ko)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KR101849777B1 (ko) 카메라 모듈
Thibault Enhanced surveillance system based on panomorph panoramic lenses
KR200422158Y1 (ko) 렌즈조절이 용이한 감시카메라
KR20180134114A (ko) 실시간 영상 감시 시스템
KR100923233B1 (ko) 가시범위가 향상된 전방위 수퍼파노라마 감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