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777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777B1
KR101849777B1 KR1020160148401A KR20160148401A KR101849777B1 KR 101849777 B1 KR101849777 B1 KR 101849777B1 KR 1020160148401 A KR1020160148401 A KR 1020160148401A KR 20160148401 A KR20160148401 A KR 20160148401A KR 101849777 B1 KR101849777 B1 KR 10184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tographing
area
lens
foca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성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월드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성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월드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성이노베이션
Priority to KR102016014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1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by using two or more images to influence resolution, frame rate or aspect ratio
    • H04N5/2254
    • H04N5/2257
    • H04N5/23212
    • H04N5/23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 제2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의 제1 광축과 상기 제2 카메라의 제2 광축은, 피사체를 향하는 가상의 촬영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거나, 상기 촬영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촬영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최종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개의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영역에 비하여 더 넓은 영역을 충분한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A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영역에 비하여 더 넓은 영역을 충분한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TV(CCTV; Closed-circuit Television)는, 특정목적을 위해 특정인들에게 제공되는 TV로서, 우리가 말하는 보통의 TV인 불특정 다수에게 보여지기 위한 개방회로 TV(Open-circuit Television)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이러한 CCTV는, 외부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는 점에서 폐쇄회로 TV라고 불리는 것이며, 카메라와 이 카메라가 찍는 영상을 녹화해 줄 DVR(Digital video recorder)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CCTV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감시카메라(surveillance camera)로 불리기도 하는데, 초점 거리가 가변인 가변 초점 카메라(variable focus camera)와, 초점 거리(focal length)가 고정된 고정 초점 카메라(fixed-focus camera)와, 전동 줌 카메라(motorized zoom camera)로 나누어진다.
상기 가변 초점 카메라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초점 거리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카메라 설치 시에 작업자가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초점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고정 초점 카메라는, 일정한 거리에 초점을 맞추고 렌즈와 CCD와 같은 이미지 센서와의 간격을 고정시킨 카메라로서, 상초점 카메라로 불리기도 하며, 초점을 맞추기 위한 추가적인 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가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 초점 카메라는, 피사체 심도(선명하게 찍혀지는 거리 범위)가 초점 거리에 의존적이므로, 고정된 초점 거리에 따라 피사체 심도 내지 촬영 가능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피사체인 감시 대상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촬영 영역 내에서만 감시 대상자의 얼굴 등의 신원을 충분한 해상도로 확인할 수 있고, 감시 대상자가 그 촬영 영역을 벗어나면 감시 대상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동 줌 카메라는, 줌 기능으로 인하여 피사체 심도(선명하게 찍혀지는 거리 범위)가 비교적 크다는 이점이 있으나, 기구가 복잡하여 고장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감시 카메라로 사용하기에는 가격이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피사체인 감시 대상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감시 대상자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지 않으면 감시 대상자의 얼굴 등을 충분한 해상도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여전히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감시카메라는, 피사체인 감시 대상자가 이동하는 경우를 완벽하게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가변 초점 카메라와 상기 고정 초점 카메라를 여러 지점에 복수 개 설치할 수밖에 없어, 전체적인 감시망의 구축에 엄청난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1개의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영역에 비하여 더 넓은 영역을 충분한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 제2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의 제1 광축과 상기 제2 카메라의 제2 광축은, 피사체를 향하는 가상의 촬영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거나, 상기 촬영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촬영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최종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촬영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통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가 수용되는 공간부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제1 렌즈와 상기 제2 카메라의 제2 렌즈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는, 초점 거리가 고정된 고정 초점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는, 초점 거리가 가변인 가변 초점 카메라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3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3 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는, 근거리 영역, 중거리 영역 원거리 영역을 각각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초점 거리는 2.8 내지 10mm이며, 상기 제2 초점 거리는 5 내지 50mm이며, 상기 제3 초점 거리는 30 내지 30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특정목적을 위한 폐쇄회로 TV에 사용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 제2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의 제1 광축과 상기 제2 카메라의 제2 광축은, 피사체를 향하는 가상의 촬영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거나, 상기 촬영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촬영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최종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1개의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영역에 비하여 더 넓은 영역을 충분한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으며,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특정목적을 위한 폐쇄회로 TV(CCTV; Closed-circuit Television)에 사용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모듈(surveillance camera module)로서, 하우징(10)과,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M)를 향하는 가상의 촬영 중심축(C)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부재로서, 공간부(11)와 개구부(12)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부(11)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상기 제1 카메라(20)와 상기 제2 카메라(30)와 상기 제3 카메라(40)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전단부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으로서, 상기 제1 카메라(20)와 상기 제2 카메라(30)와 상기 제3 카메라(40)의 후술할 렌즈(22, 32, 4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카메라(20)는,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을 이미지 센서로 가지는 영상 카메라로서, 제1 본체(21)와 제1 렌즈(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본체(21)는, 촬영 중심축(C)과 평행한 제1 광축(C1)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렌즈(22)는, 상기 제1 본체(21)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광학 렌즈로서, 비교적 근거리 영역인 제1 촬영 영역(S1)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2.8 내지 10mm의 제1 초점 거리(focal length)(F1)를 가진다.
상기 제1 촬영 영역(S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방으로 L1만큼 이격된 지점과 L2만큼 이격된 지점 사이의 근거리 영역이다.
상기 제1 렌즈(2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12)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카메라(20)는, 촬영시 일정한 화면 내에 포함할 수 있는 수평 시야각으로서, 미리 정한 제1 화각(α1)을 가진다.
상기 제2 카메라(30)는, CCD나 CMOS등을 이미지 센서로 가지는 영상 카메라로서, 제2 본체(31)와 제2 렌즈(32)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본체(31)는, 촬영 중심축(C)과 평행한 제2 광축(C2)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제1 본체(21)와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렌즈(32)는, 상기 제2 본체(31)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광학 렌즈로서, 비교적 중거리 영역인 제2 촬영 영역(S2)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5 내지 50mm의 제2 초점 거리(F2)를 가진다.
상기 제2 촬영 영역(S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방으로 L2만큼 이격된 지점과 L3만큼 이격된 지점 사이의 중거리 영역이다.
상기 제2 렌즈(3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12)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카메라(30)는, 촬영시 일정한 화면 내에 포함할 수 있는 수평 시야각으로서, 미리 정한 제2 화각(α2)을 가진다.
상기 제3 카메라(40)는, CCD나 CMOS등을 이미지 센서로 가지는 영상 카메라로서, 제3 본체(41)와 제3 렌즈(42)를 구비한다.
상기 제3 본체(41)는, 촬영 중심축(C)과 평행한 제3 광축(C3)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부재로서, 상기 제1 본체(21)와 최대한 근접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 배치된다.
결국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는, 상기 하우징(10)의 공간부(11)에 "다발(bundle)" 형태로 장착된다.
상기 제3 렌즈(42)는, 상기 제3 본체(41)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광학 렌즈로서, 비교적 원거리 영역인 제3 촬영 영역(S3)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30 내지 300mm의 제3 초점 거리(F3)를 가진다.
상기 제3 촬영 영역(S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방으로 L3만큼 이격된 지점과 L4만큼 이격된 지점 사이의 원거리 영역이다.
상기 제3 렌즈(4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개구부(12)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카메라(30)는, 촬영시 일정한 화면 내에 포함할 수 있는 수평 시야각으로서, 미리 정한 제3 화각(α3)을 가진다.
상기 제1 광축(C1)과 제2 광축(C2)과 제3 광축(C3)은, 각 카메라(20, 30, 40)가 거의 동일한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 중심축(C)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광축(C1)과 제2 광축(C2)과 제3 광축(C3)이 상기 촬영 중심축(C)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β1, β2) 범위 이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β1, β2)는 10도 이하의 값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값의 화각(view angle)(α1, α2, α3)을 가지고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거리 영역을 담당하는 제1 카메라(20)의 제1 화각(α1)이 최대값을 가지고, 중거리 영역을 담당하는 제2 카메라(30)의 제2 화각(α2)이 중간값을 가지며, 원거리 영역을 담당하는 제3 카메라(40)의 제3 화각(α3)이 최소값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α1 > α2 > α3가 되도록 구성하면, 일정한 폭(W)을 가진 도로를 감시할 경우, L1 지점과 L4 지점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는, 모두 초점 거리가 고정된 고정 초점 카메라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는, 24시간 동시에 작동하며, 각각의 카메라(20, 30, 40)가 찍은 영상은, 유무선으로 연결된 DVR(Digital video recorder)로 전송되어 별개의 영상 파일로 저장된다.
상기 화각(α1, α2, α3)은 상기 카메라 모듈(100)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점 거리가 50mm인 표준 렌즈는 46°, 초점 거리가 28mm인 광각 렌즈는 74°, 초점 거리가 135mm인 망원 렌즈는 20°정도의 값을 가진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촬영 중심축(C)을 따라 길게 연장된 최종 촬영 영역(S)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최종 촬영 영역(S)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전방으로 L1만큼 이격된 지점과 L4만큼 이격된 지점 사이의 촬영 영역으로서, 상기 촬영 중심축(C)을 따라 길게 연장된 영역이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M)인 감시 대상자가 도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전제로, 상술한 구성의 카메라 모듈(100)의 작동 원리의 일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피사체(M)가 원거리 영역인 상기 제3 촬영 영역(S3)에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제3 카메라(40)가 촬영한 영상을 기준으로 피사체(M)의 신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피사체(M)가 중거리 영역인 상기 제2 촬영 영역(S2)에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제2 카메라(30)가 촬영한 영상을 기준으로 피사체(M)의 신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피사체(M)가 근거리 영역인 상기 제1 촬영 영역(S1)에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제1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을 기준으로 피사체(M)의 신원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제1 촬영 영역(S1)과 제2 촬영 영역(S2)과 제3 촬영 영역(S3)을 모두 포함하는 최종 촬영 영역(S)을 충분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다.
만약, 피사체(M)인 감시 대상자가 도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된다.
상술한 구성의 카메라 모듈(100)은, 제1 촬영 영역(S1)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초점 거리(F1)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20); 제2 촬영 영역(S2)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초점 거리(F2)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20)의 제1 광축(C1)과 상기 제2 카메라(30)의 제2 광축(C2)은, 피사체(M)를 향하는 가상의 촬영 중심축(C)과 서로 평행하거나, 상기 촬영 중심축(C)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β1, β2) 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20)와 상기 제2 카메라(30)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촬영 중심축(C)을 따라 연장된 최종 촬영 영역(S)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1개의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촬영 영역(S1, S2)에 비하여 더 넓은 영역(S)을 충분한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촬영 중심축(C)을 따라 연장된 통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가 수용되는 공간부(11)와, 상기 제1 카메라(20)의 제1 렌즈(22)와 상기 제2 카메라(30)의 제2 렌즈(32)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12)를 포함하는 하우징(10)을 구비하므로, 상기 제1 카메라(20)와 상기 제2 카메라(30)의 촬영 방향을 거의 동일하게 하기 용이하며, 외부 충격, 햇빛, 수분 등으로부터 상기 카메라(20, 30)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는, 초점 거리가 고정된 고정 초점 카메라이므로, 초점을 맞추기 위한 추가적인 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가격이 저렴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제3 촬영 영역(S3)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초점 거리(F3)를 구비하는 제3 카메라(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 및 제3 카메라(40)는, 근거리 영역, 중거리 영역 원거리 영역을 각각 담당하므로, 피사체(M)인 감시 대상자가 도로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100)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피사체(M) 얼굴 등의 신원을 충분한 해상도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제1 초점 거리(F1)는 2.8 내지 10mm이며, 상기 제2 초점 거리(F2)는 5 내지 50mm이며, 상기 제3 초점 거리(F3)는 30 내지 300mm이므로, 고정 초점 카메라를 사용할 때 근거리 영역, 중거리 영역, 원거리 영역을 각각 담당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 모듈(100)은, 특정목적을 위한 폐쇄회로 TV에 사용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모듈이므로, 각각의 카메라(20, 30, 40)를 별도의 장소에 개별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완벽한 감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카메라(20, 30, 4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4개 이상의 카메라가 장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는, 모두 초점 거리가 고정된 고정 초점 카메라이나,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 중 적어도 하나가 초점 거리가 가변인 가변 초점 카메라(variable focus camera)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근거리 영역을 촬영하는 상기 제1 카메라(20)는 가변 초점 카메라를 사용하고, 중거리 영역 및 원거리 영역을 촬영하는 상기 제2 카메라(30) 및 제3 카메라(40)는 고정 초점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카메라(20)와 제2 카메라(30)와 제3 카메라(40)가, 모두 단순한 고정 초점 카메라이나, 자동 초점(auto-focus) 기능을 구비한 전동 줌 카메라(motorized zoom camera) 내지 서보 줌 카메라(servo zoom camera)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카메라 모듈
10: 하우징
11: 공간부
12: 개구부
20: 제1 카메라
21: 제1 본체
22: 제1 렌즈
30: 제2 카메라
31: 제2 본체
32: 제2 렌즈
40: 제3 카메라
41: 제3 본체
42: 제3 렌즈
C : 촬영 중심축
C1: 제1 광축
C2: 제2 광축
C3: 제3 광축
F1: 제1 초점 거리
F2: 제2 초점 거리
F3: 제3 초점 거리
M : 피사체
S : 최종 촬영 영역
S1: 제1 촬영 영역
S2: 제2 촬영 영역
S3: 제3 촬영 영역

Claims (7)

  1. 제1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1 카메라;
    제2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2 카메라;
    제3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제3 초점 거리를 구비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카메라의 제1 광축과 상기 제2 카메라의 제2 광축 및 상기 제3 카메라의 제3 광축은, 피사체를 향하는 가상의 촬영 중심축과 서로 평행하거나, 상기 촬영 중심축에 대하여 미리 정한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 및 상기 제3 카메라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촬영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최종 촬영 영역을 미리 정한 설계요구 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는, 근거리 영역, 중거리 영역 원거리 영역을 각각 담당하며,
    상기 제1 초점 거리는 2.8 내지 10mm이며, 상기 제2 초점 거리는 5 내지 50mm이며, 상기 제3 초점 거리는 30 내지 300mm이며,
    상기 촬영 중심축을 따라 연장된 통형 부재로서,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가 수용되는 공간부와, 상기 제1 카메라의 제1 렌즈와 상기 제2 카메라의 제2 렌즈 및 상기 제3 카메라의 제3 렌즈가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카메라와 제2 카메라 및 제3 카메라는, 초점 거리가 고정된 고정 초점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특정목적을 위한 폐쇄회로 TV에 사용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60148401A 2016-11-08 2016-11-08 카메라 모듈 KR101849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01A KR101849777B1 (ko) 2016-11-08 2016-11-08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01A KR101849777B1 (ko) 2016-11-08 2016-11-0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777B1 true KR101849777B1 (ko) 2018-04-17

Family

ID=62083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401A KR101849777B1 (ko) 2016-11-08 2016-11-0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040A (zh) * 2018-11-01 2019-01-11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列车识别系统及其方法、列车安全检查系统及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7777A (ja) * 2006-12-06 2008-06-26 Fujinon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926179B1 (ko) * 2009-03-10 2009-11-10 은강정보통신(주) 무인 화상 방범 시스템
KR20120001532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거리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40767A (ko) * 2014-10-06 2016-04-15 송화섭 두 개의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5~100cm 간격으로 수평의 위치에 고정 시킨 얼굴 등 물체인식 3D계측 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7777A (ja) * 2006-12-06 2008-06-26 Fujinon Corp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0926179B1 (ko) * 2009-03-10 2009-11-10 은강정보통신(주) 무인 화상 방범 시스템
KR20120001532A (ko) * 2010-06-29 2012-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거리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40767A (ko) * 2014-10-06 2016-04-15 송화섭 두 개의 카메라 렌즈의 중심을 5~100cm 간격으로 수평의 위치에 고정 시킨 얼굴 등 물체인식 3D계측 카메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8040A (zh) * 2018-11-01 2019-01-11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列车识别系统及其方法、列车安全检查系统及其方法
US11952027B2 (en) 2018-11-01 2024-04-09 Nuctech Company Limited Train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and train safety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1293B2 (ja) ドーム型カメラ
US20100321494A1 (en) Compact dome camera
DK0971540T3 (da) Rundtdækkende retningssystem for fast kamera
CN103780817B (zh) 摄像组件
KR20110037448A (ko) 열화상카메라용 일축형 렌즈모듈
KR102010778B1 (ko) 360도 주야간 영상 촬영 및 파노라마 구현장치
KR101849777B1 (ko) 카메라 모듈
US20140293111A1 (en) Optical viewfinder
US11399129B2 (en) Image capture device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JP5661892B2 (ja) ドーム型カメラ
US6975358B1 (en) Dual channel imaging device
JP2013057698A (ja) 鏡筒アダプタ、レンズ鏡筒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5830666B2 (ja) ドーム型カメラ
KR101511226B1 (ko) 광학 렌즈 시스템 및 이의 활용.
CN209046727U (zh) 多路高清摄像拼接的全景视频实时处理系统
KR101436231B1 (ko) 영상 표시부에 폐공간을 없앤 전방위촬영시스템 및 촬영방법
JP2000152063A5 (ko)
US20140294371A1 (en) Optical viewfinder
JP2007140273A (ja) 多焦点カメラの筐体
US20210099623A1 (en) Image pickup apparatus
US20040100558A1 (en) Remote optical imaging device for electronic monocular telescope or digital binocular camera
JP2004336396A (ja) Atm監視カメラ
JP3097018U (ja) 望遠鏡付きccdカメラ
US10033914B2 (en) Optoelectronic surveillance system with variable optical field
Folynskov et al. Specific peculiarities use of fisheye panoramic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