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321B1 -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321B1
KR101899321B1 KR1020170135482A KR20170135482A KR101899321B1 KR 101899321 B1 KR101899321 B1 KR 101899321B1 KR 1020170135482 A KR1020170135482 A KR 1020170135482A KR 20170135482 A KR20170135482 A KR 20170135482A KR 101899321 B1 KR101899321 B1 KR 10189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transparent case
fixing
substrate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필순
강용수
Original Assignee
(주)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텍 filed Critical (주)씨텍
Priority to KR102017013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의 상태를 360도 방향으로 촬영하여 해양상태를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개시된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장착부를 구비하며, 카메라 장착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가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고정구와, 카메라 고정구가 삽입되며, 카메라 고정구를 커버하는 투명케이스와, 카메라 고정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카메라 고정구를 지지하며, 투명케이스를 보호하는 실링 커버부와, 카메라 고정구와 실링 커버부를 결합하는 체결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FOR OCEN OBSERVATION BUOY}
본 발명은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의 상태를 360도 방향으로 촬영하여 해양상태를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고, 카메라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Buoy)는 해양의 해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로 된 항로표지의 일종으로,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또는 암초, 침몰선 등 항해양의 위험물 존재를 경고하는 경고용과, 해류의 흐름, 표층수온, 기압, 풍향, 풍속 등과 같은 기상 정보를 감지하는데 사용하여 자체 내에서 데이터 처리를 하여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해양 기상관측용 등으로 구분된다.
해양 기상관측용 부이는 강, 호수 또는 바다 위에서 표류하면서 파향이나, 파고, 해류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자체 내에 데이터 송수신 수단을 이용하여 측정된 해양 기상 정보를 수시로 육상으로 전송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해양 기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해양 상태를 정확하게 관측하기 위하여 인공위성, 항공기, 선박 및 무인 헬기 등을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해양의 상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하고는 있으나, 대부분 한 방향의 영상만을 촬영하므로, 해양 상황을 보다 복합적으로 관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163호(등록일:2012년11월05일)에는 "웹 3D를 이용한 실시간 해양공간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가 개시되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0656호(공개일: 2008년 05월 08일)에는 "원격탐사자료 이용한 실시간 해류예측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해양의 상태를 360도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하여 해양상태를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가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고정구와, 상기 카메라 고정구가 삽입되며,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커버하는 투명케이스와,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지지하며, 상기 투명케이스를 보호하는 실링 커버부와, 상기 카메라 고정구와 상기 실링 커버부를 결합하는 체결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는 기판부재와, 상기 기판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기판장착홀부와, 상기 기판부재의 모서리부가 스크루에 의해 고정하도록 상기 기판장착홀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기판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장착홀부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기판부재의 모서리부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모서리 접촉방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 접촉방지홈부에 상기 기판고정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 커버부는,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상단부 및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부실링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고정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고정구 및 상기 투명케이스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부커버부재와, 카메라 고정구의 하단부 및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하부실링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고정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고정구 및 상기 투명케이스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링 커버부는, 상기 투명케이스의 상단 및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커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투명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보조지지부재와, 상기 투명케이스의 하단 및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투명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2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커버부재에 형성되는 체결홈부와, 상기 하부커버부재 및 상기 카메라 고정구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부와,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부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카메라 고정구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카메라를 통해 해양의 상태를 360도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하여 해양상태를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부이용 관측장비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고정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고정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 부이용 관측장비 보호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도 2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착부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고정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고정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100)은 카메라(10)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카메라(10)를 통해 해양의 상태를 360도 모든 방향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100)은 카메라 고정구(110)와, 투명케이스(120)와, 실링 커버부(130)와, 체결 고정부재(140)를 포함한다.
카메라 고정구(110)는 카메라(10)의 결합을 위한 카메라 장착부(111)를 구비하며, 투명케이스(1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실링 커버부(130)를 통해 투명케이스(120)에 안정되게 고정됨은 물론 긴밀한 방수성능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카메라 고정구(11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카메라 장착부(111)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5개 형성된다. 이때, 카메라 장착부(111)에 결합되는 카메라(10)는 촬영하는 영역이 중첩되도록 결합되며,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100)에서 해양상태를 360도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하게 된다. 즉, 360도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하여 해양상태를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메라 고정구(110)는 배선을 위한 배선관통홀부(113)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배선관통홀부(113)는 카메라 장착부(111)와 연통된다.
카메라 장착부(111)는 카메라(10)가 결합되는 기판부재(111a)와, 기판부재(111a)가 삽입되는 기판장착홀부(111b)와, 기판장착홀부(111b)로 삽입된 기판부재(111a)를 고정하기 위한 기판고정리브(111c)를 포함한다.
기판부재(111a)는 중앙부에 카메라(10)가 결합되며, 기판장착홀부(111b)로 삽입되어 기판고정리브(111c)에 장착되고 스크루를 통해 기판고정리브(111c)에 고정된다. 이러한, 기판부재(111a)는 4각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이 기판장착홀부(111b)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를 통해 기판부재(111a)를 기판장착홀부(111b)에 보다 안정되고 긴밀하게 고정할 수 있다.
기판장착홀부(111b)는 배선관통홀부(113)와 연통하도록 카메라 고정구(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기판부재(111a)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또한, 기판장착홀부(111b)는 4각 구멍 형태로 형성되며, 내면에 기판부재(111a)의 외면이 접촉되도록 삽입된다. 더하여, 기판장착홀부(111b)에는 기판부재(111a)의 결합시 장착이 용이하도록 각 모서리에 모서리 접촉방지홈부(111d)가 형성된다. 모서리 접촉방지홈부(111d)에는 기판고정리브(111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기판고정리브(111c)는 기판부재(111a)의 모서리부를 스크루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기판장착홀부(111b)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기판고정리브(111c)는 모서리 접촉방지홈부(111d)에서 돌출 형성되며, 기판부재(111a)가 접촉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는 기판장착홀부(111b)가 등간격으로 5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카메라(10)의 영상촬영 각도에 따라 5개 미만 예를 들어 4개 또는 3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 고정구(110)는 상면 및 하면에 회전방지돌부(115)가 다각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투명케이스(120)는 카메라(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카메라 고정구(110)가 삽입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가 실링 커버부(13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투명케이스(120)는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더하여 투명케이스(120)의 외면에는 기온차에 의한 김서림이 방지되도록 열선이 구비될 수도 있다.
실링 커버부(130)는 카메라 고정구(110) 및 투명케이스(120)를 지지하도록 카메라 고정구(1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실링 커버부(130)는 카메라 고정구(110) 및 투명케이스(12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부재(131)와, 카메라 고정구(110) 및 투명케이스(12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커버부재(133)와, 투명케이스(120)의 안정된 결합을 위한 제1보조지지부재(135) 및 제2보조지지부재(137)를 포함한다.
상부커버부재(131)는, 카메라 고정구(110)의 상부 회전방지돌부(115) 및 투명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부실링 고정부재(131a)를 구비하며, 체결 고정부재(140)에 의해 카메라 고정구(110) 및 투명케이스(120)에 밀착 고정된다.
상부실링 고정부재(131a)는 상부커버부재(131)에서 돌출 형성되며, 체결 고정부재(140)가 체결됨에 따라 카메라 고정구(110) 및 투명케이스(12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부실링 고정부재(131a)는 중앙부에 회전방지돌부(11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회전방지홈부(131b)가 형성되고, 외면이 투명케이스(120)의 내면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부실링 고정부재(131a)의 외면에는 투명케이스(120)와의 실링을 위하여 제1오링(131c)이 결합되는 제1오링홈(131d)이 형성된다.
한편 상부커버부재(131)에는 제1보조지지부재(135)가 삽입되는 제1안착홈부(131e)가 형성된다.
제1보조지지부재(135)는 투명케이스(120)의 상단 및 외면을 지지하도록 제1안착홈부(131e)에 결합되어 투명케이스(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보조지지부재(135)는 제1안착홈부(131e)에 삽입되는 제1안착리브(135a)와, 투명케이스(120)의 외면에 접촉되어 투명케이스(120)를 지지하는 제1지지리브(135b)를 구비한다.
하부커버부재(133)는 카메라 고정구(110)의 하부 회전방지돌부(115) 및 투명케이스(120)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하부실링 고정부재(133a)를 구비하며, 체결 고정부재(140)의 체결을 통해 상부커버부재(131)와 결합되면서 카메라 고정구(110) 및 투명케이스(120)를 밀착 고정시킨다.
하부실링 고정부재(133a)는 하부커버부재(133)에서 돌출 형성되며, 체결 고정부재(140)가 체결됨에 따라 상부커버부재(131)와 결합된다. 이때, 카메라 고정구(110) 및 투명케이스(120)가 상부커버부재(131) 및 하부커버부재(133)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하부실링 고정부재(133a)는 중앙부에 회전방지돌부(115)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회전방지홈부(133b)가 형성되고, 외면이 투명케이스(120)의 내면으로 삽입된다. 또한, 하부실링 고정부재(133a)의 외면에는 투명케이스(120)와의 실링을 위하여 제2오링(133c)이 결합되는 제2오링홈(133d)이 형성된다.
한편 하부커버부재(133)에는 제2보조지지부재(137)가 삽입되는 제2안착홈부(133e)가 형성된다.
제2보조지지부재(137)는 투명케이스(120)의 상단 및 외면을 지지하도록 제2안착홈부(133e)에 결합되어 투명케이스(12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2보조지지부재(137)는 제2안착홈부(133e)에 삽입되는 제2안착리브(137a)와, 투명케이스(120)의 외면에 접촉되어 투명케이스(120)를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137b)를 구비한다.
체결 고정부재(140)는 카메라 고정구(110)와 실링 커버부(130)를 결합한다. 이러한 체결 고정부재(140)는 상부커버부재(131)에 형성되는 체결홈부(141)와, 하부커버부재(133) 및 카메라 고정구(110)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부(143)와, 결합홀부(143)에 삽입되어 체결홈부(141)에 결합되는 체결볼트(14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카메라(10)가 장착된 기판부재(111a)를 카메라 고정구(110)의 기판장착홀부(111b)에 삽입하고, 스크루를 체결하여 기판부재(111a)를 카메라 고정구(110)에 설치한다.
그리고 하부커버부재(133)의 제2안착홈부(133e)에 제2보조지지부재(137)를 안착하고, 제2보조지지부재(137)의 제2지지리브(137b)와 하부실링 고정부재(133a) 사이에 투명케이스(120)의 하단부를 삽입한다. 이때, 제2오링홈(133d)에 제2오링(133c)이 결합된다.
이후 카메라 고정구(110)의 하단부 회전방지돌부(115)가 제2회전방지홈부(133b)에 삽입되도록 카메라 고정구(110)를 투명케이스(120)로 삽입한다.
또한, 투명케이스(120)의 상단부에 제2보조지지부재(137)를 결합하고, 카메라 고정구(110)의 상단부 회전방지돌부(115)가 제1회전방지홈부(131b)에 삽입되도록 상부커버부재(131)를 카메라 고정구(110)와 결합한다. 이때, 제1오링홈(131d)에 제1오링(131c)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커버부재(131)를 결합한다.
끝으로 체결볼트(145)를 결합홀부(143)에 삽입하여 체결홈부(141)에 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100)은, 카메라 고정구(110)에 등간격으로 5개 배치되는 카메라(10)를 통해 해양의 상태를 360도 방향으로 동시에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의 상태를 보다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100)은 기판부재(111a)를 이용하여 카메라(10)를 카메라 고정구(11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링 커버부(130)의 제1오링(131c) 및 제2오링(133c)을 통해 방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카메라 100 :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110 : 카메라 고정구 111 : 카메라 장착부
111a : 기판부재 111b : 기판장착홀부
111c : 기판고정리브 111d : 모서리 접촉방지홈부
113 : 배선관통홀부 115 : 회전방지돌부
120 : 투명케이스 130 : 실링커버부
131 : 상부커버부재 131a : 상부실링고정부재
131b : 제1회전방지홈부 131c : 제1오링홈
131d : 제1오링 131e : 제1안착홈부
133 : 하부커버부재 133a : 하부실링고정부재
133b : 제2회전방지홈부 133c : 제2오링홈
133d : 제2오링 133e : 제2안착홈부
140 : 체결 고정부재 141 : 체결홀부
143 : 결합홀부 145 : 체결볼트

Claims (6)

  1. 카메라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카메라가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고정구; 상기 카메라 고정구가 삽입되며,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커버하는 투명케이스;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고정구를 지지하며, 상기 투명케이스를 보호하는 실링 커버부; 및 상기 카메라 고정구와 상기 실링 커버부를 결합하는 체결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카메라가 결합되는 기판부재;
    상기 기판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며,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기판장착홀부; 및
    상기 기판부재의 모서리부가 스크루에 의해 고정하도록 상기 기판장착홀부의 내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기판고정리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장착홀부는,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기판부재의 모서리부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모서리 접촉방지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 접촉방지홈부에 상기 기판고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커버부는,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상단부 및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상부실링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고정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고정구 및 상기 투명케이스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상부커버부재; 및
    상기 카메라 고정구의 하단부 및 상기 투명케이스의 내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하부실링 고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 고정부재가 체결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 고정구 및 상기 투명케이스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커버부는, 상기 투명케이스의 상단 및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커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커버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투명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1보조지지부재; 및
    상기 투명케이스의 하단 및 외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커버부재에 밀착되는 상기 투명케이스의 파손을 방지하는 제2보조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고정부재는, 상기 상부커버부재에 형성되는 체결홈부;
    상기 하부커버부재 및 상기 카메라 고정구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부; 및
    상기 결합홀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홈부에 결합되는 체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KR1020170135482A 2017-10-18 2017-10-18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KR10189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82A KR101899321B1 (ko) 2017-10-18 2017-10-18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5482A KR101899321B1 (ko) 2017-10-18 2017-10-18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321B1 true KR101899321B1 (ko) 2018-09-17

Family

ID=6372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482A KR101899321B1 (ko) 2017-10-18 2017-10-18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93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88B1 (ko) * 2004-12-02 2006-12-0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88B1 (ko) * 2004-12-02 2006-12-0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0563B2 (ja) 水面下の物体を探知するためのレーザー探知測距装置
US20160266246A1 (en) A system for monitoring a maritime environment
Murphy et al. Use of remotely operated marine vehicles at Minamisanriku and Rikuzentakata Japan for disaster recovery
CA3108178C (en) Connection and features for interchangeable nosecone for a trolling motor
US20160362173A1 (en) Peripheral Attachment System for Drones
AU2005288666A1 (en) Anti-collision warning system for marine vehicles and anti-collision analysis method
Maki et al. AUV Tri-TON 2: An intelligent platform for detailed survey of hydrothermal vent fields
CN105775073A (zh) 一种模块化水下遥控机器人
US20210053660A1 (en) Sensor system for maritime vessels
KR20170114480A (ko) 방수기능이 구비된 부력식 해양 관측 장치
Bruno et al. Concurrent use of satellite imaging and passive acoustics for maritime domain awareness
US6115060A (en) Thru-hull video camera
KR101899321B1 (ko) 해양관측 부이용 영상촬영 카메라 모듈
KR102109370B1 (ko) 해상 유해물 감시용 무인 수상정
US20090128623A1 (en) Hull-mounted underwater camera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vessel running gear
Giusti et al. A Drone-Based Multisensory Payload for Maritime Pollutants Detections
Asada et al. Advanced surveillance technology for underwater security sonar systems
US20180052235A1 (en) Optical Navigation for Underwater Vehicles
CN211266938U (zh) 船载八路全景摄像机
KR101991370B1 (ko) 적외선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장애물 검출시스템
KR102386241B1 (ko) 표준형 등부표용 해양 블랙 박스 감시 장치
Costanzi et al. Visual acquisition system for georeferenced monitoring and reconstruction of the sea bottom using audio for data synchronisation
TWI724470B (zh) 具有監控系統的集魚燈
Babichenko et al. Monitoring of marine environment with HLIF lidar
KR102664012B1 (ko) 해양구조물 조사시스템의 데이터 생성 및 정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