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7460B1 -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7460B1
KR101387460B1 KR1020120153064A KR20120153064A KR101387460B1 KR 101387460 B1 KR101387460 B1 KR 101387460B1 KR 1020120153064 A KR1020120153064 A KR 1020120153064A KR 20120153064 A KR20120153064 A KR 20120153064A KR 101387460 B1 KR101387460 B1 KR 101387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heat dissipation
driving
fixed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선
강철오
김재홍
박정목
신동혁
Original Assignee
티.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7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7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7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변형과 결로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물을 촬영하는 촬영부(110)와, 촬영부(11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재(121)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양측에 각기 형성되는 관형태의 방열커버(120)와, 방열커버(120)의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방향을 향하는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방열부재(121)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열홀(131)이 측방에 형성되는 외측커버(130)와, 외측커버(130)의 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전단에 고정되고, 전면에 투시창(144)이 형성된 전면커버(140) 및 외측커버(130)의 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후단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방열하는 후면커버(150)를 포함하며, 전면커버(140)는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경사면(141)과, 제1경사면(141)에서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제1경사면(141)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142) 및 제2경사면(142)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만입되면서 투시창(144)의 테두리까지 연장되는 제3경사면(143)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CAMERA AND CAMERA CONTROLLER}
본 발명은 옥외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변형과 결로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면서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일반적으로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 Closed Circuit Tele-Vision)시스템에서 피사체 또는 사물을 촬영하여 영상을 얻는 기기이고, 이러한 CCTV 시스템은 일반 주택, 백화점, 은행, 공장 및 전시장 등에 설치되어 도난을 방지하고, 기계의 작동상태나 공정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할 수 있는 감시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또한, 산불을 감시하는 산불감시용으로 사용되고, 해안경계,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외부의 침입자를 감시할 수 있고, 공원이나 놀이터에 설치되어 치안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주요 교차로 등에 설치되어 교통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상술한 CCTV 시스템은 감시 대상을 촬영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모니터 및 촬영된 영상을 재생시켜 볼 수 있도록 녹화하는 VCR 또는 디지털 저장장치로 구성된다.
카메라에 있어서는 돔형감시카메라, 일반 감시카메라, 줌 감시카메라 및 적외선 감시카메라 등의 다양한 종류의 감시 카메라가 존재하며 감시 대상 및 장소에 따라서 1대 또는 그 이상의 카메라를 동시 또는 순차 운용하고 기존의 VCR 및 DVR(디지털 영상 녹화장치)을 사용하여 영상을 녹화한 후 모니터를 통해서 단일 또는 분할 디스플레이(display)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감시카메라 조립체는 지지기둥의 꼭대기나 공원 등의 야외에 설치된다. 즉 감시카메라 몸체의 저면에 팬(PAN) 구동부가 구비되고, 감시카메라 몸체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틸티(Tilt) 구동부가 구비되며, 틸티 구동부에는 카메라하우징이 장착되고, 카메라하우징의 내부에 카메라가 내장된다.
또한 상술한 감시카메라 조립체의 팬 구동부와 틸티 구동부 및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는 지지기둥의 한쪽에 별도로 장착된다. 상술한 제어기와 감시카메라 조립체는 메인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다. 상술한 케이블은 지지기둥의 내부로 인입되어 지지기둥의 상측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몸체의 외측에서 접속된다. 그리고 감시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은 몸체의 바깥쪽으로 배선되어 카메라하우징의 한쪽에 접속된다.
이러한, 감시카메라 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카메라는 관리자의 의도에 따라 촬영방향을 좌우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줌 기능이 지원되는 카메라 일 때에는 화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카메라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팬 구동부가 구동되어 감시카메라 조립체 전체가 좌우로 방향이 각(角)운동시키고,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틸티 구동부가 구동되어 카메라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각(角) 운동시킨다.
그러나 전술한 감시카메라 조립체는 광활한 감시범위를 촬영하면서 감시할 수 있어서 옥외에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예를 들어, 대형공장이나 주차장 또는 공원 등에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환경은 태양광에 의해 변색되거나 변형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이고, 주야간의 온도차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나 우천시의 빗물에 의해 부식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카메라 조립체는 야간에 촬영위치에 조명빛을 제공하는 조명이 필요하므로 지속적으로 전기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옥외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외측에 형성되는 결로를 배출하여 부식을 방지하며, 이동하는 물체를 향하면서 컬러영상으로 촬영하고, 야간에 침입자를 감지하도록 열화상을 촬영하며, 침입자를 감지한 상황에서만 촬영위치에 일시적으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사물을 촬영하는 촬영부(110)와, 촬영부(11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재(121)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양측에 각기 형성되는 관형태의 방열커버(120)와, 방열커버(120)의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방향을 향하는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방열부재(121)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열홀(131)이 측방에 형성되는 외측커버(130)와, 외측커버(130)의 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전단에 고정되고, 전면에 투시창(144)이 형성된 전면커버(140) 및 외측커버(130)의 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후단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방열하는 후면커버(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구동장치는, 카메라를 복수로 구성하되, 하나의 카메라는 촬영부(110)가 컬러영상을 촬영하는 컬러카메라(100)로 구성하고, 다른 카메라는 촬영부(110)가 열화상을 촬영하는 써멀카메라(200)로 구성하고, 컬러카메라(100) 및 써멀카메라(2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양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구동공간(310)이 형성되는 구동케이스(300)와,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용된 상태로 카메라들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구동부(400)와, 구동케이스(3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부에 고정되는 제어케이스(500)와, 제어케이스(500)의 제어공간(510)에 수용된 상태로 구동케이스(30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구동부(600) 및 좌우구동부(600)와 상하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카메라들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는, 옥외에 설치되어 태양광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외측에 형성되는 결로를 배출하여, 부식을 방지하여 외형이 변형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동하는 물체를 향하면서 컬러영상으로 촬영하고, 야간에 침입자를 감지하도록 열화상을 촬영할 수 있어서, 방법용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침입자를 감지한 상황에서만 촬영위치에 일시적으로 조명을 제공하여 전기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면서 침입자를 용이하게 컬러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보인 사시도.
도 2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촬영부의 후방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정면을 보인 정면도.
도 8는 도 6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은 도 1의 카메라를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의 카메라들을 상하로 회전시키는 상하구동부를 보인 도면.
도 12은 도 11의 상하구동부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적용되는 회전축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적용되는 센서판을 보인 단면도.
도 15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좌우구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좌우구동부가 구동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카메라 구동장치에 적용되는 제어부를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는 사물을 촬영하는 촬영부(110)와, 촬영부(11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재(121)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양측에 각기 형성되는 관형태의 방열커버(120)와, 방열커버(120)의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방향을 향하는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방열부재(121)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열홀(131)이 측방에 형성되는 외측커버(130)와, 외측커버(130)의 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전단에 고정되고, 전면에 투시창(144)이 형성된 전면커버(140) 및 외측커버(130)의 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후단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방열하는 후면커버(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카메라는 복수로 구성하되, 하나의 카메라는 촬영부(110)가 컬러영상을 촬영하여 후술되는 메모리(M)에 저장하는 컬러카메라(100)로 구성하고, 다른 카메라는 촬영부(110)가 물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하여 열화상을 촬영하는 써멀카메라(20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컬러카메라(100)는 촬영된 컬러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카메라로 구성되고, 써멀카메라(200)는 열화상카메라 또는 적외선카메라로 구성되어 감지온도를 사람의 체온과 동일한 36.5도(℃)로 설정한 상태에서 촬영되는 물체가 사람인 경우 야간에 조명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람의 형태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써멀카메라(200)는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여 후술되는 메모리(M)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10)는 후방에서 양측에 고정되고 관통홀(112)이 형성되며 관통홀(112)과 이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촬영나사탭(113)이 형성되는 촬영브라켓(111)과, 촬영브라켓(111)의 관통홀(112)에 관통되는 제1나사(114)와, 촬영브라켓(111)의 촬영나사탭(113)에 관통상태로 나사결합 되는 제2나사(115) 및 촬영브라켓(111)과 대응되도록 방열커버(120)의 내측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고, 관통홀(112)에 관통된 제1나사(114)가 나사결합되는 방열나사냅(116)이 형성되며, 촬영나사탭(113)에 나사결합된 제2나사(115)의 단부가 접촉되어서 지지되는 방열브라켓(117)을 포함한다. 이때, 관통홀(112)은 제1나사(114)의 헤드 직경보다 작으면서 제1나사(114)의 나사축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촬영부(110)의 촬영방향을 좌우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촬영브라켓(111)가 2개로 구성되어 촬영부(11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촬영부(110)의 촬영방향을 상하좌우방향으로 조절하도록 촬영브라켓(111)이 4개로 구성되어 촬영부(110)의 양측에서 2개씩 상하에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나사(115)들을 각각의 촬영나사탭(113)에 일부분만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제2나사(115)를 조이거나 풀면서 촬영부(110)를 상하좌우방향으로 약간씩 틀어서 제2나사(115)들 각각의 단부가 방열브라켓(117)에 지지되게 한다. 이어서, 제1나사(114)를 관통홀(112)에 관통시키면서 방열나사냅(116)에 나사결합시킨다. 이때, 제1나사(114)들을 강하게 조이면 제2나사(115)들의 단부가 방열브라켓(117)에 강하게 지지되므로 촬영부(110)의 방향이 조절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촬영부(110)는 방열커버(120)의 내측에서 촬영방향을 정확하게 보정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제1나사(114)와 제2나사(115)를 풀거나 조이는 것만으로 촬영부(110)의 촬영방향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커버(120)는 촬영부(110)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촬영부(110)의 열을 방열부재(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커버(120)는 습기배출턱(124)이 형성되고, 방열부재(121)는 방열커버(120)의 길이(D2)보다 짧은 길이(D1)로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여기서, 방열커버(120)와 촬영부(110)의 사이에 밀착되어 열을 전도하는 방열패드(미도시)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외측커버(130)는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어서 고정되므로 고정 및 분리작업이 편리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커버(140)와 후면커버(150)는 볼팅으로 방열커버(120)에 결합될 수 있으면서, 외측커버(130)의 전면과 후면을 고정하여 외측커버(130)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부(110)가 방열커버(120)에 삽입 고정되어서 촬영시 발생되는 열이 방열부재(121)를 통해 방출되면서 방열홀(131)이 형성된 외측커버(130)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촬영부(110)가 열에 의해 촬영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40)는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경사면(141)과, 제1경사면(141)에서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제1경사면(141)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142) 및 제2경사면(142)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만입되면서 투시창(144)의 테두리까지 연장되는 제3경사면(143)을 포함한다.
따라서, 촬영부(110)가 수평되거나 하향된 상태로 촬영하는 상태에서, 전면커버(140)에 결로가 형성되어 전면커버(140)를 따라 흐르게 되면, 결로에 의한 습기가 제1경사면(141)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즉, 제1경사면(141)의 오목형상에 의해 물방울이 제1경사면(141)에서 제2경사면(142)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제3경사면(143)은 제2경사면(142)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연장되므로, 물방울이 제3경사면(143)에서 제2경사면(142)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제3경사면(143)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경사면(141)과 제2경사면(142)에 의해 물방울이 투시창(144)을 오염시키지 못하므로, 결로가 흘러내리는 환경에서도 촬영부(110)가 용이하게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후면커버(150)는 외측커버(130)의 후방을 커버하는 넓이에 동심원으로 방열돌기(151)이 형성되며, 방열돌기(151)들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방열돌기(151)를 가로지르는 연통홈(152)이 형성되고, 방열돌기(151)들 중 외측에 위치된 방열돌기(151)의 테두리에서 외곽으로 하향경사지게 스커트면(15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방열돌기(151)은 평면이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돌기(151)는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다수로 구성됨에 따라 공랭식으로 방열커버(12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통홈(152)은 주야간에 따라 변화되는 기온에 의해 방열돌기(151)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을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외측으로 안내되는 물방울은 스커트면(153)을 따라 외측커버(130)의 외측면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물론, 외측커버(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물방울 역시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후면커버(150)를 통해 방열커버(120)를 통해 방열되는 촬영부(110)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외부에 결로에 의해 생성되는 습기를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방열커버(1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140) 및 후면커버(150)는 방열부재(121)에서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홀(145)이 형성되되, 방열커버(1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습기가 공기유통홀(145)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투시창(144)에 가까운 공기유통홀(145)의 테두리가 방열커버(120)의 테두리보다 높은 간격(D)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커버(140) 및 후면커버(150)에 각기 형성된 공기유통홀(145)에 의해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재(121)가 공랭식으로 용이하게 냉각될 수 있으면서, 방열부재(121)의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결로가 공기유통홀(145)의 테두리를 넘지 못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재(121)는 양단이 방열커버(120)의 양단에서 이격되어 방열커버(120)의 양단에서 외주면을 따라 습기가 흐르도록 방열커버(120)의 길이(D2)보다 짧은 길이(D1)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통홀(145)의 테두리를 넘지 못한 습기는 방열커버(120)의 양단에서 외주면을 따라 면서 옆으로 흘러서 방열홀(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방열커버(120)는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습기가 외측커버(130)의 방열홀(131)을 통해 배출되도록, 방열홀(131)의 하부테두리에 밀착되면서 하부테두리의 높이에 일치하거나 높게 습기배출턱(1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커버(120)의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외측커버(130)의 단부가 삽입됨에 따라, 습기배출턱(124)이 외측커버(130)의 내측면에 밀착되므로 흐르는 습기가 습기배출턱(124)을 넘어서 방열홀(131)을 통해 외부로 즉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써멀카메라(200)는 컬러카메라(100)의 방열커버(120)와, 외측커버(130)와, 전면커버(140) 및 후면커버(150)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어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구동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메라 구동장치는 구동케이스(300)와, 상하구동부(400)와, 제어케이스(500)와, 좌우구동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한다.
구동케이스(300)는 제어케이스(5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내부에 구동공간(310)이 형성되며, 구동공간(310)과 연통되면서 제어케이스(500)의 제어상부홀(520)과 대응되는 구동하부홀(320)이 하부에 형성되고, 구동공간(310)과 연통되면서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를 각기 향하는 구동측부홀(330)이 양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어상부홀(520)과 구동하부홀(320)을 연통시키면서 그 사이에 베어링(미도시)을 설치하면, 제어케이스(500)를 중심으로 구동케이스(300)가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연통되는 제어상부홀(520)과 구동하부홀(320)을 통해 제어부(700)와 좌우구동부(600) 및 상하구동부(400)를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이 배선될 수 있다. 즉, 후술되는 가이드부재(620)의 중공을 통해 전선이 직접 배선되거나 전선에 접촉되는 도체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구동측부홀(330)을 통해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에 각기 고정되며 후술되는 회전축(420)이 관통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700)와 컬러카메라(100) 및 써멀카메라(200)를 연결하는 전선(미도시)이 배선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선은 제어부(700)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좌우구동부(600) 및 상하구동부(40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하며,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에서 각기 촬영된 영상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케이스(300)는 구동공간(310)을 폐쇄하여 마감하는 마감부재(3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마감부재(340)는 구동케이스(300)에 볼팅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동공간(310)을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감부재(3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구동공간(310)에 수용된 좌우구동부(600)와 상하구동부(400)를 교체하거나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또한, 구동케이스(300)는 좌우구동부(600) 및 상하구동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온도차에 의해 형성된 결로를 배출하는 온습도조절부(3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온습도조절부(350)는 용이하게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결로에 의해 형성되는 물방울이 용이하게 흘러내리도록 구동케이스(30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구동케이스(300)가 상부로 개구되고 마감부재(340)가 상부를 마감하는 경우, 온습도조절부(350)가 마감부재(340)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온습도조절부(350)는 구동케이스(300)의 상부면에 소정넓이로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구동방열핀(351)과, 구동방열핀(351)들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동방열핀(351)을 가로지르면서 형성되는 구동유도홈(352) 및 구동방열핀(351)들 중 최 외곽에서 외측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는 구동경사면(353)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방열핀(351)은 다수로 구성되면서 동심원으로 형성됨에 따라 공랭식으로 구동케이스(3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구동유도홈(352)은 주야간에 따라 변화되는 기온에 의해 구동방열핀(351)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결로에 의한 물방울을 외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외측으로 안내되는 물방울은 구동경사면(353)을 따라 구동케이스(300)의 외측면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물론, 구동케이스(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물방울 역시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온습도조절부(350)는 구동케이스(3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외부에 결로에 의해 생성되거나 습기를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하여 구동케이스(3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케이스(300)는 구동케이스(300)에 근접상태로 고정되어 태양광을 차단하는 썬바이저(36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썬바이저(360)가 구동케이스(300)에 근접되게 설치됨에 따라 썬바이저(360)와 구동케이스(300)의 사이로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되므로, 공랭식에 의한 냉각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썬바이저(360)는 구동케이스(3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넓이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통되는 유통홀(36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차단면(361) 및 차단면(361)의 외측을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62)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단면(361)은 볼팅으로 구동케이스(300)나 마감부재(340)의 표면에 이격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썬바이저(360)는 구동케이스(300)에 조사되는 태양빛을 차단하므로 구동케이스(300)가 태양광에 의해 변형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362)을 따라 결로에 의해 형성된 물방울이 구동케이스(300)의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또한, 차단면(361)은 공기가 유통되는 유통홀(363)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방열핀(351)에서 방출되는 열기가 유통홀(363)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으며, 강하게 부는 바람이 차단면(361)에 가해지는 경우 바람이 유통홀(363)을 통해 분산되면서 썬바이저(360)와 구동케이스(300)의 사이로 이동하므로, 강력한 풍압에 의한 썬바이저(36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구동부(400)는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용된 상태로 컬러카메라(100) 및 써멀카메라(200)를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하구동부(400)는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양측으로 돌출된 상하모터축(411)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상하모터(410)와,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으로 관통되어서 고정되고,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의 측방에 각기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된되는 회전축(420) 및 상하모터축(41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420)이 회전되도록 상하모터(410)의 회전력을 회전축(420)에 전달하는 상하동력전달부재(4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하모터(410)가 상하모터축(411)들을 회전시키면 상하동력전달부재(430)에 의해 상하모터(410)의 회전력이 회전축(420)들에 각기 전달되므로, 구동케이스(300)를 중심으로 구동케이스(300)의 양측에서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가 수직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구동부(400)는 회전축(4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카메라들에 각기 배선되는 전선과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배선되는 전선을 도통 상태로 연결하며, 회전축(420)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전선들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와이어슬립링(44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어슬립링(440)은 회전축(420)의 단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원통형태 이면서 내부가 중공되고, 일단부에서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배선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단자(442)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관(441) 및 고정관(441)의 내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단자(442)와 대응되도록 타단부에서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배선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회전단자(445)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관(443)을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어슬립링(440)은 베어링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서 단자들이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서로 접촉되어 결속되므로, 회전축(420)이 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도 고정관(441)에서 회전관(443)이 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어서 배선된 전선이 꼬이거나 단선되지 않으면서, 전선을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과 제어부(700)의 제어신호를 배선을 통해 컬러카메라(100) 및 써멀카메라(200)에 제공하고, 컬러카메라(100) 및 써멀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선은 단부에 연결된 소켓이나 클립형태의 단자(446)를 고정단자(442)나 회전단자(445)에 착탈가능하고 고정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동력전달부재(430)는 상하모터축(411)에 고정되는 상하구동풀리(431)와, 회전축(420)들 단부에 끼워져서 각기 고정되는 상하피동풀리(432) 및 상하구동풀리(431)와 상하피동풀리(432)에 개재되는 상하벨트(43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하구동풀리(431)가 회전되면 상하벨트(433)에 의해 상하피동풀리(432)가 회전된다. 여기서, 상하구동풀리(431)나 상하피동풀리(432)는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하벨트(433)는 체인이나 피니언들에 동시에 교합되는 추가 피니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하구동풀리(431) 및 상하피동풀리(432)와 상하벨트(433)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 구동공간(310)에서 다른 부품들과 간섭을 피하도록 설치되어 용이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동력전달부재(430)는 상하피동풀리(432)의 테두리를 따라 상하센서돌기(45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상하센서판(450) 및 상하센서돌기(451)를 센싱하여 제어부(700)에 제공하는 상하센서부재(4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하센서부재(460)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461)와 발광부(461)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462)로 구성되어, 발광부(461)와 수광부(462)가 상하센서돌기(451)들의 사이에 각기 위치되면서 구동공간(31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센서돌기(451)들이 상하피동풀리(432)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하센서돌기(451)들이 발광부(461)와 수광부(462)의 사이를 이동하므로, 상하센서부재(460)가 상하센서돌기(451)들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센서부재(460)가 상하센서돌기(451)들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상태를 제어부(700)에 제공하므로, 상하센서돌기(451)의 센싱상태를 근거로 후술되는 제어부(700)가 상하구동부(400)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상하동력전달부재(430)는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를 정밀한 각도로 정밀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센서돌기(435)들 중 적어도 1~4개는 다른 상하센서돌기(435)들보다 큰 넓이(D1,D2,D3,D4)로 상하센서판(434)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센서부재(460)가 상하센서판(434)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센서돌기(435)를 센싱함에 따라, 상하센서판(434)의 최초위치인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고, 센서돌기(435)들을 감지할 때마다 상하센서판(434)이 90ㅀ, 180ㅀ, 270ㅀ, 360ㅀ로 회전된 상태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상하센서돌기(435)들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2~4개의 상하센서돌기(435)는 서로 다른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센서부재(460)는 넓이(D1,D2,D3,D4)가 최대로 크거나 최대로 작은 센서돌기(435)를 기준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를 회전시켜서 설정된 기준위치로 쉽고 빠르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가 외압에 의해 강제로 회전되어 기준위치를 이탈한 경우, 상하센서부재(460)가 최대로 크거나 최대로 작은 센서돌기(435)를 센싱할 때 까지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를 회전시켜서 기준위치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케이스(500)는 포스트(P)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건물(미도시)의 천정에 거꾸로 매달려서 고정될 수 있으며, 벽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어케이스(500)는 내부에 제어부(700)가 수용되는 제어공간이 형성되고, 제어공간과 유통되는 구동케이스(300)와 연통되기 위한 제어상부홀(520)이 상부에 형성 되며, 제어공간에 수용되는 제어부(700)를 온/오프시키거나 조작하는 조작스위치(540)가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케이스(500)는 제어공간을 폐쇄하면서 포스트(P)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홀(131)이 형성된 폐쇄판(53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케이스(500)는 폐쇄판(530)을 통해 포스트(P)의 상단에 유동이 방지되도록 고정되고, 제어상부홀(520)을 통해 구동케이스(3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구동부(600)는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용된 상태로 구동케이스(30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좌우구동부(600)는 구동케이스(300)의 하부에 고정되어서 구동공간(310)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베어링관(610)과, 베어링관(610)에 내장되어서 상부와 하부로 양단이 돌출되면서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제어케이스(500)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베어링부재(620)와,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좌우모터축(631)을 회전시키는 좌우모터(630) 및 좌우모터축(631)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부재(620)를 중심으로 베어링관(610)이 회전되도록, 좌우모터(630)의 회전력을 베어링부재(620)에 전달하는 좌우동력전달부재(6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어링부재(620)는 전술한 전선이 배선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좌우모터(630)가 좌우모터축(631)을 회전시키면 좌우동력전달부재(640)에 의해 좌우모터(630)의 회전력이 베어링부재(620)의 상단에 전달되므로, 제어케이스(500)의 상부에 고정된 베어링부재(620)를 축으로 구동케이스(300)에 고정된 베어링관(610)이 회전되므로 베어링관(610)이 고정된 구동케이스(300)가 회전된다. 여기서, 제어케이스(500)를 중심으로 구동케이스(300)가 어느 한쪽 방향으로 한바퀴(360ㅀ)이상 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좌우동력전달부재(640)는 좌우모터축(631)에 고정되는 좌우구동풀리(641)와, 베어링부재(620)의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좌우피동풀리(642) 및 좌우구동풀리(641)와 좌우피동풀리(642)에 개재되는 좌우벨트(64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좌우구동풀리(641)가 회전되면 좌우벨트(643)에 의해 좌우피동풀리(642)가 회전된다. 여기서, 좌우구동풀리(641)나 좌우피동풀리(642)는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좌우벨트(643)는 체인이나 피니언들에 동시에 교합되는 추가 피니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좌우구동풀리(641) 및 좌우피동풀리(642)와 좌우벨트(643)를 이용하여 동력을 전달하므로 구동공간(310)에서 다른 부품들과 간섭을 피하도록 설치되어 용이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좌우구동풀리(641)의 구동에 의해 좌우피동풀리(642)가 회전되면 베어링부재(620)에 결합된 좌우피동풀리(642)를 중심으로 좌우구동풀리(641)가 고정된 좌우모터(630)가 회전되게 된다. 즉, 베어링부재(620)가 제어케이스(500)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어케이스(500)를 중심으로 좌우모터(630)가 고정된 구동케이스(300)가 회전된다.
또한, 좌우동력전달부재(640)는 좌우피동풀리(642)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좌우센서돌기(645)가 형성되는 원판형태의 좌우센서판(645)및 좌우센서돌기(645)를 센싱하고 센싱상태를 제어부(700)에 제공하는 좌우센서부재(646)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좌우센서부재(646)는 좌우센서돌기(645)들을 센싱하기 위하여 전술한 상하센서부재(46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좌우센서부재(646)가 좌우센서돌기(645)들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상태를 제어부(700)에 제공하므로, 좌우센서부재(646)의 센싱상태를 근거로 제어부(700)가 좌우구동부(600)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좌우동력전달부재(640)는 구동케이스(300)를 정밀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센서돌기(645)들 중 적어도 1개는 다른 좌우센서돌기(645)들보다 큰 넓이로 좌우센서판(644)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다른 좌우센서돌기(645)들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2개의 좌우센서돌기(645)는 서로 다른 크기의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좌우센서돌기(645)는 전술한 상하센서돌기(451)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센서판(450)에 형성되므로,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구동부(600)는 베어링부재(620)의 단부에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제어케이스(500)와 구동케이스(300)에 각기 배선되는 전선들을 도통상태로 연결하며, 구동케이스(30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전선들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전선연결부재(6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전선연결부재(650)는 베어링부재(620)의 단부에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제어케이스(500)에 배선된 전선이 연결되는 연결단자(652)가 일단에 형성되는 전선연결관(651) 및 전선연결관(65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케이스(300)에 배선된 전선이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샤프트(6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선은 단부에 연결된 소켓이나 클립형태의 단자(446)를 연결단자(652)나연결샤프트(653)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고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연결부재(650)에 의해 베어링관(610)이 베어링부재(620)를 축으로 한쪽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되어도 전선이 꼬이거나 단선되지 않으면서 도통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700)는 좌우구동부(600)와 상하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컬러카메라(100) 및 써멀카메라(200)의 촬영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과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PC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0)는 구동케이스(3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좌우구동부(600)를 조작하고, 구동케이스(300)의 양측에 각기 고정된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상하구동부(400)를 조작하는 조작부(710)와, 컬러카메라(100)에 움직이는 물체가 촬영되면, 컬러카메라(100)에서 현재 촬영되는 현재영상의 물체위치와 이전에 촬영된 이전영상의 물체위치를 확인하는 물체위치확인부(730) 및 물체위치확인부(730)에서 확인된 두 물체간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물체거리측정부(7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물체거리측정부(740)에서 측정된 물체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위치를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가 촬영하도록 조작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710)에 의해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가 촬영위치를 촬영하는 상태에서, 컬러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촬영위치에서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즉, 침입자가 침입하면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가 침입자를 중심으로 촬영하도록 제어부(700)가 좌우구동부(600)와 상하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물체위치확인부(730)에서 물체가 확인된 시점부터 물체가 확인되지 않은 시점까지 촬영된 영상이 메모리(M)에 저장되도록 조작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모리(M)에 저장된 영상을 확인하여 야간에 침입한 침입자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위치를 설정하는 촬영위치설정부(750)와, 촬영위치설정부(750)에서 2개 이상의 촬영위치를 설정하면, 설정된 촬영위치들의 촬영순서를 설정하는 촬영순서설정부(760) 및 촬영위치설정부(750)에서 설정된 촬영위치를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가 소정시간동안 촬영하도록 촬영시간을 설정하는 촬영시간설정부(7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촬영위치설정부(750)를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중요한 촬영위치들이 설정될 수 있고, 촬영순서설정부(760)를 통해 촬영위치의 순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촬영시간설정부(770)를 통해 각기 설정된 촬영위치마다 각기 다른 시간동안 촬영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가 설정된 위치마다 소정시간동안 순서대로 촬영하도록 좌우구동부(600)와 상하구동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컬러카메라(100)의 촬영위치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재(800)와, 야외의 빛을 감지하여 주간과 야간을 감지하는 주야간센서(900) 및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M)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700)는 주야간센서(900)의 감지에 의해 주간인 상태에서 써멀카메라(200)에 물체가 감지되면 컬러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메모리(M)에 저장하고, 주야간센서(900)의 감지에 의해 야간인 상태에서 써멀카메라(200)에 물체가 감지되면 조명부재(800)를 작동시켜서 촬영위치에 조명이 제공되게 하면서 컬러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메모리(M)에 저장시키는 영상처리부(78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700)는 야간에 조명빛이 필요한 경우에 즉, 써멀카메라(200)에 움직이는 물체(침입자)가 감지된 상태에서만 조명부재(800)를 작동시키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물체(침입자)를 야간에 컬러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된 포스트(P)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상하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위치에 제한 없이 촬영할 수 있고, 구동케이스(300)의 외측에 태양광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케이스(300)의 변형이나 내부에 수용된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동케이스(300)의 외측과 컬러카메라(100)와 써멀카메라(200)의 외측으로 열을 발산하도록 방열구조가 구성되므로,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부품들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포스트 M : 메모리
100 : 컬러카메라 110 : 촬영부
120 : 방열커버 121 : 방열부재
122 : 일측끼움홈 123 : 타측끼움홈
124 : 습기배출턱 125 : 연통홀
130 : 외측커버 131 : 방열홀
140 : 전면커버 141 : 제1경사면
142 : 제2경사면 143 : 제3경사면
144 : 투시창 145 : 공기유통홀
150 : 후면커버 151 : 방열돌기
152 : 연통홈 153 : 스커트면
200 : 써멀카메라
300 : 구동케이스 310 : 구동공간
320 : 구동하부홀 330 : 구동측부홀
340 : 마감부재 350 : 온습도조절부
351 : 구동방열핀 352 : 구동유도홈
353 : 구동경사면 360 : 썬바이저
361 : 차단면 362 : 경사면
363 : 유통홀
400 : 상하구동부 410 : 상하모터
411 : 상하모터축 420 : 회전축
430 : 상하동력전달부재 431 : 상하구동풀리
432 : 상하피동풀리 433 : 상하벨트
434 : 좌우센서판 450 : 상하센서판
451 : 상하센서돌기 460 : 상하센서부재
500 : 제어케이스
510 : 제어공간 520 : 제어상부홀
530 : 폐쇄판 540 : 조작스위치
600 : 좌우구동부 610 : 베어링관
620 : 베어링부재 630 : 좌우모터
631 : 좌우모터축 640 : 좌우동력전달부재
641 : 좌우구동풀리 642 : 좌우피동풀리
643 : 좌우벨트 644 : 좌우센서판
645 : 좌우센서돌기 646 : 좌우센서부재
647 : 발광부 648 : 수광부
650 : 전선연결부재
700 : 제어부 710 : 조작부
730 : 물체위치확인부 740 : 물체거리측정부
750 : 촬영위치설정부 760 : 촬영순서설정부
770 : 촬영시간설정부 780 : 영상처리부
800 : 조명부재 900 : 주야간센서

Claims (19)

  1. 사물을 촬영하는 촬영부(110)와, 촬영부(110)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재(121)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면서 양측에 각기 형성되는 관형태의 방열커버(120)와, 방열커버(120)의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방향을 향하는 일측끼움홈(122)과 타측끼움홈(123)에 각각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방열부재(121)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열홀(131)이 측방에 형성되는 외측커버(130)와, 외측커버(130)의 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전단에 고정되고, 전면에 투시창(144)이 형성된 전면커버(140) 및 외측커버(130)의 후방에 끼워진 상태로 방열커버(120)의 후단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방열하는 후면커버(150)를 포함하며,
    전면커버(140)는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면서 오목하게 형성된 제1경사면(141)과,
    제1경사면(141)에서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제1경사면(141)의 경사각보다 큰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제2경사면(142) 및
    제2경사면(142)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만입되면서 투시창(144)의 테두리까지 연장되는 제3경사면(1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촬영부(110)는
    후방에서 양측에 고정되고 관통홀(112)이 형성되며 관통홀(112)과 이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촬영나사탭(113)이 형성되는 촬영브라켓(111)과,
    촬영브라켓(111)의 관통홀(112)에 관통되는 제1나사(114)와,
    촬영브라켓(111)의 촬영나사탭(113)에 관통상태로 나사결합 되는 제2나사(115) 및
    촬영브라켓(111)과 대응되도록 방열커버(120)의 내측에서 양측으로 돌출되고, 관통홀(112)에 관통된 제1나사(114)가 나사결합되는 방열나사냅(116)이 형성되며, 촬영나사탭(113)에 나사결합된 제2나사(115)의 단부가 접촉되어서 지지되는 방열브라켓(117)을 포함하며,
    관통홀(112)은 제1나사(114)의 헤드 직경보다 작으면서 제1나사(114)의 나사축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커버(140) 및 후면커버(150)는
    방열부재(121)에서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통홀(145)이 형성되되,
    방열커버(120)의 외측에 형성되는 습기가 공기유통홀(145)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투시창(144)에 가까운 공기유통홀(145)의 테두리가 방열커버(120)의 테두리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열커버(120)는 외주면을 따라 흐르는 습기가 외측커버(130)의 방열홀(131)을 통해 배출되도록, 방열홀(131)의 하부테두리에 밀착되면서 하부테두리의 높이에 일치하거나 높게 습기배출턱(124)이 형성되고,
    방열부재(121)는 양단이 방열커버(120)의 양단에서 이격되어 방열커버(120)의 양단에서 외주면을 따라 습기가 흐르도록 방열커버(120)의 길이(D2)보다 짧은 길이(D1)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청구항 1에 있어서, 후면커버(150)는
    외측커버(130)의 후방을 커버하는 넓이에 동심원으로 방열돌기(151)이 형성되며, 방열돌기(151)들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방열돌기(151)를 가로지르는 연통홈(152)이 형성되고, 방열돌기(151)들 중 외측에 위치된 방열돌기(151)의 테두리에서 외곽으로 하향경사지게 스커트면(15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카메라를 복수로 구성하되, 하나의 카메라는 촬영부(110)가 컬러영상을 촬영하는 컬러카메라(100)로 구성하고, 다른 카메라는 촬영부(110)가 열화상을 촬영하는 써멀카메라(200)로 구성하고,
    컬러카메라(100) 및 써멀카메라(20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양측에 고정되고, 내부에 구동공간(310)이 형성되는 구동케이스(300)와,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용된 상태로 카메라들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하구동부(400)와,
    구동케이스(30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상부에 고정되는 제어케이스(500)와,
    제어케이스(500)의 제어공간(510)에 수용된 상태로 구동케이스(30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좌우구동부(600) 및
    좌우구동부(600)와 상하구동부(400)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카메라들의 촬영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구동케이스(300)는 좌우구동부(600) 및 상하구동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면서 온도차에 의해 형성된 결로를 배출하는 온습도조절부(350)를 더 포함하며,
    온습도조절부(350)는
    구동케이스(300)의 상부면에 소정넓이로 동심원으로 형성되는 구동방열핀(351)과,
    구동방열핀(351)들 사이의 공간이 연통되도록 구동방열핀(351)을 가로지르면서 형성되는 구동유도홈(352) 및
    구동방열핀(351)들 중 최 외곽에서 외측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경사면(3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구동케이스(300)는 구동케이스(300)에 근접상태로 고정되어 태양광을 차단하는 썬바이저(360)를 더 포함하며,
    썬바이저(360)는
    구동케이스(3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넓이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통되는 유통홀(363)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차단면(361) 및
    차단면(361)의 외측을 따라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3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하구동부(400)는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양측으로 돌출된 상하모터축(411)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상하모터(410)와,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으로 관통된 상태로 카메라들의 측방에 각기 고정되며 내부가 중공된 회전축(420) 및
    상하모터축(41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420)이 회전되도록 상하모터(410)의 회전력을 회전축(420)에 전달하는 상하동력전달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하구동부(400)는
    회전축(420)의 단부에 고정되어 카메라들에 각기 배선되는 전선과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배선되는 전선을 도통 상태로 연결하며, 회전축(420)이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전선들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와이어슬립링(440)을 더 포함하며,
    와이어슬립링(440)은
    회전축(420)의 단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원통형태 이면서 내부가 중공되고, 일단부에서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배선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고정단자(442)가 돌출 형성되는 고정관(441) 및
    고정관(441)의 내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단자(442)와 대응되도록 타단부에서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배선되는 전선이 연결되는 회전단자(445)가 돌출 형성되는 회전관(4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하동력전달부재(430)는
    상하모터축(411)에 고정되는 상하구동풀리(431)와,
    회전축(420)들 단부에 끼워져서 각기 고정되는 상하피동풀리(432)와,
    상하구동풀리(431)와 상하피동풀리(432)에 개재되는 상하벨트(433)와,
    상하피동풀리(432)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상하센서돌기(451)가 형성되는 원판형태의 상하센서판(434) 및
    상하센서돌기(451)를 센싱하는 상하센서부재(4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하센서돌기(451)들 중 적어도 1개는
    다른 상하센서돌기(451)들보다 큰 넓이로 상하센서판(434)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다른 상하센서돌기(451)들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2개의 상하센서돌기(451)는 서로 다른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좌우구동부(600)는
    구동케이스(300)의 하부에 고정되어서 구동공간(310)에 수직으로 기립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베어링관(610)과,
    베어링관(610)에 내장되어서 상부와 하부로 양단이 돌출되면서 공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이 제어케이스(500)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가 중공되는 베어링부재(620)와,
    구동케이스(300)의 구동공간(310)에 수직되게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좌우모터축(631)을 회전시키는 좌우모터(630) 및
    좌우모터축(631)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관(610)을 중심으로 베어링부재(620)가 회전되도록, 좌우모터(630)의 회전력을 베어링부재(620)에 전달하는 좌우동력전달부재(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좌우구동부(600)는
    베어링부재(620)의 단부에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제어케이스(500)와 구동케이스(300)에 각기 배선되는 전선들을 도통상태로 연결하며, 구동케이스(300)가 연속적으로 회전되는 상태에서도 전선들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는 전선연결부재(650)를 더 포함하며,
    전선연결부재(650)는
    베어링부재(620)의 단부에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제어케이스(500)에 배선된 전선이 연결되는 연결단자(652)가 일단에 형성되는 전선연결관(651) 및
    전선연결관(65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케이스(300)에 배선된 전선이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샤프트(6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좌우동력전달부재(640)는
    좌우모터축(631)에 고정되는 좌우구동풀리(641)와,
    베어링부재(620)의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좌우피동풀리(642)와,
    좌우구동풀리(641)와 좌우피동풀리(642)에 개재되는 좌우벨트(643)와,
    좌우피동풀리(642)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좌우센서돌기(645)가 형성되는 원판형태의 좌우센서판(644) 및
    좌우센서돌기(645)를 센싱하는 좌우센서부재(6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좌우센서돌기(645)들 중 적어도 1개는
    다른 좌우센서돌기(645)들보다 큰 넓이로 좌우센서판(644)의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되고,
    다른 좌우센서돌기(645)들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2개의 좌우센서돌기(645)는 서로 다른 크기의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8. 청구항 7에 있어서,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에서 촬영된 영상이 저장되는 메모리(M)와,
    컬러카메라(100)의 촬영위치에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재(800) 및
    야외의 빛을 감지하여 주간과 야간을 감지하는 주야간센서(9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700)는
    주야간센서(900)의 감지에 의해 야간인 상태에서 써멀카메라(200)에 물체가 감지되면 조명부재(800)를 작동시켜서 촬영위치에 조명이 제공되게 하면서 컬러카메라(1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메모리(M)에 저장시키는 영상처리부(7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제어부(700)는
    좌우구동부(600)와 상하구동부(400)를 조작하는 조작부(710)와,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에 움직이는 물체가 촬영되면, 컬러카메라(100)나 써멀카메라(200)에서 현재 촬영되는 현재영상의 물체위치와 이전에 촬영된 이전영상의 물체위치를 확인하는 물체위치확인부(730) 및
    물체위치확인부(730)에서 확인된 두 물체간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물체거리측정부(740)를 포함하고,
    물체거리측정부(740)에서 측정된 물체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에 해당하는 위치를 카메라가 촬영하도록 조작부(710)를 제어하며,
    물체위치확인부(730)에서 물체가 확인된 시점부터 물체가 확인되지 않은 시점까지 촬영된 영상이 메모리(M)에 저장되도록 조작부(71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구동장치.
KR1020120153064A 2012-12-26 2012-12-26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KR101387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64A KR101387460B1 (ko) 2012-12-26 2012-12-26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064A KR101387460B1 (ko) 2012-12-26 2012-12-26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7460B1 true KR101387460B1 (ko) 2014-04-21

Family

ID=5065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064A KR101387460B1 (ko) 2012-12-26 2012-12-26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746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4958A (zh) * 2019-03-29 2019-06-14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用于物联网的智能监控终端
JP2020201348A (ja) * 2019-06-07 2020-12-17 株式会社ザクティ カメラ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CN114095627A (zh) * 2021-10-11 2022-02-25 深圳市德斯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视觉传感装置
CN114268700A (zh) * 2021-11-12 2022-04-01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企业创新采集共享装置
EP4145219A1 (en) * 2021-09-03 2023-03-08 Robert Bosch GmbH Shielding structure for a camera
WO2023195825A1 (ko) * 2022-04-08 2023-10-12 주식회사 밸리드 열화상 카메라 디바이스
CN116997121A (zh) * 2023-09-20 2023-11-03 帷幄智能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设备外壳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971Y1 (ko) 2005-10-21 2006-01-11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방열수단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KR100820846B1 (ko) 2004-11-11 2008-04-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감시 카메라 보호장치
KR20120008349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니씨콤 차량용 감시카메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846B1 (ko) 2004-11-11 2008-04-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감시 카메라 보호장치
KR200405971Y1 (ko) 2005-10-21 2006-01-11 (주)파워텍일렉트로닉스 방열수단이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120008349A (ko) * 2010-07-16 2012-01-30 주식회사 니씨콤 차량용 감시카메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4958A (zh) * 2019-03-29 2019-06-14 杭州涂鸦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可用于物联网的智能监控终端
JP2020201348A (ja) * 2019-06-07 2020-12-17 株式会社ザクティ カメラ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7306684B2 (ja) 2019-06-07 2023-07-11 株式会社ザクティ カメラ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EP4145219A1 (en) * 2021-09-03 2023-03-08 Robert Bosch GmbH Shielding structure for a camera
CN114095627A (zh) * 2021-10-11 2022-02-25 深圳市德斯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人视觉传感装置
CN114268700A (zh) * 2021-11-12 2022-04-01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企业创新采集共享装置
CN114268700B (zh) * 2021-11-12 2023-07-11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企业创新采集共享装置
WO2023195825A1 (ko) * 2022-04-08 2023-10-12 주식회사 밸리드 열화상 카메라 디바이스
CN116997121A (zh) * 2023-09-20 2023-11-03 帷幄智能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设备外壳结构
CN116997121B (zh) * 2023-09-20 2024-01-19 帷幄智能科技(天津)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设备外壳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460B1 (ko)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US8249444B2 (en) Covert camera with a fixed lens
US8081073B2 (en) Integrated motion-image monitoring device with solar capacity
KR100651688B1 (ko)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1011269B1 (ko) 다중렌즈를 갖는 돔형 카메라
CN103141088A (zh) 防止利用监控摄像机拍摄用照明的漫反射的装置
WO2013073783A1 (ko) 가변식 보조광원이 설치된 cctv 카메라
WO2008017857A1 (en) Surveillance apparatus
KR20150107506A (ko) 목표 피사체 정밀 추적 및 촬영용 팬틸트 일체형 감시카메라
KR20140095407A (ko)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16965Y1 (ko) 적외선 감시카메라
KR20060098496A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KR100793276B1 (ko)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방범로봇.
CN206195915U (zh) 带有定时播报功能的高清监控摄像装置
KR20110103690A (ko) 감시카메라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CN218918222U (zh) 集烟感和摄像一体的多功能烟感球泡
EP3002622A1 (en) Highly efficient nir light distribution for imaging based intrusion detection
BRPI0709172B1 (pt) método e dispositivo para monitoramento de imagem-movimento integrado
KR200376647Y1 (ko) 외장형 적외선 엘이디를 갖는 돔형 감시카메라
US20010047743A1 (en) Multi-purpose enclosure for security devices
KR200377900Y1 (ko) 상태표시 기능을 갖는 cctv용 적외선 카메라 장치
KR101804309B1 (ko) 위치 추적 감시 카메라
KR200361986Y1 (ko) 감시용 컬러 적외선 led 조명기기 일체형 ccd 카메라
KR200435874Y1 (ko) 아파트 단지에 설치되는 방범로봇.
KR102381195B1 (ko) 원포인트 나사 조정으로 틸트와 로테이션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돔 타입 cctv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