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835B1 - 카메라 조립체 - Google Patents

카메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835B1
KR101061835B1 KR1020110013200A KR20110013200A KR101061835B1 KR 101061835 B1 KR101061835 B1 KR 101061835B1 KR 1020110013200 A KR1020110013200 A KR 1020110013200A KR 20110013200 A KR20110013200 A KR 20110013200A KR 101061835 B1 KR101061835 B1 KR 101061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upled
auxiliary member
rotat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순현
Original Assignee
렉스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렉스젠(주) filed Critical 렉스젠(주)
Priority to KR1020110013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카메라와 고정형 카메라를 하나의 조립체로서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 조립체를 공중에 매다는 방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전형 카메라와, 상기 회전형 카메라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형 카메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조립체{CAMERA ASSEMBLY}
본 발명은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형 카메라와 고정형 카메라를 하나의 조립체로서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인단속장치, 방범용 시스템, 주차 관제 시스템,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과속차량 단속 시스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등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는 분야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시스템은 영상 촬영이 필요한 현장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주변의 도로나 사람 또는 차량 등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처리하여 필요한 사항을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카메라는, 카메라의 회동 여부에 따라 카메라가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형 카메라와, 소정 범위에서 상하 및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진 회전형 카메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에 설치되는 카메라 중에서 특히 교차로에 설치되는 카메라의 경우, 보통 4방향의 차로가 교차되므로 4개의 고정형 카메라가 4방향으로 각각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가 설치되는 지점 하부의 소정 범위를 촬영하기 위해 회전형 카메라가 함께 설치되기도 한다.
도 1에는 종래 교차로 위에 4개의 고정형 카메라와 1개의 회전형 카메라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로의 일측에는 카메라를 장착하기 위해 지주대(미도시)가 고정되고 이 지주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부(110)가 설치된다.
상기 연장부(110)의 단부에는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그 단부가 +자 모양이 되도록 지지대(12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20) 및 연장부(110)의 단부 위에는 4개의 고정형 카메라(14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20)의 일단부 아래에는 1개의 회전형 카메라(1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중 회전형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카메라(150)는 상부 하우징(160)과 구면 형태의 하부 하우징(180)에 의해 그 내부에 생기는 공간에 카메라부(170)가 장착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160)은 전체적으로 종 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상기한 연장부(110)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나사부(16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부(170)는 상기 상부 하우징(160)에 매달리는 형태로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부(170)의 하단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 회전부(172) 및 회동부(1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부(172)는 상기 회동부(174)와 함께 수평방향으로 360°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174)는 상하방향으로 180° 가까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174)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부(170)의 렌즈부(175)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170)의 렌즈부(175)가 수평방향 하방으로는 임의의 각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170)의 상부 일측에는 전선(177)이 연결된다. 이 전선(177)은 카메라부(170)에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며 카메라의 회동 및 촬영 등의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80)은 전체적으로 반구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보면, 하부 하우징(180)은 반구 형태에 가까운 구면부(182)와 이 구면부(182)를 상기 상부 하우징(160)에 고정하기 위해 구면부(182)의 테두리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연장부(184)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84)에는 볼트(B)를 체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멍(18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하우징(160)의 내부 일측에는 카메라부(170)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6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165)의 근처에는 외부 온도가 떨어져서 회로기판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히터(16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하우징(160)과 하부 하우징(18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부의 공기가 과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냉각팬(163)도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카메라 설치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와 1개의 회전형 카메라가 각각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상 복잡하고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를 현장에 설치해야 하므로 전선의 연결 및 처리가 복잡하고 설치 작업도 어려웠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가 각각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 설치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카메라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카메라 조립체로 제공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외관상으로도 우수하며 비용이 적게 드는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메라 조립체는, 카메라 조립체를 공중에 매다는 방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회전형 카메라와, 상기 회전형 카메라의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형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카메라는 상기 보조부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형 카메라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회전형 카메라를 더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의 전장부는 상기 보조부재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고정형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아래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그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봉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상기 지지봉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상기 보조부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그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봉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부재에 결합되며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에 상기 지지봉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매개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형 카메라는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 조립체는, 상기 보조부재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하부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와 상기 하부 보조부재의 사이에는 카메라의 전장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카메라 조립체에 의하면, 복수의 카메라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하나의 카메라 조립체로 제공함으로써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 조립체에는 종래의 카메라도 조립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카메라 조립체에만 장착되는 전용의 카메라를 별도로 생산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형 카메라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가 설치된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 조립체에서 고정형 카메라가 설치되는 보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보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부재에 의해 회전형 카메라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회전형 카메라가 매개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 하부 하우징이 하부 보조부재와 결합하고 회전형 카메라는 그 자체의 하우징 내에 장착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는 지주대(미도시)에 설치되는 연장부(110)의 단부 아래에 설치된다.
상기 연장부(110)의 단부 아래에는 카메라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한 설치관(115)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설치봉(115)의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관(5)과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5)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조립체의 지지부재(10)의 상단부가 하방에서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이 지지부재(10)는 후술하는 하부 하우징(30) 내부의 중간 정도까지 뻗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카메라 조립체를 상기 연장부(110) 아래에 매다는 방식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10)의 중단부에는 상부 하우징(20)이 고정된다. 이 상부 하우징(20)은 상기 지지부재(10)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나사 결합 등의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아래에는 하부 하우징(30)이 결합된다. 이 하부 하우징(30)의 아래에는 구면 하우징(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상기 지지부재(10)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카메라 하우징 전체를 지지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하부 하우징(30)을 지지하므로, 단단한 금속 소재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와 상부 하우징(20)을 용접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금속 소재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반면, 상기 하부 하우징(30)과 구면 하우징(4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고정형 카메라와 회전형 카메라가 배치되고, 이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두 하우징(30, 40)은 투명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래서, 상기 하부 하우징(30)과 구면 하우징(40)은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0)는 연결관(5)을 통해 상기 설치봉(115)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 측면에는 상부 하우징(20)이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이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 측면에 용접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0)와 상부 하우징(20)의 결합은 용접이 아니라 나사 결합 등의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부재(10)의 상부 측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20)이 상기 돌기에 지지되도록 상부 하우징(2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지지부재(10)를 삽입하고 나사 등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부에는 보조부재(50)가 고정된다. 이 보조부재(50)는 상기 지지부재(10)에 용접하거나 볼트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부재(50)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후술하는 고정형 카메라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양의 지지대 등의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부재(50)의 상면에는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60)가 설치된다. 이 고정형 카메라(60)는 상기 보조부재(50)에 고정되는 반원 모양의 고정구(52)와 이 고정구(52)에 결합되는 삼각형 모양의 회동구(5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부재(50)의 아래에는 보조부재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보조부재(5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하부 보조부재(58)는 볼트(B)에 의해 위에 있는 보조부재(50)에 결합된다.
상기 보조부재(50)와 하부 보조부재(58)의 사이에는 냉각팬(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팬(80)은 카메라 작동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 조립체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에 회전형 카메라(70)가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의 상단 중앙에는 지지봉(72)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지지부재(10)의 하단에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의 지지봉(72)이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에는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의 지지봉(72)보다 큰 직경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의 지지봉(72)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반대로 나사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봉(72)은 모두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됨으로써 서로 체결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아래에는 하부 하우징(30)이 내측에서 결합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하단부와 상기 하부 하우징(30)의 상단부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각각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B)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30)이 상부 하우징(20)에 매달리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 하우징(30)의 상단부가 상부 하우징(20)의 하단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빗물 등이 흘러내리는 경우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하부 하우징(30)의 아래 부분은 상기 회전형 카메라(70)가 회전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구면 형태로 이루어진 구면부(40)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면부(4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하우징(30)에 위에서 아래로 장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에서 카메라 렌즈(71)는 회전형 카메라(70)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부(73) 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부(73)는 회전부(74)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71)가 하방의 임의의 방향을 향하여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는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일측부에는 전선 등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전선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구멍(12)을 통해 상기 고정형 카메라(60)의 전선들이 상기 지지부재(10) 내부를 통해 카메라 조립체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의 전선(도 2의 177 참조)은 상기 보조부재(50)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과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전선구멍(12)을 통과하도록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재(50)와 하부 보조부재(58)의 사이에는 상기 냉각팬(80)뿐만 아니라 각 카메라의 회로기판과 히터 등의 전장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카메라의 전장부 부품들을 상기 보조부재(50)와 하부 보조부재(58)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복잡한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형 카메라와 회전형 카메라로서 IP(internet protocol)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최대 5개의 랜케이블(LAN cable)을 인입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허브(Hub)를 상기 보조부재(50)와 하부 보조부재(58)의 사이에 부설함으로써, 카메라 조립체에서 통신부까지의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보조부재를 중심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부재(50)와 결합되는 지지부재(10)는 생략되어 있다.
상기 보조부재(50)의 상면에는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60)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52) 및 회동구(5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52)는 고정형 카메라(60)를 설치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형 카메라(60) 하나에 대해 한 쌍의 고정구(52)가 상기 보조부재(5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52)는 상기 보조부재(50)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에 대응하는 구멍을 통해 볼트(B)에 의해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고정형 카메라 4대가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지만, 고정형 카메라의 개수와 그 설치 각도는 이와 달리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보조부재(50)에는 상기 고정구(52)를 볼트(B)로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구멍들을 여러 위치에 형성하거나 호형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고정형 카메라(60)가 임의의 각도를 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4개의 도로가 서로 직교하는 교차로뿐만 아니라 직교하지 않는 교차로 등에서도 고정형 카메라를 적절한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회동구(54)는 상기 고정구(52)에 소정 각도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52)에는 상기 회동구(54)의 회동축 부분에 해당하는 구멍과 이 구멍을 중심으로 하는 호형 슬릿(S)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구(54)에도 상기 고정구(52)의 구멍과 호형 슬릿(S)에 대응하는 2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각각 볼트(B)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회동구(54)의 상면에도 상기 고정형 카메라(60)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H)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형 카메라(60)가 회동구(54)에 볼트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52)의 슬릿(S)에 의해 상기 회동구(54)를 임의의 각도로 설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조립체는 지면에서 소정 높이 위에 설치되므로 고정형 카메라는 보통 하방을 향할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 수평방향 또는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상기 고정형 카메라(60)는 그 설치시 그 촬영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5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이 사각형의 꼭지점 부근에는, 상기한 냉각팬(80)이 설치되는 위치에 냉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의 냉기홀(5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동구(54)에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60)와 함께 야간촬영을 위해 조명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조명장치는 야간에 카메라의 플래시 기능을 수행하여 야간에도 식별가능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회전형 카메라(70)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에 바로 결합되지 않고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15)를 개재하여 결합되는 점이 다르다.
즉,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15)는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된 보조부재(50)에 볼트(B)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의 상단 중앙에 구비된 지지봉(72)의 수나사가 상기 체결부재(15)의 암나사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하우징 및 구면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 6에서는 이들을 생략하였고,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면에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15)를 별도의 부재로서 결합하여 회전형 카메라(70)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회전형 카메라의 지지봉(72)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적절한 체결부재(15)를 이용하여 회전형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회전형 카메라(70)가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되지 않고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에 매개플레이트(75)에 의해 결합되는 점이 다르다.
우선, 상기 매개플레이트(75)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매개플레이트(75)에는 다수의 볼트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형 카메라(70)의 상면에는 3개의 볼트(76B)가 볼트 머리가 회전형 카메라(70)의 표면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이 3개의 볼트(76B)에 대응하여 상기 매개플레이트(75)에는 3개의 장공(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공(76)에 각 볼트(76B)를 삽입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볼트(76B) 머리가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76)의 일측은 상기 볼트(76B) 머리보다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시계반대방향측으로는 볼트(76B) 머리보다 작은 폭으로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매개플레이트(75)의 장공에 3개의 볼트(76B)를 끼워 회전시킨 다음, 상기 매개플레이트(75)를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에 볼트(77B)를 체결함으로써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매개플레이트(75)에는 4개의 볼트 구멍(7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77)들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에도 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4개의 볼트 구멍들을 맞춘 다음 볼트(77B)들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회전형 카메라(70)가 상기 보조부재(50)와 결합된 하부 보조부재(58)에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도, 하부 하우징 및 구면부의 구성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도면에서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하부 하우징(30)이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형 카메라(60)만을 수용하고, 회전형 카메라는 그 자체의 하우징에 수용되는 점이 다르다.
상기 하부 하우징(30)은 마찬가지로 그 상단 테두리부가 상부 하우징(20)의 하단 테두리부에 삽입되어 볼트(B)에 의해 결합된다.
그런데, 하부 하우징(30)의 하단 테두리부는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의 테두리부와 볼트(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수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상부 하우징(20), 하부 하우징(30) 및 보조부재(50)로 이루어지는 공간에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60)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에는 상부 하우징(160)과 하부 하우징(180)의 내부에 수용된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다.
즉, 상기 회전형 카메라의 상부 하우징(160) 상단에 마련된 지지봉(165)의 수나사가 상기 지지부재(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회전형 카메라를 하우징을 포함하여 전체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지지부재(10)가 상기 상부하우징(20)의 상단 중앙부와 결합되고 상부하우징(20)의 아래로는 연장되지 않는다.
그 대신, 상기 하부 하우징(30)이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와 결합하여 상기 고정형 카메라(60)만을 수용하면서, 이 하부 하우징(30)이 상기 보조부재(50) 및 하부 보조부재(58)와 그 아래에 결합되는 회전형 카메라(70)까지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부 하우징(30)은 다른 실시예의 경우보다 그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재질의 프레임부와 그 내부에 고정되는 투명창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고정형 카메라(60)와 회전형 카메라(7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투명창부는 상기 고정형 카메라(60)가 촬영할 수 있도록 경사진 투명창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의 하면에는 도 7의 제3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매개플레이트(75)에 의해 상기 회전형 카메라(7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매개플레이트(75)는 제3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의 아래에는 상기 회전형 카메라(70)를 수용하는 곡면하우징(31)이 결합된다. 이 곡면하우징(31)은 그 상단 테두리부에 마련된 체결공을 통해 볼트에 의해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곡면하우징(31)은 상기 회전형 카메라(70)가 촬영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부는 구면 형태의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5실시예와 비교할 때, 상기 회전형 카메라(70)가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체결부재(15)에 의해 상기 보조부재(50)에 결합되는 점이 다르다.
즉, 상기 하부 하우징(30)이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에 결합되어 하부 보조부재(58)와 이에 결합된 보조부재(50)를 지지한다. 또한,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15)가 볼트(B)에 의해 상기 보조부재(50)의 중앙부 하면에 고정되고, 이 체결부재(15)에 상기 회전형 카메라(70) 지지봉(72)의 수나사가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 보조부재(58)에 상기 회전형 카메라(70)를 수용하는 곡면하우징(31)이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지지부재
12: 전선구멍
15: 체결부재
20: 상부 하우징
30: 하부 하우징
40: 구면부
50: 보조부재
60: 고정형 카메라
70: 회전형 카메라
72: 지지봉
75: 매개플레이트
80: 냉각팬

Claims (14)

  1. 카메라 조립체를 공중에 매다는 방식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보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회전형 카메라와,
    상기 보조부재의 상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와,
    상기 보조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형 카메라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형 카메라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형 카메라는, 상기 보조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고정구와 이 고정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그 측면이 사다리꼴 평면 형태로 이루어져 아래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평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상기 복수의 고정형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회전형 카메라를 더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카메라의 전장부는 상기 보조부재의 하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고정형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그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봉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상기 지지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상기 보조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그 상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지지봉이 마련되고,
    상기 보조부재에 결합되며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재에 상기 지지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카메라는 매개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카메라는 그 상하 및 좌우의 설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에 소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되는 하부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부재와 상기 하부 보조부재의 사이에는 카메라의 전장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조립체.
KR1020110013200A 2011-02-15 2011-02-15 카메라 조립체 KR101061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200A KR101061835B1 (ko) 2011-02-15 2011-02-15 카메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200A KR101061835B1 (ko) 2011-02-15 2011-02-15 카메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835B1 true KR101061835B1 (ko) 2011-09-02

Family

ID=44956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200A KR101061835B1 (ko) 2011-02-15 2011-02-15 카메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8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90B1 (ko) * 2022-08-16 2022-11-04 글로벌정보통신(주) 촬영 시야확보 기능을 갖는 돔형 cctv 카메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2695A (ja) 2002-04-09 2003-10-24 Eremakku:Kk 監視用カメラの支持機構
KR200376617Y1 (ko) * 2004-12-02 2005-03-1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2695A (ja) 2002-04-09 2003-10-24 Eremakku:Kk 監視用カメラの支持機構
KR200376617Y1 (ko) * 2004-12-02 2005-03-1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890B1 (ko) * 2022-08-16 2022-11-04 글로벌정보통신(주) 촬영 시야확보 기능을 갖는 돔형 cctv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0172B2 (en) Omnidirectional user configurable multi-camera housing
KR102005977B1 (ko)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KR100997877B1 (ko) 광대역 감시 카메라
US10674048B2 (en) Panorama stitching camera
KR100651688B1 (ko)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1128367B1 (ko) 광대역 영상 감시 카메라
KR101021139B1 (ko) 조명수단이 구비된 cctv용 다방향 카메라장치
KR100545903B1 (ko) 360°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1387460B1 (ko) 카메라 및 카메라 구동장치
KR200376617Y1 (ko)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1061835B1 (ko) 카메라 조립체
KR200490442Y1 (ko) 감시 카메라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할 수 있는 천정형 브라켓 장치
KR102334883B1 (ko) 모듈 탈착식 서라운드 카메라 시스템
KR101494869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139768B1 (ko) 시시티브이 지지대
KR101613314B1 (ko) 감시카메라용 하우징 일체형 브라켓
KR20140146871A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94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KR101440871B1 (ko) 감시 시스템용 팬틸트 장치
TWI517703B (zh) Monitor camera with adjustable horizontal angle function
CN205566507U (zh) 基于摄像头的监控系统
KR200347531Y1 (ko) 360° 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1341638B1 (ko) 카메라용 팬틸트 시스템
KR102381195B1 (ko) 원포인트 나사 조정으로 틸트와 로테이션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돔 타입 cctv 장치
CN112443744B (zh) 一种监控摄像机安装架及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