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368B1 - 실물화상기 - Google Patents

실물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368B1
KR100929368B1 KR1020070130174A KR20070130174A KR100929368B1 KR 100929368 B1 KR100929368 B1 KR 100929368B1 KR 1020070130174 A KR1020070130174 A KR 1020070130174A KR 20070130174 A KR20070130174 A KR 20070130174A KR 100929368 B1 KR100929368 B1 KR 10092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upled
cylindrical coupling
cas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745A (ko
Inventor
최명수
정승태
허영섭
김연석
Original Assignee
탐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탐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탐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0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3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8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epidia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치(105, 106, 107, 108)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170)와, 상기 받침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된 다관절 지지대(109)의 타측 끝단에 결합된 카메라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케이싱(116)내 일측에 모터(112)가 고정되어 있고, 케이싱(116)내에 고정되는 회로기판(117)에 실장된 수광모듈(115)에 원통형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렌즈가 결합된 렌즈통(102)에는 원통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결합부(113) 및 상기 원통결합구(111)에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나사결합되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112)의 모터축과 상기 렌즈통 외주면에 벨트(11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 및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복수의 스위치가 상기 회로기판(117)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일부(107, 108)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모터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벨트(114)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렌즈통(102)이 연동 회전하여 렌즈통이 상기 수광모듈의 원통형 결합부(113)에 형성된 나사를 타고 상기 수광모듈에 접근하거나 멀어짐으로써 카메라의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렌즈

Description

실물화상기{A portable camera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분해 결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100 : 카메라부 102 : 렌즈통
105, 106, 107, 108 : 스위치
109 : 다관절지지대 111 : 원통결합구
112 : 모터 113 : 원통형결합부
114 : 벨트 115 : 수광모듈
116 : 케이싱 117 : 회로기판
119 : 모터고정판 121 : 모터고정구
123 : 모터축 고정구 130 : 엘이디조명모듈
본 발명은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초점거리 자동조절 기능을 갖는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화상기는 피사체(서류 또는 3차원 물체)를 고체촬상소자(CCD : Charge-Coupled Device) 또는 상보성금속산화막반도체(CMOS : Complementary Metal Oxidide Semiconductor)로 촬상하여 이를 액정표시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projector), 텔레비젼수상기(TV), 모니터등과 같은 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회의나 전시회, 학술강연 및 산업용 등으로 프리젠테이션 또는 교육진행시 시청각 기기로 활용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특히 실물화상기에서 대상물체를 촬상하는 CCD 카메라 또는 CMOS 카메라소자에 현미경 렌즈와 같은 접사,망원 및 광각렌즈 등, 즉 실물을 확대시킬 수 있는 렌즈를 결합함으로써, 미세한 대상 물체를 확대시킨 화상을 모니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하여 렌즈통을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초점 조절이 가능하게 한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렌즈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치(105, 106, 107, 108)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170)와, 상기 받침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된 다관절 지지대(109)의 타측 끝단에 결합된 카메라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케이싱(116)내 일측에 모터(112)가 고정되어 있고, 케이싱(116)내에 고정되는 회로기판(117)에 실장된 수광모듈(115)에 원통형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렌즈가 결합된 렌즈통(102)에는 원통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결합부(113) 및 상기 원통결합구(111)에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나사결합되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112)의 모터축과 상기 렌즈통 외주면에 벨트(11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 및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복수의 스위치가 상기 회로기판(117)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일부(107, 108)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모터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벨트(114)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렌즈통(102)이 연동 회전하여 렌즈통이 상기 수광모듈의 원통형 결합부(113)에 형성된 나사를 타고 상기 수광모듈에 접근하거나 멀어짐으로써 카메라의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고정판(1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16)내면에는 상기 모터고정판에 대응되는 모터고정구(121)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고정판(119)를 상기 모터고정구(121)에 겹쳐놓고 나사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모터가 케이싱에 고정되게 형성되며, 모터의 고정시 모터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모터축 고정구(123)에 형성된 홈에 모터축이 안착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조명창(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창이 형성된 내측면에 엘이디조명모듈(13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엘이디조명모듈 및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스위치(106)가 상기 회로기판(117)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106)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조명창을 통해 외부로 조명하는 조명의 온오프가 조절되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스위치(105, 106, 107, 108)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170)와, 상기 받침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된 다관절 지지대(109)와, 다관절 지지대의 타측 끝단에 결합된 카메라부(100)로 구성된다.
카메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6) 내부에 모터(112)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고정판(119)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116) 내면에는 상기 모터고정판에 대응되는 위치에 모터고정 구(121)가 형성되어, 모터고정판(119)을 상기 모터고정구(121)에 겹쳐놓고 나사(도시 생략)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모터가 케이싱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 때 모터축이 회전함에 따라 모터의 진동 등이 있게 되는데 모터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모터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모터축 고정구(123)에 형성된 홈에 모터축이 안착되게 도 3과 같이 구성한다.
한편, 케이싱(116)내에는 회로기판(117)이 고정되며, 회로기판에는 카메라부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회로가 실장된다. 기판의 일측에는 수광모듈(115)이 실장되는데 수광모듈은 렌즈를 통하여 입사하는 촬상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광모듈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렌즈가 결합되어 있는 렌즈통(102)에는 원통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형 결합부(113) 및 원통결합구(111)에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나사결합되게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결합부(111)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원통결합구(111)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렌즈통을 회전시키면 나사를 따라 렌즈통이 회전하면서 수광모듈을 향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되어 초점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2)의 모터축과 렌즈통 외주면에는 벨트(114)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축이 회전하면 벨트에 의하여 렌즈통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모터의 회전은 받침대의 스위치를 통하여 제어하게 형성된다. 즉, 모터 및 받침대에 형성된 복수의 스위치가 회로기판(117)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스위치 중 일부(107, 108)를 조작함에 따라 모터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벨트(114)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렌즈통(102)이 연동 회전하여 렌즈통이 상기 수광모듈의 원통형 결합부(113)에 형성된 나사를 타고 상기 수광모듈에 접근하거나 멀어짐으로써 카메라의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는 전선에 의하여 회로기판 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편 회로기판상의 회로에 받침대의 스위치도 전선(104)에 의하여 연결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일측에는 조명창(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창이 형성된 내측면에 엘이디조명모듈(13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엘이디조명모듈 및 받침대에 형성된 스위치(106)가 상기 회로기판(117)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106)를 조작함에 따라 엘이디조명모듈의 엘이디램프가 켜지거나 꺼짐으로써 상기 조명창을 통해 외부로 조명하는 조명의 온오프가 조절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초점 조절, 조명 조절 등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 태양 중 하나의 예를 든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와 등가물, 균등물을 포함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하여 렌즈통을 회전시킴으로써 간단한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초점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렌즈통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실물화상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실물화상기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105, 106, 107, 108)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170)와,
    상기 받침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된 다관절 지지대(109)의 타측 끝단에 결합된 카메라부(10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부는
    케이싱(116)내 일측에 모터(112)가 고정되어 있고,
    케이싱(116)내에 고정되는 회로기판(117)에 실장된 수광모듈(115)에 원통형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렌즈가 결합된 렌즈통(102)에는 원통결합구(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결합부(113) 및 상기 원통결합구(111)에는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호 나사결합되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112)의 모터축과 상기 렌즈통 외주면에 벨트(114)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모터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고정판(1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116)내면에는 상기 모터고정판에 대응되는 모터고정구(121)가 형성되어,
    상기 모터고정판(119)를 상기 모터고정구(121)에 겹쳐놓고 나사에 의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모터가 케이싱에 고정되게 형성되며,
    모터의 고정시 모터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모터축 고정구(123)에 형성된 홈에 모터축이 안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터 및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복수의 스위치가 상기 회로기판(117)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스위치 중 일부(107, 108)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모터가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벨트(114)의 작용에 의하여 모터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렌즈통(102)이 연동 회전하여 렌즈통이 상기 수광모듈의 원통형 결합부(113)에 형성된 나사를 타고 상기 수광모듈에 접근하거나 멀어짐으로써 카메라의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조명창(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명창이 형성된 내측면에 엘이디조명모듈(13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엘이디조명모듈 및 상기 받침대에 형성된 스위치(106)가 상기 회로기판(117)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106)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조명창을 통해 외부로 조명하는 조명의 온오프가 조절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기
KR1020070130174A 2007-12-13 2007-12-13 실물화상기 KR10092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174A KR100929368B1 (ko) 2007-12-13 2007-12-13 실물화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174A KR100929368B1 (ko) 2007-12-13 2007-12-13 실물화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45A KR20090062745A (ko) 2009-06-17
KR100929368B1 true KR100929368B1 (ko) 2009-12-02

Family

ID=4099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174A KR100929368B1 (ko) 2007-12-13 2007-12-13 실물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255B1 (ko) * 2010-04-30 2012-03-16 (주)오맥스 탁상용 엘이디 스탠드 겸용 실물화상기
KR101323313B1 (ko) * 2013-04-09 2013-10-29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영상 확대 장치
KR102242984B1 (ko) * 2019-10-28 2021-04-20 박기철 이미지 회전기능을 갖는 프로젝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6583A (ja) * 1996-10-17 1998-05-15 Nikon Corp 画像入力装置
JP2004080178A (ja) * 2002-08-13 2004-03-11 Fuji Photo Optical Co Ltd 資料提示装置
KR20060062011A (ko) * 2004-12-02 2006-06-09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0647554B1 (ko) * 2000-09-20 2006-11-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6583A (ja) * 1996-10-17 1998-05-15 Nikon Corp 画像入力装置
KR100647554B1 (ko) * 2000-09-20 2006-11-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JP2004080178A (ja) * 2002-08-13 2004-03-11 Fuji Photo Optical Co Ltd 資料提示装置
KR20060062011A (ko) * 2004-12-02 2006-06-09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45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7287B2 (en) Rotating prism for a digital camera in a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E0002554D0 (sv) An image altering device for an image producing apparatus
JP2006221098A (ja) フラッシュライト用led付き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289797B1 (ko) 줌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KR100929368B1 (ko) 실물화상기
US70519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directional imaging system
TWI510079B (zh) 攝影裝置
TWI599810B (zh) 相機模組
US20100086291A1 (en) Camera modul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639937B1 (ko) 간접조명 방식의 카메라 모듈용 포커싱 검사장치
US20170099440A1 (en) External Electronic Viewfinder for SLR Camera
JP2007072067A (ja)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TWI454821B (zh) 攝影裝置及其燈具
TWI708089B (zh) 數位成像裝置
US20140300803A1 (en) Image-capturing system
TW201428407A (zh) 具有投光角度自動調整功能的影像擷取系統
TWI387835B (zh) 鏡頭模組及相機模組
CN102636940A (zh) 光学系统及具有该光学系统的电子装置
JP2005062385A (ja) レンズ装置
KR101932536B1 (ko) 실물 화상기
JP2019070741A (ja) シャインプルーフ光学系、チルト機構ユニットおよび画像取込装置
KR100189056B1 (ko) 헤드부에 조명 기능이 내장된 실물 화상 기기
TWI440353B (zh) 便攜式通訊裝置
JP2008185816A (ja) 可変型フラッシュライト用led装置
JP2006201694A (ja) レン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