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554B1 -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554B1
KR100647554B1 KR1020000055286A KR20000055286A KR100647554B1 KR 100647554 B1 KR100647554 B1 KR 100647554B1 KR 1020000055286 A KR1020000055286 A KR 1020000055286A KR 20000055286 A KR20000055286 A KR 20000055286A KR 100647554 B1 KR100647554 B1 KR 100647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ead bracket
head
bracket means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492A (ko
Inventor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554B1/ko
Publication of KR20020022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04N9/3176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incorporated in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실물 화상장치는 원고가 적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원고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여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한 헤드 브래킷 수단과,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과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상기 지지대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에 연결되므로써, 회전시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조절수단과,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에 연결되므로써, 회전시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실물 화상장치, 카메라, 위치조절, 조절 스크류

Description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Visual presenter capabl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amera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수단이 장착된 실물 화상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위치 조절수단을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위치 조절수단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위치 조절수단 중 전후조절 스크류가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위치 조절수단 중 좌우조절 스크류가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헤드 브래킷이 헤드부시에 의하여 지지대에 장착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은 실물 화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조절용 스크 류에 의하여 카메라를 전후좌우로 조절하므로써 실물 화상기의 원고대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실물 화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물 화상장치는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필름이나 사진등의 실물을 촬상한 다음 영상데이터로 변환하여 모니터나 비디오기기 또는 컴퓨터 등의 영상기 기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실물 화상장치는 원고를 베이스의 상면에 적치하고, 카메라가 내장된 헤드부를 상하좌우로 적절하게 이동시켜 조정함으로써 실물화상기의 원고대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일치되게 맞춘다. 그리고, 카메라에 의하여 원고를 촬상한 후 영상정보를 이미지 파일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하므로써 화면에 원고를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따라서, 실물 화상장치에 있어서 원고대에 표시된 원고위치 설정표시의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작업을 조립공정에서 실시하여 실물 화상기 사용자의 원고 결정을 편리하게 하여준다.
그러나, 종래의 실물 화상장치는 지지대를 구성하는 부품의 정밀도를 높여 카메라 위치조정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아, 부품의 정밀도로 인한 생산비용의 증대가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헤드부에 위치조절용 스크류를 장착하여 카메라를 전후좌우로 미세하게 조절하므로써 원고대의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실물 화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 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고가 적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원고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를 감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여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한 헤드 브래킷 수단과,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과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상기 지지대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에 연결되므로써, 회전시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조절수단과,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에 연결되므로써, 회전시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실물 화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 중간홀이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및 측면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및 리어커버의 일측부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하므로써 체결나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케이스가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은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헤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부중 하나의 수직부에는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다른 수직부에는 상기 중간홀에 대응되는 측면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헤드 부시와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부시는 상기 측면홀 및 중간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나사가 상기 헤드부시를 관통하여 상기 수납홈의 바닥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헤드부시가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시의 직경은 상기 측면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이 전후좌후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조절수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 내부의 상기 제1 관통홀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제1 관통홀 및 상기 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제1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1 스크류와, 상기 리브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단부는 상기 리브의 내측에 접촉하고, 하단부는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상면에 접촉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류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스크류가 상기 제1 체결홀에 체결/해제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전후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좌우조절수단은 상기 리어 커버 내부의 상기 제2 관통홀의 원주 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와, 상기 리어 커버의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제2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리브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단부는 상기 리브의 내측에 접촉하고, 하단부는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상면에 접촉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크류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류가 상기 제2 체결홀에 체결/해제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좌우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상기 헤드부시는 그 외주면에 판스프링을 추가로 장착하므로써, 상기 헤드부시가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측면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헤드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측면홀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물 화상장치는 그 상면에 원고가 적치되는 원고대(1)와, 상기 원고대(1)의 소정거리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원고를 촬영하는 카메라(2)를 전후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헤드부(3)와, 상기 원고대(1)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부(3)를 지지하는 지지대(4)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3)는 서로 일체로 결합되므로써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5)와 리어 커버(6)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헤드부(3)는 상기 지지대(4)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즉, 상기 프론트 커버(5)와 리어 커버(6)의 일측면 양단부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7,38)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체결홀(37,38)은 상기 지지대(4)의 몰드부재(14)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36)에 각각 대응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체결나사(39)가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36)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37,38)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프론트 커버(5) 및 리어 커버(6)는 상기 지지대(4)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헤드부(3)의 내부에는 카메라(2)를 고정하여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 브래킷(7)이 결합된다. 상기 헤드 브래킷(7)은 그 중간부에 제1 체결홀(8)이 형성되는 수평부(9)와 상기 수평부(9)의 양단부가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10)를 포함하므로써 "∩"자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헤드 브래킷(7)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 바람직하게는 헤드 부시(11)에 의하여 지지대(4;도2)의 상단부(13)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헤드 부시(11)는 원통형상의 원통부(17)와 사각형상의 머리부(17a)로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 브래킷(7)을 관통하여 상기 몰드부(14)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7)을 상기 지지대(4;도2)의 상단부(13)에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헤드 브래킷(7)의 일측면에는 측면홀(12)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홀(12)은 상기 지지대(13)의 일측면에 부착된 몰드부재(14)에 형성된 수납홈(15)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커버(5)의 일측면에도 중간홀(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브래킷(7)의 일측면을 상기 프론트 커버(5)의 일측내면에 접촉하는 경 우, 상기 측면홀(12)과 중간홀(16)과 수납홈(15)이 서로 관통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 부시(11)를 상기 측면홀(12)과 중간홀(16)을 관통하여 수납홈(15)에 삽입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7)이 장착된 프론트 커버(5)가 상기 지지대(13)에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헤드 부시(11)는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홀(18)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고정나사(19)가 상기 나사홀(18)을 관통하여 상기 몰드부재(14)의 수납홈(15)의 바닥부에 형성된 체결홈(37)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브래킷(7) 및 프론트 커버(5)는 상기 헤드부시(11)에 의하여 상기 지지대(13)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때, 상기 헤드 브래킷(7)의 측면홀(12)의 직경은 상기 헤드부시(11)의 원통부(17)의 직경보다 소정길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부시(11)가 상기 헤드 브래킷(7)을 관통한 상태에서도, 상기 헤드 브래킷(7)은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 부시(11)의 원통부(17)의 외주면에는 판스프링(35)이 추가로 장착된다. 상기 판스프링(35)은 상기 헤드 부시(11)와 상기 측면홀(12)의 내주면의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헤드 브래킷(7)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35)은 상기 헤드부시(11)의 외주면과 측면홀(12)의 내주면에 동시에 접촉하므로써 완충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 브래킷(7)의 수평부(9)에 형성된 제1 체결홀(8)은 상기 프론트 커버(5)에 형성된 제1 관통홀(20)에 대응한다. 그리고, 제1 스크류(21)가 상 기 제1 관통홀(20)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8)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7)과 상기 프론트 커버(5)가 일체로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커버(5)에는 제1 관통홀(2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홀(20)의 원주면에는 원통형상의 리브(Rib;22)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22)의 내부에는 원통홈(23)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홈(23)은 상기 제1 관통홀(20)과 연통된다.
이러한 원통홈(23)의 내부에는 압축코일 스프링(24)이 장착되며,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4)의 일단부(24a)는 상기 원통홈(23)의 내부에 접촉하며, 타단부(24b)는 상기 헤드 브래킷(7)의 수평부(9) 상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제1 스크류(21)가 상기 제1 관통홀(20) 및 압축코일스프링(24)을 관통하여 상기 제1 체결홀(8)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스크류(21)를 정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스크류(21)가 상기 제1 체결홀(8)에 체결되어 인입됨에 따라 상기 헤드 브래킷(7)이 상기 프론트 커버(5)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헤드 브래킷(7)에 고정된 카메라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4)이 상기 프론트 커버(5)에 의하여 압축된다.
상기 제1 스크류(21)를 역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4)이 탄성력에 의하여 원형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상기 헤드 브래킷(7)을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브래킷(7)이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스크류(21)에는 E형 멈춤링(21a)이 일체로 장착되므로써 상 기 제1 스크류(21)가 상기 제1 관통홀(2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분실의 염려가 없다.
다시,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 브래킷(7)의 타측면에는 제2 체결홀(2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체결홀(25)은 상기 리어 커버(6)에 형성된 제2 관통홀(26)에 대응한다. 그리고, 제2 스크류(27)가 상기 제2 관통홀(26) 및 제2 체결홀(25)을 관통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7)이 상기 리어 커버(6)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상기 제1 스크류(21)와 동일한 구조이나,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커버(6)에는 제2 관통홀(26)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26)의 원주변에는 원통형상의 리브(Rib;29)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29)의 내부에는 원통홈(30)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홈(30)은 상기 제2 관통홀(26)과 연통된다.
이러한 원통홈(30)의 내부에는 압축코일 스프링(28)이 장착되며,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28)의 일단부(28a)는 상기 원통홈(30)의 바닥부에 접촉하며, 타단부(28b)는 상기 헤드 브래킷(7)의 수직부(10)에 접촉한다.
그리고, 제2 스크류(27)가 상기 제2 관통홀(26) 및 압축코일스프링(28)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체결홀(25)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스크류(27)를 정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류(27)가 상기 제2 체결홀(25)에 체결되어 인입됨에 따라 상기 헤드 브래킷(7)이 상기 리어 커버(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헤드 브래킷(7)에 고정된 카메라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코일스프 링(28)이 상기 리어 커버(6)에 의하여 압축된다.
상기 제2 스크류(27)를 역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8)이 탄성력에 의하여 원형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상기 헤드 브래킷(7)을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 브래킷(7)이 후방으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2 스크류(27)에는 E형 멈춤링(27a)이 일체로 장착되므로써 상기 제2 스크류(27)가 상기 제2 관통홀(26)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분실의 염려가 없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실물 화상장치의 헤드 브래킷(7)은 상기 제1 및 제2 스크류(21,27)에 의하여 상기 헤드부(3)의 내부에 고정되며, 전후좌우 이동시 상기 헤드부시(11)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동된다.
다시, 도2 및 도3 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및 리어 커버(5,6)의 내부공간에는 카메라가 장착되는 촬상부(31)가 장착된다. 이러한 촬상부(31)는 상기 헤드 브래킷(7)에 적절하게 고정된다. 즉, 헤드 브래킷(7)의 일측면에 형성된 관통홀(33)과 상기 촬상부(31)의 일측면에 형성된 체결홀(32)이 서로 대응되며, 체결나사(34)가 상기 관통홀(33)을 관통하여 체결홀(32)에 결합되므로써 상기 촬상부(31)가 상기 헤드 브래킷(7)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실물 화상장치는 제1 스크류(21) 및 제2 스크류(27)를 정/역회전 시키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7)이 전후 및 좌우로 이동하고 결과적으로 촬상부(31)가 전후 및 좌우로 이동하므로써 원고대에 표시된 원고위치 설정표시의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조정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실물 화상장치는 헤드부에 위치 조절용 스크류를 장착하여 카메라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므로써 원고대의 중심과 카메라 입력화상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8)

  1. 원고가 적치되는 원고대와, 상기 원고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원고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를 감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카메라를 고정하여 전후 및 좌우로 이동가능한 헤드 브래킷 수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과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상기 지지대에 연결시키는 연결수단;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에 연결되므로써, 회전시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전후조절수단;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측부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에 연결되므로써, 회전시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좌우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실물 화상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측면에 중간홀이 형성되는 프론트 커버 및 측면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및 리어커버의 일측부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에 형성된 체결홀에 대응하므로써 체결나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케이스가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고정되는 실물 화상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은 상기 제1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헤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부중 하나의 수직부에는 상기 제2 관통홀에 대응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다른 수직부에는 상기 중간홀에 대응되는 측면홀이 형성되는 실물 화상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그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헤드 부시와 상기 중공을 관통하는 체결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 부시는 상기 측면홀 및 중간홀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형성된 수납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나사가 상기 헤드부시를 관통하여 상기 수납홈의 바닥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되므로써 상기 헤드부시가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연결되는 실물 화상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시의 직경은 상기 측면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이 전후좌후로 이동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조절수단은 상기 프론트 커버 내부의 상기 제1 관통홀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와, 상기 프론트 커버의 제1 관통홀 및 상기 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제1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1 스크류 와, 상기 리브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단부는 상기 리브의 내측에 접촉하고, 하단부는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상면에 접촉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스크류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스크류가 상기 제1 체결홀에 체결/해제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전후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조절수단은 상기 리어 커버 내부의 상기 제2 관통홀의 원주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리브와, 상기 리어 커버의 제2 관통홀 및 상기 리브를 관통하여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제2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2 스크류와, 상기 리브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단부는 상기 리브의 내측에 접촉하고, 하단부는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상면에 접촉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스크류를 정회전/역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스크류가 상기 제2 체결홀에 체결/해제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을 좌우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시는 그 외주면에 판스프링을 추가로 장착하므로써, 상기 헤드부시가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의 측면홀을 관통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헤드부시의 외주면과 상기 측면홀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므로써, 상기 헤드 브래킷 수단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실물 화상장치.
KR1020000055286A 2000-09-20 2000-09-20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KR100647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86A KR100647554B1 (ko) 2000-09-20 2000-09-20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86A KR100647554B1 (ko) 2000-09-20 2000-09-20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492A KR20020022492A (ko) 2002-03-27
KR100647554B1 true KR100647554B1 (ko) 2006-11-17

Family

ID=1968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286A KR100647554B1 (ko) 2000-09-20 2000-09-20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68B1 (ko) * 2007-12-13 2009-12-02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969B1 (ko) * 2005-04-19 2007-02-22 주식회사 테크노힐 감시카메라 설치용 브래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781A (ja) * 1983-09-16 1985-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デオカメラ
JPS6298864A (ja) * 1985-10-24 1987-05-0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イメ−ジセンサの取付装置
KR960035130A (ko) * 1995-12-28 1996-10-24 최금호 화상위치가 자동 조정되는 실물 화상기
JPH08340467A (ja) * 1995-06-14 1996-12-24 Canon Inc 画像入力装置
JPH10126583A (ja) * 1996-10-17 1998-05-15 Nikon Corp 画像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781A (ja) * 1983-09-16 1985-04-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ビデオカメラ
JPS6298864A (ja) * 1985-10-24 1987-05-08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イメ−ジセンサの取付装置
JPH08340467A (ja) * 1995-06-14 1996-12-24 Canon Inc 画像入力装置
KR960035130A (ko) * 1995-12-28 1996-10-24 최금호 화상위치가 자동 조정되는 실물 화상기
JPH10126583A (ja) * 1996-10-17 1998-05-15 Nikon Corp 画像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368B1 (ko) * 2007-12-13 2009-12-02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492A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415B1 (en) Document capture stand
CN106462029A (zh) 摄像机模块
KR101566299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CN209311762U (zh) 具有改进的止挡器结构的用于自动聚焦的设备
JP2006079054A (ja) フォーカスコントロール装置
KR20070029592A (ko) 촬상 장치
JPH07212634A (ja) テレビカメラの光学系支持装置
JP4709647B2 (ja) 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装置
US20120182633A1 (en) Lens drive mechanism,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KR100647554B1 (ko) 카메라 위치 조절이 가능한 실물 화상장치
CN101251705B (zh) 图像模糊修正机构和摄像装置
JP2010141743A (ja) 撮像装置
JP2006121629A (ja) 原稿読取り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イメージスキャナ
US2004008066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JP3912365B2 (ja) レンズ移動機構、撮像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US20030202118A1 (en) Portable apparatus
JPH0843705A (ja) 撮影レンズ鏡胴装置
WO2023204086A1 (ja) アダプター及び撮像装置
CN216052417U (zh) 一种可上下调节的手机拍照架结构
JPH0898076A (ja) 画像入力装置
JP2007071907A (ja) レンズ位置調節機構、レンズ装置、光学装置
JPS62125768A (ja) イメ−ジセンサ保持部材
KR20020088705A (ko) 촬상장치용 뷰파인더 및 이를 구비한 캠코더
JP3566415B2 (ja) 立体カメラの位置決め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