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30A -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30A
KR20160001330A KR1020140079675A KR20140079675A KR20160001330A KR 20160001330 A KR20160001330 A KR 20160001330A KR 1020140079675 A KR1020140079675 A KR 1020140079675A KR 20140079675 A KR20140079675 A KR 20140079675A KR 20160001330 A KR20160001330 A KR 20160001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housing
camera
telephone
camera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옥
Original Assignee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30A/ko
Publication of KR2016000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는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는 렌즈와, 상기 렌즈와 연결되고 외부로 연장하는 연성 인쇄회로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CAMERA ASSEMBLY AND TELEPHON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전화기 본체에 장착시키기 위한 카메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카메라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전화기, 특히 유선 전화기의 일 예로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스탠드형 또는 탁상형 전화기가 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탠드형 전화기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 망을 이용하는 통신 기술 등이 도입되면서, 기본적인 음성 통화 기능 외에도 다양한 부가 기능들, 예컨대 화상 통화 기능, 멀티미디어 데이터 송수신 기능 등을 가진다. 이러한 스탠드형 전화기는, 부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와 카메라 장치 등을 전화기 본체에 구비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탠드형 전화기의 일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특2001-0058775호는 전화기 본체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LCD 조립체(LCD assembly)를 가지며, LCD 조립체에 LCD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스탠드형 전화기를 제안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58775호
하지만, 종래의 스탠드형 전화기와 같이 LCD 조립체에 LCD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에는, LCD 조립체의 기울기가 조절됨에 따라 LCD 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방향이 모두 변경되어 버린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 맞춰 LCD 조립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LCD 모듈이 화면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상태로 기울어지고, LCD 모듈에 맞춰 LCD 조립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카메라 모듈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담을 수 없는 상태로 기울어질 수 있다. 즉, 종래의 스탠드형 전화기는 LCD 모듈과 카메라 모듈의 방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스탠드형 전화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방향을 LCD 조립체의 기울기 조절을 통해 상하방향으로는 조절할 수 있지만, 카메라 모듈이 LCD 조립체에 고정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는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로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담기 위해서는 전화기 본체를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을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고 전화기 본체에 장착되는 카메라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카메라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탠드 전화기용 카메라 조립체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는 렌즈와, 상기 렌즈와 연결되고 외부로 연장하는 연성 인쇄회로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재결합가능하게 분리되는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렌즈 구멍을 가지며, 상기 후방 커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연성 인쇄회로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 구멍과,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를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슬릿과 제2 슬릿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베어링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릿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릿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판형의 제2 회전체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는 평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외면에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1 곡면기어 및 제2 곡면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는 마찰 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카메라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화기가 제공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는, 상기 카메라 조립체가 장착되는 전화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카메라 조립체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방향 전환 버튼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조립체는 카메라 모듈을 직교하는 2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 구조를 가지며, 전화기 본체에 장착되거나 또는 전화기 본체에 기울기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된 LCD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조립체를 구비한 전화기는, 전화기 본체의 전면에 카메라 모듈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방향 전환 버튼을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LCD 모듈의 화면을 선명하게 보면서 또한 전화기 본체를 움직이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버튼을 조작하여 카메라 모듈이 향하는 방향을 상하방향,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고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담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 있어서의 전화기 본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의 장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를 전방 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를 후방 커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 또는 부품을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전방", "전" 등의 방향지시어는 전화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 "후"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 "하", "좌", "우"의 방향지시어는 전화기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LCD 모듈'과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모듈"은 조립이 간편하도록 일체화된 제품 형태로 이루어지며, 주어진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의 부품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100)를 설명한다. 도 1에서, 화살표(UD)는 상측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DD)는 하측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도 1에서, 화살표(LD)는 좌측 방향을 가리키고, 화살표(RD)는 우측 방향을 가리킨다.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100)는 당해 분야에 있어서, '스탠드형 또는 탁상형 전화기', '스탠드형 화상 전화기'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상기 전화기(100)는 전화기 본체(110)와, 전화기 본체(110)에 거치가능한 송수화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송수화기는 길이방향으로의 양측에 송화기와 수화기를 가지며, 전화기 본체(110)에 코드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코드 없이 무선 링크로 연결될 수 있다.
전화기 본체(110)는 전면(120) 및 전면(120)에 대향하는 바닥면(130)을 가지며, 전면(120)과 바닥면(130)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140)을 가진다. 이러한 전화기 본체(1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측면(140)의 높이가 커지는 형상, 즉 전면(120)이 바닥면(130)에 대해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전화기 본체(110)의 전면(120)에는 좌측방향(LD)으로의 가장자리에 송수화기를 거치하기 위한 홈부(121)가 구비되고, 홈부(121)의 우측방향(RD)으로는 카메라 조립체(200), LCD 조립체(150) 및 조작부(160)가 구비된다. 실시예에서는, LCD 조립체(150)의 위, 아래에 각각 카메라 조립체(200)와 조작부(160)가 배치되지만, LCD 조립체(150)의 결합 방식, 크기 등에 따라서 다른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 조립체(200)는 카메라 모듈(210)을 전화기 본체(110)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물로서, 전화기 본체(110)의 전면(120)에서 적어도 카메라 모듈(210)의 렌즈(212)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조립체(200)의 하우징(220)의 일부가 카메라 모듈(210)의 렌즈(212)와 함께 전화기 본체(110)의 전면(120)에서 노출된다.
LCD 조립체(150)는 LCD 모듈(151) 및 LCD 모듈(151)을 전화기 본체(110)의 전면(120)에 고정시키는 LCD 고정프레임(152)을 포함한다. LCD 모듈(151)은 카메라 모듈(210)을 통해 획득된 영상과 전송되어 온 영상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100)에서는, LCD 조립체(150)가 전화기 본체(110)에 고정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LCD 조립체(150)는 전화기 본체(110)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화기 본체(110)에 대해 기울기 조절이 가능한 LCD 조립체에 카메라 조립체(200)가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6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며, 복수의 버튼은 전화번호 입력 버튼(161), 설정 버튼(162), 볼륨 조절 버튼(163) 및 방향 전환 버튼(164) 등을 포함한다. 방향 전환 버튼(164)은 카메라 모듈(210)의 회전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버튼으로서, 특정 부분의 눌림을 통해 눌린 부분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카메라 모듈(210)을 회전시킨다. 즉, 카메라 모듈(210)의 렌즈(212)가 향하는 방향을 상측방향(UD), 하측방향(DD), 좌측방향(LD) 또는 우측방향(RD)으로 변경시킨다. 방향 전환 버튼(164)은 실시예에서와 같이 하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복수의 버튼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100)는 사용자가 마주하는 전화기 본체(110)의 전면(120)에 방향 전환 버튼(164)을 구비하여, LCD 모듈(151)의 화면을 보면서 카메라 모듈(210)의 렌즈(212)가 향하는 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200)를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 조립체(2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10)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210)을 직교하는 2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230)와 제2 모터(240)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210)은 전반부(211)와 후반부(213)를 가지며, 전반부(211)에는 렌즈(212)가 구비되고 후반부(213)에는 외부로 연장하는 연성 인쇄회로(214)(flexible printed circuit)가 구비된다(도 5 및 도 6 참조). 카메라 모듈(210)은 하우징(220) 내에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 모듈(210)은 렌즈(212)가 구비되는 부분이 잘린 구 형상을 가진다.
렌즈(212)는 표준 렌즈, 광각 렌즈, 줌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zoom) 기능을 갖는 렌즈가 사용되는 경우에 줌 조절 버튼을 전화기 본체(110)는 전면(120)에 구비할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214)는 카메라 모듈(210)의 내부에서 렌즈(212)와 연결되며, 반구형의 후반부(213)를 통해 외부로 길게 연장된다. 전화기 본체(110)에 카메라 조립체(200)를 장착할 때, 외부로 연장되는 연성 인쇄회로(214)의 단부는 전화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보드(미도시)에 접속된다. 카메라 모듈(210)은 연성 인쇄회로(214)를 통해 렌즈(212)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또한, 렌즈(212)에서 촬영된 영상은 연성 인쇄회로(214)를 통해 메인보드로 전송되고, 메인보드에 구비되는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LCD 모듈(151)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거나 외부로 전송된다.
하우징(220)은 길이방향으로의 중간 부분에 카메라 모듈(210)을 수용하는 수용부(223)를 가지며, 수용부(223)의 양측으로는 하우징(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연결부(224)를 가진다. 하우징(220)은 수용부(223) 내에 카메라 모듈(2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부가 분리되거나 개폐되는 구조를 가지며,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재결합이 가능하게 분리되는 전방 커버(221)와 후방 커버(222)를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러한 하우징(220)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210)은 렌즈(212)가 외부로 노출되고 연성 인쇄회로(214)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수용부(223)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전방 커버(221)는 수용부(223)를 형성하는 부분에 렌즈(212)가 위치하는 렌즈 구멍(225)을 가진다. 또한, 후방 커버(222)는 수용부(223)를 형성하는 부분에 연성 인쇄회로(214)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 구멍(226)을 가지며, 제1 모터(230)와 제2 모터(240) 각각의 일부분을 카메라 모듈(210)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슬릿(227)과 제2 슬릿(228)을 가진다. 후방 커버(222)에서, 인출 구멍(226), 제1 슬릿(227) 및 제2 슬릿(228)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제1 슬릿(227)은 후방 커버(222)의 수용부(223)를 형성하는 부분의 상측에서 하우징(2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슬릿(228)은 후방 커버(222)의 수용부(223)를 형성하는 부분의 좌측에서 하우징(2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컨대,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인출 구멍(226)은 후방 커버(222)의 수용부(223)를 형성하는 부분의 우측에서 제1 슬릿(227) 및 제2 슬릿(228)과 겹치지 않도록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인출 구멍(226)은 카메라 모듈(210)의 회전 시에 연성 인쇄회로(214)에 의해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전방 커버(221)와 후방 커버(222)는 나사(224a)(도 3 참조)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전방 커버(221)는 연결부(224)를 형성하는 부분의 내측에 나사체결 돌기(224b)를 가지며, 후방 커버(222)는 연결부(224)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나사체결 돌기(224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체결 구멍(224c)을 가진다. 전방 커버(221)와 후방 커버(222)는 실시예에 따른 나사 결합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홈과 돌기를 이용한 끼움 방식, 테이프 등의 부재를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20)의 내부, 특히 수용부(223)의 내부에는 베어링 부재(229)가 구비된다. 베어링 부재(229)는 수용부(223)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2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210)을 지지한다. 실시예에서, 베어링 부재(229)는 카메라 모듈(210)의 전반부(211)와 후반부(213)의 경계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제1 베어링 부재(229a)와, 카메라 모듈(210)의 후반부(213)에서 환형으로 설치되는 제2 베어링 부재(229b)를 포함한다. 베어링 부재(229)는 복수의 볼 베어링이 환형의 띠에 관통된 구조를 가지며, 복수의 볼 베어링은 카메라 모듈(210)의 외면에 접촉되고 카메라 모듈(210)의 회전 시 회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하우징(220)의 연결부(224)는, 전화기 본체(110)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250)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250)는 연결부(224)의 외측 단부에 끼워지는 바 형상의 하우징 결합부(251)와, 하우징 결합부(251)로부터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전화기 결합부(252)를 포함한다. 전화기 본체(110)의 전면(120)의 내측에는, 전화기 결합부(252)에 끼워맞춰지는 한 쌍의 끼움돌기(미도시)가 구비되어 하우징(220)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 부재(250)를 통해 전화기 본체(11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하우징(220)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210)을 회전시키기 위해 하우징(220)의 외부에는 한 쌍의 모터, 즉 제1 모터(230)와 제2 모터(240)가 구비된다. 제1 모터(230)와 제2 모터(240)는 하우징(220)의 외측에 별도로 구비되는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위치 고정될 수 있으며, 전화기 본체(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홈(미도시) 등을 통해서도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제1 모터(230)는 하우징(220)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210)을 하우징(220)의 길이방향을 축(L1)방향으로 하여 회전(R1)시키고, 제2 모터(240)는 하우징(220)에 수용된 카메라 모듈(210)을 하우징(2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축(L2)방향으로 하여 회전(R2)시킨다(도 3 참조). 제1 모터(230)는 하우징(2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회전축(231)을 가지며, 제1 회전축(231)의 선단에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232)가 장착된다. 제1 회전체(232)는 후방 커버(222)에 형성된 제1 슬릿(227)을 통해 카메라 모듈(210)의 후반부(213)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제2 모터(240)는 하우징(2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회전축(241)을 가지며, 제2 회전축(241)의 선단에는 원판형의 제2 회전체(242)가 장착된다. 제2 회전체(242)는 후방 커버(222)에 형성된 제2 슬릿(228)을 통해 카메라 모듈(210)의 후반부(213)에 접촉한다.
실시예에서, 제1 회전체(232)와 제2 회전체(242)는 평 기어(spur gear) 또는 마찰 기어(friction-gear)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체(232)와 제2 회전체(242)가 평 기어로 이루어지는 경우, 카메라 모듈(210)의 후반부(213)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회전체(232)와 맞물리는 제1 곡면기어(215)가 후반부(213)의 외면에서 상하방향(하우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카메라 모듈(210)의 후반부(213)에는 제2 회전체(242)와 맞물리는 제2 곡면기어(216)가 후반부(213)의 외면에서 좌우방향(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제1 회전체(232)와 제2 회전체(242)가 평 기어로 이루어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210)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초기 설정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210)을 하우징(2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즉 제1 모터(230)에 의해 제1 회전체(232)가 제1 곡면기어(215)에 맞물려 회전되는 경우에, 제2 회전체(242)는 제2 곡면기어(216)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10)을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하방향으로 회전된 카메라 모듈(210)을 초기 설정 상태로 원위치시킨 후 제2 모터(240)를 구동시켜 제2 회전체(242)를 제2 곡면기어(216)에 맞물리게 한 후 회전시킨다. 좌우방향으로 회전된 카메라 모듈(21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위와 마찬가지로 초기 설정 상태로의 복귀가 선행된다.
카메라 모듈(210)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또는 카메라 모듈(210)을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제1 회전체(232)와 제2 회전체(242)로서 마찰 기어를 채용할 수 있다. 마찰 계수가 큰 고무 등의 재료로 형성된 제1 회전체(232)와 제2 회전체(242)는 카메라 모듈(210)에 접촉하는 마찰력을 통해 카메라 모듈(21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210)의 외면에 제1 곡면기어(215)와 제2 곡면기어(216)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카메라 모듈(210)을 초기 설정 상태로 복귀시키지 않고서도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바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바로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과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동시에 시킬 수도 있다.
제1 모터(230)와 제2 모터(240)는 본체에서 외부로 연장하는 배선(233, 244)을 각각 가지며, 배선(233, 244)은 전화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보드에 접속된다(도 4 참조). 제1 모터(230)와 제2 모터(240)는 메인보드에 접속된 배선(233, 243)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제어신호를 전달받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의하면, 전화기 본체에 구비되는 LCD 조립체(또는 LCD 모듈)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LCD 화면을 선명하게 보면서도 원하는 영상을 카메라 프레임에 맞출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렌즈가 향하는 방향이 상하방향 외에도 좌우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전화기 본체를 움직이지 않고서도 다양한 각도의 영상을 간편하게 촬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전화기 110: 전화기 본체
120: 전면 150: LCD 조립체
151: LCD 모듈 160: 조작부
164: 방향 전환 버튼 200: 카메라 조립체
210: 카메라 모듈 212: 렌즈
214: 연성 회로기판 215: 제1 곡면기어
216: 제2 곡면기어 220: 하우징
221: 전방 커버 222: 후방 커버
223: 수용부 224: 연결부
225: 렌즈 구멍 226: 인출 구멍
227: 제1 슬릿 228: 제2 슬릿
229: 베어링 부재 230: 제1 모터
231: 제1 회전축 232: 제1 회전체
240: 제2 모터 241: 제2 회전축
242: 제2 회전체 250: 고정 부재

Claims (8)

  1. 렌즈와, 상기 렌즈와 연결되고 외부로 연장하는 연성 인쇄회로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을 회전가능하게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제2 모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재결합가능하게 분리되는 전방 커버와 후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커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렌즈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렌즈 구멍을 가지며,
    상기 후방 커버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연성 인쇄회로를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 구멍과,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2 모터를 각각 상기 카메라 모듈에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슬릿과 제2 슬릿을 가지는
    카메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베어링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방향으로의 양측 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슬릿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판형의 제1 회전체를 가지며,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슬릿을 통해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면에 접촉하는 원판형의 제2 회전체를 가지는
    카메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는 평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외면에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에 각각 대응하여 맞물리는 제1 곡면기어 및 제2 곡면기어를 구비하는
    카메라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는 마찰 기어를 포함하는 카메라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메라 조립체를 구비하는 전화기로서,
    상기 카메라 조립체가 장착되는 전화기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전화기 본체의 전면에 상기 카메라 조립체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방향 전환 버튼을 구비하는
    전화기.
KR1020140079675A 2014-06-27 2014-06-27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201600013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675A KR20160001330A (ko) 2014-06-27 2014-06-27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675A KR20160001330A (ko) 2014-06-27 2014-06-27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30A true KR20160001330A (ko) 2016-01-06

Family

ID=5516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675A KR20160001330A (ko) 2014-06-27 2014-06-27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68A1 (ko) * 2018-01-05 2019-07-11 이종선 내장 카메라 구동 단말기
KR20190083969A (ko) * 2018-01-05 2019-07-15 이종선 내장 카메라 구동 단말기
JP2021184095A (ja) * 2019-02-01 2021-12-02 エックスリ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75A (ko) 1999-12-30 2001-07-06 구자홍 화상전화기의 엘씨디 어셈블리 회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75A (ko) 1999-12-30 2001-07-06 구자홍 화상전화기의 엘씨디 어셈블리 회전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568A1 (ko) * 2018-01-05 2019-07-11 이종선 내장 카메라 구동 단말기
KR20190083969A (ko) * 2018-01-05 2019-07-15 이종선 내장 카메라 구동 단말기
JP2021184095A (ja) * 2019-02-01 2021-12-02 エックスリ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2840B1 (ko) 액정디스플레이장치
US20170102549A1 (en) Head mount display device
KR10176026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8300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34336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expandable display
US20070210223A1 (en) Display apparatus
KR201900537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596770B2 (en) Electronic device
US9313381B2 (en) Display apparatus
US10098252B2 (en) Hinge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with a hinge device using a sliding position
KR102243690B1 (ko) 이동 단말기
US11743368B2 (en) Screen component, mobile phone and mobile device
KR20200082867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403384B2 (ja) 支持フレーム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KR102510389B1 (ko) 소형 카메라 짐벌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1012363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5652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 장치
JP2012022018A (ja) 立体表示装置
KR202000995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0052A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US9210305B2 (en) Image pickup apparatus equipped with a supporting mechanism for supporting a viewfinder
KR1021779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71328B1 (ko)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KR10217795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