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1328B1 -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 Google Patents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1328B1
KR100771328B1 KR1020060043875A KR20060043875A KR100771328B1 KR 100771328 B1 KR100771328 B1 KR 100771328B1 KR 1020060043875 A KR1020060043875 A KR 1020060043875A KR 20060043875 A KR20060043875 A KR 20060043875A KR 100771328 B1 KR100771328 B1 KR 10077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device
main body
driving
automat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1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장치(130)와, 본체(110)와 표시장치(130) 사이에 결합되며 표시장치(130)를 회동시키기 위한 연결장치(150)와, 본체(110)에 설치되며 연결장치(1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170)를 포함한다. 본체(110)에는 조작버튼(113)과 설치홈(117)이 구비되고, 표시장치(130)는 설치홈(117)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장치(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장치(170)의 연결축(172)과 슬라이드캠(174)은 표시장치(130)가 구동장치(170)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항상 결합되고, 표시장치(130)가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표시장치(130)가 완전히 세워지거나 눕혀질 때 결합되고 표시장치(130)가 구동 중일 때 분리된다.
표시, 단말기, 연결, 경사, 구동, 자동, 수동, 모터

Description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Display handset having a display device to be automatically/manually drive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표시단말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구동장치, 연결장치 및 본체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표시장치가 누워있거나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표시장치의 구동시 구동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6은 종래기술의 이동통신단말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통신단말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단말기 110 : 본체
111 : 탑재홈 113 : 조작버튼
115 : 안내홈 117 : 설치홈
130 : 표시장치 131 : 표시화면
133 : 결합돌기 135 : 삽입홈
150 : 연결장치 153 : 힌지부
170 : 구동장치 171 : 감속기어체
173 : 캠조립체 174 : 슬라이드캠
175 : 탄성체 176 : 가이드캠
177 : 하우징
본 발명은 표시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용이하게 눕히거나 경사지게 세울 수 있는 표시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표시단말기는 DMB수신기, PMP, 게임기 등의 휴대용 정보통신기기와 같이 정지영상이나 동영상을 이동하면서 즐길 수 있는 기기로, 근래 들어 시청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시화면의 크기가 대형화되어가는 추세이다. 또한, 비교적 오랜 시간의동영상을 편안하게 시청하기 위하여 표시화면을 일정 각도로 세울 수 있는 표시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단말기의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99885호의「액정화면 회전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폴더(200)는 제1힌지(220)를 매개로 하폴더(100)에 결합되고 제2힌지(240)를 매개로 제2상폴더(300)에 결합되어 있다.
제1상폴더(200)는 제1힌지(220)를 매개로 제1힌지너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힌지(240)를 매개로 제2힌지너클(320,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힌지통(210)과 제2힌지통(230)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1힌지통(210)과 제2상폴더(300)와의 힌지결합은 하폴더(100)와의 힌지결합과 평행한 방향을 이루고 있다.
제2상폴더(300)는 제1상폴더(200)가 안착되는 안착홈(310)이 형성되고, 안착홈(310)의 양측 벽면에는 제2힌지통(230)의 양 끝단과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힌지너클(320,320')이 마련되어 있다. 제2힌지(240)와 결합되는 측의 제2힌지너클(230)의 내측면에는 제2힌지(240)와 결합되는 제2힌지홈(3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상폴더(200)와 제2상폴더(300) 간의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250)은 제2힌지(240)가 결합되는 반대편의 제2힌지통(230) 끝단을 통해 제1상폴더(200)에 결합되고, 제2힌지(240)가 결합되는 반대편의 제2힌지너클(230')을 통해 제2상폴더(30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단말기는 도 7a와 같이 제2상폴더(300)와 함께 제1상폴더(20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제2상폴더(300)만을 시계방향 으로 회전시키면 액정화면(340)이 위쪽을 향하게 된다.
또한, 도 7b와 같이 제2상폴더(300)와 함께 제1상폴더(200)를 시계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시킨 후 다시 제2상폴더(300)만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액정화면(340)이 앞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된다.
이렇게 단말기의 상폴더(200,300)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화면각을 바꿀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단말기는 상폴더(200,300)의 상호간 또는 하폴더(100)에 대한 회전 동작이 양손을 사용하여야 무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상폴더의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버튼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표시장치를 용이하게 경사지게 세우거나 눕힐 수 있는 표시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장치와, 본체와 표시장치 사이에 결합되며 표시장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연결장치와, 본체에 설치되며 연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는 본체가 구동장치와 표시장치를 전기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는 표시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는 표시장치가 본체에 대해 선형 운동을 하며, 연결장치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장치는 하부 양측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본체에는 결합돌기의 선형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장치는 뒷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연결장치는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는 연결장치가 본체 및 표시장치에 대해 모두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는 구동장치가 구동모터, 감속기어체 및 캠조립체로 이루어지고, 캠조립체는 슬라이드캠, 탄성체 및 가이드캠으로 이루어지며, 가이드캠은 연결장치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속기어체는 표시장치의 경사지게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회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속기어체는 캠조립체의 슬라이드캠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연결축과 슬라이드캠은 표시장치가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항상 결합되고, 표시장치가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표시장치가 완전히 세워지거나 눕혀질 때 결합되고 표시장치가 구동 중일 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단말기(100)는 본체(110), 표시장치(130), 연결장치(150) 및 구동장치(17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다른 부품들이 설치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중앙에 표시장치(130)가 탑재되는 탑재홈(111)이 형성되고 탑재홈(111)의 양쪽으로 각종 조작버튼(113)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10)는 표지장치(130)의 선형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탑재홈(111)의 양측벽에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안내홈(115)이 형성되며, 탑재홈(111)의 중앙부근에 연결장치(150)가 설치되는 설치홈(117)이 형성된다. 또한, 설치홈(117)은 도 3과 같이 양측벽에 결합공(119)과 결합홈(121)이 형성된다.
표시장치(130)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앞면에 표시화면(131)이 설치되며, 표시화면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액정표시화면을 사용하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표시장치(130)는 하부의 양측단에 본체(110)에 형성된 안내홈(115)에 삽입되어 선형으로 운동하는 안내돌기(133)가 형성되며, 뒷면에 연결장치(150)의 힌지부(153)가 삽입되는 삽입홈(135)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홈(135)은 양측벽에 결합홈(137)이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장치(130)는 전선 등의 적당한 전기적 연결수단을 통해 본체(110)의 조작버튼(131) 및/또는 구동장치(170) 등의 다른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장치(150)는 표시장치(130)를 본체(110)에 눕히나 경사지게 세우도록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151)가 본체(110)에 형성된 설치홈(117)에 원활하게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3과 같이 연결장치(150)는 상단에 표시장치(130)에 형성된 삽입홈(135)에 삽입되는 힌지부(153)를 가지며 하부의 양측단에 구동장치(170)의 축부(176a)와 고정되게 결합되는 결합홈(155)과 본체(110)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57)가 형성된다. 힌지부(153)는 표시장치(130)의 삽입홈(135)에 형성된 결합홈(137)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구동장치(170)는 연결장치(150)를 회전시켜 종국적으로 표시장치(130)를 세우거나 눕히기 위한 것으로, 도 3과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축부(176a)가 연결장치(15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장치(170)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장치(150)가 축부(176a)와 결합돌기(157)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장치(170)는 표지장치(130)가 세워지는 경사각이 바람직한 범위에서, 최대 150°에서 이루어지도록 특정 범위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구동장치(170)는 도 5a 및 도 5b에 부분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어체(171), 캠조립체(173)가 하우징(177) 내에 설치되며, 하우징(177)은 본체(110) 안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감속기어체(171)는 미도시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단측에 연결축(172)이 고정되게 결합된다. 감속기어체(171)는 표시장치(130)와 연결장치(150)를 적당한 속도록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회전력을 증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캠조립체(173)는 슬라이드캠(174), 탄성체(175), 가이드캠(176)으로 구성되며, 탄성체(175)가 삽입된 채로 슬라이드캠(174)이 가이드캠(176)에 고정되게 후크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캠(174)은 가이드캠(176)에 대해 소정 거리만큼 선형 운동이 가능하며, 가이드캠(176)의 축부(176a)는 본체(110)의 결합공(119)의 외부로 돌출되어 연결장치(130)의 결합홈(155)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표시장치(130)와 연결장치(150)의 작동관계를 도 4a와 도 4b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4a와 같이, 표시장치(130)가 본체(미도시)에 눕혀진 상태에서는 표시장치(1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연결장치(150)이 수평과 가깝게 거의 접혀진 상태가 된다.
도 4b와 같이, 표시장치(130)를 세우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버 튼(113)을 조작하면 구동장치(170)가 구동되고, 구동장치(170)의 구동력에 의해 연결장치(150)가 시계방향, 즉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표시장치(130)의 결합돌기(133)는 본체(미도시)에 형성된 안내홈(115)을 따라 도면에서 우측으로, 즉 화살표 B방향으로 선형 운동하게 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표지장치(130)에 직접 화살표 B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연결장치(150)가 시계방향, 즉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세워진 표시장치(130)를 눕히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b의 작동을 역으로 실행하면 되고, 작동이 완료되면 도 4a와 같은 상태가 된다.
다음, 연결장치(150)와 구동장치(170)의 작동관계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설명한다.
구동장치(130)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표시장치(130)를 세우고자 하는 경우, 도 5a와 같이, 해당 조작버튼(113)을 조작하면 미도시한 구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감속기어체(171)가 구동되어 화살표 A1방향의 회전력을 얻는다. 또한, 연결축(172)을 매개로 감속기어체(171)와 연결된 캠조립체(173)가 같은 방향의 회전력을 얻게 되며 축부(176a)에 고정되게 결합된 연결장치(130)가 화살표 A2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연결장치(150)의 회전에 의해 표시장치(130)가 세워지게 된다.
한편, 구동장치(130)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표시장치(130)를 눕히고자 하는 경우, 도 5a와 같이, 해당 조작버튼(113)을 조작하면 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감속기어체(171)가 구동되어 화살표 B1방향의 회 전력을 얻는다. 또한, 연결축(172)을 매개로 감속기어체(171)와 연결된 캠조립체(173)가 같은 방향의 회전력을 얻게 되며 축부(176a)에 고정되게 결합된 연결장치(130)가 화살표 B2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연결장치(150)의 회전에 의해 표시장치(130)가 눕혀지게 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수동으로 표시장치(130)를 세우고자 하는 경우,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장치(130)를 통해 연결장치(150)에 화살표 C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시작하면 캠조립체(173)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미도시한 구동모터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감속기어체(171)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때, 감속기어체(171)에 결합된 연결축(172)과 결합되어 있던 캠조립체(173)의 슬라이드캠(174)이 연결축(172)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가이드캠(176) 안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탄성체(175)는 압박되게 된다.
이어서, 연결장치(150)가 설계치에 해당하는 만큼 충분하게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드캠(174)이 연결축(172)과 맞물릴 상태로 되며, 탄성체(175)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축(172)쪽으로 이동하여 맞물리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수동으로 표시장치(130)를 눕히고자 하는 경우, 도 5b와 같이, 사용자가 표시장치(130)를 통해 연결장치(150)에 화살표 D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기 시작하면 캠조립체(173)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미도시한 구동모터가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감속기어체(171)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때, 감속기어체(171)에 결합된 연결축(172)와 결합되어 있던 캠조립체(173)의 슬라이드캠(174)가 연결축(172)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가이드캠(176) 안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탄성체(175)는 압박되게 된다.
이어서, 연결장치(150)가 설계치에 해당하는 만큼 충분하게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드캠(174)이 연결축(172)과 맞물릴 상태로 되며, 탄성체(175)의 복원력에 의해 연결축(172)쪽으로 이동하여 맞물리게 된다.
위 작동관계에서 연결축(172)과 슬라이드캠(174)은 표시장치(130) 또는 연결장치(150)가 눕혀지 있거나 충분히 경사지게 세워지는 경우 완전하게 맞물리고 다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의 표시단말기에 따르면, 조작버튼을 조작하여 구동장치를 구동함으로써 표시장치를 손쉽게 세우거나 눕힐 수 있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표시장치에 외력을 가하여 표시장치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어 사용환경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 동작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Claims (11)

  1. 본체;
    상기 본체에 대해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시장치;
    상기 본체와 상기 표시장치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표시장치를 회동시키기 위한 연결장치;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장치를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감속기어체 및 상기 연결장치를 수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캠조립체로 이루어진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표시장치를 전기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연결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본체에 대해 선형 운동을 하며, 상기 연결장치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하부 양측에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선형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는 뒷면에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삽입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본체 및 상기 표시장치에 대해 모두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의 상기 캠조립체는 슬라이드캠, 탄성체 및 가이드캠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캠은 상기 연결장치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체는 상기 표시장치를 경사지게 세우거나 눕힐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회전력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체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캠조립체의 상기 슬라이드캠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연결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과 상기 슬라이드캠은 상기 표시장치가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 항상 결합되고, 상기 표시장치가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장치가 완전히 세워지거나 눕혀질 때 결합되고 상기 표시장치가 구동 중일 때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KR1020060043875A 2006-05-16 2006-05-16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KR10077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875A KR100771328B1 (ko) 2006-05-16 2006-05-16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875A KR100771328B1 (ko) 2006-05-16 2006-05-16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1328B1 true KR100771328B1 (ko) 2007-10-29

Family

ID=3881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875A KR100771328B1 (ko) 2006-05-16 2006-05-16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1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195A (zh) * 2018-04-24 2019-11-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调节显示终端的执行机构、显示终端组件和车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90A (ko) * 2005-04-2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 슬라이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90A (ko) * 2005-04-28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표시부 슬라이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5195A (zh) * 2018-04-24 2019-11-0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用于调节显示终端的执行机构、显示终端组件和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913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힌지장치
EP3565224B1 (en) Mobile terminal
US7064745B2 (en) Rotary-keypad for a mobile handset
KR2020001110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폴더블 디바이스용 힌지구조
KR102062240B1 (ko) 플렉시블 액정용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JP2004293633A (ja) 折り畳み型携帯端末
KR102504372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
KR100625351B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KR100771328B1 (ko)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KR2005001430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젝터 디스플레이장치
CN105024717A (zh) 移动终端
CN110445894A (zh) 移动终端
JP2011188472A (ja) ティルティング機構及びこれを用いる携帯式電子装置
KR20160001330A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화기
KR100527164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JP3678176B2 (ja) 表示装置
KR20200128330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되는 인폴딩타입 힌지부
KR10059567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장치
CN105024718A (zh) 移动终端
KR200330435Y1 (ko) 와이드화면 구현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260044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한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063167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회전 장치
KR10099275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JP5313963B2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KR1006907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