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51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510A
KR20200099510A KR1020200101147A KR20200101147A KR20200099510A KR 20200099510 A KR20200099510 A KR 20200099510A KR 1020200101147 A KR1020200101147 A KR 1020200101147A KR 20200101147 A KR20200101147 A KR 20200101147A KR 20200099510 A KR20200099510 A KR 20200099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call unit
main body
camera modu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484B1 (ko
Inventor
이정노
정성수
김용진
백병주
인우성
간우영
김세준
박두순
이원희
한종희
강대종
서종필
양성일
정현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99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본체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과, 영상통화유닛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과, 영상통화유닛과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영상통화유닛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통화 등의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 장치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가 포함된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본 기능인 화상을 제공하는 기능 이외에 영상통화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다.
영상통화유닛은 음파를 전달받아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 모듈과,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영상통화유닛의 설치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과, 상기 영상통화유닛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과, 상기 영상통화유닛과 상기 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영상통화유닛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 케이스와 상기 후면 케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영상통화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영상통화유닛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마이크 모듈이 수용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외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 케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곽측에 마련되는 비활성부를 가리는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베젤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패널은 상기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전면패널의 전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상기 영상통화유닛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비 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비활성영역을 가리는 베젤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베젤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베젤은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배치되는 필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비활성영역을 가리는 블랙 매트리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상기 블랙 매트리스부 후방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영상통화유닛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과, 소리가 입력되는 마이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블랙 매트리스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광이 투과하는 투과부와, 상기 마이크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소리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영상통화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체에 영상통화유닛을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영상통화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영상통화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영상통화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통화유닛의 설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 내에 설치되며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10)를 지지하는 스탠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액정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또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Panel)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1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외곽 테두리를 지지하는 베젤(111a)을 포함하여 본체(110)의 전방측 단부를 형성하는 전면 케이스(111)와,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후방측을 덮어 본체(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112)를 포함하여, 전면 케이스(111)와 후면 케이스(112)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20)이 배치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2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과, 활성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이 마련되며 베젤(111a)에 의해 가려지는 비활성영역을 포함한다.
본체(11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을 통해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통화유닛(14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통화유닛(140)은 본체(110)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본체(110) 상측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의 외측에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140)의 설치를 위해 후면 케이스(112)의 상단 중앙부에는 영상통화유닛(14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영상통화유닛(140)이 설치되는 설치부(112a)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설치부(112a)는 후면 케이스(112)의 상단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설치부(112a)는 전방측으로 개방되어 영상통화유닛(140)의 전면이 전방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설치부(112a)의 후면에는 후술할 조절 휠(144)이 후방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홀(112b)이 마련된다.
영상통화유닛(140)은 MoIP(Multimedia over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한 유닛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인 사용자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41)과, 카메라 모듈(141)의 양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소리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되는 한 쌍의 마이크 모듈(142)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통화유닛(140)은 영상통화유닛(14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카메라 모듈(141)과 마이크 모듈(142)이 수용되는 하우징(143)을 포함하며, 하우징(143)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여 전면 하우징(143F) 및 후면 하우징(143R)을 포함한다. 또한 영상통화유닛(1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컨(미도시)이나 3D TV의 시청에 사용되는 셔터 글래스(미도시) 등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45)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모습은 영상통화유닛(140)의 카메라 모듈(141)에 의해 촬영되고, 사용자의 소리는 마이크 모듈(142)을 통해 입력되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영상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영상통화유닛(140)은 카메라 모듈(141)의 틸트 각도 조절을 위해 카메라 모듈의 후방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 휠(144)과, 조절 휠(144)의 회전을 카메라 모듈(141)에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144a)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 휠(144)에 힘을 가해 조절 휠(144)을 회전시키면 조절 휠(144)의 회전 운동이 기어(144a)들을 통해 카메라 모듈(141)에 전달되어 카메라 모듈(141)이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41)의 회전 각도에 따라 마이크 모듈의 동작이 온(ON)/오프(OFF)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카메라 모듈(141)이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41)의 렌즈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을 향할 경우에는 마이크 모듈(142)이 온(ON)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영상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카메라 모듈(141)이 회전하여 카메라 모듈(141)의 렌즈가 전방을 향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이크 모듈(142)의 동작이 오프(OFF)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한 영상통화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영상통화유닛(14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140)에서 생성되는 각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146)들의 일단이 연결되며, 케이블(146)의 타단에는 영상통화유닛(140)의 제어를 위한 회로기판(150)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146)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 circuit board)로 이루어져 카메라 모듈(141)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를 회로기판에 전달하는 카메라 케이블(146a)과, 전선으로 이루어져 마이크 모듈(142)에서 입력된 소리 정보를 회로기판(150)에 전달하는 마이크 케이블(146b)과, 통신부(145)와 회로기판(150)을 연결하여 각종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선(146c)등을 포함한다.
회로기판(150)은 본체(110) 내에 설치되되, 디스플레이 패널(11)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0)과 후면 케이스(112)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영상통화유닛(1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111)의 상단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영상통화유닛(140)에는 전면 하우징(143F)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제 1 고정부(143a)가 마련되며, 전면 케이스(111)에는 그 상부 후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제 1 고정부(143a)와 대응하는 제 2 고정부(111b)가 마련된다. 따라서 제 1 고정부(143a)를 제 2 고정부(111b)에 스크류(S)를 통해 고정함으로써 영상통화유닛(140)이 전면 케이스(111)에 고정된다.
제 1 고정부(143a)에는 스크류(S)가 관통하여 설치되는 결합홀(143b)이 마련되며, 제 2 고정부(111b)에는 스크류(S)가 체결되는 체결공(111c)이 마련된다. 이때, 결합홀(143b)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147)가 설치된다.
완충부재(147)는 스크류(S)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완충부재(147)의 양단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부(147a)가 각각 마련된다. 따라서 완충부재(147)를 결합홀(143b)에 설치하되, 두 완충부(147a)가 결합홀(143b)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설치한 후, 결합홀(143b)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영상통화유닛(140)을 전면 케이스(111)에 고정하면, 영상통화유닛(140)과 전면 케이스(111)는 완충부재(147)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본체(110)측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이러한 진동이 완충부재(147)에 의해 상당 부분 흡수되어 영상통화유닛(140)에는 진동이 전달되지 않거나 전달되더라도 매우 작게 전달된다. 따라서 영상통화유닛(140), 특히 진동에 민감한 영상통화유닛(140)의 카메라 모듈(141)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147)를 통해 영상통화유닛(140)이 본체(110)의 전면 케이스에 설치된 상태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140)이 본체(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영상통화유닛(140)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43c)를 형성하고, 전면 케이스(111)의 상단 중앙부에는 돌출부(143c)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부(111d)를 형성하여, 돌출부(143c)가 걸림부(111d)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영상통화유닛(140)의 전방측이 보다 안정적으로 전면 케이스(111)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영상통화유닛(140)의 본체(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같이 본체(210)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본체(2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13)을 구비하도록 하고, 영상통화유닛(240)이 전면 패널(213)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영상통화유닛(240)이 전면패널(213)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본체(210)는 전면 케이스에 대응하는 구성 없이 전면패널(213)이 후면 케이스(212)에 직접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가 전면 케이스 및 후면 케이스를 포함하도록 하고, 전면 케이스의 전면에 전면패널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할 경우, 광은 전면패널(213)을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미도시)에 전달될 수 있으나, 소리는 전면패널(213)에 의해 차단되어 마이크 모듈(미도시)에 전달되기 어렵다. 따라서 전면패널(213)에는 영상통화유닛(140)에 내장된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13a)이 마련되어 소리가 관통공(213a)을 통해 마이크 모듈에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영상통화유닛(240)은 전면패널(213)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전면패널(213)에 의해 가려지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통화유닛을 전면패널의 전면 외곽측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와 같이 적용할 경우 기존에 존재하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를 변경하지 않고도 영상통화유닛을 간단히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통화유닛(340)을 디스플레이 패널(320)의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320)에 영상통화유닛(340)과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공(321)을 형성하여, 관통공(321)을 통해 광과 소리가 영상통화유닛(34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141)은 사용자가 조절 휠(144)을 통해 카메라 모듈(141)에 힘을 가해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등의 구동장치(미도시)를 통해 카메라 모듈을 회전시키는 것도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동장치와 함께 센서(미도시)를 설치하여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카메라 모듈이 회전하도록 하거나 리모컨 조작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버튼 조작에 따라 카메라 모듈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 모듈(142)은 전방측으로부터만 소리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이크 모듈이 전방 및 후방측으로부터 소리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마이크로 형성되도록 하고,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중공의 관 형태로 형성된 튜브(미도시) 내에 마이크 모듈을 설치하여 마이크 모듈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소리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튜브의 양측,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의 소리가 튜브에 의해 안내되어 마이크 모듈의 전면 및 후면측으로 전달되므로, 영상통화유닛이 적용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에 관계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측으로부터 전달된 소리와 후방측으로부터 전달된 소리가 위상차 없이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통화유닛(140)이 설치되는 설치부(112a)는 후면 케이스(112)에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부(111d)는 전면 케이스(111)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으로 설치부가 전면 케이스에 마련되고 걸림부가 후면 케이스에 마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유기 발광다이오드 패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측면 테두리를 감싸는 미들 커버(420)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케이스(430)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에 부착되는 필름(440)을 포함하며,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스플레이 패널(410)과 후면 케이스(430)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44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전면에 부착되나, 후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411)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영역(412)으로 구분된다. 비활성영역(412)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활성영역(411)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집적회로 또는 배선 등의 패턴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필름(440)의 외곽측에는 패턴과 대응하는 영역, 즉,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412)에 대응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패턴을 가리는 블랙 매트리스부(441)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랙 매트리스부(441)는 비활성영역(412)과 대응하는 필름(440)의 일부 부위를 검게 처리하여 형성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영상통화를 위한 카메라 모듈()과 마이크 모듈(14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카메라 모듈(450)과 마이크 모듈(460)은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 영역, 즉, 블랙 매트리스부(441)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광과 소리가 디스플레이 패널(410)을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450) 및 마이크 모듈(4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에는 한 쌍의 홈(413)이 마련된다. 필름(440)의 블랙 매트리스부(441)에는 광이 블랙 매트리스부(441)를 통과하여 카메라 모듈(141)로 전달될 수 있도록 투명하여 형성된 투과부(442)와, 소리가 블랙 매트리스부(441)를 통과하여 마이크 모듈(46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443)이 각각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450)과 마이크 모듈(460)은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412)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과 마이크 모듈이 하나의 영상통화유닛 내에 포함되도록 하고, 영상통화유닛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활성영역 후방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10)의 비활성영역(4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440)의 블랙 매트리스부(441)에 의해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젤에 의해 비활성영역이 가려지도록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통화유닛(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모듈)은 베젤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젤에는 영상통화유닛의 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마련되도록 하여, 관통공을 통해 광과 소리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베젤의 폭이 충분히 넓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통화유닛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 디스플레이 패널과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베젤에는 카메라 모듈 및 마이크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마련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본체
111: 전면 케이스 112: 후면 케이스
120: 디스플레이 패널 130: 스탠드
140: 영상통화유닛 141: 카메라 모듈
142: 마이크 모듈 144: 조절 휠
145: 통신부 146: 케이블
147: 완충부재 150: 회로기판

Claims (7)

  1. 본체;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활성영역은 상기 카메라 모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활성영역의 뒤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활성영역의 상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활성영역의 양 측면 테두리의 실질적인 중앙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타원 형상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회로기판; 및
    상기 카메라 모듈과 상기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패널과 상기 카메라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01147A 2011-12-30 2020-08-1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57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7195 2011-12-30
KR1020110147195 2011-12-30
KR20110147260 2011-12-30
KR20110147924 2011-12-30
KR20110147856 2011-12-30
KR1020110147856 2011-12-30
KR1020110147854 2011-12-30
KR1020110147260 2011-12-30
KR20110147531 2011-12-30
KR20110147923 2011-12-30
KR1020110147924 2011-12-30
KR1020110147923 2011-12-30
KR1020110147531 2011-12-30
KR20110147854 2011-12-30
KR1020110147996 2011-12-31
KR20110147996 2011-12-31
KR1020120137384A KR102146025B1 (ko) 2011-12-30 2012-11-29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84A Division KR102146025B1 (ko) 2011-12-30 2012-11-29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510A true KR20200099510A (ko) 2020-08-24
KR102257484B1 KR102257484B1 (ko) 2021-05-31

Family

ID=489919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84A KR102146025B1 (ko) 2011-12-30 2012-11-29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00101147A KR102257484B1 (ko) 2011-12-30 2020-08-12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84A KR102146025B1 (ko) 2011-12-30 2012-11-2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12982B2 (ko)
KR (2) KR102146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430513U (zh) * 2016-03-30 2016-08-0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智能电视外接设备连接件
CN111511143A (zh) * 2020-05-18 2020-08-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集成模组和显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4927A (ja) * 2006-01-04 2007-07-19 Apple Inc プライバシーフィルタを有する組込みカメラ
KR20110119364A (ko) * 2010-04-27 2011-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4030A (ja) * 1995-04-19 1996-11-05 Hitachi Ltd 携帯電話一体型ビデオカメラ
JPH1051665A (ja) * 1996-04-15 1998-02-20 Sony Corp 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電子カメラ
US6847403B1 (en) * 1997-11-05 2005-01-25 Polycom, Inc. Integrated portable videoconferencing unit
JP4099736B2 (ja) * 1998-06-30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4390887B2 (ja) * 1999-01-25 2009-12-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機器
KR101378880B1 (ko) * 2007-07-13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4927A (ja) * 2006-01-04 2007-07-19 Apple Inc プライバシーフィルタを有する組込みカメラ
KR20110119364A (ko) * 2010-04-27 2011-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25B1 (ko) 2020-08-20
JP2013141248A (ja) 2013-07-18
KR20130079152A (ko) 2013-07-10
JP6312982B2 (ja) 2018-04-18
KR102257484B1 (ko) 202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7249B1 (en) Display apparatus
CN106101502B (zh) 用于电子设备的照相机镜头结构和显示器结构
KR1022574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5650B1 (ko) 이동 단말기
JP6550309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JP5066277B1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13003869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 imaging units
JP2008178076A (ja) 通話端末
JP2013179574A (ja) 撮像装置
JP2004135275A (ja) 視線の一致を可能にする表示撮像装置及び方法
JP5567075B2 (ja) 電子機器
KR20130078566A (ko) 멀티미디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JP5910202B2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KR20130088677A (ko) 멀티미디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363046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13080834A1 (ja) 撮像装置
KR2022016355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WO2004008191A1 (ja) 視線の一致を可能にする表示撮像装置及び方法
JP2000209559A (ja) テレビ電話装置
KR20050032190A (ko) 분리형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18124333A (ja) ファインダー装置
KR20050003868A (ko) 후면에 회전형 카메라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15015605A (ja) 撮像装置
KR20050023856A (ko) 상단 회전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000772U (ko) 비디오카메라 복합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