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650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650B1
KR102435650B1 KR1020207030572A KR20207030572A KR102435650B1 KR 102435650 B1 KR102435650 B1 KR 102435650B1 KR 1020207030572 A KR1020207030572 A KR 1020207030572A KR 20207030572 A KR20207030572 A KR 20207030572A KR 102435650 B1 KR102435650 B1 KR 102435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wall surface
moving
orient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986A (ko
Inventor
지아 첸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668134.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128322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421079.3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417958A/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32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가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이 적층되므로, 지지 어셈블리(1)의 길이가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의 길이의 절반 정도가 되어 이동 단말기가 휴대하기 편리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며 휴대하기 편리하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설명된 실시예는 기계적 구조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 디스플레이 전자 제품과 같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구비된 전자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크기에 맞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에 더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제공하려면 그에 따라 하드웨어도 커져야 하므로 제품의 휴대성이 크게 저하된다.
본 개시는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면적이 크고 휴대하기 편리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딩 부재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부재는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벤딩 부재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펼치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제1 외면 및 제1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외면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탑재되고, 상기 제1 내면은 상기 제1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내면과 상기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제1 내면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으로의 방향에서 함몰되는 오목 영역이 정의되고, 상기 오목 영역은 상기 제1 측면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제2 내면, 제2 외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외면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탑재되고, 상기 제2 내면은 상기 제2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2 내면과 상기 제2 외면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에는 상기 제2 내면에서 상기 제2 외면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수용 영역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상기 제2 내면은 상기 제1 내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수용 영역과 상기 오목 영역은 병합되어 이동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 시트에는 제1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이동 시트는 상기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상기 제1 카메라가 상기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질 때, 디스플레이 스크린 전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가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지지 어셈블리의 길이가 펼쳐질 때의 길이의 절반 정도가 되도록 적층될 수 있어 휴대하기 편리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질 수 있으며 휴대하기 편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되는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명백한 것은, 아래에 설명된 도면은 예시를 위한 것 일뿐 제한하는데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어떠한 창의적인 노력 없이도 이들 도면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가 접힐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가 펼쳐질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가 펼쳐질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A-A선을 따른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가 접힐 때를 다른 각도로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서 회전 인출될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A-A를 따른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서 회전 인출될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부분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8의 B부분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8의 B부분의 추가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3은 도 8의 B부분의 추가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4는 도 8의 B부분의 추가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8의 B부분의 추가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C-C선을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구조에서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서 회전 인출될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8은 도 6의 이동 단말기에서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서 회전 인출될 때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지지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도 21은 도 4에 도시된 지지 어셈블리의 수용 영역과 오목 영역 사이의 제1 외면에서의 투영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개략 구조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술적 방안들을 설명한다. 명백한 것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닌 일부일 뿐이다. 당업자가 창의적인 노력 없이 본 개시의 실시예로부터 얻을 수 있는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개시의 범위에 속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서, "상", "하", "전", "후", "좌", "우", "내", "외", "둘레" 등 용어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방향 및 위치 관계를 참고로 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여기에서 사용된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를 간단한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장치 또는 구성요소가 특정 방향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거나 특정 방향으로 구성 및 동작된다는 것을 나타내거나 암시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에서 명시하거나 제한하지 않는 한, "장착", "연결", "결합", "배열" 등 용어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고정 연결, 탈착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적 연결일 수 있고, 기계적 또는 전기적 연결 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 또는 중간 구조를 통한 간접 연결 일 수도 있으며, 2 개의 구성 요소의 내부 통신일 수도 있으며, 이는 구체적 상황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명세서에서, "복수"라는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둘 이상을 의미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 "공정"이라는 용어가 포함되는 경우, 이는 단순히 독립적인 공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공정과 명확하게 분리될 수 없는 경우, 공정의 예상되는 작용을 구현하는 한 이 용어에 포함된다. 또한, "내지"라는 용어가 포함된 숫자 범위는 "내지" 앞의 값과 "내지" 뒤의 값을 각기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조 및 동일한 유닛은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다.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 단말기", "무선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라고 지칭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단말기"이라고도 약칭함)는 유선 연결(예를 들어, 공중 전화망(PSTN),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연결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연결), 및/또는 무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DVB-H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텔레비전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광대역 전송 장치 및/또는 다른 통신 단말기)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예들은 위성 또는 셀룰러 무선 전화;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과 셀룰러 무선 전화를 결합시킬 수 있는 개인 통신 시스템(PCS) 단말기; 무선 전화,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액세스, 웹 브라우저, 메모 패드, 캘린더 및/또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및 종래의 랩탑 및/또는 팜 타입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지지 어셈블리,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이동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는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 및 벤딩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부재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벤딩 부재는 지지 어셈블리가 펼치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제1 하우징은 제1 내면, 제1 외면 및 제1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탑재될 수 있다. 제1 내면은 제1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은 제1 내면과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에는 제1 내면으로부터 제1 외면으로의 방향에서 함몰되는 오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오목 영역은 제1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은 제2 내면, 제2 외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탑재될 수 있다. 제2 내면은 제2 외면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면은 제2 내면과 제2 외면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에는 제2 내면에서 제2 외면으로 관통하며, 제2 측면으로 연장되는 수용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2 내면은 제1 내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수용 영역과 오목 영역은 병합되어 이동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동 시트에는 제1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는 제1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어, 제1 카메라가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되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될 때, 제1 카메라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2 외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는 제1 외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될 때, 제1 외벽면의 배향은 제2 외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제1 외벽면에는 관통 홀이 정의될 수 있고, 제1 카메라의 촬상면은 관통 홀을 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외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투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 영역은 관통 홀을 향할 수 있다.
더욱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투광 영역은 중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투광 영역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투광 홀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는 투광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는 중공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및 디스플레이 모듈은 적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복수 개의 중공 홀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중공 홀은 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층 및 차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층 및 차광층은 적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은 투명한 디스플레이층일 수 있다. 차광층의 일부는 투광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차광층의 일부는 중공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층 및 차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 디스플레이층 및 차광층은 적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은 투명한 디스플레이층일 수 있다. 차광층에는 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관통 홀이 정의될 수 있다.
더욱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2 외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될 때,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와 동일 높이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2 외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될 때, 제1 외벽면은 디스플레이부에서 제2 외면으로부터 떨어진 면과 동일 높이를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는 제2 외벽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벽면은 제1 외벽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될 때, 제2 외벽면이 제1 외면과 제2 외면 사이에 위치되며, 지지 어셈블리와 대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서 회전 인출될 때, 제2 외벽면의 배향은 제1 외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제2 외벽면에 배치되는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는 제3 외벽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외벽면은 제1 외벽면에 연결되며 제2 외벽면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 회전 인입될 때, 제3 외벽면은 제1 외면과 제2 외면 사이에 위치되며 지지 어셈블리를 향할 수 있다. 이동 시트가 이동 공간에서 회전 인출될 때, 제3 외벽면의 배향은 제2 외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에는 제2 카메라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의 촬상면의 배향이 제3 외벽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에는 플래시 램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플래시 램프의 발광면의 배향은 제3 외벽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은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 및 제4 측면은 모두 제1 내면과 제1 외면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측면과 제4 측면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고, 제3 측면은 제1 측면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측면은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오목 영역은 제3 측면에서 제4 측면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동 시트에는 이어 피스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4 외벽면 및 제5 외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외벽면의 배향은 제3 측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제5 외벽면의 배향은 제4 측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제4 외벽면 및 제5 외벽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운드 홀이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가 접힐 때, 제1 외면에서의 수용 영역의 투영은 제1 외면에서의 오목 영역의 투영을 커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연성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1 외면, 벤딩 부재의 외면 및 제2 외면은 전체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탑재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제1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제2 외면에 배치되는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100)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지지 어셈블리(1),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시트(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지지 어셈블리(1)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딩 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부재(13)는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벤딩 부재(13)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다. 여기서, 벤딩 부재(13)는 탄성 플레이트 구조, 힌지 구조, 축 연결 구조 등과 같은 다양한 구현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은 120° 내지 180°의 각도를 이룬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180°의 각도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경우,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에 0° 내지 15°의 각도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 사이의 각도가 0°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외면(112) 및 제1 측면(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면(112)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될 수 있다. 제1 내면(111)은 제1 외면(112)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면(113)은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에는 오목 영역(114)이 정의될 수 있다. 오목 영역(114)은 제1 내면(111)으로부터 제1 외면(112)으로 함몰될 수 있으며, 오목 영역(114)은 제1 측면(11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은 제2 내면(121), 제2 외면(122) 및 제2 측면(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면(122)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될 수 있다. 제2 내면(121)은 제2 외면(122)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면(123)은 제2 내면(121)과 제2 외면(12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측면(123)의 배향은 제1 측면(113)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2)에는 수용 영역(124)이 정의될 수 있다. 수용 영역(124)은 제2 내면(121)에서 제2 외면(122)으로 관통되며 제2 측면(12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2 내면(121)은 제1 내면(111)을 향할 수 있고, 수용 영역(124)과 오목 영역(114)은 이동 공간(10)으로 병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외면(112)은 제2 외면(122)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41)는 이동 시트(3)에 배치될 수 있고, 이동 시트(3)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카메라(41)를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시키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 전체를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가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하우징(11)과 제2 하우징(12)은 적층될 수 있어,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의 길이의 절반 정도가 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가 휴대하기 편리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질 수 있고 휴대하기 편리하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오목 영역(114)과 수용 영역(124)은 이동 공간(10)으로 병합될 수 있고, 수용 영역(124)은 제2 내면(121)에서 제2 외면(122)으로 관통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공간에서 수용 영역(124)의 크기가 클 수 있으며 이동 공간(10) 전체가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동 시트(3)는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공간을 잘 활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얇은 두께를 구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동 시트(3)는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고, 이동 시트(3)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어, 예로 카메라와 같은 보다 두꺼운 장치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이동 시트(3) 내에 더 많은 기능 장치를 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수용 영역(124)이 제2 내면(121)에서 제2 외면(122)으로 관통될 수 있고, 즉, 수용 영역(124)은 제2 하우징(12)을 관통할 수 있다. 이동 시트(3)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시트(3)는 이동 단말기(100)의 회전 공간을 더 많이 보류할 필요 없이, 수용 영역(124)에 근접한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 공간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이동 시트(3)가 더 큰 크기로 구성될 수 있어, 더 많은 기능 장치를 수용하여 사용자의 다기능 상호 작용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 디스플레이부(22)(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이라고도 함)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은 제1 하우징(11)의 제1 외면(112)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은 제2 하우징(12)의 제2 외면(122)에 적층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은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과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은 벤딩 부재(13)에 적층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 사용자는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 및 제3 디스플레이 영역(2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유연하게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도록 한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사용자는 제1 외면(112)에 배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일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제2 외면(122)에 배치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일부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상호 작용 모드가 더욱 다양화되어 더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일면의 배향이 다른 일면의 배향과 일치한다는 것은 두 면 사이에 135° 내지 225° 사이의 각도가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고, 본 개시의 실시예는 두 면 사이에 18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 즉 두 면이 평행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에서,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오목 영역(114)은 수용 영역(12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이동 공간(10)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동 시트(3)가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질 때, 이동 시트(3)가 제2 하우징(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이 이동 시트(3)를 가리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동 시트(3)에 설치된 기능 장치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오목 영역(114)은 수용 영역(124)과 병합될 수 있어 이동 공간(10)을 구성하도록 하고, 본 개시에서,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되는 실시방식은 지지 어셈블리(1)이 접힌 상태인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암시되며, 본 개시는 주로 이러한 예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동 시트(3)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어셈블리의 구동력 하에 회전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동 시트(3)를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 어셈블리는 또한 자동으로 이동 시트(3)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 어셈블리는 모터 및 기어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외부 광은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을 통해 제1 카메라(41)로 진입될 수 있으므로, 제1 카메라(41)가 이미지를 캡처하고 촬영을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 영역(124)이 제2 하우징(12)을 관통할 수 있으므로, 이동 공간(10)이 제2 하우징(12)을 관통할 수 있고,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되는 배향을 갖는 이동 시트(3)의 측이 제2 하우징(1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되며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이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될 때,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될 수 있고, 제2 하우징(12)이 제1 카메라(41)를 가리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제1 카메라(41)가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 모드를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해해야 할 것은,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는 것은 차광 효과를 가진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예: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 등)에 의해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이 가려지지 않고 원활하게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백한 것은, 보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이 투광 렌즈 등에 의해 커버되는 것도 여전히 허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시트(3)의 회전 중심선(30)의 방향은 제1 외면(112)과 평행될 수 있다. 이동 시트(3)는 회전축 단부(3a) 및 이동 단부(3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 단부(3a) 및 이동 단부(3b)는 이동 시트(3)의 2 개의 대향되는 단부일 수 있다. 회전축 단부(3a)는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단부(3b)는 회전축 단부(3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동 시트(3)는 다양한 회전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시트(3)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약 180°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제2 외면(122)의 배향과 동일한 배향에서 제1 외면(112)과 동일한 배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을 스위칭하지 않을 경우(예를 들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 또는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이동 시트(3)의 회전에 의해 변화될 수 있으므로, 전면 촬영(예: 셀프 촬영)을 완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면 촬영(예: 상호 촬영)을 완료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시트(3)는 제1 하우징(11)에 대해 약 90°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 단부(3a)는 오목 영역(114)에 수용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이동 단부(3b)가 제2 하우징(12)에 가까워지게 이동되어 수용 영역(124)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이동 단부(3b)가 제2 하우징(1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수용 영역(12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제2 외면(122)과 동일한 배향에서 제1 측면(113)과 동일한 배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이 제1 측면(113)과 배향이 동일할 때,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은 제1 카메라(41)를 제2 하우징(12)에 대해 회전시켜,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을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촬영할 수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촬영의 유연성(flexi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2)에 대해 제1 하우징(11)이 회전하는 동안, 제2 하우징(12)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하우징(11) 및 제1 하우징(11)에 장착되는 제1 카메라(41)는 흔들리지 않으며, 제1 카메라(41)가 지속적으로 방향 전환이 필요한 녹화 또는 파노라마 이미지 촬영과 같은 촬영 동작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안정적이고 흔들림이 적은 제1 카메라(41)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보다 높은 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경험을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동 시트(3)는 제1 외벽면(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벽면(31)은 이동 시트(3)의 이동 단부(3b)에 위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제1 외벽면(31)은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하는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제1 외벽면(31)에는 관통 홀(310)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은 관통 홀(310)을 향할 수 있다. 제1 외벽면(31)에서의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의 투영은 관통 홀(3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빛은 관통 홀(310)을 통해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에 진입될 수 있어, 제1 카메라(41)가 이미지를 캡처하고 촬영을 완료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외벽면(31)은 이동 단부(3b)에 위치될 수 있고,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제1 외벽면(31)이 제2 하우징(12)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수용 영역(12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제1 외벽면(31)이 노출될 수 있고, 제1 카메라(41)는 지지 어셈블리(1)가 임의의 상태(펼침, 접힘 및 일정 각도로 펼침을 포함)일 때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제1 외벽면(31)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에는 관통 홀(31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는 투광 영역(51)이 정의될 수 있다. .
본 실시예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이 제1 외벽면(31)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제1 외벽면(31)의 배향은 제1 외면(31)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이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제2 디스플레이 영역(22))과 접합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면적이 증가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면적이 커지게 되며, 스크린 비율이 높아지고 또한 사용자의 시청 경험이 더욱 향상된다.
본 개시에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의 투광 영역(51)은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의 투광 영역(51)은 중공일 수 있다. 즉,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에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을 관통하는 관통 홀이 정의될 수 있고, 관통 홀은 광이 제1 카메라(41)로 진입 가능한 투광 영역(51)을 구성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투광 영역(51)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없고,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이 투광 영역(51)의 주변 영역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의 투광 영역(51)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투광 홀(511)이 정의될 수 있다. 투광 홀(511)은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을 관통할 수 있다. 빛은 투광 홀(511)을 통해 제1 카메라(41)로 진입될 수 있다.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투광 홀(511)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없고,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이 투광 홀(511)의 주변 영역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투광 영역(51)이 복수 개의 투광 홀(511)을 정의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카메라(41)는 복수 개의 투광 홀(511)을 통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고, 투광 영역(51)의 투광 홀(511)이 없는 부분은 여전히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의 디스플레이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비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투광 홀(511)은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어, 제1 카메라(41)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의 품질은 더 높을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되는 커버 플레이트(52) 및 디스플레이 모듈(5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2)는 빛이 통과 가능한 투명한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다. 투광 영역(51)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모듈(53)의 일부는 중공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53)에는 디스플레이 모듈(53)을 관통하는 관통 홀(530)이 정의될 수 있다. 관통 홀(530)은 투광 영역(51)에 위치될 수 있고, 빛은 관통 홀(530)을 통과하여 제1 카메라(41)로 진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3)은 투광 영역(51)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없고, 디스플레이 모듈(53)이 투광 영역(51)의 주변 영역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투광 영역(51)은 모든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제1 카메라(41)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가 더 높은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2)는 디스플레이 모듈(53)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 홀(310)을 통해 외부의 먼지 및 습기가 제2 하우징(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 가능한 커버 플레이트(52) 및 디스플레이 모듈(53)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2)는 빛이 통과 가능한 투명한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3)에는 복수 개의 중공 홀(531)이 정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중공 홀(531)은 투광 영역(51)에 배치되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중공 홀(531)은 디스플레이 모듈(53)을 관통할 수 있다. 빛은 중공 홀(531)을 통해 제1 카메라(41)로 진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53)은 중공 홀(531)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없고, 디스플레이 모듈(53)이 중공 홀(531)의 주변 영역에서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투광 영역(51)이 복수 개의 중공 홀(531)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제1 카메라(41)는 투광 영역(51)을 통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으며, 투광 영역(51)의 중공 홀(531)이 없는 부분을 통해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의 디스플레이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2)는 디스플레이 모듈(53)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먼지 및 습기가 중공 홀(531)을 통해 제2 하우징(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중공 홀(531)은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어, 제1 카메라(41)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 품질이 더 높을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되는 커버 플레이트(54), 디스플레이층(55) 및 차광층(5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4)는 빛이 통과 가능한 투명한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55)은 투명한 디스플레이층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55)은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투광 영역(51)에 위치된 차광층(56)의 일부는 중공일 수 있다. 차광층(56)은 빛을 차단하고 제2 하우징(12) 내부의 소자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광층(56)에는 차광층(56)을 관통하는 관통 홀(560)이 정의될 수 있다. 관통 홀(560)은 투광 영역(51)에 대응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광은 관통 홀(560)을 통과하여 제1 카메라(41)로 진입될 수 있다.
투광 영역(51)이 관통 홀(560)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제1 카메라(41)는 투광 영역(51)을 통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고, 투광 영역(51)이 여전히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보조 디스플레이(5)의 디스플레이 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비율을 더욱 증가시킨다.
제6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되는 커버 플레이트(54), 디스플레이층(55) 및 차광층(5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54)는 빛이 통과 가능한 투명한 커버 플레이트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55)은 투명한 디스플레이층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55)은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차광층(56)은 빛을 차단하고 제2 하우징(12) 내부의 소자를 가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차광층(56)에는 복수 개의 관통 홀(561)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 홀(561)은 투광 영역(51)에 배열되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관통 홀(561)은 차광층(56)을 관통할 수 있다. 빛은 관통 홀(561)을 통해 제1 카메라(41)로 진입될 수 있다.
투광 영역(51)이 복수 개의 관통 홀(561)을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제1 카메라(41)는 투광 영역(51)을 통해 이미지를 캡처할 수 있고, 투광 영역(51)이 여전히 이미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의 디스플레이 면적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비율을 더 높이도록 한다. 차광층(56)의 관통 홀(561)이 없는 영역은 여전히 빛을 차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어,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 홀(561)은 어레이로 배열될 수 있어, 제1 카메라(41)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은 제2 외면(122)에 적층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과 동일 높이를 이룰 수 있다. 즉,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 및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더 좋은 접합을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좋은 디스플레이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은 제2 외면(122)에 적층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제1 외벽면(31)은 제2 디스플레이 영역(22)에서 제2 외면(122)으로부터 떨어진 면과 동일 높이(즉,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룸)를 이룰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더 좋은 외관 균일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동 시트(3)는 제2 외벽면(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벽면(32)은 제1 외벽면(3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제2 외벽면(32)은 제1 외면(112)과 제2 외면(1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지지 어셈블리(1)와 대향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외벽면(32)은 제1 측면(113)과 동일한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제2 외벽면(32)의 배향이 제1 외면(112)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6)은 제2 외벽면(3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이동 단말기(100)는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6)에 의해 측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드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6)이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의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에 접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동 단말기(100)의 대형 스크린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6)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과 평행되게 배치되어,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6)이 제1 디스플레이 영역(21)에 접합된 후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이동 시트(3)는 제3 외벽면(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외벽면(33)은 제1 외벽면(31)에 연결되며 제2 외벽면(32)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제3 외벽면(33)은 제1 외면(112)과 제2 외면(1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지지 어셈블리(1)를 향할 수 있고, 제3 외벽면(33)이 제1 측면(113)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제3 외벽면(33)의 배향은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3)는 제2 카메라(4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카메라(42)는 제3 외벽면(33)의 배향과 일치되는 배향을 갖는 촬상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제2 카메라(42)는 이동 공간(10)에 수용될 수 있으며 지지 어셈블리(1)에 의해 가려질 수 있어, 제2 카메라(42)가 촬영할 수 없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제2 카메라(42)의 촬상면의 배향은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고, 제2 카메라(42)의 촬상면이 노출될 수 있으므로, 제2 카메라(42)가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이동 단말기(100)는 제1 카메라(41)에 의해 촬영할 수 있으며,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이동 단말기(100)은 제1 카메라(41) 또는 제2 카메라(42)에 의해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의 촬영 모드를 다양화할 수 있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8을 참조하면, 이동 시트(3)에는 플래시 램프(4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플래시 램프(43)의 발광면의 배향은 제3 외벽면(33)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플래시 램프(43)의 발광면의 배향은 제2 카메라(42)에 대한 광 보충을 위해 제2 카메라(42)의 촬상면의 배향과 일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열악한 촬영 환경에서, 이동 시트(3)는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되어, 제2 카메라(42)의 촬상면 및 플래시 램프(43)의 발광면을 노출시킬 수 있어, 플래시 램프(43)가 제2 카메라(42)에 대해 광을 보충함으로써, 제2 카메라(42)는 더 높은 품질의 사진을 캡처할 수 있다.
이동 시트(3) 내의 제2 카메라(42)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카메라(42)의 개수는 2 개일 수 있어, 광각 촬영 및 망원 촬영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은 제3 측면(115) 및 제4 측면(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면(115) 및 제4 측면(116)은 모두 제1 내면(111)과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측면(115) 및 제4 측면(116)은 서로 대향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3 측면(115)은 제1 측면(11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측면(116)은 제1 측면(113)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오목 영역(114)은 제3 측면(115)으로부터 제4 측면(116)으로 제1 하우징(11)을 관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목 영역(114)은 제3 측면(115)으로부터 제4 측면(116)으로 제1 하우징(11)을 관통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 영역(114)은 제3 측면(115)으로부터 제4 측면(116)으로의 방향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공간을 잘 활용할 수 있으므로, 오목 영역(114)이 큰 부피를 가지며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및 형상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유사하게, 오목 영역(114)의 부피가 클 수 있어, 오목 영역(114)과 결합될 수 있는 이동 시트(3)의 부피도 클 수 있으므로, 이동 시트(3)가 더 많은 기능 장치를 수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에 기능 장치의 배치가 더 유연하고 다양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우징(12)은 제5 측면(125) 및 제6 측면(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측면(125) 및 제6 측면(126)은 모두 제2 내면(121)과 제2 외면(122)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측면(125)과 제6 측면(126)은 서로 대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측면(125)은 제2 측면(12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6 측면(126)은 제2 측면(123)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 영역(124)은 제5 측면(125)에서 제6 측면(126)으로 제2 하우징(12)을 관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목 영역(114)은 제3 측면(115) 또는 제4 측면(116)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수용 영역(124)의 형상은 오목 영역(114)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동 시트(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단(상단 또는 하단)으로부터 노출된다. 선택적으로, 도 3,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오목 영역(114)은 제3 측면(115) 및 제4 측면(116)으로 연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용 영역(124)의 형상은 오목 영역(114)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고, 이동 공간(10)은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이동 단말기(100)의 "앞머리(bang)"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 시트(3)가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이동 시트(3)는 이동 단말기(100)의 "앞머리"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19를 참조하면, 이동 시트(3)에는 이어 피스(4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동 시트(3)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 가능한 제4 외벽면(34) 및 제5 외벽면(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외벽면(34)은 제3 측면(115)의 배향과 동일한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제5 외벽면(35)은 제4 측면(116)의 배향과 동일한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이어 피스(44)의 사운드 홀은 제4 외벽면(34) 및 제5 외벽면(35)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이어 피스(44)의 사운드 홀은 제4 외벽면(34) 또는 제5 외벽면(35)에만 배치될 수 있거나, 제4 외벽면(34) 및 제5 외벽면(35)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 피스(44)의 사운드는 사운드 홀을 통해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어 피스(44)의 사운드 홀은 제4 외벽면(34) 및 제5 외벽면(35)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운드 홀이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 이어 피스(44)는 지지 어셈블리(1)가 펼쳐지거나 접힐 때,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소리를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어 피스(44)는 이동 단말기(10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때, 이어 피스(44)에 인접하여 이어 피스(44)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더 잘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 시트(3)에는 홍채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마이크로폰(송화기라고도 함), 광 센서 및 지문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능 장치(예로 광 센서, 지문 모듈 등)는 이동 시트(3)에 배치될 수 있어, 필요 시 지지 어셈블리(1)에 대해 상대적으로 펼쳐지거나, 불필요 시 지지 어셈블리(1)에 대해 상대적으로 접힘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스크린(2)에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제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스크린 비율을 증가시킨다. 이동 시트(3)에 수용된 기능 장치는 엇갈리게 배치할 수 있어, 중첩 배열로 인해 이동 단말기(100)의 두께가 너무 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도 21을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외면(112)에서의 수용 영역(124)의 투영(124')은 제1 외면(112)에서의 오목 영역(114)의 투영(114')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시트(3)는 이동 공간(10)에 잘 수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 영역(124)의 벽면이 이동 시트(3)의 회전을 방해할 수도 없으므로, 이동 시트(3)가 원활하게 이동 공간(3)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방식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연성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1 외면(112), 벤딩 부재(13)의 외면 및 제2 외면(122)은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전체적으로 탑재할 수 있다. 벤딩 부재(13)의 외면의 제1 측은 제1 외면(112)에 연결될 수 있다. 벤딩 부재(13)의 외면의 제1 측과 대향되는 제2 측은 제2 외면(122)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2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5)은 서로 독립적인 2 개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은 제1 외면(11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5)은 제2 외면(122)에 배치될 수 있다. 벤딩 부재(13)의 외면에는 연성인 제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5)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 벤딩 부재(13)의 외면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4)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5)은 액정 디스플레이 스크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제3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6)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힌 상태일 때 제1 하우징(11)을 제2 하우징(12)에 대해 고정시키는 로킹 구조(141, 142)를 구비할 수 있다. 로킹 구조(141, 142)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어 다양한 구현방식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로킹 부재(141) 및 제2 로킹 부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킹 부재(141)는 제1 하우징(1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142)는 제2 하우징(12)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로킹 부재(141)는 제2 로킹 부재(14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로킹 부재(141)는 제1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제1 영구 자석은 제1 내면(11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142)는 제2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제2 영구 자석은 제2 내면(121)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는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를 향할 수 있고,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는 자극이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의 자극과 반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영구 자석과 제2 영구 자석은 자기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로킹 부재(141)는 제1 내면(111)으로부터 돌출된 블록일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142)는 제2 내면(121)에 함몰된 홈일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블록은 홈에 맞물릴 수 있다. 블록과 홈 사이의 로킹력을 증가시키도록, 블록은 슬롯의 벽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제1 로킹 부재(141)는 이동 시트(3)의 제3 외벽면(33)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142)는 수용 영역(124)의 홈 벽(124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킹 부재(141)는 이동 시트(3)의 제3 외벽면(33)으로부터 돌출된 블록일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142)는 수용 영역(124)의 홈 벽에 함몰될 수 있는 홈일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이 접힐 때, 블록이 홈에 맞물릴 수 있다. 블록과 홈 사이의 로킹력을 증가시키도록, 블록은 홈의 홈 벽에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로킹 부재(141)는 제1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제2 로킹 부재(142)는 제2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는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를 향할 수 있고, 제1 영구 자석의 제1 단부는 제2 영구 자석의 제2 단부와 반대되는 자극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제1 영구 자석과 제2 영구 자석은 자기적으로 흡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본 개시의 원리 및 실시방식은 구체적 실시예들에서 설명하였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방법 및 핵심 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아울러,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사상에 따라 구체적 실시예 및 적용 범위에 대한 변형을 얻을 수 있다. 종합하면, 상술한 설명은 본 개시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15)

  1. 지지 어셈블리(1),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 및 이동 시트(3)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1)는 제1 하우징(11), 제2 하우징(12) 및 벤딩 부재(13)을 포함하고,
    상기 벤딩 부재(13)는 상기 제1 하우징(11)과 상기 제2 하우징(1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벤딩 부재(13)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펼치거나 접히도록, 펼침 또는 절곡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11)은 제1 내면(111), 제1 외면(112) 및 제1 측면(1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면(112)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되고, 상기 제1 내면(111)은 상기 제1 외면(112)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측면(113)은 상기 제1 내면(111)과 상기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에는 상기 제1 내면(111)으로부터 상기 제1 외면(112)으로의 방향에서 함몰되는 오목 영역(114)이 정의되고, 상기 오목 영역(114)은 상기 제1 측면(113)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은 제2 내면(121), 제2 외면(122) 및 제2 측면(1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면(122)에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이 탑재되고, 상기 제2 내면(121)은 상기 제2 외면(122)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측면(123)은 상기 제2 내면(121)과 상기 제2 외면(12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하우징(12)에는 상기 제2 내면(121)에서 상기 제2 외면(122)으로 관통하며, 상기 제2 측면(123)으로 연장되는 수용 영역(124)이 정의되고,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제2 내면(121)은 상기 제1 내면(111)을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용 영역(124)과 상기 오목 영역(114)은 병합되어 이동 공간(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 시트(3)에는 제1 카메라(41)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는 상기 제1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카메라(41)가 상기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 또는 회전 인출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상기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의 배향은 상기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트(3)는 제1 외벽면(31)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상기 제1 외벽면(31)의 배향은 상기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제1 외벽면(31)에는 관통 홀(310)이 정의되고, 상기 제1 카메라(41)의 촬상면은 상기 관통 홀(310)을 향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상기 제1 외벽면(31)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상기 관통 홀(310)을 향하는 투광 영역(51)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상기 제2 외면(122)에 적층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상기 제1 외벽면(3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에서 상기 제2 외면(122)으로부터 떨어진 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영역(51)은 중공인,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영역(51)에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투광 홀(511)이 정의되는, 이동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되는 커버 플레이트(52) 및 디스플레이 모듈(53)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 영역(51)에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3)의 일부는 중공인,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되는 커버 플레이트(52) 및 디스플레이 모듈(53)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53)에는 복수 개의 중공 홀(531)이 정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중공 홀(531)은 상기 투광 영역(51)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는, 이동 단말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되는 커버 플레이트(52), 디스플레이층(55) 및 차광층(56)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층(55)은 투명한 디스플레이층(55)이고, 상기 투광 영역(51)에 대응되는 상기 차광층(56)의 일부는 중공인, 이동 단말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적층되는 커버 플레이트(52), 디스플레이층(55) 및 차광층(56)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층(55)은 투명한 디스플레이층(55)이고, 상기 차광층(56)에는 상기 투광 영역(51)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관통 홀(561)이 정의되는, 이동 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디스플레이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2)는 상기 제2 외면(122)에 적층되며,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 스크린(5)은 상기 디스플레이부(22)와 동일 평면을 이루는, 이동 단말기.
  10.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트(3)는 제2 외벽면(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외벽면(32)은 상기 제1 외벽면(31)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상기 제2 외벽면(32)이 상기 제1 외면(112)과 상기 제2 외면(1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1)와 대향되어 위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상기 제2 외벽면(32)의 배향은 제1 외면(112)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2 외벽면(32)에 배치되는 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6)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트(3)는 제3 외벽면(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외벽면(33)은 상기 제1 외벽면(31)에 연결되며 제2 외벽면(32)과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 회전 인입될 때, 상기 제3 외벽면(33)은 상기 제1 외면(112)과 상기 제2 외면(12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어셈블리(1)를 향하고, 상기 이동 시트(3)가 상기 이동 공간(10)에서 회전 인출될 때, 상기 제3 외벽면(33)의 배향은 상기 제2 외면(122)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에는 제2 카메라(42)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2 카메라(42)의 촬상면의 배향이 상기 제3 외벽면(33)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에는 플래시 램프(43)가 더 설치되고, 상기 플래시 램프(43)의 발광면의 배향은 상기 제3 외벽면(33)의 배향과 일치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1)은 제3 측면(115) 및 제4 측면(1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115) 및 상기 제4 측면(116)은 모두 상기 제1 내면(111)과 상기 제1 외면(112)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115)과 상기 제4 측면(116)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 측면(115)은 상기 제1 측면(113)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측면(116)은 상기 제1 측면(113)의 반대측에 연결되며, 상기 오목 영역(114)은 상기 제3 측면(115)에서 상기 제4 측면(116)으로 관통하고,
    상기 이동 시트(3)에는 이어 피스(44)가 더 설치되고, 상기 이동 시트(3)는 서로 대향되어 배치되는 제4 외벽면(34) 및 제5 외벽면(35)을 포함하고, 상기 제4 외벽면(34)의 배향은 상기 제3 측면(115)의 배향과 일치되고, 상기 제5 외벽면(35)의 배향은 상기 제4 측면(116)의 배향과 일치되며, 상기 제4 외벽면(34) 및 상기 제5 외벽면(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사운드 홀이 정의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1)가 접힐 때, 상기 제1 외면(112)에서의 상기 수용 영역(124)의 투영은 상기 제1 외면(112)에서의 상기 오목 영역(114)의 투영을 커버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연성인 디스플레이 스크린이고, 상기 제1 외면(112), 상기 벤딩 부재(13)의 외면 및 상기 제2 외면(122)은 전체적으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을 탑재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스크린(2)은 상기 제1 외면(112)에 배치되는 제1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4) 및 상기 제2 외면(122)에 배치되는 제2 서브 디스플레이 스크린(25)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207030572A 2018-05-04 2019-02-18 이동 단말기 KR102435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668134.4U CN208128322U (zh) 2018-05-04 2018-05-04 移动终端
CN201810421079.3 2018-05-04
CN201810421079.3A CN110417958A (zh) 2018-05-04 2018-05-04 移动终端
CN201820668134.4 2018-05-04
PCT/CN2019/075409 WO2019210728A1 (en) 2018-05-04 2019-02-18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986A KR20200132986A (ko) 2020-11-25
KR102435650B1 true KR102435650B1 (ko) 2022-08-24

Family

ID=6565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0572A KR102435650B1 (ko) 2018-05-04 2019-02-18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66620B2 (ko)
EP (1) EP3565226B1 (ko)
JP (1) JP7190507B2 (ko)
KR (1) KR102435650B1 (ko)
WO (1) WO2019210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1179A (zh) * 2018-12-04 2019-04-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壳体组件以及电子设备
KR20200130574A (ko) * 2019-05-10 2020-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1653373S (ja) * 2019-07-11 2020-02-25 携帯電話機
CN110827672B (zh) * 2019-11-18 2021-09-2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10068853A (ko) * 2019-12-02 202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72351A (ko) * 2019-12-09 202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US10999518B1 (en) * 2020-04-24 2021-05-04 Dell Products L.P. Pop-up camera with automatic position control for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KR20210150903A (ko) * 2020-06-04 202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387057B2 (ja) 2021-03-15 2023-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940A (zh) * 2017-08-08 2017-12-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4444A (en) * 1994-03-30 1995-05-09 At&T Corp. Personal communicator having orientable video imaging element
KR100278358B1 (ko) * 1997-06-03 2001-01-15 윤종용 카메라 장착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6587151B1 (en) * 1998-08-26 2003-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deo camera integration on a portable computer
JP2001136254A (ja) * 1999-11-10 2001-05-18 Nec Corp 携帯無線通信装置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FI118621B (fi) * 2000-08-03 2008-01-15 Nokia Corp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FI118073B (fi) * 2000-08-03 2007-06-15 Nokia Corp Kannettava, ainakin kaksi käyttöasentoa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aranamekanismi sitä varten
JP2002185589A (ja) 2000-12-14 2002-06-28 Nec Access Technica Ltd 折畳式携帯電話機
DE20021842U1 (de) * 2000-12-21 2001-06-21 Wolfgang Feierbach Transportabler Kommunikationsrechner
JP2004056383A (ja) * 2002-07-18 2004-02-19 Fujitsu Ltd 携帯型電子機器および撮像装置
US7453688B2 (en) * 2004-01-29 2008-11-18 Inventec Corporation Multimedia device for portable computers
KR100640377B1 (ko) * 2004-03-03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US7126816B2 (en) * 2004-03-12 2006-10-24 Apple Computer, Inc. Camera latch
US7264171B2 (en) 2004-05-31 2007-09-04 Wistron Corp. Electronic device with embedded image capture module
JP2006072115A (ja) 2004-09-03 2006-03-16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表示装置
WO2006103595A2 (en) * 2005-03-30 2006-10-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rotary camera unit
US7425100B2 (en) * 2005-10-06 2008-09-16 Motorola, Inc. Integrated selectively angled camera for clam style products
KR100803276B1 (ko) * 2006-03-20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장치 및 통신기기
CN101086611A (zh) 2006-06-08 2007-12-12 乐金电子(中国)研究开发中心有限公司 侧向旋转式自动弹出的摄像头
TW200806006A (en) * 2006-07-14 2008-01-16 Compal Communications Inc Electrical apparatus with image-capturing device
KR100800769B1 (ko) * 2007-01-29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TWI383674B (zh) * 2008-03-11 2013-01-21 Quanta Comp Inc 影像擷取裝置
TW201001132A (en) * 2008-06-26 2010-01-01 Hannspree Inc Notebook computer having projection function
WO2012017270A1 (en) * 2010-08-05 2012-02-09 Nokia Corporation An apparatus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KR20140046327A (ko) 2012-10-10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TWI519928B (zh) * 2013-02-04 2016-02-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
US8738101B1 (en) * 2013-02-06 2014-05-27 Makor Issues And Rights Ltd. Smartphone-tablet hybrid device
US9195265B1 (en) * 2013-05-24 2015-11-24 Tyrone D. Jackson Multi-function attachment for a mobile computer
US20170123463A1 (en) * 2015-10-29 2017-05-04 Lenovo (Singapore) Pte. Ltd. Camera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9871954B2 (en) * 2016-06-06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wo part device with camera and mechanical flap
KR102636648B1 (ko) *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US10013031B2 (en) * 2016-09-30 2018-07-03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interfacing camera to hinge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T201600103458A1 (it) * 2016-10-14 2018-04-14 Luca Gerardi Sistema modulare di elaborazione
CN106817450A (zh) * 2017-01-24 2017-06-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US10101777B1 (en) * 2017-04-08 2018-10-16 Lenovo (Singapore) Pte. Ltd. Retractable camera
CN206894705U (zh) * 2017-04-14 2018-01-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屏终端
CN107241466B (zh) * 2017-05-04 2020-01-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及移动终端
EP3481035B1 (en) * 2017-11-03 2020-07-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phone camera slidable by electromagnetic force
CN109862226B (zh) * 2017-11-30 2021-04-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件、移动终端及其摄像头组件的控制方法
CN208174751U (zh) * 2018-02-09 2018-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US11032403B2 (en) * 2018-03-22 2021-06-08 Daniel L C Leung Method to aid the walking-while-texting smart phone user navigate around obstacles in the forward path
EP3565224B1 (en) * 2018-05-04 2020-07-15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terminal
CN208128322U (zh) * 2018-05-04 2018-11-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EP3565225B1 (en) * 2018-05-04 2021-06-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8940A (zh) * 2017-08-08 2017-12-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式移动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9985A (ja) 2021-08-12
WO2019210728A1 (en) 2019-11-07
KR20200132986A (ko) 2020-11-25
JP7190507B2 (ja) 2022-12-15
EP3565226A1 (en) 2019-11-06
EP3565226B1 (en) 2021-01-13
US10866620B2 (en) 2020-12-15
US20190339745A1 (en)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650B1 (ko) 이동 단말기
KR102376039B1 (ko) 이동 단말기
US10404841B1 (en) Mobile terminal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3060765A (ja)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US715191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42771B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EP1615408A2 (en) Foldable device with a 3d hinge having a displaced vertical axis
CN208128321U (zh) 移动终端
KR20040079203A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20100048243A1 (en) Clamshell-type mobile phone with camera
US20200183452A1 (en) Electronic Device
EP3620891A1 (en)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e camera module
CN208128322U (zh) 移动终端
US7414656B2 (en) Mobile terminal with camera
JP2002325127A (ja) 携帯電話機
WO2020215933A1 (zh) 摄像模组、安装驱动组合件和移动终端
WO2020048171A1 (zh) 移动终端
KR20050113905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WO2022135170A1 (zh) 摄像头模组、潜望式摄像头模组及电子装置
JP4371713B2 (ja) カメラ付折畳み式携帯機器
WO2019210812A1 (zh) 移动终端和可折叠的移动终端
CN110445900A (zh) 移动终端
KR20040101925A (ko) 촬상 장치
CN110417958A (zh) 移动终端
KR100474037B1 (ko)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