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905A -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905A
KR20050113905A KR1020040039047A KR20040039047A KR20050113905A KR 20050113905 A KR20050113905 A KR 20050113905A KR 1020040039047 A KR1020040039047 A KR 1020040039047A KR 20040039047 A KR20040039047 A KR 20040039047A KR 20050113905 A KR20050113905 A KR 20050113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nsor
image
signal
camera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5653B1 (ko
Inventor
정관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565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5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두 개를 일체화하고 두 가지 모듈이 한 개의 컨넥터를 이용하여 휴대폰용 마더 보드에 실장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의 상폴더에 장착되어 양방향으로 영상 촬영이 가능한 듀얼 카메라; 외부와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컨넥터; 및 일측단의 리지드부의 상면에 일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듀얼 카메라의 제1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면에 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듀얼 카메라의 제2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단에 컨넥터를 부착되어 있는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용 듀얼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Camera module for cellular phone and Controller thereof}
본 발명은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두 개를 일체화하고 두 가지 모듈이 한 개의 컨넥터를 이용하여 휴대폰용 마더 보드에 실장될 수 있도록 한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은 그 형상에 따라 숫자(기능)버튼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는 바(Bar)형과, 덮개로 버튼들을 차폐하는 커버를 갖는 플립(Flip)형과, 폴더가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포개지게 접을 수 있는 폴더(Folder)형 등으로 분류되며, 근래에는 소형화 추세에 따라 폴더형 휴대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폰의 고기능화에 따라 전통적인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통신, 화상 전송 등 부가적인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폰에 카메라 기능을 채용하는 것이 보편적인 환경이 되고 있다.
휴대폰용 카메라 채용에 대해 초기에는 외장형 카메라를 사용하였으나, 탈부착의 불편함과 디자인 저하로 인해 퇴고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내장형 카메라를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장형 카메라를 채용하게 되면 외장형의 불편함은 해소되지만, 사용자와 반대편에 위치한 상대방을 촬영할 때 불편함이 있었다.
즉, 사진을 촬영할 때 LCD 창을 통하여 촬영 이미지를 미리 보며 촬영 대상을 조정하게 되는데, 상대방을 촬영할 때는 LCD 창을 못 보게 되므로 촬영에 큰 불편함이 따랐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대방을 촬영할 때에도 LCD 창을 통해 촬영 대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상기 개선 방법들 중 하나는 수동으로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방식과 수동으로 LCD 창이 구비된 폴더를 회전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수동 조작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는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이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소음 및 신뢰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04-0006711의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에는 폴더의 양면에 각각 카메라를 설치하는 방식도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카메라 비용이 2배로 든다는 단점이 있다.
도 1a는 폴더가 개방된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외부면을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폰은 내측면에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는 상폴더(10)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1)와 카메라(21)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반사시키는 거울(22)을 외부면에 구비하는 하폴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b는 도 1a의 상태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도이다.
상폴더(10)의 내측면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1)가 구비되고, 하폴더(20)의 외측면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21)와 카메라(21)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반사시키는 거울(22)을 구비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이 아닌 타 대상물을 촬영할 때에는 휴대폰의 외측면에 구비된 카메라(21)의 촬영방향을 촬영대상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후, 휴대폰의 내측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1)를 통해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보면서 카메라(21)의 촬영방향 및 초점을 조절해 가며 촬영을 실시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때에는 휴대폰의 외측면에 구비된 카메라(21)의 촬영방향이 자신을 향하도록 휴대폰을 위치시켜 촬영해야 하므로 촬영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1)를 볼 수 없게되어 촬영방향과 초점을 조절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거울(22)을 통하여 카메라(21)에 의해 촬영되는 자신의 영상을 보면서 촬영방향 및 초점을 조절하며 촬영을 실시한다.
또한, 촬영각도를 수평으로 맞추기 위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폴더(20)를 수직으로 세우게 되면, 하폴더(20)와 약 150도의 개방각을 갖는 상폴더(10)는 수직으로 세워지지 아니하고 수직선으로부터 약 30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세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을 촬영할 때 디스플레이부(11) 화면을 비스듬히 보게되므로 촬영되는 영상을 정면으로 볼 수 없게된다.
휴대폰의 디스플레이부(11)로 주로 사용되는 액정화면은 정면에서 볼 때에는 출력되는 영상 및 문자가 명확히 보이지만, 일정 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볼 때에는 출력되는 영상 및 문자가 원래의 형상으로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선명도가 떨어져 흐릿하게 보임으로써 사용자가 촬영되는 영상을 제대로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외에도, 사용자는 하폴더(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영상 촬영을 해야하므로, 하폴더(20)를 손으로 잡기에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하폴더(20)에 구비된 키패드를 조작함에 있어서도 많은 불편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카메라의 촬영방향이 하폴더(20)의 외측면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사용자 자신의 형상을 촬영할 때에는 휴대폰의 방향을 180도 회전시켜야할 뿐만 아니라,
촬영되는 형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1)를 보지 못하므로 정확하게 촬영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도 2a는 상폴더가 개방된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내측면을 도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은 수신된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수신부(110) 및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0)를 내측면에 구비하고 양방향으로 영상촬영이 가능한 듀얼카메라(130)를 내측면과 외측면에 노출되는 구조로 구비하는 상폴더(100)와, 입력된 음향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송신부(210)와 숫자 및 문자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220)를 내측에 구비하는 하폴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듀얼카메라(130)는 상폴더(100)를 관통하여 상폴더(100)의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카메라렌즈가 노출되도록 장착되어있어, 상폴더(100)의 외측면 방향에 있는 사물이나 상폴더(100)의 내측면 방향에 있는 사물을 모두 촬영할 수 있게된다.
사용자 자신의 영상을 듀얼카메라(130)로 촬영할 때, 사용자는 상폴더(100)의 내측방향에 있는 대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130)를 세팅하고,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촬영형상을 보며 촬영 각도 및 초점 등을 맞춰가면서 촬영을 실시한다.
또한, 듀얼카메라(130)는 상폴더(100)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거나 또는 내측면보다 낮은 높이로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을 집중적으로 받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폴더(100)가 개폐될 때 하폴더(200)의 내측면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도 2b는 상폴더가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외측면을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은 상폴더(100)의 내측면 뿐만 아니라 외측면으로도 카메라렌즈가 각각 노출되도록 상폴더(100)의 끝단에 듀얼카메라(130)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을 회전시키거나 카메라의 촬영각도를 변경시키지 아니하고서도 사용자는 사용자 본인 및 상대방의 영상을 자유롭게 촬영할수 있다.
사용자 자신이 아닌 상대방이나 기타 영상을 듀얼카메라(130)로 촬영할 때, 사용자는 상폴더(100)의 외측방향에 있는 대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130)를 세팅하고,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촬영형상을 보며 촬영 각도 및 초점등을 맞춰가면서 촬영을 실시한다.
도 2c는 도 2b의 상태에서 B-B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폴더(100)의 내측면에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0)가 구비되어있고, 상폴더(100)의 끝단부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시켜 2개의 카메라렌즈 방향이 각각 내측면에 수직인 방향과 외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결합된 듀얼카메라(130)를 구비한다. 듀얼카메라(13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상폴더(100)의 개폐동작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폴더(100)의 외측면 및 내측면 이내로 묻히는 구조로 장착된다.
또한, 하폴더(200)는 내측면에 구비된 숫자 및 문자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220)와 입력된 음향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휴대폰의 하폴더와 동일한 구조를 기지고 있다.
이때, 듀얼카메라(130)는 확대도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PC(134a, 134b)에 전기적 연결 패턴을 사용하여 이미지 센서(133a, 133b)를 실장하고, 이미지 센서(133a, 133b)를 부분을 기밀한 후에, 렌즈(131a, 131b)를 조립하고 컨넥터(135a, 135b)를 휴대폰의 마더 보드에 꽂는다.
이렇게 할 때 두 개의 모듈, 즉 외부에는 이미지 사이즈가 큰 메가 픽셀급을 실장하고, 내부에는 CIF나 VGA 급 카메라를 실장할 경우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휴대폰에 두 부품을 배치시 폰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어려움이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블록 구성은 외부의 제1 이미지 센서(310a), 제2 이미지 센서(310b), 다수의 신호 라인(321~327), DSP 칩(33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신호 라인(321~327)을 살펴보면, 주 클럭 신호를 전송하는 메인 클럭 신호 라인(321), 리셋 신호를 전송하는 리셋 신호 라인(322), 제1 이미지 센서(310a)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스탠바이 신호 라인(324), 제2 이미지 센서(310b)가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스탠바이 신호 라인(327),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310a, 310b)가 디지털 신호 처리 칩(330)으로 펄스 클럭 신호와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펄스 클럭/동기 신호 라인(325),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310a, 310b)가 디지털 신호 처리 칩(33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라인(326)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휴대폰의 제어 블록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310a, 310b)를 대기 상태로 하고 구동 전원이 계속 인가되고 있기 때문에 슬립 전류에 있어 휴대폰에 있어서 밧데리 수명이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두 개의 카메라를 효과적으로 실장할 수 있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카메라를 제어하는데 있어 스탠바이 신호 라인을 이용하여 두 개의 카메라중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전원 라인을 이용하여 두 개의 카메라중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 카메라를 선택하도록 하는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의 상폴더에 장착되어 양방향으로 영상 촬영이 가능한 듀얼 카메라; 외부와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컨넥터; 및 일측단의 리지드부의 상면에 일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듀얼 카메라의 제1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면에 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듀얼 카메라의 제2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단에 컨넥터를 부착되어 있는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이미지 센서;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미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화면부와 메모리부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에 대한 전원라인을 온오프하여 해당 이미지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이미지 센서;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외부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스;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미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화면부와 메모리부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멀티플렉스에 선택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중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카메라에 내장된 카메라 모듈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제1 공간부(412a)가 형성된 제1 하우징(411a)과; 상기 제1 하우징(411a)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미지의 집속을 위해 마련된 제1 촬상렌즈(413a)와; 상기 제1 하우징(411a)을 지지하며 중앙상면에 제1 이미지센서(414a)가 실장된 제1 PCB(Printed Circuit Board: 415a)로 구성되어서, FPC(416)를 통해 촬상소자 모듈용 컨넥터(417)에 연결되며, 상기 컨넥터(417)는 미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마더보드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414a)는 통상적으로 다이본딩(die bonding) 및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통해 제1 PCB(415a)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도 4a를 참조하면, 중앙에 제2 공간부(412b)가 형성된 제2 하우징(411b)과; 상기 제2 하우징(411b)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미지의 집속을 위해 마련된 제2 촬상렌즈(413b)와; 상기 제2 하우징(411b)을 지지하며 중앙상면에 제2 이미지센서(414b)가 실장된 제2 PCB(Printed Circuit Board: 415b)로 구성되어서, FPC(416)를 통해 촬상소자 모듈용 컨넥터(417)에 연결되며, 상기 컨넥터(417)는 미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마더보드에 접속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414b)는 통상적으로 다이본딩(die bonding) 및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통해 제2 PCB(415b)에 실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416)만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을 구성한다. 즉 FPC(416)의 일측 일부분에는 외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반대면에는 내부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며, 타측 단부의 상면에는 컨넥터(417)가 실장된다.
여기에서 외부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살펴보면 FPC(416)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이미지 센서(414a, 414b)가 실장되며, 상면에는 렌즈(413a, 413b)가 구비된 하우징(411a, 411b)이 부착된다.
이때, 여기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타측 단부의 하면에는 컨넥터(417)의 보강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414a, 414b)가 하면에는 보강판을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413a)와 제2 렌즈(413b)가 같은 높이에 있을 필요가 없으며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렌즈(413a)와 제2 렌즈(413b)가 동일한 직선 라인에 위치할 필요가 없으며 제1 렌즈(413a)가 제2 렌즈(413b)가 놓여 있는 직선 라인에서 좌로 또는 우로 비켜서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측단면도이다.
상폴더(500)의 내측면에는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520)가 구비되어있고, 상폴더(500)의 끝단부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시켜 2개의 카메라렌즈 방향이 각각 내측면에 수직인 방향과 외측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결합된 듀얼카메라(530)를 구비한다. 듀얼카메라(53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상폴더(500)의 개폐동작에 간섭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폴더(500)의 외측면 및 내측면 이내로 묻히는 구조로 장착된다.
또한, 하폴더(540)는 내측면에 구비된 숫자 및 문자를 포함한 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550)와 입력된 음향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휴대폰의 하폴더와 동일한 구조를 기지고 있다.
이때, 듀얼카메라(530)는 확대도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FPCB(534)에 전기적 연결 패턴을 사용하여 이미지 센서(533a, 533b)를 실장하고, 이미지 센서(533a, 533b)를 부분을 기밀한 후에, 렌즈(531a, 531b)를 조립하고 컨넥터(535)를 휴대폰의 마더 보드에 꽂는다.
이렇게 할 때 두 개의 모듈, 즉 외부에는 이미지 사이즈가 큰 메가 픽셀급을 실장하고, 내부에는 CIF나 VGA 급 카메라를 실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제1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610a, 610b), DSP 칩(630), LCD(640), 메모리(650), 다수의 신호 라인(621~627)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신호 라인(621~627)은 메인 클럭 신호 라인(621), 리셋 신호 라인(622), 제1 이미지 센서(610a)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전원 공급 라인(624), 제2 이미지 센서(610b)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원 공급 라인(627), 펄스 클럭/동기 신호 라인(625),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626)을 구비하고 있다.
DSP 칩(6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610a, 610b)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650)에 저장하며, 상기 화상의 디지털 신호를 Y, C 신호로 변환하여 도시하지 않은 MUX를 통해 LCD(640)에 전달한다.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610a, 610b)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카메라의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626)을 통하여 DSP 칩(630)에 제공한다.
한편, DSP 칩(630)은 키 패드 등을 통하여 제1 또는 제2 이미지 센서(610a, 610b)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1 또는 제2 이미지 센서(610a, 610b)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624, 627)중 해당 전원 라인(624 또는 627)을 온하여 제1 또는 제2 이미지 센서(610a, 610b)가 입사되는 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최초에는 제1 또는 제2 이미지 센서(610a, 610b)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센서(610a, 610b)를 온하여 놓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제2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710a, 710b), DSP 칩(730), LCD(740), 메모리(750), 멀티플럭스(760), 다수의 신호 라인(721~726)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다수의 신호 라인(721~726)은 메인 클럭 신호 라인(721), 리셋 신호 라인(722), 제1 이미지센서(710a)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클럭 신호 또는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1 펄스 클럭/동기 신호 라인(725a), 제2 이미지센서(710b)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클럭 신호 또는 동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펄스 클럭/동기 신호 라인(725b), 제1 이미지 센서(710a)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1 데이터 라인(726a), 제2 이미지 센서(710b)로부터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데이터 라인(726b)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멀티플럭스(760)는 제1 및 제2 펄스 클럭/동기 신호 라인(725a, 725b)과 제1 및 제2 데이터 라인(726a, 726b) 중 활성화된 이미지 센서(710a 또는 710b)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은 DSP 칩(730)에 의한 선택 라인(724)을 통해 이루어진다.
DSP 칩(730)은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710a, 710b)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메모리(750)에 저장하며, 상기 화상의 디지털 신호를 Y, C 신호로 변환하여 도시하지 않은 MUX를 통해 LCD(740)에 전달한다.
제1 및 제2 이미지 센서(710a, 710b)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카메라의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726a 또는 726b)을 통하여 DSP 칩(730)에 제공한다.
한편, DSP 칩(730)은 키 패드 등을 통하여 제1 또는 제2 이미지 센서(710a, 710b)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 라인(724)을 통하여 멀티플럭스(760)를 제어하여 제1 또는 제2 이미지 센서(710a, 710b)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라인(726a, 726b)중에서 원하는 데이터 라인(726a, 726b)을 선택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은 한 개의 FPCB에 센서의 방향을 달리해서 센서는 와이어 본딩으로 부착하고 센서는 플립칩 본딩으로 부착하여 하나의 FPC를 통하여 두 개의 카메라 신호를 하나의 컨넥터로 출력하고 두 개의 카메라 신호를 하나의 DSP로 신호처리하는 방법으로 휴대폰에 장착시 두께를 얇게 가져갈 수 있어 디자인 측면과 재료비 감소 등의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폴더가 개방된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폰의 외부면을 도시한다.
도 1b는 도 1a의 상태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a는 상폴더가 개방된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내측면을 도시한다.
도 2b는 상폴더가 개방된 본 발명에 의한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의 외측면을 도시한다.
도 2c는 도 2b의 상태에서 B-B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제1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휴대폰의 제2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1 : 하우징 412 : 공간부
413 : 렌즈 414 : 이미지 센서
415 : PCB 416 : FPC
417 : 컨넥터 610, 710 : 이미지 센서
621~627, 721~726 : 신호 라인 630, 730 : DSP 칩
640, 740 : LCD 650, 750 : 메모리
760 : 멀티 플럭스

Claims (6)

  1. 휴대폰의 상폴더에 장착되어 양방향으로 영상 촬영이 가능한 듀얼 카메라;
    외부와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기 위한 컨넥터; 및
    일측단의 리지드부의 상면에 일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듀얼 카메라의 제1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면에 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듀얼 카메라의 제2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으며, 타측단에 컨넥터를 부착되어 있는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용 듀얼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카메라의 각 카메라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렌즈;
    상기 렌즈를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 및
    상기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영상 신호를 수광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용 듀얼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의 리지드부에 와이어 본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듀얼 카메라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리지드 플렉시블 기판의 리지드부에 플립칩 본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듀얼 카메라 모듈.
  5. 일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이미지 센서;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려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미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화면부와 메모리부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에 대한 전원라인을 온오프하여 해당 이미지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제어장치.
  6. 일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1 이미지 센서;
    타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이미지 센서;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외부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멀티플렉스;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및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부;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미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화면부와 메모리부에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에 대한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멀티플렉스에 선택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제1 이미지 센서 또는 제2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중 하나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의 제어장치.
KR1020040039047A 2004-05-31 2004-05-31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KR10064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47A KR100645653B1 (ko) 2004-05-31 2004-05-31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47A KR100645653B1 (ko) 2004-05-31 2004-05-31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05A true KR20050113905A (ko) 2005-12-05
KR100645653B1 KR100645653B1 (ko) 2006-11-15

Family

ID=3728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047A KR100645653B1 (ko) 2004-05-31 2004-05-31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56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005B1 (ko) * 2006-01-20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듀얼 카메라장치 및 듀얼 카메라 기능의 실행 방법
KR100681194B1 (ko) * 2004-11-23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구동을 위한 일체형 집적회로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402B1 (ko) * 2005-03-2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769725B1 (ko) * 2006-09-25 2007-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KR100806689B1 (ko) * 2005-12-09 200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 실장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16581B1 (ko) * 2008-02-13 2009-09-11 옵틱스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5827915A (zh) * 2016-04-22 2016-08-03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摄像头装置及移动终端
CN109691069A (zh) * 2018-09-17 2019-04-2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屏下光学检测系统、电子设备及物体接近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62B1 (ko) 2008-09-22 2010-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KR20190082464A (ko) 2018-01-02 2019-07-10 민덕규 휴대폰 카메라의 촬영 애플리케이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194B1 (ko) * 2004-11-23 2007-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구동을 위한 일체형 집적회로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03402B1 (ko) * 2005-03-2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806689B1 (ko) * 2005-12-09 2008-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중 실장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75005B1 (ko) * 2006-01-20 2007-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듀얼 카메라장치 및 듀얼 카메라 기능의 실행 방법
KR100769725B1 (ko) * 2006-09-25 2007-10-23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KR100916581B1 (ko) * 2008-02-13 2009-09-11 옵틱스 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5827915A (zh) * 2016-04-22 2016-08-03 上海青橙实业有限公司 摄像头装置及移动终端
CN109691069A (zh) * 2018-09-17 2019-04-2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屏下光学检测系统、电子设备及物体接近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5653B1 (ko) 200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02B1 (ko)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JP4084367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振れ補正装置
JP4053444B2 (ja) 携帯可能な多機能電子機器
US20030036365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JP2004032024A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2008507936A (ja) 光学ズーム機能が可能な携帯用端末器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00132986A (ko) 이동 단말기
KR100645653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US20080100719A1 (en) Electronic device
JP4571780B2 (ja) カメラが備えられた移動端末機
CN100488211C (zh) 便携式通讯装置
KR20030089359A (ko)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CN115695969A (zh) 摄像装置
KR100605895B1 (ko) 휴대폰의 잭 타입 렌즈 모듈
JP2005006262A (ja) カメラ付折畳み式携帯機器
KR20060116095A (ko) 복합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4153670A (ja) 携帯機器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CN108833747A (zh) 摄像组件、电子设备和拍摄方法
JP2007292865A (ja) レンズ保護装置
KR20050072880A (ko)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3372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JP4241565B2 (ja) 撮像装置及びヒンジユニット
KR20090004353U (ko) 일체형 듀얼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