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3725A - 듀얼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3725A
KR20100033725A KR1020080092730A KR20080092730A KR20100033725A KR 20100033725 A KR20100033725 A KR 20100033725A KR 1020080092730 A KR1020080092730 A KR 1020080092730A KR 20080092730 A KR20080092730 A KR 20080092730A KR 20100033725 A KR20100033725 A KR 20100033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substrate
shield
dual
du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862B1 (ko
Inventor
이국형
김용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8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듀얼 카메라 모듈은,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카메라모듈; 상기 제1 기판의 배면에 설치된 쉴드캔; 상기 제1 기판의 일측으로 연성부를 통해 절접 가능하게 연장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제2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며, 카메라 모듈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영상 통신용 카메라 모듈의 위치 결정과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쉴드캔이 기판 배면의 그라운드와 접지됨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EMI 차폐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기판, 연성부, 카메라모듈, 쉴드캔, 듀얼, 차폐

Description

듀얼 카메라 모듈{Dual camera module}
본 발명은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영상 통신용 카메라 모듈이 기판의 배면에 설치된 쉴드캔(shield can)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조립 성능이 향상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의 기능이 추가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으며, 30만 화소(VGA급, QCIF급)에서 현재 수백만 화소 이상의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의 구현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와이브로 칩의 탑재에 의해서 파일 전송이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됨에 따라 화상 통화가 가능해 졌으며, 이에 따라 화상 통화를 위한 동영상 촬영과 정지 화상 촬영이 가능한 듀얼 카메라(DUAL CAMERA)의 중요성 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듀얼 카메라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1.3 메가(MEGA) 이상의 고화소 카메라는 정지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고, VGA급 이하의 저화소 카메라는 화상 통화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의 가격이 저가격화 시대로 이끌어져 가고 있는 가운데, 두 개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함에 있어서 그 비용 상승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고화소 촬영 기능과 일반 화상용 촬영 기능을 병합한 카메라의 사용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한 쌍의 연성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저화소 카메라 모듈과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탑재하거나, 하나의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저화소 카메라 모듈과 고화소 카메라 모듈을 동시에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탑재하여 서로 다른 신호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단말기 자체의 슬림화 및 소형화가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힌지 타입(HINGE TYPE)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단일 카메라를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091955호 및 제2004-0094133호 등), 이러한 타입의 카메라 모듈은 힌지의 실장을 위한 기구적인 제약을 받고 또한 수동전환의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화상 카메라의 특성상 LCD 창에 근접한 위치에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도록 위치시켜야만 화상 통화시 상대방의 시선에 많이 어긋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바, 일반적인 힌지 타입은 카메라 모듈의 장착 구조의 제약에 의해서 시선 처리가 다소 어려운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화소 또는 동일한 화소를 가지는 한 쌍의 카메라 모듈(1)이 그 입사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됨에 있어, 도 1과 같이 전원 연결용 커넥터(3)가 장착된 하나의 기판(2) 상에 카메라 모듈(1)이 그 입사부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듀얼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하나의 기판(2)상에 부착된 두 개의 카메라 모듈(1)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하여 주로 SADDR 단자를 이용한 마스터(Master), 슬레이브(Slave)로 구분되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마스터측 카메라 모듈(1)이 온(ON) 상태일 때는 슬레이브측 카메라 모듈(1)은 오프(OFF)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마스터측 카메라 모듈(1)이 오프일 때는 그 반대의 상태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조가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 장착 구조의 경우에는 각각의 커넥터(3)를 가지고 본체내의 메인기판 상에 각 기판(2)이 결합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써, 각각의 커넥터(3)를 통해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인에이블(Enable) 단자를 이용하여 각 카메라 모듈(1)의 구동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형태의 듀얼 카메라 모듈도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적절 한 위치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고, 각 카메라 모듈(1)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는 인에이블 단자가 구비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듀얼 카메라 모듈에서 제기되고 있는 상기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판의 양면에 한 쌍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됨에 있어 기판의 배면에 설치된 쉴드 캔에 의해 영상 통신용 카메라 모듈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한 쌍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카메라 모듈의 광축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듀얼 카메라 모듈이 제공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제1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카메라모듈과, 상기 제1 기판의 배면에 설치된 쉴드캔과, 상기 제1 기판의 일측으로 연성부를 통해 절접 가능하게 연장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제2 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이 제공됨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제1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일측으로 연성부를 통해 연결된 제2 기판이 연장 형성되며, 제1 기판의 타측으로 외부 기기 연결을 위한 커넥터 실장용 기판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기판 상에는 제2 카메라모듈이 장착되며,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연결하는 연성부의 절첩에 의해서 상기 제1 기판에 실장된 제1 카메라모듈의 반대편에 제2 카메라모듈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제1 기판에 설치된 쉴드캔은 일측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이루고, 상부는 일부가 개구된 개구홈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개구홈의 내측면은 소정의 원호상 곡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기판에서 연장된 제2 기판이 연성부의 절첩에 의해서 제1 기판의 배면측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2 기판에 장착된 제2 카메라모듈이 상기 쉴드캔의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 카메라모듈에 장착된 하우징의 상단부 외주면은 상기 쉴드캔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홈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듀얼 카메라 모듈은 기판의 배면에 고정된 쉴드캔에 영상 통신용 카메라 모듈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틀어짐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영상 통신용 카메라 모듈의 위치 결정과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쉴드캔이 기판 배면의 그라운드와 접지됨에 따라 카메라모듈의 EMI 차폐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조립 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조립 후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듀얼 카메라 모듈(100)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성부(111)가 연장 형성된 제1 기판(110)과, 상기 제1 기판(110)의 양면에 장착된 제1 카메라모듈(120) 및 쉴드캔(130)과, 상기 제1 기판(110)에서 연장된 연성부(111)에 결합된 제2 기판(112)에 실장된 제2 카메라모듈(1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기판(110)은 일면에 회로 패턴과 다수의 패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며, 일측 또는 양측부에 하나 이상의 연성부(111)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10)에서 연장된 연성부(111)의 단부측에는 제2 기판(112)과 커넥터 실장용 기판(113)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기판(112)의 상면에는 제2 카메라모듈(140)이 실장된다.
상기 제1 기판(110)에는 일면에 제1 카메라모듈(120)이 조립되고, 상기 제1 기판(110)의 타면에는 금속 재질로 구성된 쉴드캔(130)이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카메라모듈(120)은 주로 정지 화상이 촬영되는 고화소의 메가(mega)급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는 바, 상기 제1 기판(110) 상에 다수의 렌즈가 결합된 렌즈배럴과 하우징이 결합되어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과 렌즈배럴의 외측에 전자파 자단을 위한 금속 재질의 쉴드캔(121)이 복개되어 외부 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전자파의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판(110)의 타면에 설치된 쉴드캔(130)은 일측부가 개방된 개구부(131)를 가지며, 상부에 상기 개구부(131)로 트인 구조의 개구홈(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구홈(132)의 내측에는 원호상 곡면(133)이 형성되며, 상기 쉴드캔(130)은 제1 기판(110)의 배면에 형성된 그라운드(도면 미도시)와 접지되어 차폐 수단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기판(110)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111)의 단부측에는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제2 기판(112)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기판(112) 상에 제2 카메라모듈(140)이 장착된다.
상기 제1 기판(110)과 연성부(111)를 통해 연결된 제2 기판(112)은 상기 연성부(111)의 절곡에 의해서 상기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12)의 배면이 맞닿도록 절첩되며, 상기 연성부(111)의 절첩에 의해서 도 2와 같은 형태로 듀얼 카메라 모듈(100)이 조립된다.
이때, 상기 제1 기판(110)에 고정된 쉴드캔(130)의 개구부(131)를 통해 제2 기판(112)에 결합된 제2 카메라모듈(140)이 삽입되며, 상기 쉴드캔(130)의 상부 개구홈(132)을 통해 제2 카메라모듈(140)의 렌즈배럴(142)이 상부로 돌출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카메라모듈(140)을 구성하는 하우징(141)의 상단부는 그 원주면이 개구홈(132)의 곡면 내측면과 밀착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2 카메라모듈(140)이 쉴드캔(130)의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2 카메라모듈(140)을 제1 카메라모듈(120)의 반대편의 제1 기판(110) 상에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 카메라모듈(140)의 하우징(141) 상단부가 가지는 원주면의 곡률과 상기 쉴드캔(130)의 개구홈(132)에 형성된 원호상 곡면(133)의 곡률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홈(132)의 원호상 곡면(133)에 제2 카메라모듈(140)의 하우징(141) 상단부가 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듀얼 카메라 모듈(100)은 상기 제1 카메라모듈(120)과 제2 카메라모듈(140)이 고화소의 메가(mega)급 카메라모듈과 저화소의 VGA급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는 데, 제1 카메라모듈(120)을 통해 카메라 고유 기능의 정지 화상이 주로 촬영되고, 제2 카메라모듈(140)을 통해 영상 통신시의 동영상 촬영이 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카메라모듈(120)과 제2 카메라모듈(140)의 결합 위치는 아래 도시된 도면을 비롯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일정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기판(110)의 양면에 위치하되, 제1 기판(110)에 제1, 제2 카메라모듈(120)(140)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모듈이 쉴드캔(130)을 통해 고정되도록 하는 것만으로 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듀얼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조립 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조립 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카메라 모듈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제1 기판 111. 연성부
112. 제2 기판 120. 제1 카메라모듈
130. 쉴드캔 140. 제2 카메라모듈

Claims (10)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1 카메라모듈;
    상기 제1 기판의 배면에 설치된 쉴드캔;
    상기 제1 기판의 일측으로 연성부를 통해 절접 가능하게 연장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제2 카메라모듈;
    을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된 듀얼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성부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성부의 단부측에 제2 기판과 커넥터 실장용 기판이 연결된 듀얼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모듈은, 고화소의 메가(mega)급 카메라 모듈로 구성된 듀얼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은, 저화소의 VGA급 카메라 모듈로 구성된 듀얼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캔은, 일측부가 개방된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의 상부로 일부가 개방된 개구홈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홈의 내측면은 원호상 곡면으로 형성된 듀얼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캔은, 상기 제1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그라운드와 접지되어 차폐 수단으로 구성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의 내측면에 형성된 원호상 곡면은,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의 하우징 상단부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로 이루어진 듀얼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서 연장된 상기 연성부를 통해 제2 기판이 절첩되어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배면이 맞닿아 상기 제1 카메라모듈과 제2 카메라모듈이 상기 제1 기판의 반대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기판의 쉴드캔 내부로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이 삽입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홈의 원호상 곡면 내측면에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의 하우징 상단부의 외주면이 밀착되는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0080092730A 2008-09-22 2008-09-22 듀얼 카메라 모듈 KR10095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30A KR100959862B1 (ko) 2008-09-22 2008-09-22 듀얼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730A KR100959862B1 (ko) 2008-09-22 2008-09-22 듀얼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725A true KR20100033725A (ko) 2010-03-31
KR100959862B1 KR100959862B1 (ko) 2010-05-27

Family

ID=4218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730A KR100959862B1 (ko) 2008-09-22 2008-09-22 듀얼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388B1 (ko) * 2013-01-16 2014-09-17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464321B1 (ko) * 2015-07-15 2022-1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0693B2 (ja) 2001-03-15 2004-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645653B1 (ko) 2004-05-31 2006-11-15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JP2007306387A (ja) 2006-05-12 2007-11-22 Terrasem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7524B1 (ko) 2007-07-23 2008-11-06 삼성전기주식회사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862B1 (ko) 201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0096B2 (ja)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CN100583953C (zh) 摄像装置
KR100600201B1 (ko) 카메라 장치, 전자 장치 및 그의 화상 처리 방법
US20080186397A1 (en) Mobile Phone Camera Module With Optical Zoom
CN110324465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装配方法
EP1613026A1 (en) Portable terminal
KR100959862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0645653B1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어장치
KR100769725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WO2006028041A1 (ja) 携帯機器
CN213028679U (zh) 摄像电路板以及摄像模组
CN215344793U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20050072880A (ko)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4229049A (ja)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
KR20050109379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의 에프피시비
JP2004153670A (ja) 携帯機器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KR101153511B1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KR1010491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06352A (ko) 영상경로 전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다경로 영상 처리방법
KR101071821B1 (ko) 카메라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구조
KR20050023687A (ko) 미러를 이용한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95035B1 (ko) 카메라 장치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0072152A (ko) 양방향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03573U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