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925A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925A
KR20040101925A KR1020040037176A KR20040037176A KR20040101925A KR 20040101925 A KR20040101925 A KR 20040101925A KR 1020040037176 A KR1020040037176 A KR 1020040037176A KR 20040037176 A KR20040037176 A KR 20040037176A KR 20040101925 A KR20040101925 A KR 2004010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optical axis
operator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3491B1 (ko
Inventor
오다히로후미
이마이기미아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7/14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camera and display on the same optical axis, e.g. optically multiplexing the camera and display for eye to eye contac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6Heatsink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CB

Abstract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는 제1 및 제2 몸체(1a, 1b),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 및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주표시부(3a)를 갖는다. 카메라(2) 및 주표시부(3a)는 제1 몸체(1a)의 동일 표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제1 몸체(1a)에 고정된다. 이로써, 자연스러운 자세에서 영상 촬영을 하게 하고 생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고 조밀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IMAGE PICK-UP DEVICE}
본 출원은 2003년 5월 26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147669호에 기초하며, 이는 본원에서 전체적으로 참조되었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를 구비하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많은 종류의 휴대용 통신 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90793호는 촬상 렌즈 및 화상 표시부가 동일 평면 상에 배열되어, 작동자가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면서 라인의 다른 끝에 있는 일행 또는 사람의 영상을 볼 수 있으며 또한 멀리 있는 물체의 영상을 촬영할 때 파인더를 통해 시야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11835호는 본체가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되고, 카메라가 제2 몸체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 작동자가 액정 표시부의 스크린을 보면서 액정 표시부의 후방 측면 상의 물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카메라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85589호는 작동자가 단지 통상의 대화를 위해 휴대 전화를 사용할 때 카메라가 외부로 노출된 위치로부터 멀리 회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작동자의 얼굴 또는 귀와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렌즈의 얼룩 및 손상을 방지하는 구조를 개시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1-95865호는 노트북 컴퓨터의 형태를 취한 전자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상부에 부착된 카메라의 광축은 표시 패널의 기울임 각도가 변화되더라도 항상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90793호에 따르면, 카메라의 광축은 카메라를 보유하는 몸체의 표면에 대해 대체로 직교한다. 그러므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줄의 다른 끝에 있는 일행의 화상을 보기 위해서, 작동자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를 작동자의 눈에 정렬된 높은 위치에 (즉, 작동자의 시선 상의 위치에) 유지해야 하고, 또한 표시 스크린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해야 하므로, 작동자는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11835호, 제2002-185589호, 및 제11-95865호에 개시된 각각의 구조는 카메라가 회전 가능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는 부자연스러운 자세와 관련된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한다. 그러나, 카메라를 위한 회전 구조물 또는 메커니즘은 부품 개수 및 조립 단계를 증가시켜서 제작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회전 메커니즘은 점유 공간을 증가시켜서 제품의 콤팩트한 구조를 달성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관점에서 개발되었고, 본 발명의 특징은 제품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제품의 콤팩트한 구조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본체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며 카메라와 동일한 측면 상에서 본체의 표면에 배열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카메라의 광축이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본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의 광축의 방향이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르므로, 작동자가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다. 특히, 작동자가 작동자의 얼굴을 똑바로 정면을 향하더라도, 본체를 수직으로 (즉, 지표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고, 작동자가 표시 스크린 상의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확인하거나 보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작동자는 표시 표면 또는 스크린의 하부가 작동자를 향해 그의 상부에 대해 이동되도록 기울어진 용이한 위치에 본체를 유지할 수 있다.
카메라의 광축이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카메라가 본체에 고정되므로,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메커니즘은 카메라의 광축의 방향을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이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회전 메커니즘의 부품 개수 및 조립 단계의 증가로 인한 제품의 비용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촬상 장치는 콤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카메라는 표시 장치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 상에 배열될 수도 있고, 카메라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카메라의 광축이 작동자의 얼굴의 전면을 향하면, 표시 장치는 기울어져서 그의 하부를 작동자를 향해 이동시키고, 작동자는 표시부를 볼 때 표시부를 기울어진 용이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카메라는 표시 장치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카메라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작동자는 표시 스크린을 볼 때 촬상 장치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켜서 장치를 수평 또는 풍경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작동자가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작동자는 작동자가 표시 스크린 상에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확인하면서 수평 위치에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전술한 촬상 장치에서, 표시 장치는 본체의 대향 표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된 주표시부이다. 촬상 장치는 본체의 다른 표면 상에 배열된 부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카메라 및 주표시부는 본체의 대향 측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작동자는 주표시부의 표시 스크린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는 본체의 대향 표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된 주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본체의 다른 표면 상에 배열된 부표시부이고, 카메라 및 부표시부는 본체의 다른 표면 상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작동자는 부표시부의 표시 스크린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의 구조를 갖고, 카메라 및 표시 장치는 제1 몸체 상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폴더형 타입의 촬상 장치는 작동자가 표시 스크린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표시 장치는 제1 몸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는 제2 몸체 상에 배열된다.
이에 의해, 폴더형 타입의 촬상 장치는 작동자가 표시 스크린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본체는 단일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해, 단일 몸체를 갖는 직선 타입의 촬상 장치는 작동자가 표시 스크린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는 본체 상에 배열된 추가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카메라는 제1 및 제2 몸체 중 하나 상에 배열되고, 추가의 카메라는 제1 및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 상에 배열된다.
두 개의 카메라가 채용되므로, 작동자는 표시 스크린을 보면서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더 용이한 위치에서의 작동을 위해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촬상 장치의 수직(인물) 위치 및 수평(풍경)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작동자는 표시 스크린을 보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는 본체 상에 배열된 추가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카메라 및 추가의 카메라는 제1 및 제2 몸체 중 하나 상에 배열된다.
두 개의 카메라가 채용되므로, 작동자는 표시 스크린을 보면서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에서의 작동을 위해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다. 촬상 장치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작동자는 표시 스크린을 보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카메라 및 추가의 카메라는 각각 제1 및 제2 몸체 중 하나의 다른 표면들 상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추가의 카메라는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광축을 갖고, 카메라는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의 광축을 갖는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카메라 및 추가의 카메라는 모두 몸체들 중 하나의 동일 측면 상에 배열된다.
선택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촬상 장치에서, 카메라 및 추가의 카메라 중 하나는 표시 장치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며,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 광축을 갖는다. 카메라 및 추가의 카메라 중 다른 하나는 표시 장치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며,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 광축을 갖는다.
이에 의해, 촬상 장치의 수직 위치 및 수평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서, 작동자는 표시 스크린을 보면서 카메라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촬영할 때 용이한위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태양,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a 및 도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제1 몸체의 특정 부분이 절결된) 측면도이다.
도2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도3a 및 도3b는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제1 몸체의 특정 부분이 절결된) 측면도이다.
도4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3a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5a, 도5b, 및 도5c는 각각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제1 몸체의 특정 부분이 절결된)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6은 도5a, 도5b, 및 도5c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제1 몸체의 특정 부분이 절결된도면이다.
도7a, 도7b, 및 도7c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제1 몸체의 특정 부분이 절결된) 측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8은 도7a, 도7b, 및 도7c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도7a의 선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a 및 도9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10은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a 및 도11b는 각각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a 및 도11b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도11a의 선 XII-XII을 따라 취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a, 도13b, 및 도13c는 각각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단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14는 도13a, 도13b, 및 도13c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a, 도15b, 및 도15c는 각각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단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16은 도15a, 도15b, 및 도15c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도15C의 선 XVI-XVI을 따라 취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a 및 도17b는 각각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18은 도17a 및 도17b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a 및 도19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20은 도19a 및 도19b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도19a의 선 XX-XX을 따라 취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1a, 도21b, 및 도21c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단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22는 도21a, 도21b, 및 도21c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3a, 도23b, 및 도23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단면도, 및 후면도이다.
도24는 도23a, 도23b, 및 도23c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도23C의 선 XXIV-XXIV를 따라 취한 단면을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5a 및 도25b는 각각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의 촬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구조를 예시적인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26은 도25a 및 도25b에 도시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의 표시부와 카메라 작동자의 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제1 몸체
1b : 제2 몸체
1c : 제3 몸체
2 : 카메라
3a : 주표시부
3b : 부표시부
4 : 입력 버튼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1a, 도1b, 및 도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는 폴더형 타입이며, 기본적으로 제1 몸체(1a), 제2 몸체(1b), 힌지부(1c), 카메라(2), 주표시부(3a), 부표시부(3b), 및 복수의 입력 버튼(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몸체(1a, 1b)는 힌지부(1c)에 의해 서로 폴더형으로 결합된다. 제1 몸체(1a)는 그의 대향 표면들 중 하나 상에 (즉, 전방 표면 상에)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2) 및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주표시부(3a)를 구비하고, 다른 표면 (즉, 후방 표면) 상에 부표시부(3b)를 구비한다. 복수의 입력 버튼(4)은 제2 몸체(1b)의 표면 상에 배열된다. 제1 및 제2 몸체(1a, 1b)가 접혀서 폐쇄 상태에 도달하면, 카메라(2), 주표시부(3a), 및 복수의 입력 버튼(4)은 내측면 상에 위치되고, 부표시부(3b)는 외측면 상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접힌 상태에서, 작동자는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외측면 상의 부표시부(3b)를 볼 수 있으며, 카메라(2), 주표시부(3a), 및 복수의 입력 버튼(4)은 볼 수 없다. 제1 및 제2 몸체(1a, 1b)가 개방 상태에 있으면, 제1 및 제2 몸체(1a, 1b)는 약 160°의 각도(δ1)를 형성한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주표시부(3a)의 표시 스크린 또는 표면 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몸체(1a)에 고정된다. 카메라(2)의 광축은 제2 몸체(1b)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는 도1a 및 도1B의 주표시부(3a)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도1a 및 도1b의 상부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도1a 및 도1b의 하부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측면을 향한 카메라(2)의 광축의 기울임은 카메라(2)의 광축 상의 위치가 카메라(2)로부터 멀리 이동함에 따라 다른 측면을 향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메라(2)의 광축은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즉,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5 내지 10°의 각도(θ1)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제2 몸체(1b)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5 내지 10°의 각도(θ1)만큼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2)가 제1 몸체(1a)에 대해 고정된 기울임 각도(θ1)를 유지하도록 제1 몸체(1a)에 고정되므로, 작동자가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다. 특히, 작동자가 그의 얼굴을 똑바로 전방을 향하더라도, 제1 몸체(1a)를 수직으로 (즉, 지표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고, 작동자는 주표시부(3a)의 상부를 작동자를 향해 하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제1 몸체(1a)를 기울일 수 있다. 이러한 기울어진 위치는 작동자가 작동자의 팔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작동자에게용이하다. 이러한 용이한 위치에서, 작동자는 주표시부(3a)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거나 보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2)의 광축이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카메라(2)가 제1 몸체(1a)에 고정되므로, 카메라(2)의 광축을 주표시부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이기 위한 카메라 회전 메커니즘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회전 메커니즘의 부품 개수 및 조립 단계의 증가를 방지하고, 따라서 제품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콤팩트한 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각도(θ1)가 5°보다 더 작으면, 카메라(2)의 광축을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임으로써 달성되도록 의도된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각도(θ1)가 10°를 초과하면, 카메라(2)의 광축은 카메라(2)에 더 근접한 위치에서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과 교차하여, 가능하게는 작동자가 주표시부(3a)를 보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작동자의 얼굴은 주표시부(3a)의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3a, 도3b, 및 도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의 광축의 기울임 방향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제1 몸체(1a)에 고정된다. 특히, 카메라(2)는 주표시부(3a)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3a의 좌측 및 우측 측면) 중 하나(도3a의 우측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중심선(C-C)은 주표시부(3a)가 복수의 입력 버튼(4)에 대해 정렬되는 긴 측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짧은 측면의 중심을 실질적으로 통과하는 선을 나타낸다.
특히, 카메라(2)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C)의 우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가 도3a의 중심선(C-C)의 좌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4의 우측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5 내지 10°의 각도(θ2)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5 내지 10°의 각도(θ2)로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이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그러므로, 작동자가 도3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화살표(A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써 또는 화살표(A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를 수평 또는 풍경 위치에 유지할 때, 작동자는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하지 않고서 카메라(2)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작동자가 그의 얼굴을 똑바로 전방을 향하더라도, 제1 몸체(1a)를 수직으로 (즉, 지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고, 작동자는 주표시부(3a)의 상부를 작동자를 향해 하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제1 몸체(1a)를 기울일 수 있다. 이러한 기울어진 위치는 작동자가 작동자의 팔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작동자에게 용이하다. 이러한 용이한 위치에서, 작동자는 주표시부(3a)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2)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C)의 우측에 배열되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는 화살표(A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되어 수평 위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작동자는 주표시부(3a)의 하단부(3a1)가 작동자를 향해 이동되도록 휴대 장치(10)를 기울어진 용이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용이한 위치에서, 작동자는 주표시부(3a)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2)가 도3a의 중심선(C-C)의 좌측에 배열되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는 화살표(A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되어 수평 위치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작동자는 주표시부(3a)의 하단부(3a2)가 작동자를 향해 이동되도록 휴대 장치(10)를 기울어진 용이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용이한 위치에서, 작동자는 주표시부(3a)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5a, 도5b, 도5c, 및 도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가 제1 몸체(1a)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지 않고 제1 몸체(1a)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제1 몸체(1a)에 고정된다. 카메라(2)의 광축은 제2 몸체(1b)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는 부표시부(3b)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5a, 도5b, 및 도5c의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하나(도5a, 도5b, 및 도5c의 상부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은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10 내지 30°의 각도(θ1)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제2 몸체(1b)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10 내지 30°의 각도(θ1)만큼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이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2)가 일정한 기울임 각도(θ1)를 고정되게 유지하도록 제1 몸체(1a)에 고정되므로, 작동자는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하지 않고서 카메라(2)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동자는 제1 몸체(1a)를 기울여서, 작동자가 그의 팔을 내린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이한 위치에서, 작동자는 부표시부(3b)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각도(θ1)가 10°보다 더 작으면, 카메라(2)의 광축을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임으로써 달성되도록 의도된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는 것이 어렵다. 각도(θ1)가 30°를 초과하면, 카메라(2)의 광축은 카메라에 더 근접한 위치에서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과 교차하여, 가능하게 부표시부(3b)는 작동자가 부표시부(3b)를 보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작동자의 얼굴의 주연부를 표시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도7a, 도7b, 도7c, 및 도8을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가 제1 몸체(1a)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지 않고 제1 몸체(1a)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2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제1 몸체(1a)에 고정된다. 특히, 카메라(2)는 부표시부(3b)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7C의 좌측 및 우측 측면) 중 하나(도7C의 좌측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가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C)의 좌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7C의 우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가 도7C의 중심선(C-C)의 우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7C의 좌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10 내지 30°의 각도(θ2)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10 내지 30°의 각도(θ2)로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이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2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그러므로, 작동자가 도7C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화살표(A1)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써 또는 화살표(A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90°회전시킴으로써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를 수평 위치에 유지할 때, 작동자는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하지 않고서 카메라(2)에 의해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작동자가 그의 얼굴을 똑바로 전방을 향하더라도, 제1 몸체(1a)를 수직으로 (즉, 지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고, 작동자는 부표시부(3b)의 하부를 작동자를 향해 상부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제1 몸체(1a)를 기울일 수 있다. 이러한 기울어진 위치는 작동자가 작동자의 팔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작동자에게 용이하다. 이러한 용이한 위치에서, 작동자는 부표시부(3b)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9a, 도9b, 및 도10을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가 제2 몸체(1b)에 고정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 몸체(1b)에 고정된다. 카메라(2)의 광축은 제1 몸체(1a)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는 주표시부(3a)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도9a 및 도9b의 하부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도9a 및 도9b의 상부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또한, 카메라(2)의 광축은 주표시부(3a)를 향해 제2 몸체(1b)의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5 내지 10°의 각도(θ1)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제1 몸체(1a)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5 내지 10°의 각도(θ1)로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이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11a, 도11b, 및 도12를 참조하면, 제6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의 광축의 기울임 방향에 있어서 제5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제2 몸체(1b)에 고정된다. 특히, 카메라(2)는 주표시부(3a)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11a의 좌측 및 우측 측면) 중 하나(도11a의 좌측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가 도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C)의 우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가 도11a의 중심선(C-C)의 좌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12의 우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5 내지 10°의 각도(θ2)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5 내지 10°의 각도(θ2)로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이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13a, 도13b, 도13c, 및 도14를 참조하면, 제7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가 제2 몸체(1b)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지 않고 제2 몸체(1b)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5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 몸체(1b)에 고정된다. 카메라(2)의 광축은 제1 몸체(1a)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는 부표시부(3b)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도13a, 도13b, 및 도13c의 하부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도13a, 도13b, 및 도13c의 상부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10 내지 30°의 각도(θ1)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제1 몸체(1a) 또는 힌지부(1c)를 향해 10 내지 30°의 각도(θ1)로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5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8 실시예)
도15a, 도15b, 도15c, 및 도16을 참조하면, 제8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가 제2 몸체(1b)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지 않고 제2 몸체(1b)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6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제1 몸체(1a) 상에 고정된다. 특히, 카메라(2)는 부표시부(3b)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도15C의 우측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가 도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C)의 좌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가 도15C의 중심선(C-C)의 우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15C의 좌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10 내지 30°의 각도(θ2)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10 내지 30°의 각도(θ2)로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6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9 실시예)
도17a, 도17b, 및 도18을 참조하면, 제9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는 폴더형 타입이 아닌 본체가 분할되지 않은 직선 타입이고, 단일 몸체로 형성된다.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는 기본적으로 본체(1), 카메라(2), 주표시부(3a), 부표시부(3b), 및 복수의 입력 버튼(4)을 포함한다.
본체(1)는 그의 대향 표면들 중 하나 (즉, 전방 표면) 상에 카메라(2), 주표시부(3a), 및 복수의 입력 버튼(4)을 구비하고, 다른 측면 (즉, 후방 표면) 상에 부표시부(3b)를 구비한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본체(1)에 고정된다. 카메라(2)의 광축은 주표시부(3a) 또는 복수의 입력 버튼(4)을 향해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즉,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는 주표시부(3a)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17a 및 도17b의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하나(도17a 및 도17b의 하부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은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5 내지 10°의 각도(θ1)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주표시부(3a) 또는 복수의 입력 버튼(4)을 향해 5 내지 10°의 각도(θ1)만큼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2)가 본체(1)에 대해 고정된 기울임 각도(θ1)를 유지하도록 본체(1)에 고정되므로, 작동자가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체(1)를 수직으로 유지할 필요가 없고, 작동자는 작동자의 팔이 내려진 용이한 기울어진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이한 위치에서, 작동자는 주표시부(3a)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0 실시예)
도19a, 도19b, 및 도20을 참조하면, 제10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의 광축의 기울임 방향에 있어서 제9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본체(1)에 고정된다. 특히, 카메라(2)는 주표시부(3a)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19a의 좌측 및 우측 측면) 중 하나(도19a의 우측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가 도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C)의 우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가 도19a의 중심선(C-C)의 좌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20의 우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5 내지 10°의 각도(θ2)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5 내지 10°의 각도(θ2)로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이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11 실시예)
도21a, 도21b, 도21c, 및 도22를 참조하면, 제1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가 본체(1)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지 않고 본체(1)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9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본체(1)에 고정된다. 카메라(2)의 광축은 부표시부(3b)를 향해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는 부표시부(3b)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21a, 도21b, 및 도21c의 상부 및 하부 측면) 중 하나(도21a, 도21b, 및 도21c의 하부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은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10 내지 30°의 각도(θ1)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부표시부(3b)를 향해 10 내지 30°의 각도(θ1)만큼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3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12 실시예)
도23a, 도23b, 도23c, 및 도24를 참조하면, 제12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카메라(2)가 본체(1)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지 않고 본체(1)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점에서 제10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는 카메라(2)의 광축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본체(1)에 고정된다. 특히, 카메라(2)는 부표시부(3b)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도23C의 좌측 및 우측 측면) 중 하나(도23C의 우측 측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특히, 카메라(2)가 도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C-C)의 우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23C의 좌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가 도23C의 중심선(C-C)의 좌측에 위치되면, 카메라(2)의 광축은 도23C의 우측 측면을 향해 (즉, 중심선(C-C)을 향해) 기울어진다.
카메라(2)의 광축과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은 10 내지 30°의 각도(θ2)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메라(2)의 광축은 중심선(C-C)을 향해 10 내지 30°의 각도(θ2)로 부표시부(3b)의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 외의 구조는 이미 설명한 제10 실시예의 구조와 대체로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며,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13 실시예)
도25a, 도25b, 및 도26을 참조하면, 제13 실시예의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구조는 두 개의 카메라(2a, 2b)가 배열되며 각각의 카메라(2a, 2b)는 의도된 기울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을 갖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다르다.
카메라(2b)는 제1 몸체(1a)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2a)는 제2 몸체(1b)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2b)의 광축은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향하고, 카메라(2a)의 광축은 제5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25a의 상부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작동자가 주표시부(3a)를 보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작동자는 카메라(2a, 2b)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용이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카메라(2b)의 광축은 주표시부(3a)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할 수 있으며, 카메라(2a)의 광축은 예를 들어 제6 실시예에서 행해지는 바와 같이 도25a에서 측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작동자는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위치 (즉, 수직 및 수평 위치)에 따라 두 개의 카메라를 선택함으로써 용이한 위치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그러한 구조는 제1 몸체(1a)의 대향 표면들 중 하나 (즉, 전방 표면) 상에 배열되고, 카메라들 중 하나의 광축은 제1 실시예에서 행해지는 바와 같이 도25a에서 수직으로 기울어지고, 다른 카메라의 광축은 제2 실시예에서 행해지는 바와 같이 도25a에서 측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러한 구조에서, 두 개의 카메라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선택된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위치 (즉, 수직 및 수평 위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양 카메라는 제1 몸체(1a)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양 카메라는 제2 몸체(1b)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또는 제2 몸체(1b)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 개의 카메라는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10)의 선택된 위치 (즉, 수직 및 수평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두 개의 카메라들 중 하나가 제1 및 제2 몸체(1a, 1b) 중 하나의 일 표면(전방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카메라들 중 다른 하나가 동일한 몸체 (즉, 제1 및 제2 몸체(1a, 1b) 중 상기 하나)의 다른 표면(후방 표면) 상에 배열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전방 및 후방 표면 상의 카메라들 중 하나는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광축을 가질 수 있으며, 카메라들 중 다른 하나는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진 광축을 가질 수 있다.
장치가 두 개의 카메라를 갖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주어졌지만, 장치는 셋 이상의 카메라를 채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복수의 카메라는 폴더형 타입의 장치 내에 채용되며, 복수의 카메라는 직선 타입의 본체 내에 채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폴더형 타입 및 직선 타입의 휴대 전화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플립 타입의 휴대 전화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카메라 내장형 휴대 전화와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휴대 전화에 제한되지 않으며, PDS(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 또는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카메라 내장형 휴대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카메라 및 표시 장치가 동일한 표면 또는 측면 상에 배열된 촬상 장치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광축의 방향은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르다. 그러므로, 작동자는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표시 표면을 작동자의 시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유지하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특히, 작동자가 그의 얼굴을 똑바로 전방을 향하더라도, 몸체를 수직으로 (즉, 지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고, 작동자가 표시 표면 상의 작동자 자신의 화상을 확인하면서 작동자 자신의 영상을 촬영할 때, 표시 표면의 하부가 작동자를 향해 그의 상부에 대해 이동된 기울어진 용이한 위치에 몸체를 유지할 수 있다.
카메라의 광축의 방향이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위치에서 카메라가 몸체에 고정되므로, 카메라의 광축이 표시 표면에 대한 수직선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메커니즘을 채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그러한 회전 메커니즘으로 인한 부품 개수 및 조립 단계의 증가를 방지하고, 따라서 제작 비용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용어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비용을 억제할 수 있고 제품의 콤팩트한 구조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는 촬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0)

  1. 촬상 장치이며,
    본체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카메라와 동일한 측면 상에서 상기 본체의 표면에 배열된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의 광축이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표시 장치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지는 촬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의 측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의 광축은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지는 촬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본체의 대향 표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된 주표시부이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본체의 다른 표면 상에 배열된 부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주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대향 표면들 중 상기 하나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주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대향 표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본체의 다른 표면 상에 배열된 부표시부이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부표시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다른 표면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몸체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몸체 상에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몸체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단일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촬상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배열된 추가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하나 상에 배열되고, 상기 추가의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다른 하나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에 배열된 추가의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서로 폴더형으로 함께 결합된 제1 및 제2 몸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추가의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하나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추가의 카메라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몸체 중 하나의 다른 표면들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카메라는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광축을 갖고,
    상기 카메라는 표시 장치의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의 광축을 갖는 촬상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추가의 카메라는 몸체들 중 상기 하나의 동일 측면 상에 배열되는 촬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추가의 카메라 중 하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며, 상기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 광축을 갖고,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추가의 카메라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표시 장치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며, 상기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다른 측면을 향해 기울어진 광축을 갖는 촬상 장치.
  15. 촬상 장치이며,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제1 측면에 고정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상에 배열된 제1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광축은 상기 표시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촬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의 광축은 상기 제1 및 제2의 수직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다른 하나를 향해 기울어지는 촬상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1 및 제2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하나 상에 배열되고, 상기 카메라의 광축은 상기 제1 및 제2의 측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면들 중 다른 하나를 향해 기울어지는 촬상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제2 측면 상에 제2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주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부표시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장치는 부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장치는 주표시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040037176A 2003-05-26 2004-05-25 촬상 장치 KR1006334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7669A JP2004350206A (ja) 2003-05-26 2003-05-26 撮像機器
JPJP-P-2003-00147669 2003-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925A true KR20040101925A (ko) 2004-12-03
KR100633491B1 KR100633491B1 (ko) 2006-10-16

Family

ID=3312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76A KR100633491B1 (ko) 2003-05-26 2004-05-25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5863B2 (ko)
EP (1) EP1482733B1 (ko)
JP (1) JP2004350206A (ko)
KR (1) KR100633491B1 (ko)
CN (1) CN100377571C (ko)
DE (1) DE60200401856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451B1 (ko) * 2004-10-25 2009-07-13 노키아 코포레이션 비디오/오디오 플러그를 통하여 전자 장치에 연결된 주변장치의 감지, 식별 및 동작
US20060267927A1 (en) * 2005-05-27 2006-11-30 Crenshaw James E User interface controll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08006698A (ja) * 2006-06-29 2008-01-17 Brother Ind Ltd 画像記録装置
TW200937947A (en) * 2008-02-22 2009-09-01 First Int Computer Inc A photographic device
IE86454B1 (en) * 2008-11-18 2014-11-05 Ash Technologies Res Ltd A handheld viewing device
JP5567075B2 (ja) * 2012-08-06 2014-08-06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9995992A (zh) * 2018-01-02 2019-07-09 上海银晨智能识别科技有限公司 图像采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5049A1 (de) * 1992-10-30 1994-05-04 Alcatel SEL Aktiengesellschaft Teilnehmergerät für Bildfernsprechen
JP3183056B2 (ja) * 1994-08-26 2001-07-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撮像装置
JPH10301718A (ja) * 1997-04-30 1998-11-13 Toshiba Corp 情報検出装置
JP3545915B2 (ja) 1997-09-24 2004-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US6259470B1 (en) * 1997-12-18 2001-07-10 Intel Corporation Image capture system having virtual camera
US6812958B1 (en) * 1998-09-10 2004-11-02 Intel Corporation Storable digital camera associated with a computer system
JP4433519B2 (ja) * 1999-08-16 2010-03-1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2001245267A (ja) * 2000-02-28 2001-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ビデオカメラ付き携帯型情報通信端末装置
GB2360161B (en) * 2000-03-10 2004-06-16 Nokia Mobile Phones Ltd Mobile imaging
JP3751197B2 (ja) 2000-10-02 2006-03-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移動体電話機
JP3630096B2 (ja) 2000-11-30 2005-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JP2002185589A (ja) 2000-12-14 2002-06-28 Nec Access Technica Ltd 折畳式携帯電話機
JP2002290793A (ja) * 2001-03-28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付携帯電話器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300454A (ja) * 2001-03-30 2002-10-11 Kyocera Corp 撮像装置
JP2002300550A (ja) * 2001-03-30 2002-10-11 Sanyo Electric Co Ltd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03051872A (ja) * 2001-08-07 2003-02-21 Minolta Co Ltd 携帯型通信装置
JP2003060765A (ja) * 2001-08-16 2003-02-28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WO2003024094A1 (fr) * 2001-09-10 2003-03-20 Nikon Corporation Systeme d'appareil photo numerique, appareil de stockage d'images et appareil photo numerique
JP4313560B2 (ja) * 2001-10-31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
JP2003204377A (ja) * 2001-12-28 2003-07-18 Nec Corp 携帯型電子機器
KR100672095B1 (ko) * 2002-06-26 2007-0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
JP4131805B2 (ja) * 2002-07-24 2008-08-13 富士通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3914855B2 (ja) * 2002-10-15 2007-05-16 パナソニック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KR100480282B1 (ko) * 2002-10-23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성 카메라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4896A (zh) 2005-02-02
CN100377571C (zh) 2008-03-26
US20040239808A1 (en) 2004-12-02
US7605863B2 (en) 2009-10-20
EP1482733A1 (en) 2004-12-01
DE602004018567D1 (de) 2009-02-05
EP1482733B1 (en) 2008-12-24
KR100633491B1 (ko) 2006-10-16
JP2004350206A (ja)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771B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JP4131805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3778490B2 (ja)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US7433722B2 (en) Portable device
KR102435650B1 (ko) 이동 단말기
US20050288075A1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rotating display and camera
JP2007116361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撮像装置
KR100593177B1 (ko) 광학 줌 기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카메라 모듈
KR100633491B1 (ko) 촬상 장치
US20070281749A1 (en) Electronic Imaging Device
JP4371713B2 (ja) カメラ付折畳み式携帯機器
JP2004208176A (ja) 携帯端末機器
JP2004064350A (ja)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JP2002141990A (ja) 携帯テレビ電話機
JP2005275126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の多方向撮影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120703A (ja) 携帯型通信端末機
JP2005057548A (ja) 携帯端末装置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97466B1 (ko) 듀얼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KR1010491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4282624A (ja) 撮像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2005110114A (ja) 携帯機器
JP5637434B2 (ja) 電子機器
JP2004153407A (ja) 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H0425295A (ja) テレビ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