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2771B1 - 폴더형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2771B1
KR100642771B1 KR1020040013308A KR20040013308A KR100642771B1 KR 100642771 B1 KR100642771 B1 KR 100642771B1 KR 1020040013308 A KR1020040013308 A KR 1020040013308A KR 20040013308 A KR20040013308 A KR 20040013308A KR 100642771 B1 KR100642771 B1 KR 10064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ens
unit
optical sens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522A (ko
Inventor
시마노키요하루
에히로마사유키
타니다요시노리
니시다카츠이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화상을 촬상하는 광센서부(113)를 가지는 제1케이싱(100A), 상기 제1케이싱(100A)의 상기 광센서부(113)에 피사체의 화상을 투영하는 렌즈부(122)를 가지는 제2케이싱(100B), 및 상기 제1케이싱(100A)과 상기 제2케이싱(100B)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연결부(100C)가 구비된다. 상기 제1케이싱(100A)과 제2케이싱(100B)이 함께 접힌 상태에서 광센서부(113)와 렌즈부(122)가 서로 중첩되도록, 광센서부(113)와 렌즈부(122)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이 장치를 갖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전화기{FOLDING TYPE PORTABLE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촬영시)에서의 측단면도;
도 2는 상기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열린 상태(통화시)에서의 측단면도;
도 3a∼도 3c는 상기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가 닫힌 상태(촬영시)에서의 측단면도;
도 5는 상기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열린 상태(통화시)에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가 역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가 접힌 상태에서의 측단면도;
도 8a∼도 8e는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외관도; 및
도 9는 또 다른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서는, 렌즈부와 광센서부가 일체로 형성된 카메라 유닛이 취급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에,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표시측에 위치한 제1케이싱과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제2케이싱 중 어느 한쪽에 카메라 유닛이 내장되어 있다.
종래기술의 폴더형 카메라 유닛으로서, 도 8a∼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측 케이싱(A)과 LCD측 케이싱(B)이 피벗부(C)를 통해 서로 피벗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본체측 제2케이싱(A)에만 카메라 유닛(D)이 내장되어 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있다(예를 들면, JP 2002-111834호 참조).
또한, 종래기술의 폴더형 카메라 유닛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A)와 조작부(10B)가 힌지유닛(21)을 통해 서로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카메라 유닛(25)이 표시부(10A)에만 내장되어 있다(예를 들면, JP 2002-185589호 참조).
그러나, 도 8a∼도 8e 및 도 9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카메라 유닛(D)을 갖춘 케이싱의 두께는 렌즈와 광센서부간의 초점거리(약 4㎜)에 의해 설정되므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박형화 요구에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일체로 형성된 카메라 유닛 기구를 가지고 있어, 통상의 촬영, 망원촬영, 접사촬영 등에 따라 렌즈를 교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화에 대처할 수 있는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접사촬영 및 망원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요구에 따른 렌즈의 교체에 대처할 수 있는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화상을 촬상하는 광센서부를 가지는 제1케이싱;
상기 제1케이싱의 상기 광센서부에 피사체의 화상을 투영하는 렌즈부를 가지는 제2케이싱;
및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고, 서로 연결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함께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폴더형 카메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폴더형 카메라장치에 따르면, 장착된 카메라 유닛의 렌즈부와 광센서부를 표시측에 위치한 제1케이싱과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제2케이싱에 분리할 수 있어서, 렌즈부와 광센서부가 서로 일체화된 카메라 유닛을 갖춘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폴더형 카메라장치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박형화에 대처할 수 있다. 렌즈부와 광센서의 조합은 1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조합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렌즈부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광센서부와 상기 렌즈부가 서로 중첩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카메라장치에 따르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접음으로써 광센서부와 렌즈부가 서로 조합되어, 화상을 촬상할 수 있게 하는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렌즈부와 상기 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렌즈부와 광센서부의 광축을 서로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하는 렌즈탈착수단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카메라장치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렌즈부의 렌즈만을 교체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표준렌즈들에 추가하여 다양한 렌즈들을 이용함으로써, 접사촬영 및 망원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부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을 선택하는 렌즈선택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카메라장치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복수의 렌즈부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을 선택함으로써 광학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표준렌즈들에 추가하여 다양한 렌즈들을 이용함으로써, 접사촬영 및 망원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표시측에 위치하는 제1케이싱과 조작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들이 서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된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한쪽이 화상을 촬상하는 광센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다른 한쪽에 상기 광센서부에 피사체의 화상을 투영하는 렌즈부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장착된 카메라 유닛의 렌즈부와 광센서부를 표시측에 위치한 제1케이싱과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제2케이싱내에 분리할 수 있어서, 렌즈부와 광센서부가 서로 일체화된 카메라 유닛을 갖춘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박형화에 대처할 수 있다. 렌즈부와 광센서의 조합은 1조합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 조합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구비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표시측에 위치한 제1케이싱에는 광센서부가,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제2케이싱에는 렌즈부가 구비된다. 그러므로,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접은 상태(휴대전화기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 전화기를 접은 상태)로 함으로써,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의 외측으로 향하는 렌즈부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역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함으로써,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외측으로 향하는 렌즈부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과 상기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렌즈부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광센서부와 상기 렌즈부가 서로 중첩된다.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함께 접은 상태(휴대전화기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 전화기를 접은 상태)에서는, 예를 들면, LCD표시의 표시화면이 손상되지 않도록 전화기가 닫혀있다. 이에 반해,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역방향으로 접은 상태로 함으로써, 카메라를 사용할 때만 표시화면을 전방측으로 노출시켜, 촬영할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화면상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렌즈부와 상기 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렌즈부와 광센서부의 광축을 서로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하는 렌즈탈착수단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카메라장치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렌즈부의 렌즈만을 교체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표준렌즈들에 추가하여 다양한 렌즈들을 이용함으로써, 접사촬영 및 망원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부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을 선택하는 렌즈선택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복수의 렌즈부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을 선택하여 종래기술의 표준렌즈들에 추가하여 다양한 렌즈들을 이용함으로써, 접사촬영 및 망원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상기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함께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렌즈부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광센서부와 상기 렌즈부가 서로 중첩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접은 상태(휴대전화기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 전화기를 접은 상태)에서 서로 중첩하는 광센서부와 렌즈부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접은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둔각으로 열린 상태(obtusely-angled open state, "〈" 형상)보다 본체를 잡은 손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가 서로 더 가까워져 촬영시의 흔들림(blurring)을 줄일 수 있다. 촬영시에 본체를 소형화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촬영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는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 중 상기 광센서부를 가지는 케이싱의 상기 광센서부의 수광측의 반대측에 구비된 서브 표시부(sub-display section)를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광센서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함께 접은 상태에서도,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을 서브 표시부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측에 위치하는 제1케이싱과 조작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들이 서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된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한쪽이 화상을 촬상하는 제1광 센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다른 한쪽이 화상을 촬상하는 제2광센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2광센서부에 투영하는 제2렌즈부를 가지며,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다른 한쪽이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1광센서부에 투영하는 제1렌즈부를 가지는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제공된다.
상기 구성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장착된 카메라 유닛의 렌즈부와 광센서부를 표시측에 위치한 제1케이싱과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제2케이싱에 분리할 수 있어서, 렌즈부와 광센서부가 서로 일체화된 카메라 유닛을 갖춘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비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박형화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두 방향을 향한 카메라를 갖추면서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과 상기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접힌 상태에서,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제1렌즈부를 통해 상기 제1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제1광센서부와 상기 제1렌즈부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제2렌즈부를 통해 상기 제2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제2광센서부와 상기 제2렌즈부가 서로 중첩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접음으로써, 제1광센서부와 제1렌즈부가 서로 조합 되어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제2광센서부와 제2렌즈부가 서로 조합되어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다른 두 방향의 피사체의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1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고,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1렌즈부와 제1광센서부의 광축을 서로 대략 일치시키고,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2렌즈부와 제2광센서부의 광축을 서로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는 제1렌즈 및 상기 제1렌즈를 탈착가능하게 하는 제1렌즈탈착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2렌즈부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탈착가능하게 하는 제2렌즈탈착수단을 가진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제1렌즈부와 제2렌즈부의 렌즈들만을 교체할 수 있다. 종래기술의 표준렌즈들에 부가하여 다양한 렌즈들을 이용함으로써, 접사촬영 및 망원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요구에 대처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상기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접 힌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제1렌즈부를 통해 상기 제1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제1광센서부와 상기 제1렌즈부가 서로 중첩되고,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제2렌즈부를 통해 상기 제2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제2광센서부와 상기 제2렌즈부가 서로 중첩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함께 접힌 상태(휴대전화기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 전화기를 접은 상태)에서 서로 중첩하는 제1광센서부 및 제1렌즈부와 제2광센서부 및 제2렌즈부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둔각으로 열린 상태보다 본체를 잡은 손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가 서로 더 가까워져 촬영시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 촬영시에 본체를 소형화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촬영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전화기는, 상기 제1광센서부 또는 상기 제2광센서부의 케이싱의 수광면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광센서부 또는 상기 제2광센서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을 함께 접은 상태에서도,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서브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고,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한다.
상기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따르면,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1렌즈부와 제1광센서부의 광축 및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제2렌즈부와 제2광센서부의 광축을 서로 대략 일치시킴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카메라장치를 채용한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촬영시)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폴더형 휴대전화기에는, 표시기능을 가지는 제1케이싱(100A), 조작기능을 가진 제2케이싱(100B), 및 상기 제1케이싱(100A)과 제2케이싱(100B)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00C)가 구비되어 있다. 제1케이싱(100A)과 제2케이싱(100B)은 연결부(100C)의 힌지유닛(도시 안됨)을 통해 서로 피벗가능하고 접을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케이싱(100A)의 전면(front surface)측에 LCD 또는 유기EL장치 등을 채용한 표시부(110)가 배치되어 있고, 표시부(110)의 표시화면의 상측(연결부(100C)의 반대측)에 카메라 유닛의 일부를 구성하는 광센서부(11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센서부(113)는 광센서 소자(114)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115) 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렌즈부(122)와 일체로 함으로써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광센서 소자(114)는 촬영되는 피사체로부터 방사된 빛을 렌즈부(122)를 통해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화상데이터 처리소자(115)는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표시용 화상데이터, 저장용 화상데이터, 확대용 화상데이터 등으로 처리하기 위한 소자이다.
한편, 제2케이싱(100B)의 전면(조작패널)측에는 휴대전화기 조작부(121)가 배치되어 있다. 휴대전화기 조작부(121)에는, 도시되지 않은 키 시트(key sheet)와 조작부 기판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케이싱(100B)에는 렌즈부(122)가 배치되어있다. 제2케이싱(100B)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렌즈부(122)의 렌즈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빛은 투과될 수 있다. 제2케이싱(100B)은 배터리를 착탈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부(도시 안됨)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케이싱(100A)의 전면측(표시부(110)를 구비한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100B)의 전면측(휴대전화기 조작부(121)를 구비한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화기를 접은 상태를 순방향(forward)으로 접힌 상태라고 가정한다(도 2 참조).
또한, 제1케이싱(100A)의 배면측(표시부(110)를 구비한 면의 반대면)과 제2케이싱(100B)의 배면측(휴대전화기 조작부(121)를 구비한 면의 반대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전화기를 접은 상태를 역방향으로 접은 상태라고 가정한다(도 1참조).
다음으로, 본 제1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사용 모드를 설명한다.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전화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시부(110)와 휴대전화기 조작부(12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케이싱(100A)과 제2케이싱(100B)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부(100C)를 통해 피벗되게 함으로써, 굽은 형상(dogleg-like profile configuration)인 둔각으로 굽어진다(도 2참조). 그리고 나서, 손에 쥔 휴대전화기 조작부(121)를 조작하면서 표시부(110)의 표시내용을 확인한다.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카메라로서 사용하는 경우, 제1케이싱(100A)과 제2케이싱(100B) 중 적어도 하나를 둔각으로 또는 굽은 형상으로 내측에 위치한 표시부(110)측 및 휴대전화기 조작부(121)측이 외측을 향하도록 제1케이싱(100A)의 배면과 제2케이싱(100B)의 배면이 서로 접하게 될 때까지 연결부(100C)를 통해 피벗되게 함으로써 함께 접는다(역방향으로 함께 접는다). 이렇게 접힌 상태에서, 광센서 소자(114)와 렌즈부(122)가 서로 중첩하도록 광센서 소자(114)와 렌즈부(122)를 배치함으로써, 카메라 유닛으로서 조합된 광센서 소자(114)와 렌즈부(122)에 의해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광센서 소자(114)와 렌즈부(122)는 각각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역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렌즈부(122)를 피사체에 향하게 하고 표시부(110)가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카메라를 잡는다. 표시부(110)에 표시된 피사체의 화상이 소망의 화상인 경우, 제1케이싱(100A)의 배면측에 구비된 카메라 조작부(111)를 조작하여 촬상한다. 그리고 나서, 광센서 소자(114)와 렌즈부(122)에 의해 촬상된 화상데이터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부(도시 안 됨)에 저장된다.
렌즈부(122)는 제2케이싱(100B)에 수납되는 구조이고, 렌즈부(122)의 두께는 제2케이싱(100B)의 원래의 두께보다 얇다. 그러므로, 렌즈부(122)의 두께는 제2케이싱(100B)의 두께 내에 속한다. 그러므로, 도 8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비해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제2케이싱(100B)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비해 표시측에 위치한 제1케이싱(100A)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본 제1실시예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케이싱(100A)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 및 제2케이싱(100B)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100A)과 제2케이싱(100B)을 역방향으로 접음으로써, 카메라 사용 중에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부(110)의 표시화면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부(122)를 제2케이싱(100B)에 대해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탈착수단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렌즈부(122) 및 제2케이싱(100B)에 한 쌍의 나사산을 구성하는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선택수단의 일례로서, 복수의 렌즈부 중에서 선택된 렌즈부만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카메라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망원촬영이나 접사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 용도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둔각 또는 굽은 상태에서 카메라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전화기는 접은 상태에서 카메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 의 둔각으로 열린 상태보다 본체를 잡은 손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가 서로 더욱 가까워져, 촬영시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은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보다 더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어서, 한손으로도 촬영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조작부(111)가 표시화면의 하측에 구비되어 있지만, 표시부(110)의 전면에 터치패널형 스위치를 카메라 조작부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작패널면이 평탄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조작부(111)를 제1케이싱(100A)의 하부측 끝부분(연결부(100C) 부근의 측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손 촬영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광센서부(113)는, 역방향으로 접은 상태에서 렌즈부(122)와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광센서부(113)와 렌즈부(122)는 카메라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본 제1실시예에서, 광센서부(113)는 광센서 소자(114)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115)를 장착기판(116)상에 구비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러나,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를 CMOS 이미지센서의 형태로 1개의 칩내에 집적(일체화)한 경우나,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를 칩 적층 기술에 의해 1개의 소자내에 집적한 경우에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제1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열려있는 상태(통화시)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광센서부 및 렌즈부는 케이싱의 중앙부를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통화 조작에 방해가 되 지 않는다.
도 3a는 본 제1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열려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로서 카메라 유닛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표시부(110)의 표시화면 상측의 제1케이싱(100A) 끝면의 좌단(도 3a의 전면의 좌상측) 부근에는 안테나(도시 안됨)가 구비된다. 표시부(110)의 표시화면 하측의 케이싱 끝면의 좌단 부근에는 셔터 조작이나 조작모드 설정 등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111)가 구비된다.
도 3b는 본 제 1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닫혀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로서 카메라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c는 도 3b에 도시된 닫혀있는 상태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카메라 유닛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폴더형 카메라장치를 채용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닫혀있는 상태(촬영시)의 측단면도이다.
닫혀있는 상태라 함은 전화기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 메인 LCD와 키패드(keypad)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전화기를 순방향으로 접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조작기능을 가진 제1케이싱(200A), 표시기능을 가진 제2케이싱(200B), 및 제1케이싱(200A)과 제2케이싱(200B)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200C)를 구비하고 있다. 제1케이싱(200A)은 연결부(200C)에 구비된 힌지유닛(도시 안됨)을 통해 제2케이싱(200B)과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케이싱(200A)의 전면측에는 LCD(서브 LCD) 또는 유기EL 등을 채용 한 서브 표시부(210)와 카메라 조작부(211)가 배치되어 있고, 제1케이싱(200A)의 배면측에는 휴대전화기 조작부(221)가 배치되어 있다. 서브 표시부(210)의 표시화면의 상측(연결부(200C)의 반대측)에는 카메라 유닛의 일부를 구성하는 광센서부(213)가 배치되어 있다. 광센서부(213)는 장착기판(216)에 장착된 광센서 소자(214)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215)를 구비하고, 렌즈부(222)와 일체로 함으로써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서브 표시부(210)의 표시화면의 하측(연결부(200C) 부근)에는 셔터 조작이나 조작모드 설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 조작부(211)가 배치되어 있다.
광센서 소자(214)는 피사체로부터 방사된 빛을 렌즈부(222)를 통해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화상데이터 처리소자(215)는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표시용 화상데이터, 저장용 화상데이터, 확대용 화상데이터 등으로 처리하기 위한 소자이다.
또한, 렌즈부(222)는 제2케이싱(200B) 내측에 배치되고, 메인 표시부(212)는 제2케이싱(200B)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케이싱(200B)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렌즈부(200)의 렌즈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22)로부터의 빛 이외의 빛이 광센서부(213)내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제1케이싱(200A)과 제2케이싱(200B)은 완전히 닫혀있을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제2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사용 모드를 설명한다.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전화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제2케이싱(200B)의 메인 표시부(212)측과 제1케이싱(200A)의 휴대전화기 조작부(221)측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케이싱(200A)과 제2케이싱(200B)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부(200C)를 통해 피벗되게 함으로써 굽은 형상으로 둔각으로 굽혀있다(순방향으로 굽혀진다). 그리고 나서, 손에 쥔 휴대전화기 조작부(221)를 조작하면서 표시부(212)의 표시내용을 확인한다.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카메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케이싱(200B)의 메인 표시부(212)와 제1케이싱(200A)의 휴대전화기 조작부(221)가 서로 마주보도록 본체를 완전히 함께 접고(순방향으로 완전히 함께 접음), 렌즈부(222)를 피사체에 향하게 하고 서브 표시부(210)가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를 잡는다. 서브 표시부(210)에 표시된 피사체의 화상이 소망의 화상인 경우에는, 제1케이싱(200A)의 배면측에 구비된 카메라 조작부(211)를 조작하여 화상을 촬상한다. 그리고 나서, 그렇게 촬상된 화상은 폴더형 휴대전화기 내부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부(도시 안됨)에 저장된다.
렌즈부(222)는 제2케이싱(200B)에 수납되는 구조이고, 렌즈부(222)의 두께가 제2케이싱(200B)의 원래의 두께보다 얇다. 그러므로, 렌즈부(222)의 두께는 제2케이싱(200B)의 두께 내에 속한다. 그러므로, 도 9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비해 표시측에 위치한 제2케이싱(200B)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비해 조작패널측에 위치한 제1케이싱(200A)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더 얇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부(222)를 제2케이싱(200B)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탈착수단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렌즈부(222) 및 제2케이싱(200B)에 한 쌍의 나사산을 구성하는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선택수단의 일례로서, 복수의 렌즈부 중에서 선택된 렌즈부만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카메라 성능을 변경할 수 있는 기구를 제2케이싱(200B)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망원촬영, 접사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 용도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카메라를 둔각으로 또는 굽은 상태로 카메라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전화기는 접은 상태(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카메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둔각으로 굽혀져 열린 상태보다 본체를 잡은 손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가 서로 더욱 가까워져, 촬영시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은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보다 소형화가 가능해져, 한손으로도 촬영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조작부(211)를 표시화면의 하측에 구비했지만, 서브 표시부(210)의 표면에 터치패널형 스위치를 카메라 조작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작패널이 평탄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조작부(211)를 제1케이싱(200A)의 하부측 끝부분(연결부(200C) 부근의 측면)에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손 촬영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광센서부(213)는 순방향으로 접힌 상태에서 렌즈부(222)와 광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광센서부(213)와 렌즈부(222)가 카메라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광센서부와 렌즈부를 조합시켜 각각의 광축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싱(200A)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200B)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200A)과 제2케이싱(200B)이 함께 접힌 상태인 경우에도, 촬영할 피사체의 화상을 서브 표시부(210)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부(213)는 광센서 소자(214)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215)를 장착기판(216)상에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를 CMOS 이미지센서의 형태로 1개의 칩내에 집적한 경우나,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를 칩 적층 기술에 의해 1개의 소자내에 집적한 경우에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역방향으로 접힌 상태(닫힌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역방향으로 접힌 상태(닫힌 상태)라 함은, 메인 LCD와 휴대전화기 조작부(키패드)를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전화기가 닫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표시부(312)(메인 LCD)와 카메라 조작부(311)를 가진 제1케이싱(300A), 휴대전화기 조작부(321)(키패드)를 가진 제2케이싱(300B), 및 제1케이싱(300A)과 제2케이싱(300B)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00C)를 구비하고 있다. 제1케이싱(300A)은 연결부(300C)에 구비된 힌지유닛(도시 안됨)을 통해 제2케이싱(300B)과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표시부(312)(메인 LCD)가 제1케이싱(300A)의 전면측에 배치되고, 표시부(312)의 표시화면의 상측(연결부(300C)의 반대측)에 제2렌즈부(322B)가 배치되며, 표시부(312)의 표시화면의 하측(연결부(300C)측)에 제1광센서부(313A)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2케이싱(300B)에 있어서는, 휴대전화기 조작부(321)의 상측(연결부(300C)측)에 제1렌즈부(322A)가 배치되고, 휴대전화기 조작부(321)의 하측(연결부(300C)의 반대측)에 제2광센서부(313B)가 배치되어 있다.
제1광센서부(313A)는 제1광센서 소자(314A)와 제1화상데이터 처리소자(315A)를 구비하고, 제1렌즈부(322A)와 일체가 됨으로써 제1카메라(301)로서 기능한다. 또한, 3제2광센서부(313B)는 제2광센서 소자(314B)와 제2화상데이터 처리소자(315B)를 구비하고, 제2렌즈부(322B)와 일체가 됨으로써 제2카메라(302)로서 기능한다. 표시부(312)의 표시화면의 하측(연결부(300C) 부근)에 셔터조작이나 조작모드 설정 등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311)가 구비되어 있다.
제1 및 제2광센서 소자(314A, 314B)는 촬영되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각각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1 및 제2화상데이터 처리소자(315A, 315B)는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표시용 화상데이터, 저장용 화상데이터, 및 확대용 화상데이터 등으로 화상데이터 처리하기 위한 소자이다.
제1렌즈부(322A)에 있어서, 제2케이싱(300B)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제1렌즈부(322A)의 렌즈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빛이 투과될 수 있다. 제2렌즈부(322B)에 있어서, 제1케이싱(300A)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제2렌즈부(322B)의 렌즈면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렌즈부(322A, 322B)로부터의 빛 이외의 빛이 제1 및 제2광센서부(313A, 313B)내에 도입하는 것을 방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제1케이싱(300A)과 제2케이싱(300B)은 완전히 닫혀있을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본 제3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사용 모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화기는 표시부(312)(메인 LCD)를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접음으로써 제1광센서부(313A)와 제1렌즈부(322A)를 일체로 함으로써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제2광센서부(313B)와 제2렌즈부(322B)를 일체로 함으로써 전화기가 카메라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카메라 조작부(311)를 조작함으로써 제1카메라(301)를 동작상태로 하여 촬영할 피사체에 제1렌즈부(322A)를 향하게 한다. 표시부(312)(메인 LCD)가 사용자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를 잡는다. 표시부(312)(메인 LCD)에 표시된 촬상 화상이 소망의 화상인 경우에는, 제1케이싱(300A)의 배면측에 구비된 카메라 조작부(311)를 조작하여 화상을 촬상한다. 이는 제1카메라(301)를 사용하여 화상을 촬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나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는 휴대전화기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부(도시 안됨)내에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카메라 조작부(311)에 의해 제2카메라(302)를 동작상태로 하여 제2렌즈부(322B)를 촬영될 피사체(이번에는 사용자측)에 향하게 한다. 표시부(312)(메인 LCD)에 표시된 촬상대상이 소망의 화상인 경우, 제1케이싱(300A)의 배면측에 구비된 카메라 조작부(311)를 조작하여 화상을 촬상한다. 이는 제2카 메라(302)를 사용하여 화상을 촬상한다는 의미이다.
제1 및 제2렌즈부(322A, 322B)는 각각 제2케이싱(300B)과 제1케이싱(300A)에 수납되는 구조이고, 제1 및 제2렌즈부(322A, 322B)의 두께는 케이싱부의 원래의 두께보다 크지 않다. 그러므로, 제1렌즈부(322A)의 두께는 제2케이싱(300B)의 두께 내에 속하고, 제2렌즈부(322B)의 두께는 제1케이싱(300A)의 두께 내에 속한다. 그러므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각각의 두께에 비해 케이싱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즉, 다른 두 방향을 향한 카메라를 장착하여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케이싱(300A)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과 제2케이싱(300B)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300A)과 제2케이싱(300B)을 역방향으로 접힌 상태로 함으로써, 제1카메라(301)의 사용 중에 표시부(312)의 표시화면에 촬영될 피사체의 화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및 제2렌즈부(322A, 322B)에 렌즈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하는 제1 및 제2렌즈탈착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및 제2렌즈부(322A, 322B)만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카메라 성능을 변경할 수 있는 렌즈 선택수단의 일례로서의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망원촬영이나 접사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용도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촬영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전화기를 둔각 또는 굽은 상태(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카메라 유닛으로서 사용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전화기는 접힌 상태(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카메라 유닛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둔각 으로 굽은 상태에서 보다 본체를 잡은 손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가 서로 더욱 가까워져, 촬영시의 흔들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힌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보다 더 소형화될 수 있고, 한손으로도 촬영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조작부(311)를 표시화면의 하측(연결부(300C) 부근)에 구비했지만, 표시부(312)의 표면상의 터치 패널형 스위치를 카메라 조작부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작패널면이 평탄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조작부(311)를 제1케이싱 또는 제2케이싱의 하측 끝부분(연결부(300C) 부근의 측면)에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한손 촬영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제1광센서부(313A)는 제1렌즈부(322A)와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중첩배치되어 있어서, 카메라 유닛을 일체적으로 구성한다. 제2광센서부(313B)는 제2렌즈부(322B)와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중첩배치되어 있어서, 카메라 유닛을 일체적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광센서부와 렌즈부를 조합하여 각각의 광축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본 제3실시예에서는, 제1광센서부(313A)는 제1광센서 소자(314A)와 제1화상데이터 처리소자(315A)를 제1장착기판(316A)상에 구비함으로써 구성되고, 제2광센서부(313B)는 제2광센서 소자(314B)와 제2화상데이터 처리소자(315B)를 제2장착기판(316B)상에 구비함으로써 구성된다.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를 CMOS 이미지센서의 형태로 1개의 칩내에 집적한 경우나,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 소자를 칩 적층 기술에 의해 1개의 소자내에 집적한 경우에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가 순방향으로 함께 접힌 상태(닫힌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순방향으로 접힌 상태(닫힌 상태)라 함은 메인 LCD와 휴대전화기 조작부(키패드)를 내측에 두고 전화기가 닫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통화할 때 외에는 순방향으로 접힌 상태(닫힌 상태)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제4실시예의 폴더형 휴대전화기에서는, 제2케이싱(400B)의 전면측에 LCD(서브 LCD) 또는 유기EL 등으로 구성되는 서브 표시부(410)를 배치하고, 카메라를 사용할 때는 상기 서브 LCD를 이용하여 촬영한다.
본 폴더형 휴대전화기는 메인 표시부(412)를 가지는 제1케이싱(400A), 카메라 조작부(411)와 휴대전화기 조작부(421)(키패드)를 가지는 제2케이싱(400B), 및 제1케이싱(400A)과 제2케이싱(400B)을 피벗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400C)를 구비하고 있다. 제2케이싱(400B)은 연결부(400C)에 구비된 힌지유닛(도시 안됨)을 통해 제1케이싱(400A)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케이싱(400B)의 전면측에는 서브 표시부(410)가 배치되고, 서브 표시부(410)의 표시화면의 상측(연결부(400C)의 반대측)에는 제2렌즈부(422B)가 배치되며, 서브 표시부(410)의 하측(연결부(400C)측)에는 제1광센서부(413A)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케이싱(400A)에 있어서, 메인 표시부(412)의 하측(연결부(400C)측)에는 제1렌즈부(422A)가 배치되고, 메인 표시부(412)의 상측(연결부(400C)의 반 대측)에는 제2광센서부(413B)가 배치되어 있다.
제1광센서부(413A)는 제1광센서 소자(414A)와 제1화상데이터 처리소자(415A)를 구비하고, 후술하는 제1렌즈부(422A)와 일체가 됨으로써 제1카메라(401)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렌즈부(422B)는 제2광센서 소자(414B)와 제2화상데이터 처리소자(415B)를 구비하고, 제2광센서부(413B)와 일체가 됨으로써 제2카메라(302)로서 기능한다. 서브 표시부(410)의 표시화면의 하측(연결부(400C) 부근)에는 셔터조작이나 조작모드 설정 등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411)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광센서 소자(414A, 414B)는 촬영되는 피사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1 및 제2화상데이터 처리소자(415A, 415B)는 촬상된 화상데이터를 표시용 화상데이터, 저장용 화상데이터, 확대용 화상데이터 등으로 처리하기 위한 소자이다.
또한, 제1케이싱(400A)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제1렌즈부(422A)의 렌즈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빛이 투과될 수 있다. 제2케이싱(400B)의 전면측 및 배면측에 제2렌즈부(422B)의 렌즈면들 중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킴으로써 빛이 투과될 수 있다. 또한, 렌즈로부터의 빛 이외의 빛이 제2광센서부(413B)내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에, 제1케이싱(400A)과 제2케이싱(400B)은 완전히 닫혀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제1광센서부(413A)는 제1렌즈부(422A)와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중첩배치되어 있어서, 카메라 유닛을 일체적으로 구성한다. 제2광센서부(413B)는 제2렌즈부(422B)와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도록 중첩배치되어 있어서, 카메라 유 닛을 일체적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광센서부와 렌즈부를 조합하여 각각의 광축을 서로 일치시킴으로써, 초점이 맞는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본 제4실시예에 있어서, 제1광센서부(413A)는 제1광센서 소자(414A)와 제1화상데이터 처리소자(415A)를 제1장착기판(416A)상에 구비함으로써 구성되고, 제2광센서부(413B)는 제2광센서 소자(414B)와 제2화상데이터 처리소자(415B)를 제2장착기판(416B)상에 구비함으로써 구성된다.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를 CMOS 이미지센서의 형태로 1개의 칩내에 집적한 경우나, 광센서 소자와 화상데이터 처리소자를 칩 적층 기술에 의해 1개의 소자내에 집적한 경우에는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및 제2렌즈부(422A, 422B)에 렌즈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게 하는 제1 및 제2렌즈탈착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제1 및 제2렌즈부(422A, 422B)만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카메라 성능을 변경할 수 있는 렌즈 선택수단의 일례로서의 기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망원촬영이나 접사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용도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으므로, 촬영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싱(400A)의 표시화면측과 제2케이싱(400B)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1케이싱(400A)과 제2케이싱(400B)을 함께 접은 상태에도, 서브 표시부(410)에 의해 촬영할 피사체의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및 제4실시예에서는, 다른 두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카메라를 갖춘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설명했지만, 2개의 카메라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예를 들면, 입체화상 등을 촬영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폴더형 카메라장치를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적용한 경우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대상장치는 어떠한 폴더형 휴대장치라도 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폴더형 카메라장치는 폴더형 휴대용 게임기, 전자사전, 팜형 퍼스널컴퓨터 등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여러 방법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한 모든 변경은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음의 청구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화에 대처할 수 있는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사촬영 및 망원촬영 등의 다양한 촬영요구에 따른 렌즈의 교체에 대처할 수 있는 폴더형 카메라장치 및 폴더형 휴대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표시측에 위치하는 제1케이싱과 조작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싱들이 서로 접힐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한쪽이 화상을 촬상하는 광센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다른 한쪽에 상기 광센서부에 피사체의 화상을 투영하는 렌즈부가 구비된 폴더형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과 상기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렌즈부를 통해 상기 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광센서부와 상기 렌즈부가 서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렌즈부와 상기 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 및 상기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하는 렌즈탈착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복수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부 중 1개 또는 2개 이상을 선택하는 렌즈선택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2. 삭제
  13. 삭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다른 한쪽이 화상을 촬상하는 제2광센서부를 가지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중 어느 한쪽이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상기 제2광센서부에 투영하는 제2렌즈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의 반대측과 상기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의 반대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제2렌즈부를 통해 상기 제2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제2광센서부와 상기 제2렌즈부가 서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부는 제2렌즈 및 상기 제2렌즈를 탈착가능하게 하는 제2렌즈탈착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표시화면측과 상기 제2케이싱의 조작패널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제1렌즈부를 통해 상기 제1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제1광센서부와 상기 제1렌즈부가 서로 중첩하고,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상기 제2렌즈부를 통해 상기 제2광센서부에 투영되도록 상기 제2광센서부와 상기 제2렌즈부가 서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센서부 또는 상기 제2광센서부의 케이싱의 수광면의 반대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1광센서부 또는 상기 제2광센서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1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고, 상기 접힌 상태에서 서로 중첩된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광센서부의 광축이 서로 대략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20040013308A 2003-02-27 2004-02-27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642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50679A JP2004260676A (ja) 2003-02-27 2003-02-27 折畳式カメラ装置および折畳式携帯電話機
JPJP-P-2003-00050679 2003-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522A KR20040077522A (ko) 2004-09-04
KR100642771B1 true KR100642771B1 (ko) 2006-11-03

Family

ID=3276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308A KR100642771B1 (ko) 2003-02-27 2004-02-27 폴더형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39473B2 (ko)
EP (2) EP1603327B1 (ko)
JP (1) JP2004260676A (ko)
KR (1) KR100642771B1 (ko)
CN (1) CN100347605C (ko)
DE (2) DE60200400303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0896B2 (ja) * 2003-01-16 2008-05-28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
US20040192220A1 (en) * 2003-03-24 2004-09-30 Inventec Appliances Corp. Mechanism for switching cellular phone to digital camera
US20060034601A1 (en) * 2003-04-23 2006-02-16 Tage Andersso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KR100703402B1 (ko) * 2005-03-2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US7556442B2 (en) * 2005-05-24 2009-07-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 smart image-receptor unit
US7724284B2 (en) * 2005-09-29 2010-05-25 Aptina Imaging Corporation Multi-camera system and method having a common processing block
US20070177025A1 (en) * 2006-02-01 2007-08-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minimizing die area and module size for a dual-camera mobile device
US7440121B2 (en) * 2006-09-20 2008-10-21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Optically measuring interior cavities
JP4302745B2 (ja) 2007-02-19 2009-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20090005112A1 (en) * 2007-06-29 200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imaging system configurations for handheld devices
US20090002574A1 (en) * 2007-06-29 200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 system for optical design and an imaging device using an optical element with optical aberrations
US7969469B2 (en) * 2007-11-30 2011-06-28 Omnivision Technologies, Inc. Multiple image sensor system with shared processing
US20120307008A1 (en) * 2011-06-06 2012-12-06 Chicony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cording function
CN103096655A (zh) * 2011-10-31 2013-05-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置镜头固定结构及便携式电子装置
JP2016039472A (ja) * 2014-08-07 2016-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9992394B2 (en) 2015-03-18 2018-06-05 Gopro, Inc. Dual-lens mounting for a spherical camera
US9619137B2 (en) * 2015-03-26 2017-04-11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device touchscreen optimization
US10412281B2 (en) * 2016-06-06 2019-09-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vice with split imaging system
US9986144B2 (en) 2016-06-06 2018-05-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rtable devices with adjustable optical arrangement
US9871954B2 (en) * 2016-06-06 2018-01-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wo part device with camera and mechanical flap
US9942466B2 (en) 2016-06-27 2018-04-10 Google Llc Transparent lens element in convertible base for camera capture pass-through
US9930228B2 (en) 2016-06-29 2018-03-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tractable camera cap
US10462338B2 (en) 2016-06-29 2019-10-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oating camera module
US10488186B2 (en) 2016-06-29 2019-1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lignment detection for split camera
US10542201B2 (en) * 2016-06-29 2020-0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plit-camera autoalignment
US10237461B2 (en) 2017-03-01 2019-03-19 Intel Corporation Dual form factor devices having operative and complementary aligning components
KR20190139011A (ko) * 2018-06-07 2019-1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기기
EP3799686A1 (en) * 2018-07-17 2021-04-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protruding and folding camera system for a portable electrical device
CN109192153A (zh) * 2018-08-31 2019-0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控制方法
US11721712B2 (en) 2018-08-31 2023-08-08 Gopro, Inc. Image capture device
KR20210017549A (ko) * 2019-08-08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726492A (zh) * 2020-06-10 2020-09-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2153255B (zh) * 2020-09-07 2021-12-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KR20220126584A (ko) * 2021-03-09 2022-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 시스템
CN115580672A (zh) * 2022-09-30 2023-01-0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827A (ja) * 1997-05-16 1998-12-04 Sony Corp 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4520009B2 (ja) 2000-10-02 2010-08-04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折り畳み式携帯電話装置
JP3929696B2 (ja) * 2000-12-05 2007-06-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
JP2002185589A (ja) * 2000-12-14 2002-06-28 Nec Access Technica Ltd 折畳式携帯電話機
JP2002271665A (ja) * 2001-03-12 2002-09-20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用レンズカバー
JP2002354082A (ja) * 2001-05-23 2002-12-06 Sharp Corp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3778490B2 (ja) 2001-06-15 2006-05-2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US7106357B2 (en) * 2001-08-27 2006-09-12 Olympus Optical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having camera feature
JP4313560B2 (ja) * 2001-10-31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
JP2003259166A (ja) * 2002-02-28 2003-09-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電話機
US6643457B2 (en) * 2002-03-28 2003-11-04 Wen Ching Chen Simple focusable lens combination of a camer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13308 - 6198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3305A1 (en) 2004-09-01
DE602004003032D1 (de) 2006-12-14
EP1603327B1 (en) 2006-11-02
DE602004003032T2 (de) 2007-05-24
JP2004260676A (ja) 2004-09-16
US20040183935A1 (en) 2004-09-23
CN1525238A (zh) 2004-09-01
DE602004001792T2 (de) 2007-08-16
DE602004001792D1 (de) 2006-09-21
CN100347605C (zh) 2007-11-07
US7139473B2 (en) 2006-11-21
EP1453305B1 (en) 2006-08-09
EP1603327A1 (en) 2005-12-07
KR20040077522A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771B1 (ko) 폴더형 휴대전화기
JP3778490B2 (ja)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US8600438B2 (en) Mobile telephone with camera
KR20040079203A (ko) 휴대용 통신 장치
EP1653713B1 (en) Portable and foldab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507936A (ja) 光学ズーム機能が可能な携帯用端末器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00132986A (ko) 이동 단말기
JP2007116361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及び撮像装置
JP2004247887A (ja) カメラユニット及び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606797B1 (ko) 듀얼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4879758B2 (ja) ポータブル電子装置
JP2002262164A (ja) 撮影機能付電子機器
KR100633491B1 (ko) 촬상 장치
JP4263067B2 (ja) 携帯機器
JP2002141990A (ja) 携帯テレビ電話機
JP2003188953A (ja) 携帯電話装置
JP2005057548A (ja) 携帯端末装置
JP2006195085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2004153407A (ja) カメラ付き携帯機器
JP2005124127A (ja) 携帯機器
JP2002077687A (ja) カメラ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3929829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20040072152A (ko) 양방향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내장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35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173959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