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0377B1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377B1
KR100640377B1 KR1020040014212A KR20040014212A KR100640377B1 KR 100640377 B1 KR100640377 B1 KR 100640377B1 KR 1020040014212 A KR1020040014212 A KR 1020040014212A KR 20040014212 A KR20040014212 A KR 20040014212A KR 100640377 B1 KR100640377 B1 KR 10064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terminal
lens housing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756A (ko
Inventor
박성선
배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4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377B1/ko
Priority to US11/068,860 priority patent/US20050195322A1/en
Priority to CN200510051805XA priority patent/CN1664638A/zh
Priority to EP05004661A priority patent/EP1571807A1/en
Publication of KR2005008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4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with outwardly-movable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8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glacier crampons, mountain climbing ir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부 면에 노출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에 수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노출용 개구가 외부에 노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렌즈 하우징의 노출용 개구를 노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노출용 개구는 렌즈 커버에 의해 폐쇄되므로, 외부의 빛 등에 의해 카메라 소자의 감도 등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단말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 회전, 커버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 및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단말기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라인 A-A'을 따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일부 구성요소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8과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에 다른 형태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말기의 내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1 : 렌즈 하우징
102 : 렌즈 커버 103 : 락킹 수단
104 : 댐핑 수단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기지국, 상대방 사용자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서비스가 상용화된 초기에는 단순한 음성 통화, 단문 송수신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제한되었으나, 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화상통화, 동영상 서비스,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등의 영역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편, 화상통화, 동영상 서비스 등의 확대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필수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카메라 소자 제작 기술의 발달로, 초기에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던 카메라는 30만 화소 급에서 점차 100만 화소 또는 그 이상의 성능을 갖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용 단말기 상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있다. 일반적으로 고정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게 장착되어, 촬영간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화면을 볼 수 있게 된다.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고정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촬영 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어 장착 위치의 제약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성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국내 출원번호 제2001-77653호 (미국 출원공개번호 제2003-109232호) 등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화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소자는 항상 외부의 빛에 노출된 상태이다. 그러나, 100만 화소 급 이상의 카메라 소자는 그 보다 낮은 성능의 카메라 소자에 비해 빛에 민감하기 때문에, 외부의 빛에 항상 노출 된 상태로 유지되면 카메라 소자의 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는 촬영되는 화상의 선명도를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정확한 색상을 구현시키지 못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에 이용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의 빛을 차단함으로써 카메라 소자를 보호할 수 있는 렌즈 커버가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부 면에 노출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에 수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의 타단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감기는 형태로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전 샤프트 상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렌즈 하우징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노출용 개구가 외부에 노출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그의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일단부 면에 노출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 어 상기 본체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렌즈 하우징; 및
적어도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면과 양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게 제공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렌즈 하우징보다 더 회전함으로써 상기 노출용 개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는 본체(10) 및 폴더(2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10) 상에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장착된다.
상기 본체(10)는 전면에 키패드와 송화부(미도시)가 설치되고, 일 측면에는 볼륨 조절키(11), 이어-마이크로 폰 잭(ear-micro phone jack)(1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상기 본체(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후면 상단부에 근접하는 위치에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수용되는 수용홈(19)이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본체(10)의 수용홈(19)에 수용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된 작동 버튼(131)을 누르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10)로부터 돌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폴더(20)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장치(21)와 수화부(22)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폴더(20)는 상기 본체(10)와 대면한 상태로 상기 본체(10)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폴더(20)는 개방된 상태에서, 전후면 반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는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촬영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향하거나,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촬영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향할 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1)에 표시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보면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가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촬영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항할 때, 사용자는 자신을 촬영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1)를 이용한 화상통화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폴더(20)가 본체(10)로부터 개방되는 각도(θ1)는 135도 내지 160도까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상기 단말기(1)의 상기 본체(10)로부터 회전하는 각도(θ2)는 45도 내지 70도까지 회전 가능하며, 상기 폴더(20)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동시에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폴더(20)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가 이루는 각도(θ3)는 90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더(20) 상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21)의 화면 표시 방향과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촬영 방향은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1)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자신의 눈 높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를 위치시키고 편리하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렌즈 하우징(101), 렌즈 커버(102), 락킹 수단(locking means)(103) 및 댐핑 수단(damping means)(104)을 구비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카메라 소자(미도시)가 설치되고, 일단부 면에 상기 카메라 소자의 노출용 개구(111a)와 야간 촬영을 위한 플래쉬(flash)(111b)가 설치된다. 상기 노출용 개구(111a)는 투명 아크릴, 유리 등으로 밀폐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타측 단부 일측면에는 제1 회전 샤프트(112a)가 연장된다.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는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회전축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는 상기 렌즈 커버(102)의 일측면을 관통하게 연장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데, 이는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의 외주면에는 제1 토션 스프링(113)이 감기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13)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10a)의 내주면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 상에 형성되는 홀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제1 토션 스프링(113)은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상기 수용홈(19)으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스토퍼(112b)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10a)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의 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스토퍼 리브(18;도 6에 도시됨)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12b)는 상기 스토퍼 리브(18)의 단부에 맞닿아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하우징(101)은 상기 본체(10)로부터 45도 내지 70도까지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회전 각도는 상기 스토퍼(112b)와 스토퍼 리브(18)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렌즈 커버(102)는 적어도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일면, 양 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게 제공되며, 상기 수용홈(19) 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일면은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상기 수용홈(19) 내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10)의 외주면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면을 지칭한다. 따 라서, 상기 렌즈 하우징(101) 및 렌즈 커버(102)가 상기 수용홈(19) 내에 위치되면, 상기 렌즈 하우징(101)은 상기 렌즈 커버(102)에 의해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다. 상기 렌즈 커버(102)의 회전 각도는 상기 렌즈 하우징(101)보다 더 크게 설정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노출용 개구(111a)를 노출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101)은 상기 본체(10)로부터 45도 내지 70도까지 회전 가능함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 커버(102)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적어도 45도 이상 회전하여야 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90도까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었다.
상기 렌즈 커버(102)의 양 측면 단부에는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 베이스(129)와 제2 회전 샤프트(122a)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전 베이스(129)는 소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홈(19)의 양 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회전홀(19a)들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회전 샤프트(122a)는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회전홀(19a)을 통해 상기 본체(10)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는 상기 회전 베이스(129)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베이스(129)는 상기 렌즈 커버(102)를 상기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상기 제1 회전 샤프트(112a)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 회전 샤프트(122a)의 외주면에는 제2 토션 스프링(123)이 감기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2 토션 스프링(123)은 제1 회전 샤프트(112a)에 결합된 제1 토션 스프링(113)과 마찬가지로, 일단이 상기 본체 케이스(10a)의 내주면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샤프트(122a) 상에 지지되어 상기 렌즈 커버(102)에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 토션 스프링(123)에 의한 회전력은 상기 렌즈 커버(102)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상기 수용홈(19)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노출용 개구(111a)를 노출시키게 한다.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113, 123)은 상기 렌즈 하우징(101)과 렌즈 커버(102)가 상기 수용홈(19)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렌즈 하우징(101)과 상기 렌즈 커버(102)가 상기 수용홈(19) 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락킹 수단(locking means)(103)을 제공한다.
상기 락킹 수단(103)은 상기 렌즈 커버(102)의 일측면에 형성된 락킹 홈(locking recess)(121), 락킹 후크(locking hook)(132), 제3 토션 스프링(134) 및 작동 버튼(13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락킹 후크(132)는 상기 본체 케이스(10a)의 내주면 상에 형성된 회동 지지축(133)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 지지축(133)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그의 단부가 상기 렌즈 커버(102)에 근접하는 방향을 절곡되어 상기 락킹 홈(121)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3 토션 스프링(134)은 상기 회동 지지축(133)의 외주면에 감기는 형태로 결합되고, 일단부는 상기 본체 케이스(10a)의 임의의 위치에 지지되고, 타단 부가 상기 락킹 후크(132)에 지지된다. 상기 제3 토션 스프링(134)의 탄성력은 상기 락킹 후크(132)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121)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작동 버튼(131)은 상기 본체 케이스(10a) 상에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일단부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노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락킹 후크(132)의 타단부에 맞닿게 된다.
상기 제3 토션 스프링(134)의 탄성력은 상기 락킹 후크(132)의 타단부를 밀어 상기 작동 버튼(131)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 버튼(131)은 그의 길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10)의 일측면과 일치되는 높이만큼만 노출된다. 상기 작동 버튼(131)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으로 지나치게 돌출될 경우 휴대하였을 때 다른 물체들과의 접촉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회전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렌즈 하우징(101) 및 렌즈 커버(102)가 상기 수용홈(19)에 위치되면, 상기 락킹 후크(132)의 일단부는 상기 락킹 홈(121)과 맞물리고, 상기 락킹 후크(132)의 타단부가 상기 작동 버튼(131)을 밀어 상기 본체(10)의 일측면 상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촬영을 하고자 할 때, 상기 작동 버튼(131)을 누르면, 상기 제1 및 제2 토션 스프링(113, 12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하우징(101) 및 상기 렌즈 커버(102)가 상기 수용홈(19)으로 이탈하여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상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렌즈 커버(102)는 상기 본체(10)로부터 90도를 이루는 위치에서 회전이 멈추게 되고, 상기 스토퍼(112b)가 상기 스토퍼 리브(18)와 맞닿아 상기 렌즈 하우징(101)은 70도 이내로 회전하여 상기 노출용 개구(111a)가 노 출된다.
상기 댐핑 수단(104)은 상기 렌즈 하우징(101) 및 렌즈 커버(102)가 상기 수용홈(19)으로부터 이탈하여 회전하는 속도를 완화시켜 다른 물체 또는 상기 본체(10)의 외주면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충격을 방지한다.
상기 댐핑 수단(104)은 상기 제2 회전 샤프트(122a)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 치형(122b)과, 상기 기어 치형(122b)과 맞물려 회전하는 댐핑 기어(141)와, 상기 댐핑 기어(141)와 접하게 설치되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회전 샤프트(122a)의 회전속도를 완화시키는 와셔(143)로 구성된다. 상기 댐핑 기어(141)는 상기 본체 케이스(10a)의 내주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기어 치형(122b)과 맞물려 상기 제2 회전 샤프트(122a)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댐핑 기어(141)와 와셔(143)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123)의 회전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2 회전 샤프트(122a)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는 촬영하지 않을 때 렌즈 하우징(101)의 노출용 개구(111a)를 폐쇄시켜 카메라 소자를 보호하고, 필요에 따라 렌즈 하우징(101)을 간단하게 돌출시킬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1)에 다른 형태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의 참조 번호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됨에 유의한다.
도 10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200)는 스토퍼(212b)와 스토퍼 리브(28)의 구성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상기 스토퍼(212b)는 제1 회전 샤프트(212a)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렌즈 하우징(101)의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212b)는 상기 제1 회전 샤프트(212a)의 원주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본체 케이스(10a)의 내주면에 상기 스토퍼 리브(28)가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12b)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 리브(28)는 초기 위치로부터 45도 내지 70도 이내로 상기 스토퍼(212b)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초기 위치라함은 상기 렌즈 하우징(101)이 상기 수용홈(19) 내에 수용된 위치를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3)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선행 실시 예에서의 렌즈 커버가 렌즈 하우징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점에서 선행 실시 예와 차이를 보인다.
상기 렌즈 하우징(301)은 상기 수용홈(39) 내에 위치되면 그의 일단부에 위치된 노출용 개구(111a)와 플래쉬(111b)는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렌즈 하우징(301)의 외주면이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외주면과 일치되어 외관상으로는 별도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설치되지 않은 것처럼 보이게 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300)는 렌즈 하우징(301), 락킹 수단(303)을 구비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301)의 회전 샤프트(312) 상에 설치되는 토션 코일 스프링(313)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하우징(301)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회전 샤프트(312)는 상기 렌즈 하우징(301)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313)의 일단이 상기 회전 샤프트(312) 상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상에 지지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301)이 상기 수용홈(39)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313)은 상기 렌즈 하우징(301)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는 선행 실시 예들을 통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락킹 수단(303)은 작동 버튼(331)과 락킹 후크(332a)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 버튼(331)은 상기 본체(10)의 측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락킹 후크(332a)의 일단은 상기 렌즈 하우징(301)의 측면에 형성된 락킹 홈(121)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절곡연장된다. 즉, 상기 렌즈 하우징(301)이 상기 수용홈(39) 내에 위치되면, 상기 락킹 후크(332a)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121)과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동 버튼(331)은 그 내측에 작동 돌기(33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작동 버튼(331)을 누르면 상기 락킹 후크(332a)의 타단부를 누르게 된다. 상기 락킹 후크(332a)는 양 단부 사이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회동 가능 하게 결합되어, 사용자가 작동 버튼(331)을 눌렀을 때 상기 락킹 후크(332a)가 회동하여 그의 일단이 상기 락킹 홈(121)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락킹 후크(332a)가 상기 락킹 홈(121)으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31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렌즈 하우징(301)이 상기 본체(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락킹 후크(332a)는 상기 락킹 홈(121)과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락킹 후크(332a)에 작용하는 탄성력은 상기 락킹 후크(332a)의 타단부와 작동 돌기(332)를 통해 상기 작동 버튼(331)을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렌즈 하우징(301)의 회전 범위는 상기 회전 샤프트(312) 상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본체(10) 내주면의 스토퍼 리브 등에 의해 제한되거나, 상기 렌즈 하우징(301)의 외주면과 맞닿는 스토퍼 등을 상기 본체(10)의 외주면 상에 형성함으로써 제한된다. 또한, 상기 토션 코일 스프링(313)의 힘으로 상기 렌즈 하우징(301)이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수단으로써 상기 회전 샤프트(312)에 마찰력으로 제공하거나, 기어 등을 이용한 감속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는 락킹 수단이 렌즈 하우징의 일측면에만 설치된 구성이지만,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렌즈 하우징의 타측면에도 락 킹 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폴더형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바형 단말기, 플립형 단말기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 다양한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렌즈 하우징의 노출용 개구를 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즉,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노출용 개구는 렌즈 커버에 의해 폐쇄되므로, 외부의 빛 등에 의해 카메라 소자의 감도 등 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작동 버튼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노출용 개구를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7)

  1.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단부 면에 노출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에 수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렌즈 하우징;
    상기 렌즈 하우징의 타단부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감기는 형태로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전 샤프트 상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렌즈 하우징이 돌출됨에 따라 상기 노출용 개구가 외부에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스토퍼 리브; 및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 리브에 맞닿아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스토퍼 리브; 및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 리브에 맞닿아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용 개구의 일측에 야간 촬영용 플래쉬(flash)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외주면에 상기 렌즈 하우징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이 수용되는 홈(recess)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락킹 홈(locking recess);
    상기 단말기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렌즈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상기 락킹 홈과 맞물리는 락킹 후크(locking hook); 및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상기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후크의 양단부 사이 소정 위치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 및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의 일측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락킹 후크의 타단부에 접하게 설치되는 작동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 버튼이 출몰함에 따라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9.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면과 양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게 제공되고, 상기 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커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의 일측면 단부에 근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의 제1 회전 샤프트가 관통하는 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하여 단말기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렌즈 하우징보다 더 회전함으로써 상기 노출용 개구를 외부로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의 타측면 단부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감기는 형태로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단말기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샤프트 상에 고정되어 상기 노출용 개구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 커버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 치형;
    상기 단말기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기어 치형과 맞물려 회전하는 댐핑 기어; 및
    상기 댐핑 기어와 접하게 설치되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회전 샤 프트의 회전속도를 완화시키는 와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외주면에 상기 렌즈 커버와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 커버가 수용되는 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락킹 홈;
    상기 단말기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과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 커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의 락킹 후크; 및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렌즈 커버가 상기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상기 락킹 후크의 양단부 사이 소정 위치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 및
    일단부가 상기 단말기의 일측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락킹 후크의 타단부에 접하게 설치되는 작동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 버튼이 출몰함에 따라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7.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그의 본체 하우징에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일단부 면에 노출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렌즈 하우징; 및
    적어도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면과 양측면 및 일단부 면을 감싸게 제공되고,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렌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이 회전하여 상기 본체의 외주면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렌즈 하우징보다 더 회전함으로써 상기 노출용 개구를 외부로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8. 삭제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하우징과 렌즈 커버는 일체형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0.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이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전면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대면한 상태로 상기 본체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개폐되는 폴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상기 본체로부터 135도 내지 160도까지 회전 가능하고,
    상기 렌즈 하우징은 상기 본체로부터 70도 내지 45도까지 회전 가능하며,
    상기 폴더가 개방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하우징이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폴더와 렌즈 하우징은 90도 각도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2.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커버는 상기 본체로부터 90도까지 회전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3.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는 개방된 상태에서 전후면 반전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4.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렌즈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샤프트;
    상기 제1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감기는 형태로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 내주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 회전 샤프트 상에 고정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을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
    상기 렌즈 커버의 타측면 단부에 근접하게 제공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의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회전 샤프트; 및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감기는 형태로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2 회전 샤프트 상에 고정되어 상기 노출용 개구를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 커버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렌즈 커버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락킹 홈;
    상기 본체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과 맞물리게 하기 위하여 상기 렌즈 커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상의 락킹 후크; 및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 스프링을 더 구비하고,
    상기 렌즈 커버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에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6. 제2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후크의 양단부 사이 소정 위치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 및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 출몰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락킹 후크의 타단부에 접하게 설치되는 작동 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작동 버튼이 출몰함에 따라 상기 락킹 후크의 일단부가 상기 락킹 홈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7.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기어 치형;
    상기 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기어 치형과 맞물려 회전하는 댐핑 기어; 및
    상기 댐핑 기어와 접하게 설치되어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회전 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완화시키는 와셔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40014212A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KR100640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12A KR100640377B1 (ko)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US11/068,860 US20050195322A1 (en) 2004-03-03 2005-03-02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0510051805XA CN1664638A (zh) 2004-03-03 2005-03-03 照相机镜头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便携式终端
EP05004661A EP1571807A1 (en) 2004-03-03 2005-03-03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4212A KR100640377B1 (ko)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756A KR20050088756A (ko) 2005-09-07
KR100640377B1 true KR100640377B1 (ko) 2006-10-30

Family

ID=3474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212A KR100640377B1 (ko) 2004-03-03 2004-03-03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하는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95322A1 (ko)
EP (1) EP1571807A1 (ko)
KR (1) KR100640377B1 (ko)
CN (1) CN166463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61938U (en) * 2004-04-23 2005-04-11 Ji-Sheng Shie Dual-driven shielding device for photographing
US20070206087A1 (en) * 2006-03-06 2007-09-06 Chou Hsieh C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CN100584164C (zh) * 2006-11-29 2010-01-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外接式相机的便携电子装置
IE86454B1 (en) * 2008-11-18 2014-11-05 Ash Technologies Res Ltd A handheld viewing device
US8633991B2 (en) * 2009-12-15 2014-01-2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Image stabilization of compact imaging device
US8767392B2 (en) * 2011-11-22 2014-07-01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30002B2 (en) * 2013-01-21 2016-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ssembling structure f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CN203968178U (zh) * 2014-06-25 2014-11-26 合肥京东方显示光源有限公司 一种移动通讯装置
CN106652183A (zh) * 2017-02-23 2017-05-10 深圳市磐慧科技有限公司 自助终端及其摄像模块
CN109862226B (zh) * 2017-11-30 2021-04-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组件、移动终端及其摄像头组件的控制方法
CN208174751U (zh) * 2018-02-09 2018-11-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435650B1 (ko) * 2018-05-04 2022-08-2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이동 단말기
CN110875964A (zh) * 2018-08-30 2020-03-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294427B (zh) * 2018-12-10 2021-07-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209787271U (zh) * 2019-03-29 2019-1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安装组件和功能组件
KR102346022B1 (ko) * 2020-09-29 2022-01-03 주식회사 슈피겐코리아 사이드 커버가 회전하는 폴드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726B2 (ja) * 1975-11-10 1984-09-2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ノオリタタミペロ−
US4389110A (en) * 1981-12-28 1983-06-21 Polaroid Corporation Folding camera
JPS6073621A (ja) * 1983-09-30 1985-04-25 Fuji Photo Film Co Ltd 折畳み式カメラ
US4723140A (en) * 1986-05-20 1988-02-02 Polaroid Corporation Compact folding camera construction
JPS63153238U (ko) * 1987-03-26 1988-10-07
US4812864A (en) * 1988-02-16 1989-03-14 Polaroid Corporation Camera and two-element viewfinder
KR910005120B1 (ko) * 1988-12-31 1991-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어 개폐용 댐퍼스위치 장치
US5084721A (en) * 1991-03-15 1992-01-28 Eastman Kodak Company Folding dual lens camera
US5742860A (en) * 1993-11-04 1998-04-21 Olympus Optical Co., Ltd Instant camera
US5690194A (en) * 1995-10-30 1997-11-25 Illinois Tool Works Inc. One-way pivoting gear damper
JPH11205761A (ja) * 1998-01-14 1999-07-3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メラ機能付携帯電話装置
JP3715804B2 (ja) * 1998-10-19 2005-11-1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開閉型内装装置
FR2809262B1 (fr) * 2000-05-17 2002-10-04 Sagem Telephone mobile muni d'une camera et procede de programmation
ATE302915T1 (de) * 2000-07-10 2005-09-15 Bernt Dr Schroer Torsionsfeder für den ausgleich von gewichtskräften, insbesondere bei sektionaltoren
JP2002281142A (ja) * 2001-03-19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KR100378404B1 (ko) * 2001-05-31 2003-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앵글 힌지캠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4638A (zh) 2005-09-07
KR20050088756A (ko) 2005-09-07
US20050195322A1 (en) 2005-09-08
EP1571807A1 (en)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5322A1 (en) Camera lens assembly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8042231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5843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459543B1 (ko) 카메라 렌즈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US7567283B2 (en) Rotary camer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0600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EP152875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a flip-up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351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60104569A (ko) 카메라 및 플래시를 보호하기 위한 회전형 커버부재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14532Y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4024175B2 (ja) 撮像部付き携帯通信機器
KR100557065B1 (ko) 회전성 카메라 렌즈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42944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5010223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5010223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4983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카메라 장치
KR100689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33590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플래시 장치
KR100703266B1 (ko) 3축 힌지 폴더를 구비한 휴대 통신 장치 및 그의 회전락킹 장치
KR10114258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703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각도 조절 장치
KR100447628B1 (ko) 카메라 장착 휴대폰
KR100620686B1 (ko) 전후방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용 카메라
KR200266287Y1 (ko)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KR1005927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개방각도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