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313B1 - 영상 확대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확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313B1
KR101323313B1 KR1020130038372A KR20130038372A KR101323313B1 KR 101323313 B1 KR101323313 B1 KR 101323313B1 KR 1020130038372 A KR1020130038372 A KR 1020130038372A KR 20130038372 A KR20130038372 A KR 20130038372A KR 101323313 B1 KR101323313 B1 KR 101323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tor
gear
photograph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양택
최경선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13003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313B1/ko
Priority to US13/933,464 priority patent/US20140300715A1/en
Priority to EP20130382277 priority patent/EP279040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및 원거리에 따라 접사렌즈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이 조절되는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시력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노인, 수전증 환자 등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카메라의 조작 및 카메라 렌즈의 근거리와 원거리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며, 사용자 환경에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확대 장치{Video Magn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근거리 및 원거리에 따라 접사렌즈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초점이 조절되는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저시력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이나 노인, 수전증 환자 등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카메라의 조작 및 카메라 렌즈의 근거리와 원거리 초점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장애란 시각계의 손상에 의하여 시기능에 제한이 있는 장애를 말하며 시력(視力), 시야(視野)의 제한 정도에 따라 맹과 저시력으로 구분된다. 그 중 저시력 시각장애는 사물의 인지는 가능하지만 작은 폰트 글자의 인식이 어렵고 초점 거리가 짧아 원거리에 있는 사물이나 글자를 잘 식별하지 못하는 등 시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로, 각 개인의 시각 장애 원인 및 정도에 따라 차이는 발생한다.
이러한 저시력 시각장애인들의 시력을 보완해주기 위해 책이나 약병, 수표, 신문, 화폐 등과 같이 작은 글씨가 있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자적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영상 확대 장치가 개발되어지고 있다.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 중 특히 학생은 수업을 들을 때 칠판과 책을 모두 볼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하여 근거리와 원거리를 모두 지원하는 영상 확대기를 필요로 한다.
종래의 영상 확대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모니터 위에 카메라를 위치시킨 구조로 근거리 또는 원거리의 목적에 따라 카메라 방향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작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목적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작동방법으로 인해 큰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또한 노인이나, 수전증이 심한 사람 및 손이나 팔에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사용할 경우 조작이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카메라 렌즈에 손가락의 지문이 묻어 카메라를 통한 영상에 열화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열화된 화질은 저시력자의 시력을 점점 더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영상 확대 장치에 장착된 접사용 렌즈는 근거리 사용 시 카메라 렌즈에 장착시키고 이와 반대로 원거리 사용 시 카메라 렌즈에서 탈착하여 초점을 조절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직접 접사용 렌즈를 카메라 렌즈에 장착 및 탈착하도록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며, 접사용 렌즈를 탈착하지 않고 원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영상에 출력시키면 초점이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처럼 초점이 맞지 않은 현상을 저시력 시각장애인이 영상 확대 장치 접사용 렌즈의 설정에 의한 문제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의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가 확대기를 사용하고 있는 장소의 조명의 세기에 따라 다양한 화질을 갖게 되는데, 사용 장소의 조명이 어두울 경우, 저조도로 인한 화질 열화가 발생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의 제약 및 저화질로 인한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카메라의 방향 조작이 용이하고 근거리 및 원거리의 사용 목적에 따라 조작이 간편하며 사용하는 장소의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이 조절되는 영상 확대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등록특허공보 제10-0514074호 '휴대용 실물 화상기와 그 가방' (2005.09.02) 2.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0255호 '실물 화상기' (2011.04.20) 3.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136292호 '교육용 화상기 (1998.05.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가 원격으로 작동되어 근거리 및 원거리의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근거리 및 원거리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접사용 렌즈가 자동으로 조절되며, 사용 장소의 조도가 어두울 경우 조명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S)가 설치되는 촬영부(1000); 일측에 상기 촬영부(1000)가 체결되는 지지대(2000); 상기 지지대(2000)의 타측과 연결되는 베이스(3000); 및 상기 촬영장치(S)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장치(4000)로 구성되며, 상기 촬영부(1000)는 상기 베이스(3000)를 기준으로 상하측을 제1 방향, 상기 제1 방향과 직각 교차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였을 때, 상기 지지대(2000)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부(1000)를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수단(1100); 및 상기 촬영부(10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부(1000)를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구동수단(1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000)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촬영장치(S)의 제1 렌즈(L1)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촬영부(1000)에 설치되는 제2 렌즈(L2); 및 상기 제2 렌즈(L2)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수단(1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0)의 일측에는 외측면에 제1 기어(2110)가 형성된 고정축(2100)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1 구동수단(1100)은 상기 고정축(2100)이 삽입되는 체결공(1111)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1110); 외측면에 제2 기어(1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10)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1130); 및 상기 제1 하우징(1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2100)의 제1 기어(2110)와 맞물리는 제3 기어(1140)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축(210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1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3 기어(1140)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1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동수단(1200)은 내부에 상기 촬영장치(S)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로드(1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하우징(1210); 상기 제2 하우징(12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기어(1120)와 맞물리는 제4 기어(1220)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로드(1130)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1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4 기어(1220)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1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수단(1300)은 상기 촬영부(10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렌즈(L2)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13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수단(1300)은 일측에 상기 제2 렌즈(L2)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 링크판(1311)이 형성되어 상기 촬영부(10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봉(1310); 제2 링크판(1321)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판(1321)을 회전시키는 제3 모터(1320); 및 상기 제2 링크판(132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링크판(1311)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링크판(1321)과 상기 제1 링크판(1311)을 연결하는 연결링크(1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삽입로드(1130)는 상기 제2 하우징(1210) 내부와 상기 제1 하우징(1110)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0)는 내부가 중공 되되, 상기 지지대(2000)의 내부와 상기 제1 하우징(1110)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축(210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1100)과 상기 제2 구동수단(1200) 및 상기 제3 구동수단(1300)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31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000)는 상기 촬영장치(S)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부(1000)의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001); 및 상기 조도센서(1001)로 부터 감지된 밝기에 따라 상기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10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S)는 상기 삽입로드(1130)와 상기 고정축(2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촬영부 내부에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설치하여 촬영부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근거리 및 원거리를 원격으로 조정하며 촬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시켜 촬영장치의 방향을 직접 손으로 조절하기 불편한 수전증이나 지체 장애를 갖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손가락의 지문이 촬영장치의 제1 렌즈에 묻지 않게 되어 열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제어부를 통해 근거리 또는 원거리를 선택하는 경우 제1 모터와 제2 모터에 의해 촬영장치의 위치가 자동으로 전환되며, 촬영장치의 초점을 조절하는 제2 렌즈가 제3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목적에 맞게 전환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여 조작 미숙에 대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및 원거리를 전환하는 경우 이전 촬영 위치를 기억하여 자동으로 비춰줌으로써 저시력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를 찾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가 근거리를 촬영할 경우 제3 모터에 의해 제2 렌즈가 카메라 렌즈와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제2 렌즈와 촬영장치의 제1 렌즈가 어긋날 때 발생하는 출력 영상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안정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부 설치되는 조도센서를 통하여 촬영장치가 촬영하는 방향의 조도를 측정하고, 조도가 낮을 경우 촬영장치에 입광되는 조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조명장치의 빛의 세기를 증가시켜 안정된 화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구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3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3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촬영부가 근거리를 촬영할 때 제2 렌즈가 촬영부에서 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1 구동수단 및 제2 구동수단에 의해 촬영부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근거리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근거리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 좌측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와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와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와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구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와 도 5 는 본 발명의 제3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와 도 6 은 본 발명의 제3 구동수단의 주요부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절개 사시도와 도 7 은 본 발명의 촬영부가 근거리를 촬영할 때 제2 렌즈가 촬영부에서 탈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도 8 은 본 발명의 제1 구동수단 및 제2 구동수단에 의해 촬영부가 회전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와 도 9 는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근거리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 정면도와 도 10은 본 발명의 촬영장치가 근거리로 촬영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 좌측면도에 관한것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는 촬영부(1000), 지지대(2000), 베이스(3000) 및 출력장치(4000)로 구성된다. 촬영부(1000)에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S)가 설치된다. 촬영부(1000)는 지지대(2000)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지지대(2000)의 타측은 베이스(3000)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베이스(3000)는 구조적 안정상 지지대(2000) 및 촬영부(1000)를 지탱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술하는 베이스(3000)의 형상 및 구조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확대 장치는 접이식 구조 형태를 갖는다. 출력장치(4000)는 출력장치(S)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베이스(3000)를 기준으로 상하측을 제1 방향으로 가정하고 제1 방향과 직각 교차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가정한다.
촬영부(1000)는 제1 구동수단(1100) 및 제2 구동수단(1200)을 포함한다. 제1 구동수단(1100)은 지지대(20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촬영부(1000)를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제2 구동수단(1200)은 촬영부(1000)를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즉 촬영부(1000)는 제1 구동수단(1100) 및 제2 구동수단(1200)에 의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여 베이스(3000)의 상단에 올려진 근거리의 피사체와 멀리 떨어진 원거리의 피사체를 모두 촬영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촬영부(1000)는 제3 구동수단(1300)을 포함한다. 제3 구동수단(1300)은 촬영부(1000) 내부에 설치되며 촬영부(100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렌즈(L2)를 회전시킨다. 제2 렌즈(L2)는 촬영장치(S)의 제1 렌즈(L1)의 전방에 위치하며 촬영장치(S)가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초점을 조절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출력장치(40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3 구동수단(1300)은 제3 모터(1320)를 포함한다. 제3 모터(1320)에는 제3 모터(1320)가 작동될 때 제3 모터(1320)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이 구비되는데, 이때 제2 렌즈(L2)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제3 모터(132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 한다. 즉, 제2 렌즈(L2)는 제3 모터(1320)에 직접 연결된다. 따라서 제3 모터(132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렌즈(L2)는 제1 렌즈(L1)의 전방에 장착과 탈착이 반복되면서 촬영장치(S)의 촬영목적에 맞게 제1 렌즈(L1)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수단(1300)은 상기 촬영부(10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렌즈(L2)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13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지지대(2000)의 일측에는 고정축(2100)이 돌출 형성되며,고정축(2100)의 외측면에는 제1 기어(2110)가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1 구동수단(1100)은 제1 하우징(111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10)은 지지대(2000)의 고정축(2100)이 삽입되는 체결공(1111)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공(1111)에 삽입된 고정축(2100)을 중심으로 제1 하우징(1110)은 회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0)의 상면에는 삽입로드(1130)가 형성된다. 삽입로드(1130)는 제1 하우징(1110)의 상면으로 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제1 하우징(11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로드(1130)의 외측면에는 제2 기어(1120)가 형성된다. 제1 하우징(1110)의 내부에는 제1 모터(1150)가 설치된다. 제1 모터(1150)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stepper motor), 직류모터(DC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터(1150)는 제1 기어(2110)와 맞물리는 제3 기어(1140)와 연결되며 제3 기어(1140)를 회전시킨다. 즉 제1 모터(1150)가 회전하면 제3 기어(114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3 기어(1140)가 제1 기어(2110)어와 맞물려 고정축(21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10)이 고정축(21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2 구동수단(1200)은 제2 하우징(1210)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1210)의 내부에는 촬영장치(S)가 장착된다. 제2 하우징(1210)의 내부에는 제2 하우징(1210)과 일체로 형성되는 안내로드(1240)가 형성된다. 안내로드(1240)는 삽입로드(1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로드(1130)는 안내로드(1240)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제2 하우징(1210)이 삽입로드(1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삽입로드(1130)의 상측 외측면에는 체결홈(1131)이 형성된다. 체결홈(1131)에는 스냅링(1241)이 삽입된다. 따라서 스냅링(1241)이 안내로드(1240)의 상측단부에 안착되고 내측면이 체결홈(1131)에 삽입되면서 삽입로드(1130)와 안내로드(1240)를 결속한다. 이와 같이 제2 하우징(1210)은 스냅링(1241)을 통하여 삽입로드(1130)의 상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1210)의 내부에는 제2 모터(1230)가 설치된다. 제2 모터(1230)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stepper motor), 직류모터(DC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터(1230)는 제2 기어(1120)와 맞물리는 제4 기어(1220)와 연결되며 제4 기어(1220)를 회전시킨다. 즉 제2 모터(1230)가 회전하면 제4 기어(122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4 기어(1220)가 제2 기어(1120)와 맞물려 삽입로드(1130)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2 하우징(1210)은 제2 모터(1230)가 회전함에 따라 삽입로드(113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삽입로드(1130)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로드(1130)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면 제2 하우징(1210) 내부와 제1 하우징(1110) 내부가 삽입로드(1130)를 통하여 상호 연통 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지지대(2000)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대(2000)에 형성된 고정축(210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축(2110)이 제1 하우징(111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지지대(2000)의 내부와 제1 하우징(1110) 및 제2 하우징(1210)의 내부는 상호 연통 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2000)의 내부와 제1 하우징(1110) 및 제2 하우징(1210)의 내부가 연통되면 촬영장치(S) 및 제1 내지 제3 모터(1150,1230,13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영상 전달을 위한 신호선 및 모터 제어를 위한 신호선 등이 지지대(2000) 내부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3 구동수단(1300)은 회전봉(1310)을 포함한다. 회전봉(1310)은 제2 하우징(1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봉(1310)은 제2 하우징(12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회전봉(1310)은 일측에 제2 렌즈(L2)와 연결되며 제2 렌즈(L2)는 회전봉(1310)과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봉(1310)의 타측에는 제1 링크판(1311)이 형성된다. 제1 링크판(1311)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1 링크판(131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 링크판(1321)이 형성된다. 제2 링크판(1321)은 제3 모터(1320)와 연결되며 제3 모터(1320)가 회전함에 따라 제2 링크판(1321)도 회전한다. 제3 모터(1320)는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스텝모터(stepper motor), 직류모터(DC motor)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1 링크판(1311)과 제2 링크판(1321)을 연결하는 연결링크(1330)가 형성된다. 연결링크(1330)의 일측은 제1 링크판(1311)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측은 제2 링크판(132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제3 모터(1320)가 회전하여 제2 링크판(1321)을 회전시키면 연결링크(1330)를 통해 제3 모터(13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제1 링크판(1311)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2 링크판(132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제1 링크판(1311)을 회전시킬 수 있고, 제1 링크판(1311)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봉(1310) 및 제2 렌즈(L2)가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3 모터(1320)는 제2 렌즈(L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7 을 참조하면 제2 렌즈(L2)는 촬영장치(S)가 근거리를 촬영할 경우 촬영장치(S)의 제1 렌즈(L1)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해 제3 모터(13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렌즈(L1)의 전방에 장착된다. 이와 반대로 제2 렌즈(L2)는 촬영장치(S)가 원거리를 촬영할 경우 제3 모터(132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렌즈(L1)의 전방에서 탈착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촬영장치(S)의 제2 렌즈(L2)가 삽입로드(1130)와 고정축(2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고, 촬영부(100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베이스(3000)의 상단에 올려진 피사체의 모든 영역을 촬영장치(S)가 근거리로 인식하여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000)가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촬영장치(S)가 베이스(3000)의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을 촬영할 때 제2 렌즈(L2)와 베이스(3000)의 좌측방향에 위치한 지점(D1) 및 우측방향에 위치한 지점(D2)과의 거리는 촬영장치(S)가 근거리를 최대로 촬영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하며, 그 거리는 동일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3000) 상면의 촬영지점(d)은 베이스(3000)의 좌측방향에 위치한 지점(D1) 및 우측방향에 위치한 지점(D2)의 거리내에 해당하므로 촬영장치(S)가 베이스(3000)의 좌우방향의 모든 영역을 근거리로 촬영할 수 있다.
촬영부(1000)가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촬영장치(S)가 베이스(3000)의 전방과 후방을 촬영할 때 제2 렌즈(L2)와 베이스(3000)의 전방지점(D3) 및 베이스(3000)의 후방지점(D4)과의 거리는 촬영장치(S)가 근거리를 최대로 촬영할 수 있는 거리에 해당하며 그 거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촬영지점(d)도 촬영장치(S)가 근거리로 촬영할 수 있는 거리내에 해당하므로 촬영장치(S)는 근거리로 베이스(3000)의 전후방향의 모든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촬영부(1000)의 제1 하우징(1210)에는 조도센서(1001)가 설치된다. 조도센서(1001)는 촬영장치(S)의 전방에 설치되며 촬영부(1000) 주변의 밝기를 감지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촬영부(1000)의 제1 하우징(1210)에는 조명장치(1002)가 설치된다. 조명장치(1002)는 촬영장치(S)의 전방에 설치되며 조도센서(1001)로 부터 감지된 촬영부(1000) 주변의 밝기에 따라 피사체에 빛을 조사한다. 조명장치(1002)는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1 구동수단(1100)의 제1 모터(1150)와 제2 구동수단(1200)의 제2 모터(1230) 및 제3 구동수단(1300)의 제3 모터(132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3100)가 구비된다. 제어부(3100)는 제1 모터(1150)와 제2 모터(1230) 및 제3 모터(1320)를 유선으로 작동시키도록 베이스(3000) 또는 지지대(20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무선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구성인 리모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베이스(3000) 또는 지지대(2000)에는 촬영장치(S)로 촬영 시 음성을 녹음하기 위해 음성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음성입력 단자(330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촬영부(1000)를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근거리 및 원거리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1 모터(1150)와 제2 모터(1230) 및 제3 모터(132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작동시켜 촬영장치의 방향을 직접 손으로 조절하기 불편한 수전증이나 지체 장애를 갖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장치(S)의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는 제3 모터(1320)에 의해 정확하게 수평을 이루게 되므로 제2 렌즈(L2)와 제1 렌즈(L1)가 어긋날 때 발생하는 출력 영상의 왜곡 현상을 방지하여 출력장치(4000)에 안정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0 : 촬영부 1001 : 조도센서
1002 : 조명장치 1100 : 제1 구동수단
1110 : 제1 하우징 1111 : 체결공
1120 : 제2 기어 1130 : 삽입로드
1131 : 체결홈 1140 : 제3 기어
1150 : 제1 모터 1200 : 제2 구동수단
1210 : 제2 하우징 1220 : 제4 기어
1230 : 제2 모터 1240 : 안내로드
1300 : 제3 구동수단 1310 : 회전봉
1311 : 제1 링크판 1320 : 제3 모터
1321 : 제2 링크판 1330 : 연결링크
2000 : 지지대 2100 : 고정축
2110 : 제1 기어 3000 : 베이스
3100 : 제어부 3300 : 음성입력 단자
4000 : 출력장치 L1 : 제1 렌즈
L2 : 제2 렌즈 S : 촬영장치

Claims (9)

  1.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S)가 설치되는 촬영부(1000); 일측에 상기 촬영부(1000)가 체결되고 외측면에 제1 기어(2110)가 형성된 고정축(2100)을 포함하는 지지대(2000); 상기 지지대(2000)의 타측과 연결되는 베이스(3000); 및 상기 촬영장치(S)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장치(4000)로 구성되는 영상 확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000)는 베이스(3000)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을 제1 방향, 상기 제1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였을 때, 상기 지지대(2000)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부(1000)를 제1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 위하여 상기 고정축(2100)이 삽입되는 체결공(1111)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1110); 외측면에 제2 기어(1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110)의 상면에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로드(1130); 및 상기 제1 하우징(1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2100)의 제1 기어(2110)와 맞물리는 제3 기어(1140)와 연결되고 상기 고정축(210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1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3 기어(1140)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1150);를 포함하는 제1 구동수단(1100); 및
    상기 촬영부(10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부(1000)를 제2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시키 위하여 내부에 상기 촬영장치(S)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로드(1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2 하우징(1210); 상기 제2 하우징(12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기어(1120)와 맞물리는 제4 기어(1220)와 연결되고 상기 삽입로드(1130)를 중심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1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4 기어(1220)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1230);를 포함하는 제2 구동수단(1200);을 포함하되,
    상기 삽입로드(1130)는 상기 제2 하우징(1210) 내부와 상기 제1 하우징(1110)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2000)는 내부가 중공 되되, 상기 지지대(2000)의 내부와 상기 제1 하우징(1110)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고정축(2100)은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000)는 원거리 또는 근거리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상기 촬영장치(S)의 제1 렌즈(L1) 전방에 위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촬영부(1000)에 설치되는 제2 렌즈(L2); 및 상기 제2 렌즈(L2)를 회전시키는 제3 구동수단(1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 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수단(1300)은 상기 촬영부(10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렌즈(L2)를 회전시키는 제3 모터(13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수단(1300)은
    일측에 상기 제2 렌즈(L2)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 링크판(1311)이 형성되어 상기 촬영부(10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봉(1310);
    제2 링크판(1321)과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판(1321)을 회전시키는 제3 모터(1320); 및
    상기 제2 링크판(132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링크판(1311)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링크판(1321)과 상기 제1 링크판(1311)을 연결하는 연결링크(1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1000)는 상기 촬영장치(S)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부(1000)의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센서(1001); 및
    상기 조도센서(1001)로 부터 감지된 밝기에 따라 상기 피사체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10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수단(1100)과 상기 제2 구동수단(1200) 및 상기 제3 구동수단(1300)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작동시키는 제어부(31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S)는 상기 삽입로드(1130)와 상기 고정축(210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확대 장치.
KR1020130038372A 2013-04-09 2013-04-09 영상 확대 장치 KR101323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372A KR101323313B1 (ko) 2013-04-09 2013-04-09 영상 확대 장치
US13/933,464 US20140300715A1 (en) 2013-04-09 2013-07-02 Image magnifying apparatus
EP20130382277 EP2790402A1 (en) 2013-04-09 2013-07-05 Image magnif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372A KR101323313B1 (ko) 2013-04-09 2013-04-09 영상 확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313B1 true KR101323313B1 (ko) 2013-10-29

Family

ID=4891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372A KR101323313B1 (ko) 2013-04-09 2013-04-09 영상 확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300715A1 (ko)
EP (1) EP2790402A1 (ko)
KR (1) KR1013233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47B1 (ko) * 2015-10-19 2016-12-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20180047459A (ko) 2016-10-31 2018-05-10 (주) 씨앤피 영상 흔들림 방지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KR20180047457A (ko) 2016-10-31 2018-05-10 (주) 씨앤피 사용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24211B (zh) * 2013-09-11 2016-03-01 萬國商業機器公司 電子裝置及其顯示角度調整方法
US9948838B2 (en) 2015-02-20 2018-04-17 Freedom Scientific, Inc. Articulated desktop magnifi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18Y1 (ko) * 2002-04-29 2002-08-13 심명수 실물화상기
KR20090062745A (ko) * 2007-12-13 2009-06-17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KR20100091286A (ko) * 2009-02-10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5367A (en) * 1988-03-02 1990-07-31 Blackshear David M Surveillance camera system
US5751355A (en) * 1993-01-20 1998-05-12 Elmo Company Limited Camera presentation supporting system
US6064426A (en) * 1998-07-17 2000-05-16 Waterman; Linden K. Video magnification system
JP2000138856A (ja) * 1998-10-29 2000-05-16 Seiko Epson Corp 画像入力装置、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4187111A (ja) * 2002-12-05 2004-07-02 Nec Viewtechnology Ltd 資料提示装置
JP3875659B2 (ja) * 2003-07-25 2007-01-31 株式会社東芝 カメラ装置及びロボット装置
US7209176B2 (en) * 2004-02-19 2007-04-24 Chapman/Leonard Studio Equipment Three-axis remote camera head
US20090059038A1 (en) * 2004-04-13 2009-03-05 Seakins Paul J Image magnifier for the visually impaired
JP2005354306A (ja) * 2004-06-09 2005-12-22 Brother Ind Ltd 画像入出力装置
JP4597874B2 (ja) * 2006-01-19 2010-12-15 株式会社エルモ社 資料提示装置
US8854442B2 (en) * 2006-02-10 2014-10-07 Freedom Scientific, Inc. Retainer for electronic magnification device
US8854441B2 (en) * 2006-02-10 2014-10-07 Freedom Scientific, Inc. Electronic magnification device
US7755697B2 (en) * 2007-03-28 2010-07-13 Logitech Europe S.A. Webcam with moveable zoom lens
WO2009066819A1 (en) * 2007-11-23 2009-05-28 Hims Co., Ltd. Portable video magnifying apparatus
JP2010178100A (ja) * 2009-01-30 2010-08-12 Elmo Co Ltd 資料提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18Y1 (ko) * 2002-04-29 2002-08-13 심명수 실물화상기
KR20090062745A (ko) * 2007-12-13 2009-06-17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화상기
KR20100091286A (ko) * 2009-02-10 2010-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447B1 (ko) * 2015-10-19 2016-12-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20180047459A (ko) 2016-10-31 2018-05-10 (주) 씨앤피 영상 흔들림 방지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KR20180047457A (ko) 2016-10-31 2018-05-10 (주) 씨앤피 사용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KR101898430B1 (ko) * 2016-10-31 2018-09-13 (주) 씨앤피 사용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0402A1 (en) 2014-10-15
US20140300715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313B1 (ko) 영상 확대 장치
EP2321960B1 (en) Portable multi position magnifier camera
US8049680B2 (en) Method for improving vision of a low-vision person and viewing aid
EP2747412A2 (en) Magnification system
KR101180317B1 (ko) 멀티 손잡이를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100967128B1 (ko)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US20150220114A1 (en) Devices,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Simplifying Control of Portable Computers
JP2013148599A (ja) 表示装置
US9041845B2 (en) Imaging device having multiple optics
US6552861B1 (en) Optical guide fixture
KR102295885B1 (ko)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JP6208707B2 (ja) 排尿支援装置
KR100854401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KR101413543B1 (ko) 거울 기능을 갖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US9426342B1 (en) Handheld electronic magnifier having a multi-orientation handle
KR200294068Y1 (ko) 디지털현미경
EP3259636B1 (en) Articulated desktop magnifier
KR101589707B1 (ko) 펜 타입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US11102390B2 (en) Versatile viewing device
US10971033B2 (en) Vision assistive device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KR100666422B1 (ko) 저 시력 장애인용, 휴대용 영상 확대장치
JPH11127973A (ja) 読書用画像表示システム
WO2018047247A1 (ja) 排泄支援装置
KR200372510Y1 (ko) 저 시력 장애인용, 휴대용 영상 확대장치
KR20050096410A (ko) 저시력자의 전자시력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