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1286A -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1286A
KR20100091286A KR1020090010405A KR20090010405A KR20100091286A KR 20100091286 A KR20100091286 A KR 20100091286A KR 1020090010405 A KR1020090010405 A KR 1020090010405A KR 20090010405 A KR20090010405 A KR 20090010405A KR 20100091286 A KR20100091286 A KR 20100091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
subject
portable terminal
projecto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화
김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1286A/ko
Priority to US12/701,860 priority patent/US20100201836A1/en
Publication of KR2010009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6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only episcopic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에 적용할 수 있는 영상을 변환한 후,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하여 카메라와 프로젝터 모듈을 기반으로 실물 화상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견고한 실물 화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들을 개시한다.
휴대 단말기, 프로젝터, 카메라, 실물 화상, 거치대

Description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A Support Method Of Visual Presenter Function And A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and Supporting Device Of The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실물 화상 기능 제공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젝터 모듈과 카메라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실물 화상 기능 지원을 위한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대 과학 기술이 발전해감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들로는 디지털 방송 기능, MP3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이미지 보기 기능, 카메라 기능 등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동영상 재생 기능과 같은 동영상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동영상 또는 이미지와 같은 데이터를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구비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 되는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의 작은 화면이 아닌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되는 큰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젝터를 포함한 휴대 단말기는 그 이용 사례가 최근에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아직 사용자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 탑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카메라와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는,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시, 활성화되어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 상기 수집된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은, 휴대 단말기의 메뉴 중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며 상기 수집된 영상을 전달할 프로젝터 모듈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활성화된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집된 영상을 투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의 거치대는,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시, 활성화되어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 상기 수집된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를 상하 운동 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에 따르면,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하도록 함으로써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 거치대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영상 수집과 수집된 영상 투사를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 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물 화상 장치(10)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100),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할 수 있는 단말기 거치대(200) 및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맺히는 스크린(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물 화상 장치(10)는 단말기 거치대(200)의 사물 보드(210)에 피사체를 놓고, 단말기 고정부(280)에 휴대 단말기(100)를 배치시킨 후,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 보드(210)에 놓인 피사체의 영상을 수집하고, 해당 수집 영상을 휴대 단말기(100)의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스크린(300)에 투사함으로써, 사물 보드(210)에 놓인 피사체의 실물 화상을 스크린(300)에 투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300)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포함된 프로젝터 모듈이 투사한 영상이 맺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크린(300)은 별도로 제작된 은막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벽이나, 블라인더, 칠판, 화이트보드 등이 될 수 있다. 스크린(300)에 맺히는 영상은 휴대 단말기(100)의 프로젝터 모 듈과의 거리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거치대(200)는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가 피사체에 대하여 영상을 수집하는 동안 휴대 단말기(1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는 크게 휴대 단말기(100)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를 지지하는 수평부 및 수평부를 상하 운동 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부는 제1 수평부(240)와, 거리 조절 관절부(250), 제2 수평부(260), 회전 관절부(2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바닥을 지지하는 수직부(220), 상기 수평부를 상하 운동시키는 상하 이동 관절부(230), 수직부(220)에 연결되며 피사체가 놓이는 사물 보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물 보드(210), 수직부(220), 상하 이동 관절부(230), 제1 수평부(240), 거리 조절 관절부(250), 제2 수평부(260), 회전 관절부(270) 및 단말기 고정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 보드(210)는 피사체가 놓이는 구성이다. 이러한 사물 보드(210)는 단말기 거치대(200)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사물 보드(210)는 전면에 놓이는 피사체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 공급에 따라 전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사물 보드(210)는 일정 크기 이상 예를 들면 A4 용지의 크기 수배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휴대성을 고려하여 접히는 구조 또는 분리 및 조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사물 보드(210) 일측에는 수직부(220)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220)는 상기 사물 보드(210) 일측 예를 들면 사물 보드(210)의 측면 중앙에서 지면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수직부(220)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사물 보드(210) 일측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거나, 사물 보드(210) 전면 방향으로 접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직부(220) 형태를 일면이 사각형인 직육면체의 기둥 형태로 묘사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수직부(220)는 다양한 형태 예를 들면, 삼각기둥, 원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수개의 기둥들이 하나의 수직부(220)로서 배치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220)는 일측에 눈금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높이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상하 이동 관절부(230)는 상기 수직부(220)와 상기 제1 수평부(240)를 연결하며, 상기 수직부(22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하 이동 관절부(230)는 수직부(220)의 외형과 유사한 형태의 내측면을 가지며, 상하 이동 이후, 수직부(220)의 일정 지점에서 고정되기 위한 조임쇠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조임쇠 구조는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회전 운동에 따라 상하 이동 관절부(230)를 관통하여 수직부(220)의 외벽과 접촉할 수 있는 스크류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부(240)는 상기 상하 이동 관절부(230) 및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2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25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상하 이동 관절부(230)가 상하 이동을 수행하면 상기 제1 수평부(240)는 거리 조절 관절부(250)는 상하 이동 관절부(230)의 운동량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250)는 제1 수평부(240)와 제2 수평부(26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수평부(240)와 제2 수평부(260)의 운동방향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250)는 제2 수평부(260)의 전 후 이동방향을 지원하며, 이동 후, 제2 수평부(260)가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260)는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250)와 상기 회전 관절부(270) 사이에 배치되어, 운동방향에 따라 단말기 고정부(280)를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얼마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수평부(260)는 일부 영역이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250)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250) 내측에 위치하는 일부 영역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짐에 따라 단말기 고정부(280)를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부(260)는 수직부(220)와 유사하게 일측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수평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 회전 관절부(270)는 제2 수평부(260) 끝단에 배치되며 단말기 고정부(280) 일측과 연결되어 상하 회전 운동을 지원한다. 즉, 상기 회전 관절부(270)는 단말기 고정부(280)의 상항 및 좌우 회전 운동을 지원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고정부(280)에 고정된 휴대 단말기(100)의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되는 영상의 상하 및 좌우 회전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고정부(28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를 사물 보드(210)로부터 일정 이격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고정할 수 있는 구 성이다. 이러한 단말기 고정부(280)는 휴대 단말기(100)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안착된 이후 고정을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가 사물 보드(210) 방향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일정 형태의 홈 또는 홀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 고정부(280)가 카메라가 위치한 영역 아래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 고정부(280)는 별도의 카메라 노출을 위한 홈 또는 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200)는 사물 보드(210)에 피사체가 놓이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가 사기 피사체를 정확하고 견고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으로서, 실물 화상 장치의 구성에서 생략이 가능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200)는 상술한 설명의 거치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200)는 사물 보드(210)가 생략되고 단말기 고정부(280) 및 단말기 고정부(280)에 연결된 다수개의 관절부와 다수개의 샤프트 및 거치대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단말기 거치대(200)는 휴대 단말기(100)를 고정할 수 있는 단말기 고정부와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 각도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한편, 특정 각도로 유지가 가능한 몸체부의 구성을 가지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단말기 거치대(200)의 단말기 고정부(280)에 안착되어 단말기 거치대(200)의 움직임에 따라 사물 보드(210)에 놓인 피사체의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스크린(300)에 투사하는 구성이 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프로젝터 모듈(140), 표시부(150), 저장부(170), 카메라(18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조명(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실물 화상 기능 제공 시 카메라(180)를 통하여 수집되는 영상 또는 카메라(180)가 촬영한 영상을 처리하여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투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카메라(180)가 촬영한 영상은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프리뷰 영상과 촬영한 영상은 표시부(150)에 출력될 수 있다. 이하 휴대 단말기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를 위한 통신 채널의 형성 및 영상 등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 채널 등을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즉, 무선주파수부(110)는 음성 통화 채널, 데이터 통신 채널 및 화상 통화 채널을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 선주파수부(110)가 형성하는 데이터 전송 채널은 작성된 메시지 서비스를 이동통신 시스템에 전송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형성되었다가, 메시지가 전송되거나 수신이 완료되면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무선주파수부(110)는 사용자 설정 또는 단말기 기능 지원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실물 화상 모드로 운용 중인 경우 수신되는 통화 호에 대하여 부재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주파수부(110)가 수신한 통화 호는 별도의 처리 과정에 대한 표시를 수행하지 않고 있다가, 상기 실물 화상 모드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통화 호에 대한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실물 화상 모드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 카메라(180)의 초점 조절을 위한 반 셔터 키 입력 신호, 카메라(180)의 자동 초점 기능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 실물 화상 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저장부(17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 시 해당 오디오 신호를 스피 커(SPK)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실물 화상 모드 운용 시 영상 투사에 대한 배경 음악 기능 지원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40)은 휴대 단말기의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컨텐츠, 디지털 방송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특정 기능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는 PC, TV, VCR, DVD, 캠코더 등 각종 외부 영상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휴대 단말기에서 특정 응용 프로그램 수행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 모듈(140)은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데이터 및 마우스 포인터를 외부의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젝터 모듈(140)은 영상 입력부, 렌즈, 초점 구동 모터, 영사각 구동 모터, 영사각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는 제어부(16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고, 렌즈는 입력받은 데이터를 특정 물체 예를 들면 스크린에 투사한다. 그리고 초점 구동 모터는 스크린에 대한 렌즈의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영사각 구동 모터는 투사될 데이터의 영사각을 조절하고, 영사각 센서는 투사될 영상의 영사각을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젝터 모듈(140)은 메뉴에서 실물 화상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때, 카메라(180)가 수집하는 프리뷰 영상, 카메라(180)가 수집한 정지 영상, 카메라(180)가 수집하는 동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투사되는 영상의 방향은 표시부(150)에 출력되는 영상의 방향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영상의 화면 비율은 표시부(150)에 출력되는 영상의 화면 비율과 다르게 지원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 듈(140)은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화면 비율을 기 설정된 값에 따라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화면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50)는 휴대 단말기(100)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화면, 메뉴 화면, 메시지 작성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50)는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제공하며,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시,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카메라(180)에 의해 수집되는 영상을 단말기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150)는 카메라(180)가 수집하는 프리뷰 영상, 카메라(180)가 수집한 정지 영상, 카메라(180)가 수집하는 동영상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된 영상은 프로젝터 모듈(140)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부(150)에 출력되는 영상은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과 동일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되는 영상은 단말기 거치대(200)에 놓이는 피사체에 대한 영상이 됨으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피사체 영상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방향 전환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50)에 출력되는 영상의 방향 전환이 수행되더라도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방향은 전환되지 않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15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LCD 또는 OLED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50)는 입력수단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표시부(150)는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센서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부(150)의 터치스크린 지원에 따라 터치스크린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기 지원 및 사용자 설정에 따라 풀 스크린으로 화면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상기 저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저장된 다양한 컨텐츠 파일들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및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고, 휴대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항목으로 가지는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7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지원 여부에 따른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응용 프로그램,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응용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응용 프로그램, 파일 등의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파일 재생 및 편집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로 그램 영역은 실물 화상 모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응용 프로그램은 카메라 활성화를 위한 명령어들,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투사될 수 있도록 수집한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140)에 맞도록 변환하기 위해 설정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응용 프로그램은 활성화된 카메라가 단말기 거치대에 놓인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으로 초점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초점 기능 지원을 위한 명령어 및 반 셔터 키에 의해 초점이 수행된 경우, 해당 초점이 다른 입력이 있을 때까지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투사되는 영상의 화면 비율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프로젝터 모듈(140)에 의해 투사되는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물 화상 모드 응용 프로그램은 휴대 단말기(100)의 이격 거리 제안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표시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데이터 영역은 카메라 활성화에 따라 수집되는 영상 중 촬영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 저장된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영역은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에서 처리되는 오디오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응용 프로그램 활성화 시,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상기 오디오 컨텐츠를 오디오 처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8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활성화되어, 피사체에 해당하는 영상을 수집한다. 이러한 카메라(180)는 사용자가 메뉴 옵션에서 해당 항목 즉, 카메라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활성화되거나, 메뉴 옵션에서 실물 화상 모드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180)는 자동 초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실물 화상 모드로 활성화된 카메라(180)는 단말기 거치대에 놓이는 경우, 사물 보드에 놓이는 피사체에 대한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80)는 조절된 초점을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실물 화상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카메라(180)의 반 셔터 키를 입력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을 수행한 이후, 별도의 입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카메라(180)는 조절된 초점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명(190)은 카메라(180)가 배치된 영역 근처에 배치되며, 실물 화상 모드 동작 시, 자동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사용자가 후레쉬 기능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화되어 일정 조도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명(190)에서 조사된 광은 사물 보드의 전면에 조사되어 피사체에 제공됨으로써, 카메라(180)가 피사체를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명(190)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될 수 있으며, 조도 센서가 마련된 경우, 외부 환경이 일정 조도 이하인 경우 실물 화상 모드 시에 자동으 로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190)은 외부 환경이 일정 조도 이상인 경우, 실물 화상 모드가 진행되더라도 비활성화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며,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여부에 따라 각 구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물 화상 기능이 지원될 수 있도록 각 신호의 흐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실물 화상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항목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을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물 화상 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는 핫 키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핫 키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를 확인하여 실물 화상 모드 진입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50)에서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핫 키를 이용하여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카메라(180)와 프로젝터 모듈(140)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시, 카메라(180)를 활성화하여 영상을 수집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카메라(180)를 활성화하여 수집되는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프리뷰 영상을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프로젝터 모듈(140)을 활성화하여 상기 카메라(180)가 수집한 프리뷰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해 투사될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한 후, 프로젝 터 모듈(140)을 통하여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프리뷰 영상을 기 설정된 화면 비율 및 화면 방향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14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150)에 출력하지 않을 경우, 표시부(150)에 실물 화상 모드 진행에 필요한 메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스크린에 투사되는 프리뷰 영상의 화면 방향, 화면 비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5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된 경우, 일정 항목을 터치함으로써 프로젝터 모듈(140)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원하는 화면 방향 및 화면 비율로 투사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카메라(180)를 활성화 시킨 이후, 정지 영상을 수집하는 경우, 해당 정지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지 영상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된 정지 영상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투사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정지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140)에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한편, 상기 카메라(180) 기능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카메라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180)를 활성화하여 사물 보드에 놓인 피사체를 촬영하도록 제어한 후, 촬영된 정지 영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170)에 저장하는 한편,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정지 영상을 표시부(150)에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정지 영상을 표시부(150)에 출력하지 않고, 실물 화상 모드 진행을 위한 메뉴 항목 예를 들면 화면 크기 조정 및 화면 방향 조정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항목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동영상에 대해서도 정지 영상과 같은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카메라(180)의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180)의 동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하여 동영상을 수집하는 한편, 수집하는 동영상을 영상 처리하여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동영상 촬영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촬영된 동영상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자동으로 저장하고, 그때까지 촬영된 동영상을 반복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40)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카메라(180)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가 다시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18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동영상 촬영 중 상기 표시부(150)에 출력되는 영상을 촬영 중인 동영상을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실물 화상 모드 진행을 위한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거치대에 위치하여 실물 화상 모드가 활성화되는 경우,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프리뷰 영상, 정지 영상, 동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되 도록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실물 화상기 없이 카메라와 프로젝터 모듈(140)을 이용하여 실물 화상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영상 투사에 있어서 화면 비율 조정과 화면 방향 조정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실물 화상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거치대에 위치하여 피사체 영상을 수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단말기 거치대 없이 사용자가 임의의 장소에서 해당 환경에 배치된 구조물들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고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 중 이격 거리 제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실물 화상 장치(10)의 개략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격 거리 제안 기능은 사물 보드(210)에 피사체(1)가 놓이는 경우,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수직부(220)에 연결된 상하 이동 관절부(230)와 거리 조절 관절부(250) 및 제2 수평부(260)를 이용하여 피사체(1)와 휴대 단말기(100)의 카메라(180)와의 수평 거리 및 수직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180)의 화각이 θ이고, 피사체(1)의 크기가 "a"이며, 카메라(180)로부터 피사체(1)까지의 이격 거리가 T라고 할 경우, 상기 이격 거리 T는 다음 수학식 1을 통하여 연산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09007996239-PAT00001
여기서, 카메라(180)의 화각 θ는 휴대 단말기(100)가 제작될 당시에 결정되 는 값으로서 예를 들면 68ㅀ가 될 수 있으며, 피사체가 A4 사이즈일 때,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T는 약 22Cm가 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러한 수학식 1을 바탕으로 이격 거리 T를 연산하여 표시부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180)를 통하여 수집되는 피사체에 대하여 영상을 분석하여, 피사체의 전체 비율을 확인하고, 피사체(1)가 어떠한 사이즈일지 판단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수집된 영상의 가로 세로 비율을 확인하고, 해당 비율이 어떠한 크기의 문서인지를 판단하고, 피사체(1)의 크기"a"를 결정한다. 예를 든 바와 같이, 피사체(1)의 비율이 가로 세로 210mm X 297mm에 해당하는 비율인 경우,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1)를 A4 용지로 판단하고, 사전에 등록된 A4 용지의 넓이를 "a"의 넓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a" 넓이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팝업창을 출력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팝업창을 통하여 피사체(1)의 넓이를 선택하거나, 입력부를 이용하여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피사체(1)의 넓이가 결정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이격 거리 T를 연산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람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수직부(220)와 상하 이동 관절부(230)를 이용하여 해당 이격 거리만큼 휴대 단말기(100)와 피사체(1) 간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실물 화상 기능 지원 방법은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초기화함으로써 단말기의 부팅을 완료할 수 있다. 부팅 완료 시, 휴대 단말기는 S101 단계에서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S103 단계에서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즉, 휴대 단말기는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또는 실물 화상 모드 활성화를 위한 핫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103 단계에서 별도의 실물 화상 모드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이 없는 경우, S105 단계로 분기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파일 검색 기능,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프로젝터 기능, 게임 기능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1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프로젝터 모듈을 활성화가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S107 단계로 분기하여 카메라 및 프로젝터 모듈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 조명을 활성화하여 일정 조도의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조도 센서를 마련하고, 조도 센서가 수집하는 외부 조도 값에 따라 상기 조명 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S109 단계에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활성화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수집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 즉, 반 셔터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카메라의 초점 조절 기능을 제공하며, 초점이 조절된 이후, 조절된 초점을 다른 입력이 발생하기 전까지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는 프리뷰 영상을 지속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가 동영상 수집을 위한 입력을 수행한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동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자동 초점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실물 화상 모드가 활성화되어 카메라에 전원이 공급되면 사물 보드에 놓인 피사체에 대하여 자동 초점 조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휴대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프리뷰 영상 또는 동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에 적용할 수 있는 영상으로 처리한 후,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는 촬영된 프리뷰 영상 및 동영상의 화면 방향을 조정하여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화면 방향으로 화면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때, 화면 방향뿐만 아니라 화면의 비율도 조정할 수 있다. 즉, 프리뷰 영상 및 동영상의 화면 비율이 4:3인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는 프로젝터 모듈에 공급되는 영상은 16:9의 비율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에 제공하는 동안 카메라 수집한 영상을 표시부에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수집 영상을 표시부에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 실물 화상 모드 진행에 필요한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한 이후,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진행에 필요한 메뉴 화면을 오버 레이 시켜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상기 메뉴 화면을 표시부에만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프로젝터 모듈에는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 지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실물 화상 기능 지원 방법은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의 각 구성을 초기화함으로써 단말기의 부팅을 완료할 수 있다. 부팅 완료 시, 휴대 단말기는 S201 단계에서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S203 단계에서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여부를 확인한다. 즉, 휴대 단말기는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었는지 또는 실물 화상 모드 활성화를 위한 핫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S203 단계에서 별도의 실물 화상 모드 기능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생성이 없는 경우, S205 단계로 분기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파일 검색 기능, 통화 기능, 카메라 기능, 프로젝터 기능, 게임 기능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203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프로젝터 모듈을 활성화가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S207 단계로 분기하여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에 인접된 위치에 배치된 조명을 활성화하여 일정 조도의 광이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조도 센서를 마련하고, 조도 센서가 수집하는 외부 조도 값에 따라 상기 조명 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는 S209 단계에서 촬영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마련된 카메라 촬영키를 누르거나 표시부에 카메라 촬영키에 대응하는 키 맵 및 터치 센서를 기반으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기 촬영 키 및 터치 이벤트를 기준으로 촬영 신호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 제어부는 별도의 촬영 신호 입력이 없는 경우, S207 단계로 분기하여 카메라 활성화 과정을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9 단계에서 촬영 신호 입력이 발생하면, 휴대 단말기는 S211 단계에서 정지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 설정 및 입력에 따라 상기 촬영된 정지 영상을 임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 즉, 반 셔터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카메라의 초점 조절 기능을 제공하며, 초점이 조절된 이후, 눌려지는 셔터 키 입력 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정지 영상 저장 시, 프로젝터 모듈에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는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될 화면의 방향 및 화면 비율에 맞도록 상기 정지 영상을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정지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할 S213 단계에서 프로젝터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S215 단계에서 휴대 단말기는 변환되어 정장된 정지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에 투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 단말기는 상기 S211 단계에서 정지 영상의 변환 과정을 수행하 지 않은 경우, S215 단계에서 정지 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에 맞도록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은 실물 화상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카메라와 프로젝터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의 초점 기능을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일정한 해상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카메라가 수집하는 프리뷰 영상, 정지 영상, 동영상을 프로젝터 모듈에 맞도록 영상 처리를 수행한 후,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스크린에 투사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기만으로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휴대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높은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는 실물 화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피사체와의 이격 거리 제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Claims (24)

  1. 휴대 단말기의 메뉴 중 실물 화상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휴대 단말기에 포함되며 상기 수집된 영상을 전달할 프로젝터 모듈을 활성화하는 과정;
    상기 활성화된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상기 수집된 영상을 투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부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조절하고, 상기 조절된 초점을 별도의 입력 발생이전까지 유지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 활성화 시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은
    상기 피사체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지 영상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지 영상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과정은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초점 조절된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
    상기 수집된 정지 영상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영상 수집 완료 후, 상기 카메라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입력부로부터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 시, 상기 비활성화된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 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수집 완료 후, 상기 카메라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입력부로부터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 수신 시, 상기 비활성화된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영상을 투사하는 과정은
    상기 수집된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적용되는 화면 비율 및 화면 방향을 가지는 영상을 변환하는 과정;
    상기 변환된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카메라의 화각과 상기 피사체의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와 상기 카메라와의 이격 거리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이격 거리를 알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사체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크기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가로 세로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의 크기 사이즈를 결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영상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진행을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실물 화상 기능 제공 방법.
  14.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시, 활성화되어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
    상기 수집된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조명;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 및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진행을 위한 메뉴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실물 화상 모드 선택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수집하는 프리뷰 영상, 동영상, 정지 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화면 비율 및 화면 방향을 가지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활성화 시 상기 피사체에 대한 초점을 자동 또는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조절하도록 제어하고, 조절된 초점을 유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수집한 경우, 상기 카메라를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다른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시, 상기 비활성화된 카메라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의 크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카메라의 화각과 상기 피사체의 크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와 상기 카메라와의 이격 거리를 계산한 후, 상기 이격 거리를 알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크기 정보를 수집하거나,
    상기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영상에서 상기 피사체의 가로 세로 비율을 기반으로 상기 피사체의 크기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22. 실물 화상 모드 선택 시, 활성화되어 영상을 수집하는 카메라, 상기 수집된 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투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지지하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를 상하 운동 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와 연결되는 거리 조절 관절부;
    상기 거리 조절 관절부와 연결되어 운동 거리에 따라 수평 거리를 조절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2 수평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상하좌우 회전 운동을 제어하는 회전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피사체가 놓이는 사물 보드;
    상기 사물 보드 일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신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를 축으로 상하 운동하여 상기 수평부를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상하 이동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1020090010405A 2009-02-10 2009-02-10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KR20100091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405A KR20100091286A (ko) 2009-02-10 2009-02-10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2/701,860 US20100201836A1 (en) 2009-02-10 2010-02-08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visual presenter function and holder for the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0405A KR20100091286A (ko) 2009-02-10 2009-02-10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286A true KR20100091286A (ko) 2010-08-19

Family

ID=4254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0405A KR20100091286A (ko) 2009-02-10 2009-02-10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01836A1 (ko)
KR (1) KR201000912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323A1 (ko) * 2011-12-27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KR101323313B1 (ko) * 2013-04-09 2013-10-29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영상 확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8401B (zh) * 2012-10-10 2015-04-15 徐跃增 手机或相机拍照辅助支架
US20140111629A1 (en) * 2012-10-20 2014-04-24 Margaret Morris System for dynamic projection of media
US9467579B2 (en) * 2012-11-27 2016-10-11 Janis Dugan Window picture system
CN103905685B (zh) * 2012-12-25 2017-09-2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辅助移动终端进行扫描的外围设备及扫描方法
CN107295210B (zh) * 2015-02-13 2019-07-05 安徽字母表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用于文件扫描的装置
CN104735205A (zh) * 2015-04-23 2015-06-24 刘贝 手机架及其使用方法
US10753842B2 (en) * 2016-04-04 2020-08-25 Alidad AMIRFAZLI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interfaces using droplets or bubbles
CN109114373B (zh) * 2018-09-04 2023-10-10 深圳航天科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数据传输装置和方法
US11172189B1 (en) * 2018-12-28 2021-11-09 Facebook, Inc. User detection for projec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US11196985B1 (en) 2018-12-28 2021-12-07 Facebook, Inc. Surface adaptation for projection-based augmented realit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0610A (ja) * 2000-05-02 2001-11-16 Nikon Corp 電子スチルカメラ
EP1385335B1 (en) * 2002-07-23 2009-04-22 NEC Display Solutions, Ltd. Image projector with image-feedback control
JP3860552B2 (ja) * 2003-03-25 2006-12-20 富士通株式会社 撮影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323A1 (ko) * 2011-12-27 201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홀로그래피 제어 시스템
US9563173B2 (en) 2011-12-27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system for controlling holography provided therewith
KR101323313B1 (ko) * 2013-04-09 2013-10-29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영상 확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1836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91286A (ko) 실물 화상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기와, 휴대 단말기 거치대
US11252332B2 (en) Image photography apparatus
US103033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110069946A (ko) 외부 조사 장치를 가지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96744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image area using image sensor location
CN111010510B (zh) 一种拍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219448B (zh) 拍摄方法和装置
US9742995B2 (en) Receiver-controlled panoramic view video share
KR20140090318A (ko) 햅틱 기반 카메라 운용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20110096567A (ko) 터치 포커스를 갖는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US20130335587A1 (en) Terminal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KR101788496B1 (ko) 단말 및 비디오 이미지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927165A (zh) 一种壁纸图片的处理方法及装置
CN106775525A (zh) 控制投影仪的方法及装置
WO2018133388A1 (zh) 智能飞行设备的拍摄方法及智能飞行设备
KR20140106265A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KR20110045549A (ko) 듀얼 렌즈를 가진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US20090153686A1 (e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with a mobile phone
KR20100090163A (ko)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데이터 표시 방법
CN107241535A (zh) 闪光灯调节装置及终端设备
CN104284093A (zh) 全景拍摄方法及装置
KR20110099590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58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933095B (zh) 望远镜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828303B1 (ko)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