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128B1 -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128B1
KR100967128B1 KR1020087028512A KR20087028512A KR100967128B1 KR 100967128 B1 KR100967128 B1 KR 100967128B1 KR 1020087028512 A KR1020087028512 A KR 1020087028512A KR 20087028512 A KR20087028512 A KR 20087028512A KR 100967128 B1 KR100967128 B1 KR 100967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ody frame
main body
far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4509A (ko
Inventor
윤양택
최경선
김일형
이욱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스코리아
Publication of KR20090064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4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8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visual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for the partially sighted

Abstract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Description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PORTABLE VIDEO MAGN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저시력자나 노약자와 같은 사용자를 위하여 원거리와 근거리 영상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영상을 확대, 색상 변환, 정지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 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시각장애자라 함은 갖가지 안질환으로 인하여 시력을 잃고 광각까지도 상실하여 명암을 구별하는 일조차 할 수 없게 된 상태를 가르키나, 명암의 구별을 아는 정도 및 눈앞에 있는 손의 움직임을 아는 정도의 심한 약시를 가진 사람도 시각장애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저시력자들은 수정체, 홍채, 망막, 시신경계의 약화의 원인으로 일반적인 안경이나 렌즈로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의 피사체를 식별할 수 없는 상태이다.
휴대형 영상확대장치는 이러한 저시력자나 노약자들의 시력을 보완해 주기 위해 작은 글씨의 책이나 약병, 수표나 화폐 등과 같이 보기 어려운 피사체의 영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충전되는 배터리를 구비하여 전원선을 연결할 수 없는 곳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며 저시력자나 노약자가 휴대하여 독서를 하는 경우나 수표 또는 화폐 등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경우에 이용된 다.
그러나 일반적인 휴대형 영상확대장치는 원거리에 있는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피사체와 근접한 곳까지 다가가서 촬영해야 하며, 근접한 곳까지 다가갔다 하더라도 눈높이보다 높은 곳에 있는 피사체를 확인할 수 없게 되어, 확인을 위해 타인에게 도움을 청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또한, 망원경과 같은 원거리 영상확대장치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 및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반대 면에 위치한 촬영용 렌즈의 위치를 쉽게 알지 못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찾는데 불필요한 시간이 발생하며, 사용자가 글을 쓰는 경우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촬영용 렌즈를 피사체에 지향시키기 위해서는 영상 확대장치를 비스듬하게 들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휴대형 영상확대장치에 원거리 영상검출부와 근거리 영상검출부를 하나로 통합하여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눈높이보다 높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영상정지 또는 영상저장기능이 요구되며, 촬영용 렌즈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여 피사체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글을 쓰는 경우 영상 확대장치를 주변에 놓아두고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근거리 영상검출부만 회동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TV와 연결을 하여 영상 확대장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TV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시야각이 작아 텔레비전의 전체화면을 볼 수 없는 저시력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도 요구된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거리 영상검출부와 근거리 영상검출부를 하나로 통합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높이보다 높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영상정지 또는 영상저장기능이 있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용 렌즈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가 피사체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글을 쓰는 경우 영상 확대장치를 주변에 놓아두고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가진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시야각이 작아 텔레비전의 전체화면을 볼 수 없는 저시력자에게 시청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TV와 연결하여 TV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기능이 있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를 제공하는데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Figure 112008080337160-pct00001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처리 촬영렌즈(3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210); 직하면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근거리 촬영렌즈(220); 촬영시 피사체를 밝게 비추도록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명 LED(230); 및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의 활성화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근거리 카메라 표시등(2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 프레임(210)은, 읽기 모드인 경우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장착된 면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배면 상측에 위치하고, 쓰기 모드인 경우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장착된 면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회동 되기도 하며,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는,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장치(320); 및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의 활성화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원거리 카메라 표시등(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는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오토 포커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을 일시정지 또는 저장시키는 영상정지/저장 버튼(410); 상기 저장된 영상의 보기, 저장된 영상의 삭제, 영상저장공간의 확인, 배터리 잔량 확인, 소리제어, 화면이동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메뉴 버튼(420); 및 상기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아이콘 선택 버튼(43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변환 버튼(440); 현재 출력되는 영상을 반전된 색상으로 변환하여 재출력시키는 색상변환 버튼(450); 및 출력되는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는 배율확대 버튼(460)과 배율축소 버튼(47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정지/저장 버튼(410)은, 설정시간 이내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이 일시정지되고, 설정시간 이상으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는 장치의 On/Off를 위한 전원스위치(110)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스위치(110)는 On 위치 및 Off 위치로부터 원 위치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며,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원 위치에 위치한 경우 일정시간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Off시키기도 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는 컴포지트 입력단자(160) 및 카메라 선택스위치(12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카메라 선택스위치(120)의 방향에 따라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되고, 상기 컴포지트 입력단자(160)를 통해 외부에서 영상이 입력되면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비활성화되면서 입력되는 영상이 구현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는 제1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가 구비되는 제2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의 촬영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1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제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가 상기 제1 본체 프레임의 상면 또는 배면을 향할 수 있도록 제1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기도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에 의한 근거리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본체 프레임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에 의한 원거리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도 하며, 상기 제 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제1 본체 프레임의 일측단에 설치될 수 있기도 하다.
유리한 효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으로 인하여 본 휴대형 형상 확대장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와 근거리 영상검출부를 하나로 통합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으로도 장치의 이용이 가능하고 휴대공간 및 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높이보다 높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영상정지 또는 영상저장기능이 있어 기존의 영상 확대장치의 사용범위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용 렌즈의 위치를 쉽게 인식하도록 표시하여 사용자가 피사체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글을 쓰는 경우 영상 확대장치를 주변에 놓아두고도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영상 확대장치를 비스듬하게 들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TV와 연결하여 TV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기능을 부가하여 시야각이 작아 텔레비전의 전체화면을 볼 수 없는 저시력자의 시청을 보조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근거리 영상검출부 작동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색상 변환을 수행시킨 후 출력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사용자의 눈높이보다 높은 피사체를 인식하기 위한 영상정지/저장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쓰기 모드시 보조 프레임(210)을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원거리 영상검출부 작동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고,
도10은 실시예2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11은 실시예2의 작용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프레임 110:전원스위치
120:카메라 선택스위치 160:컴포지트 입력단자
170:전원입력단자 200:근거리 영상검출부
210:보조 프레임 220:근거리 촬영렌즈
230:조명 LED 240:근거리 카메라 표시등
300:원거리 영상검출부 310:원거리 촬영렌즈
320:초점조절장치 330:원거리 카메라 표시등
400:디스플레이장치 410:영상정지/저장 버튼
420:메뉴 버튼 430:아이콘 선택 버튼
440:밝기변환 버튼 450:색상변환 버튼
460:배율확대 버튼 470:배율축소 버튼
500:하드웨어 시스템 510:컴포지트 변환기
520:근거리 촬영센서 530:원거리 촬영센서
540:영상 선택기 550:메모리
560:영상 스케일러 570:RGB 포맷 컨버터
580:마이크로 컨트롤러 590:배터리
591:A/D 컨버터 592:배터리충전 LED
1100:본체 프레임 1110:제1 본체 프레임
1120:제2 본체 프레임 1310:원거리 촬영렌즈
1400:디스플레이장치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1
도 1 및 도 2는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근거리 영상검출부 작동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색 변환을 수행시킨 후 출력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사용자의 눈높이보다 높은 피사체를 인식하기 위한 영상정지/저장기능을 수행하는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쓰기 모드시 보조 프레임을 회동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원거리 영상검출부 작동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그리고, 도 9는 실시예1에 의한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시예1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체 프레임 (100),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본체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프레임(100)은 소정위치에 컴포지트 입력단자(160), 충전을 위한 전원입력단자(170), 장치의 On/Off를 위한 전원스위치(110) 및 카메라 선택을 위한 카메라 선택스위치(12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입력단자(170)를 통해 전원을 입력하여 충전한 후에 전원스위치(110)를 켜서 전원을 인가하면 시스템 초기화 과정을 거친 후에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또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시야각이 작은 사용자를 위하여 상기 컴포지트 입력단자(160)를 통해 TV와 영상 확대장치를 연결하고, TV를 통해 영상이 입력되면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비활성화되면서 TV 영상이 디스플레이장치(400)를 통해 구현된다.
실시예1은 영상변화 감지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일정시간 장치를 방치하게 되면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것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도록 설계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전원스위치(110)는 외력에 의하여 원 위치로부터 장치의 전원을 On시키는 On 위치 및 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는 Off 위치까지 슬라이딩된다. 그러나, 전원스위치(110)는 On 위치 및 Off 위치에 도달한 뒤에는 이들 위치로부터 자동으로 슬라이딩되어 원 위치에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원스위치(110)는 장치의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원 위치에 위치한 경우 소정 시간 동안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장치의 전원을 Off시키도록 구성된다. 실 시예1은 영상변화 감지기능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일정시간 장치를 방치하게 되면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것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꺼지는 전원차단회로로 설계되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따라서, 영상변화를 감지하여 전원이 Off된 경우에도 전원스위치(110)는 원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전원스위치(110)를 On 위치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전원을 On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는 직하면(
Figure 112008080337160-pct00002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210), 직하면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근거리 촬영렌즈(220), 촬영시 피사체를 밝게 비추도록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명 LED(230) 및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위치 및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의 활성화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근거리 카메라 표시등(240)으로 구성된다.
도 4 또는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보조 프레임(210)은 본체 프레임(100)과 수평면을 이루도록 하여, 읽기 모드인 경우 영상 확대장치를 놓아둔 상태에서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직하면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지향하도록 한다. 즉, 읽기 모드인 경우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장착된 면은 본체 프레임(100)의 배면과 평행상태를 유지하며, 본체 프레임(100)의 배면 상측에 위치 가능하게 된다.
한편, 쓰기 모드인 경우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직하면의 주변에서 필기되고 있는 문자 등의 피사체를 지향하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210)은 일정각도 회동된다. 즉, 쓰기 모드인 경우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장착된 면이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회동구조는 일반적으로 회동축 또는 돌기부를 이용한 힌지결합 등을 통해 수동으로 회동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소형구동모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자동으로 회동 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근거리 촬영렌즈(220)를 피사체에 지향시키기 위해 본체 프레임(100)을 비스듬히 드는 불편함이 개선된다.
실시예1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전력소모가 CCD 카메라보다 적은 CMOS 카메라로 얻어지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의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초점을 조절한 후에도 영상의 외각으로 갈수록 화면이 왜곡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는 비구면 렌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비구면 렌즈는 피사체와 근거리 촬영렌즈(220) 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1의 전체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구비되며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한다. 이러한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소정위치에 구비되며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거리 촬영렌즈(310),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장치(320) 및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위치 및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의 활성화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원거리 카메라 표시등(3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는 피사체와 원거리 촬영렌즈(310) 간의 거리가 대부분 유동적이므로 초점조절장치(320)로 초점거리를 조정하며, 일정한 구간에서는 초점조절을 하지 않아도 초점이 맞는 피사체심도가 깊은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는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오토 포커싱 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상기 컴포지트 입력단자(160)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컬러 LC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카메라 선택스위치(120)의 방향에 따라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되고, 상기 컴포지트 입력단자(160)를 통해 영상이 입력되면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비활성화되면서 입력되는 영상이 구현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근거리 영상과 원거리 영상을 색 변환, 저장 및 확대하여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을 일시정지 또는 저장시키는 영상정지/저장 버튼(410), 상기 저장된 영상의 보기, 저장된 영상의 삭제, 영상저장공간의 확인, 배터리 잔량 확인, 소리제어, 화면이동 등의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메뉴 버튼(420), 상기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하거나 각 기능을 조절하는 아이콘 선택 버튼(430),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밝기 를 조절하는 밝기변환 버튼(440), 현재 출력되는 영상을 반전된 색상으로 변환하여 재출력시키는 색상변환 버튼(450) 및 출력되는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글씨로 설정하는 배율확대 버튼(460)과 배율축소 버튼(47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정지/저장 버튼(410)은, 설정시간 이내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이 일시정지되고, 설정시간 이상으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이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기 설정시간은 이를테면 2∼4초로 설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영상정지/저장 버튼(410)은 눈높이보다 높은 피사체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기능버튼이며, 사용자가 자신의 키보다 높이 있는 피사체에 다가가서 주변 환경에 따라 근거리 촬영렌즈(220) 또는 원거리 촬영렌즈(310)로 피사체를 정지촬영한 후에 디스플레이장치(400)를 사용자의 눈에 근접시켜 피사체를 확인하게 된다. 저장된 영상은 메뉴 버튼(420) 및 아이콘 선택 버튼(430)을 통해 검색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메뉴 버튼(420) 및 아이콘 선택 버튼(430)은 네비게이션 버튼에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색상변환 버튼(450)은 색맹 또는 색약을 가진 사용자를 위해서 구비되며, 원 영상에서 반전된 화면, 색상변환 등 수개의 변화된 컬러형태로 디스플레이장치(400)에 출력해준다.
이하, 도 9를 참고하여 실시예1의 하드웨어 시스템(500)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1은 근거리 촬영렌즈(220)에서 검출된 영상을 VUY형태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출력해주는 근거리 촬영센서(520)와, 원거리 촬영렌즈(310)에서 검출된 영 상을 YUV형태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출력해 주는 원거리 촬영센서(530)와, 외부에서 컴포지트 입력단자(160)를 통해 입력된 컴포지트 신호를 YUV형태의 디지털 영상신호로 출력해 주는 컴포지트 변환기(510)와, 상기 3곳에서 발생한 YUV영상신호가 입력된 경우 하나의 YUV신호만 선택하는 영상 선택기(540)와, 상기 영상 선택기(540)에서 선택된 신호를 저장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다시 볼 수 있게 하는 메모리(550)를 갖는다. 또한 실시예1은 상기 배율확대버튼(460) 또는 배율축소버튼(47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확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 스케일러(560)와, 영상의 색상 변환 기능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장치(400)의 포맷에 맞는 가공된 영상시그널을 생성하기 위한 RGB 포맷 컨버터(570)를 갖는다. 또한, 상기 영상 스케일러(560) 내에는 앞서 설명한 영상변화 감지기능이 구비되어 일정시간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이 상태를 전원차단회로로 전달하여 전원을 끄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한다. 또한, 배터리(590)의 잔량을 확인 할 수 있도록 배터리(590) 전압을 A/D 변환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580)에 변환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A/D 컨버터(591)가 구비되며, 배터리충전 LED(592)는 본 장치의 전원을 켜지 않아도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알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컴포지트 변환기(510), 근거리 촬영센서(520), 원거리 촬영센서(530), 영상 선택기(540), 영상 스케일러(560) 및 RGB 포맷 컨버터(570)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580)와 BUS(B)를 통해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각종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수단(110, 120, 320, 410, 420, 430, 440, 450, 460, 470, 480)을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580)에 정보를 입력하면 이는 상기 BUS(B)를 통해 각 파트 로 전달되어 각종 기능이 수행된다.
실시예2
실시예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의 또 다른 일실시예이다. 도10은 실시예2의 개략적 사시도를, 도11은 실시예2의 작용도를 나타낸다.
실시예2 중 설명되지 않거나 설명이 불충분한 부분은 실시예1에 준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본체 프레임(1100)을 갖는다. 본체 프레임(1100)은 제1 본체 프레임(1110) 및 제2 본체 프레임(1120)을 포함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1 본체 프레임(1110)에는 디스플레이장치(1400)가 설치되고, 도11을 참조하면 제2 본체 프레임(1120)에는 원거리 촬영렌즈(1310)가 설치된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제2 본체 프레임(1120)은 제1 본체 프레임(1110)의 일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원거리 촬영렌즈(1310)가 제1 본체 프레임(1110)의 상면 또는 배면을 향할 수 있도록 적어도 180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제2 본체 프레임(1120)이 제1 본체 프레임(1110)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원거리 촬영렌즈(1310)가 디스플레이장치(1400)의 상면 또는 배면 방향에 위치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달리 사용자가 디스프레이장치(1400)의 방향을 바꾸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1400)의 상면 또는 배면 방향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프레이장치(1400)에 근거리 영상검출부(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한 근거리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2 본체 프레임(1120)이 제1 본체 프레임(1110)에 대하여 회동하게 되면, 디스플레이장치(1400)에 원거리 촬영렌즈(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촬상된 원거리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2 본체 프레임(1120)은 제1 본체 프레임(111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 멈춤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본체 프레임(11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1400)를 시야 앞에 고정시키고, 제1 본체 프레임(1110)을 임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정지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400)와 수직한 평면상의 임의 지점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2의 경우 제2 본체 프레임(1120)은 제1 소정 각도 회전하여 멈춘뒤, 다시 제2 소정 각도로 만큼 회전하여 멈출 수 있기도 하다. 즉, 일례를 들면 제2 본체 프레임(1120)은 10만큼 회전하여 멈출 수 있고, 이 상태에서 10만큼 더 회전한 상태에서도 멈출 수 있기도 하다.
도10을 참조하면 실시예2의 경우 제2 프레임(1120)이 제1 프레임(1110)의 하측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1 프레임(111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 등에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120)은 제1 프레임(1110)의 상면 및 배면을 관통하며 제1 프레임(1110)의 일측으로부터 요입 형성되는 관통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120)은 제1 프레임(1110)의 상면 및 배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120)은 원거리 촬영렌즈(1310)가 제1 본체 프레임(1110)의 상면 또는 배면을 향할 수 있도록 적어도 180도 회전 가능하 게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2 프레임(1120)의 제1 프레임(1110)에 대한 회전각은 180도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원거리영상 및 근거리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시키므로, 저시력자나 노약자들의 시력을 보완해 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형 영상장치 생산 분야에서 널리 실시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Figure 112010013164112-pct00016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처리 촬영렌즈(3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
    를 포함하되,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210);
    직하면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프레임(210)에 설치되는 근거리 촬영렌즈(220);
    촬영시 피사체를 밝게 비추도록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주변에 배치되는 조명 LED(230); 및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200)의 활성화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근거리 카메라 표시등(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레임(210)은,
    읽기 모드인 경우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장착된 면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배면 상측에 위치하고,
    쓰기 모드인 경우 상기 근거리 촬영렌즈(220)가 장착된 면이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각도 회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4.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Figure 112010013164112-pct00017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처리 촬영렌즈(3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
    를 포함하되,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는,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초점을 맞추는 초점조절장치(320); 및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반대 면에 배치되어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의 활성화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원거리 카메라 표시등(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300)는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310)의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는 오토 포커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6.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Figure 112010013164112-pct00018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처리 촬영렌즈(3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
    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을 일시정지 또는 저장시키는 영상정지/저장 버튼(410);
    상기 저장된 영상의 보기, 저장된 영상의 삭제, 영상저장공간의 확인, 배터리 잔량 확인, 소리제어, 화면이동 기능을 표시하는 아이콘을 출력시키는 메뉴 버튼(420); 및
    상기 출력된 아이콘을 선택하는 아이콘 선택 버튼(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의 밝기를 조절하는 밝기변환 버튼(440);
    현재 출력되는 영상을 반전된 색상으로 변환하여 재출력시키는 색상변환 버튼(450); 및
    출력되는 영상의 배율을 조절하는 배율확대 버튼(460)과 배율축소 버튼(4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지/저장 버튼(410)은,
    설정시간 이내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는 영상이 일시정지되고,
    설정시간 이상으로 버튼을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에 현재 출력되 는 영상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9.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Figure 112010013164112-pct00019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처리 촬영렌즈(3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는 장치의 On/Off를 위한 전원스위치(110)가 구비되되,
    상기 전원스위치(110)는 On 위치 및 Off 위치로부터 원 위치로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며, 전원이 On된 상태에서 상기 원 위치에 위치한 경우 일정시간 영상의 변화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을 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는 컴포지트 입력단자(160) 및 카메라 선택스위치(12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카메라 선택스위치(120)의 방향에 따라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되고, 상기 컴포지트 입력단자(160)를 통해 외부에서 영상이 입력되면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비활성화되면서 입력되는 영상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1.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는 제1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가 구비되는 제2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의 촬영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1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가 상기 제1 본체 프레임의 상면 또는 배면을 향할 수 있도록 제1 본체 프레임에 적어도 180도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근거리 영상검출부에 의한 근거리 영상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본체 프레임이 회동하는 경우 상기 원거리 영상검출부에 의한 원거리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제1 본체 프레임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제1 본체 프레임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 멈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6.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Figure 112010013164112-pct00020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처리 촬영렌즈(3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는 컴포지트 입력단자(160) 및 카메라 선택스위치(120)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400)는 상기 카메라 선택스위치(120)의 방향에 따라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선택적으로 구현되고, 상기 컴포지트 입력단자(160)를 통해 외부에서 영상이 입력되면 원거리 영상 또는 근거리 영상이 비활성화되면서 입력되는 영상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17. 본체 프레임(100);
    직하면(
    Figure 112010013164112-pct00021
    下面) 또는 이 주변의 피사체를 근접촬영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근거리 영상검출부(200);
    원거리 피사체를 촬영하는 원처리 촬영렌즈(31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원거리 영상검출부(300); 및
    근거리 영상, 원거리 영상 및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를 화면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400);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되는 제1 본체 프레임 및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가 구비되는 제2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본체 프레임은, 상기 원거리 촬영렌즈의 촬영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1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KR1020087028512A 2007-11-23 2007-11-23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KR100967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5956 WO2009066819A1 (en) 2007-11-23 2007-11-23 Portable video magnify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4509A KR20090064509A (ko) 2009-06-19
KR100967128B1 true KR100967128B1 (ko) 2010-07-05

Family

ID=40667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512A KR100967128B1 (ko) 2007-11-23 2007-11-23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94154B2 (ko)
KR (1) KR100967128B1 (ko)
WO (1) WO2009066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222429A (en) * 2010-11-23 2012-06-01 Inventec Corp Web camera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681268B2 (en) 2012-05-24 2014-03-25 Abisee, Inc. Vision assistive devices and user interfaces
KR101323313B1 (ko) * 2013-04-09 2013-10-29 주식회사 힘스인터내셔널 영상 확대 장치
CN103454762A (zh) * 2013-09-05 2013-12-18 怡高企业(中山)有限公司 一种lcd数码显微镜装置
EP3420397A4 (en) * 2016-02-26 2019-12-04 Freedom Scientific, Inc. MAGNIFICATION DEVICE WITH ADJUSTABLE CAMERA
WO2019059895A1 (en) * 2017-09-08 2019-03-28 Maalouf Ramzi Khalil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TRUE FULL SCREEN DISPLAY DEVICE IN PORTABLE TERMINALS
US10971033B2 (en) 2019-02-07 2021-04-06 Freedom Scientific, Inc. Vision assistive device with extended depth of field
USD976907S1 (en) * 2020-11-20 2023-01-31 Shenzhen Konkr Technology Co., Ltd Handheld game conso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324A (ko) *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 개의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KR20060035064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삼차원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8875A1 (en) 1992-03-25 1993-09-26 Hiroshi Yamauchi Portable magnifying reading apparatus with high convenience
JP2001034775A (ja) * 1999-05-17 2001-02-09 Fuji Photo Film Co Ltd 履歴画像表示方法
JP2003060765A (ja) * 2001-08-16 2003-02-28 Nec Corp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JP3952897B2 (ja) * 2002-07-31 2007-08-01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通信端末
US7764320B1 (en) * 2002-12-02 2010-07-27 Symbol Technologies, Inc. Portable imaging system for multimode camera with different focal length lens and fixed or moveable image sensors
US20060034601A1 (en) * 2003-04-23 2006-02-16 Tage Andersson Multi-function two panel electronic device with 360° relative motion
JP2006191302A (ja) * 2005-01-05 2006-07-20 Toshiba Corp 電子カメラ装置とその操作案内方法
KR101156115B1 (ko) * 2005-05-18 201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7286306B2 (en) * 2006-03-24 2007-10-23 Chun-Ming Wu Portable multimedia based AV player with magnifying lens
US8112128B2 (en) * 2006-08-31 2012-02-07 Flextronics Ap, Llc Discreetly positionable camera housing
KR20080024679A (ko) * 2006-09-14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복합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324A (ko) * 2002-12-18 2004-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두 개의 카메라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거리 측정 방법
KR20060035064A (ko) * 2004-10-20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삼차원 영상데이터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94154B2 (en) 2012-06-05
WO2009066819A1 (en) 2009-05-28
US20100321526A1 (en) 2010-12-23
KR20090064509A (ko) 200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128B1 (ko)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US9519142B2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method
EP1731954A1 (en) Eye image captur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JPWO201417117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撮像装置
CN113301247A (zh) 一种语音输入设备、其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JP2013183433A (ja) クライアント端末、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182475A1 (en) Binocular system with digital camera
JP20160098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23313B1 (ko) 영상 확대 장치
US10176726B2 (en) Handheld, portable vision aid device and vision aid system
JP2006238094A (ja) 拡大視器具
JP5969847B2 (ja) 撮像装置
KR101486770B1 (ko) 시선 유도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제어방법
EP1056270A2 (en) Digital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via an optical viewfinder
JP2021145240A (ja) 撮像装置
WO2019239162A1 (en) Hand held device for controlling digital magnification on a portable display
JP2006157154A (ja) 情報入力装置、カメラ
JP2000184245A (ja) カメラ装置
KR101589707B1 (ko) 펜 타입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JP2014220555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084030U (ja) ディジタル画像保存機能を具えた双眼鏡
US11843894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EP2053444A1 (en) Optical system
KR101722911B1 (ko)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835384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