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2911B1 -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 Google Patents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2911B1
KR101722911B1 KR1020150133281A KR20150133281A KR101722911B1 KR 101722911 B1 KR101722911 B1 KR 101722911B1 KR 1020150133281 A KR1020150133281 A KR 1020150133281A KR 20150133281 A KR20150133281 A KR 20150133281A KR 101722911 B1 KR101722911 B1 KR 101722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able image
camera unit
camera
image enl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669A (ko
Inventor
이해석
김일형
이상준
임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50133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7Viewing apparatus comprising magnifying means
    • H04N5/23245
    • H04N5/23296

Abstract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가 개시 된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고, 그리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PORTABLE IMAGE ENLARGEMENT APPARATUS FOR LOW VISION PERSON}
본 발명은 저시력자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자는 여러 종류의 안질환으로 인하여 정상 시력을 잃어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사물을 인식하더라도 아주 근거리의 사물만을 인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상 확대 장치는 이러한 저시력자의 손상된 시력을 보완해 줄 수 있다. 영상 확대 장치는 책, 약병, 영수증 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사물에 대해 글자 또는 이미지 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영상 확대 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TV, 모니터 등의 영상출력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기존의 영상 확대 장치는 고정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저시력자들이 외부 활동을 하는 때, 영상 확대 장치를 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저시력자들을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한 휴대용 확대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특 1997-0073059호(이하?선행문헌?이라 칭함)는, 촬상물을 올려놓고 촬상을 행하며 촬상된 광학적 영상을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촬상수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촬상물의 영상을 고배율로 확대하여 촬상수단에 전달하는 영상확대수단과,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변환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실물화상시스템을 제공한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단순히 촬상물을 확대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촬상물에 대한 확대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대한 수요가 당업계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부를 레일부를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가 개시된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고, 그리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카메라부와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를 이용하여 촬영한 대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책을 촬영한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책에 포함된 글자들을 소정의 단위로(예를 들어, 한자 또는 두자 단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촬영 대상(예를 들어,책, 인쇄물 등)에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해, 계속해서 사용자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를 레일부(160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0)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컨텐츠를 감지하여 레일부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0)는 상하로 회전 운동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위치를 조정하지 않고, 촬영 대상(예를 들어, 책, 인쇄물 등)에 있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할 수 있다.
현재 저시력자들의 대부분은 고령의 사람들이며, 고령의 사람들 중 다수는 정교하게 장치를 다루는 것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별도의 조작 없이 촬영 대상내의 컨텐츠를 표시 함으로써, 이들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액츄에이터(1100), 카메라부(1200), 디스플레이부(1400), 저장부(1500), 레일부(1600), 입력부(1800), 스피커(1550), 각도 센서부(1700), 조명부(1900), 지지부(1950), 및 제어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광학 문자 판독 모듈(1320) 및 문자 음성 변환 모듈(1340)을 포함할 수 있고, 레일부(1600)는 구동부(1620)와 고정부(16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부(1900)는 조도 센서(1920)와 광원(19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광학 문자 판독 모듈(1320) 및 문자 음성 변환 모듈(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레일부(1600)에 포함된 구동부(1620), 또는 카메라부(120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100)가 레일부(1600)와 연결된 경우, 제어부(13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레일부(1600)에 포함된 구동부(162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1200)는 레일부(1600)의 구동부(1620)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1100)가 카메라부(1200)와 연결된 경우, 제어부(13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1300)는 미리 결정된 속력에 따라 카메라부(1200)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미리 결정된 속력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카메라부(1200)를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문서를 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0)는 미리 결정된 속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속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속력을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0)는 카메라부(1200)의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그리고 촬영 대상의 컨텐츠 내의 라인 및 미리 결정된 카메라부의 이동 속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카메라부의 좌우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1100)의 동작 및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카메라부(1200)가 가리키는 촬영 대상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카메라부(1200)가 가리키는 (예를 들어, 인쇄물과 같은)촬영 대상에 포함된 컨텐츠내의 라인(예를 들어, 글자의 행과 행 사이의 라인 또는 여백과 여백 사이의 글자 라인)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컨텐츠내의 라인을 따라 미리 결정된 속력으로 카메라부(1200)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라인에 인접하는(예를 들어, 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글자들이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컨텐츠 내의 상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된 후, 순차적으로 컨텐츠 내의 하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카메라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제 1 라인의 상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한 후, 제 1 라인의 하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제 1 라인의 상부에 위치한 글자들을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한 후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를 좌측으로 움직이고, 그리고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제 1 라인 하부의 좌측에 위치한 글자가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제어부(13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를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제 1 라인 하부의 글자들이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리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다.
기존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로 문서를 읽는 경우에 문서의 일부분이 순차적으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이용에 불편함을 느꼇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촬영 대상의 컨텐츠 내의 라인 및 미리 결정된 카메라부의 이동속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카메라 부의 좌우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의 동작 및 카메라부의 상하 회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 사용자들의 조작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성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부(1800)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액츄에이터(11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200)를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카메라부(1200)를 움직일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카메라부(1200)에 포함된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200)의 상하 방향 회전 및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200)의 상하 방향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카메라 구동부(126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120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0)는 입력부(180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240)가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원거리 모드일 때, 제어부(1300)는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240)가 닫히도록 카메라 구동부(1260)를 제어할 수 있고,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 모드일 때, 제어부(1300)는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240)가 개방되도록 카메라 구동부(1260)를 제어할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1260)는 다양한 종류의 동력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구동부(1260)는 AC모터, DC모터, Geared DC 모터, Geared BLDC 모터, Shaft 모터, Piezo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300)는 각도 센서부(1700)를 제어할 수 있다. 각도 센서부(1700)는 하나 이상의 각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센서부(17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 사이의 각도,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지부(1950)사이의 각도, 카메라부(1200)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각도 센서부(1700)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원거리 모드 및 근거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0)는 상기 각도 센서부(170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에 근접한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근거리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0)는 상기 각도 센서부(1700)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근접하지 않은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원거리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0)는 상기 측정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 사이의 각도 측정값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 근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 측정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원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값은 사용자의 입력, 디폴트로 결정된 값, 또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각각의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부(1200)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정보, 각각의 모드에 대하여 마지막 동작시의 설정 정보, 디폴트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근거리 모드로 결정한 경우, 근거리 모드에 관련한 상세 설정을 로드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자세히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이용하여 책을 읽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책을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후면 방향의 지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부(1200)가 상기 책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1200)의 각도 및/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한 경우, 각도 센서부(1700)는 카메라부(1200)의 각도 및/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측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근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고, 사전 결정된 근거리 모드용 설정을 로드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사용자가 독서하기에 용이하도록 화면 출력 모드를 흑백으로 하거나, 광학 문자 판독 모듈(1320)에 의해 판독된 문자를 문자 음성 변환 모듈(1340)에 의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근거리 모드의 동작은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13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근거리 모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카메라부(1200)가 원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촬영하도록 카메라부(1200)의 각도 및/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각도 센서부(1700)는 카메라부(1200)의 각도 및/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정하여 측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원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고, 사전 결정된 원거리 모드용 설정을 로드하여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원거리 모드의 동작은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13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거리 모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와 원거리의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세 설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에 위치하는 책을 표시하는 경우, 흑백으로 표시하거나, 글자를 알아보기 용이하게 대비를 높이는 등으로 화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원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 색상 모드를 컬러로 하거나, 카메라의 줌 기능을 활용하여 대상을 확대할 수 있다.
기존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가 근거리에 있는 대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근거리로 변경하고, 근거리 대상을 위한 영상 모드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수동으로 모드 등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는, 저시력자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해야 하여, 저시력자로서는 사용자 입력부의 버튼을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설정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저시력자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을 꺼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의 위치를 촬영 대상을 향하도록 조정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영상 모드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저시력자의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조명부(1900)를 제어할 수 있다. 조명부(1900)는 조도 센서(1920)와 광원(19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조도 센서(1920)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대상이 항상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광원(1940)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0)가 촬영하는 대상의 밝기를 400루멘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조명, 자연광 등에 의하여 조도 센서(1920)에서 측정된 밝기가 200루멘인 경우, 제어부(1300)는 광원(1940)의 빛의 세기를 200루멘으로하여, 대상의 밝기가 400루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가 원거리 모드인 경우, 클로즈업 렌즈를 개방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0)는 이러한 알림을 스피커(1550)를 통해 음성 형태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1400)를 통해 화면 형태로 출력하거나, 조명부(1900)를 통해 빛의 깜빡거림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3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가 근거리 모드인 경우, 망원 렌즈를 개방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0)는 이러한 알림을 스피커(1550)를 통해 음성 형태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1400)를 통해 화면 형태로 출력하거나, 조명부(1900)를 통해 빛의 깜빡거림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광학 문자 판독(OCR) 모듈(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문자 판독 모듈(1320)은 카메라부(120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를 추출하고, 제어부(1300)는 추출된 문자를 사용자 설정에 따른 형태로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추출된 문자를 전체 문자를 출력하는 모드(full text mode), 라인 별로 출력하는 모드(line mode)), 한 문장씩 출력하는 모드, 단어별로 출력하는 모드(word mode) 등으로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문자열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통해 책을 읽고자 하는 경우에, 광학 문자 판독 모듈(1320)은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상기 문자를 라인 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0)를 통해 라인별로 출력되는 문자를 읽을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상기 책에 삽화 등이 존재하는 경우, 삽화가 시작되기 전 문장의 문자열을 출력한 후, 삽화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1300)는 추출된 문자열을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가 판독하기 용이한 임의의 형태로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문자 음성 변환(TTS) 모듈(1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음성 변환 모듈(1340)은 문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문자는 상기 광학 문자 판독 모듈(1320)에 의해 판독된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된 음성 신호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5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300)는 사용자의 사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전 결정된 시간 이상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미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는 카메라부(12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장시간 변동되지 않거나, 사용자 입력부(1800)를 통한 조작이 장시간 존재하지 않는 등의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미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0)는 저장부(1500) 또는 외부 저장 장치 등에 저장된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가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감지 및 표시되는 컨텐츠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1300)는 임의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임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0)는 외부의 디아비스로부터 외부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한 외부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화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통해 외부 영상(예를 들어, 손주들의 사진과 같은)을 보고자 하는 경우, 외부 영상이 저장된 USB 메모리 등을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에 연결하면, 제어부(1300)는 상기 USB 메모리 등에 저장된 외부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외부 저장 매체, 외부 영상 및 화면 모드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화면 모드의 전환은 외부 영상 감지시 제어부(13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0)는 각도 센서부(1700)에서 획득한 측정값에 따라, 카메라부(1200)의 세부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0)가 각도 센서부(1700)을 통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과의 각도값을 획득한 경우, 제어부(13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현재 각도에 최적화된 각도로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최적화된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저장부(15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100)는 카메라부(1200) 또는 레일부(1600)가 움직일 수 있는 동력을 공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100)는 카메라부(1200)와 연결되어 카메라부(1200)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1100)는 레일부(1600)와 연결되어, 레일부(1600)에 포함된 구동부(1620)가 움직이도록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1200)는 레일부(1600)에 포함된 구동부(16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레일부(1600)에 포함된 구동부(1620)가 좌우로 움직임으로써, 카메라부(1200)도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액츄에이터(110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200) 또는 레일부(1600)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10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속력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200)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110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결정된 속력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200)와 고정 결합된 구동부(1620)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1100)는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100)는 AC모터, DC모터, Geared DC 모터, Geared BLDC 모터, Shaft 모터, Piezo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부(1200)는 카메라 모듈(1220), 렌즈부(1240), 및 카메라 구동부(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20)은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모듈을 의미한다. 카메라 모듈(1220)은 720P이상의 해상도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풀 컬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12배의 배율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상을 촬영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1240)는 카메라 모듈(1220)에 결합됨으로써, 카메라 모듈(1220)이 대상을 촬영하는 것을 보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렌즈부(1240)는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240)는 클로즈 업 렌즈, 및 망원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 구동부(1260)는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 및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구동부(1260)는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다. 카메라 구동부(126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따라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240)가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원거리 모드일 때, 카메라 구동부(1260)는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240)가 닫히도록 렌즈부(1240)를 구동시킬 수 있고,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 모드 일 때,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240)가 개방되도록 렌즈부(12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구동부(126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 사용자의 조작 없이 제어부(1300)에 의해 자동으로 렌즈부(124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구동부(1260)는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동작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구동부(126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동작을 구동시킴으로써,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구동부(1260)는 제어부(1300)의 제어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동작을 구동시킴으로써, 카메라부(1200)가 전면 또는 후면의 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0)는 다양한 종류,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00)는 9내지 12인치의 LC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5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0)는 메모리, SSD(solid state disk), 또는 하드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 임의의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부(1600)는 카메라부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여 카메라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레일부(16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4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일부(1600)는 구동부(1620)와 고정부(16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620)는 카메라부(1200)와 고정 결합되고 액츄에이터(1100)에 의해 레일부(1600)내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1640)는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구동부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각도 센서부(1700)는 적어도 하나의 각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센서부(17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지부(1950) 사이의 각도,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 사이의 각도, 카메라부(1200)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사이의 각도, 및 카메라부(1200)와 지면 사이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부(1800)는 다양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는, 터치 센서, 조이 스틱, 입력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800)는 포커스(focus)버튼, 스틸(still)/프리즈(freeze) 버튼, 줌 인(zoom in) 버튼, 줌 아웃(zoom out)버튼, 컬러 모드(color mode)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입력부(1800)에 포함된 각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버튼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각 버튼에 대응되는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
조명부(1900)는 조도 센서(1920)와 광원(194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192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연관된 구역의 빛의 세기를 감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도 센서(192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카메라부(1200)가 가리키는 대상에 근접한 구영의 빛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광원(1940)은 빛을 생성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광원(1940)은 LED램프, 고주파 램프, PL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950)는 디스플레이부(1400)의 하부 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하부에 결합되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지면에 고정할 수 있다. 지지부(1950)는 플라스틱 부재, 금속 부재 등 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지부(195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1950)는 원통형의 두개의 막대로 구성될 수 있고, 사각형의 두개의 막대로 구성될 수 있고, 직사각형의 금속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부(195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하부와 결합하고,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축으로 하여 피봇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195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30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500)에 저장되고, 제어부(13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을 참조할 때, 레일부(16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부(16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14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레일부(160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액츄에이터(110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100)는 레일부(1600)의 좌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레일부(1600)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카메라부(1200)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0)는 레일부(1600)의 구동부(1620)와 접하고, 그리고 고정 결합할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2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100)가 레일부(1600)의 구동부(1620)와 연결된 경우, 액츄에이터(1100)는 레일부(1600)의 구동부(1620)에 동력을 공급하여 구동부(1620)를 레일부의 고정부(1640)가 형성한 공간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부(12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1100)가 카메라부(1200)와 연결된 경우, 액츄에이터(1100)는 카메라부(1200)에 동력을 공급하여 카메라부(1200)를 레일부의 고정부(1640)가 형성한 공간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카메라부(120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200)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 전면의 대상, 또는 후면의 대상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입력부(18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우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8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입력부(1800)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200)가 상하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액츄에이터(1100)를 이용하여 카메라부(1200)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카메라부와 레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카메라부(1200)는 카메라 모듈(1220), 렌즈부(1240), 및 카메라 구동부(1260)를 포함할 수 있고, 레일부(1600)는 구동부(1620)와 고정부(1640)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레일부(1600)에 포함된 구동부(1620), 또는 카메라부(120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1100)가 레일부(1600)와 연결된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레일부(1600)에 포함된 구동부(162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1200)는 레일부(1600)의 구동부(1620)에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카메라부(1200)와 레일부(1600)의 구동부(1620)는 다양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0)는 전자석, 볼트와 너트 등 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1100)가 카메라부(1200)와 연결된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미리 결정된 속력에 따라 카메라부(1200)를 움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미리 결정된 속력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카메라부(1200)를 움직일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필요 없이 간편하게 문서를 확대하여 볼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미리 결정된 속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외부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속력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속력을 미리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의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그리고 촬영 대상의 컨텐츠 내의 라인 및 미리 결정된 카메라부의 이동 속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카메라부의 좌우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1100)의 동작 및 카메라부(1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가 가리키는 촬영 대상을 인식할 수 있다. 카메라부(1200)가 가리키는 (예를 들어, 인쇄물과 같은)촬영 대상에 포함된 컨텐츠내의 라인(예를 들어, 글자의 행과 행 사이의 라인)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컨텐츠내의 라인을 따라 미리 결정된 속력으로 카메라부(1200)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 시킴으로써, 라인에 인접하는(예를 들어, 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글자들이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컨텐츠 내의 상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된 후, 순차적으로 컨텐츠 내의 하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카메라부(1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제 1 라인의 상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한 후, 제 1 라인의 하부에 위치한 글자들이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제 1 라인의 상부에 위치한 글자들을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한 후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를 좌측으로 움직이고, 그리고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제 1 라인 하부의 좌측에 위치한 글자가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액츄에이터(110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를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제 1 라인 하부의 글자들이 좌측에서부터 우측까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4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리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다.
기존의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로 문서를 읽는 경우에 문서의 일부분이 순차적으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조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사용의 번거로움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불편함을 느꼇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촬영 대상을 인식하고, 촬영 대상의 컨텐츠 내의 라인 및 미리 결정된 카메라부의 이동속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카메라 부의 좌우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의 동작 및 카메라부의 상하 회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들의 조작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성은 증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 사용자의 입력을 입력부(1800)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액츄에이터(11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200)를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카메라부(1200)를 움직일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부(1200)에 포함된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200)의 상하 방향 회전,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다.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카메라부(1200)의 상하 방향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 구동부(126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1200)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촬영하도록 카메라부(120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입력부(180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입력에 기초하여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 구동부(126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렌즈부(124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부(1240)가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원거리 모드일 때,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240)가 닫히도록 카메라 구동부(1260)를 제어할 수 있고,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 모드일 때,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망원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1240)가 개방되도록 카메라 구동부(1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각도 센서부(1700)에서 획득한 측정값에 따라, 카메라부(1200)의 상하 회전 동작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각도 센서부(1700)를 통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와 지면과의 각도값, 또는 지지부(1950)와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사이의 각도값(510)을 획득한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측정값에 기초하여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현재 각도에 최적화된 각도로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최적화된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저장부(15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입력부(180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입력부(180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카메라부(1200)가 전면의 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카메라부(1200)가 후면의 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부(120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1200)는 270도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부(1200)의 각 신호선은 원통 외각을 통해 분체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몸체를 형성하고, 그리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적어도 일면과 접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카메라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및
    상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좌우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를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대상의 컨텐츠내의 라인을 인식하며, 그리고 상기 대상의 컨텐츠 내의 라인 및 미리 결정된 카메라부의 이동 속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 부의 좌우 이동을 위한 액츄에이터의 동작 및 상기 카메라 부의 상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카메라부의 이동 속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자동으로 좌우로 움직이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카메라부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레일부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영상 확대 장치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가 이동 가능한 영역을 형성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의 개폐 동작, 및 상기 카메라부의 상하 회전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카메라 구동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클로즈 업 렌즈 및 망원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각도 센서를 포함하는 각도 센서부; 및
    상기 카메라부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도 센서부는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와 지면과의 각도, 및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 센서부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설정을 조정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 중 하나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에 포함된 렌즈부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상하로 회전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좌우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의 하부와 결합하고, 상기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축으로 하여 피봇 동작을 수행하는,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10. 삭제
KR1020150133281A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722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281A KR101722911B1 (ko)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281A KR101722911B1 (ko)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669A KR20170034669A (ko) 2017-03-29
KR101722911B1 true KR101722911B1 (ko) 2017-04-04

Family

ID=5849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281A KR101722911B1 (ko)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9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447B1 (ko) * 2011-06-10 2012-03-26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031A (ja) * 1995-07-21 1997-02-07 Minolta Co Ltd 原稿読み取り装置
KR20060007496A (ko) * 2004-07-20 2006-01-26 (주)성진산업 지점 카메라를 구비하는 독서대
KR20060032498A (ko) * 2004-10-12 2006-04-17 김구영 책 전용 스캐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447B1 (ko) * 2011-06-10 2012-03-26 탐투스 주식회사 실물 화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669A (ko)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427B1 (ko) 촬영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499039B2 (ja) 対象物を撮像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049680B2 (en) Method for improving vision of a low-vision person and viewing aid
RU2649773C2 (ru) Управление камерой посредством функции распознавания лица
US8654243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275648A1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and program
CA2787377A1 (en) Document imaging system having camera-scanner apparatus and personal computer based processing software
US20100053363A1 (en) Photographing method and apparatus
EP3316568B1 (en) Digital photograph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JP2005051472A (ja) 自動撮影制御装置、自動撮影用プログラム、カメラ
KR100967128B1 (ko)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US8237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haken image by using auto focusing
JP2008520000A (ja) 画像生成方法及び光学装置
KR102146856B1 (ko) 렌즈 특성 기반의 촬영 모드 제시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및 디지털 촬영 장치.
KR101722911B1 (ko)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712793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JP6324278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83666B2 (ja) 撮像装置
JP2009276507A (ja) 投写型表示装置、投写型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683447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JP6728024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35384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TW515195B (en)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692690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200454235Y1 (ko) 서적 투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