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793B1 -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 Google Patents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793B1
KR101712793B1 KR1020150133432A KR20150133432A KR101712793B1 KR 101712793 B1 KR101712793 B1 KR 101712793B1 KR 1020150133432 A KR1020150133432 A KR 1020150133432A KR 20150133432 A KR20150133432 A KR 20150133432A KR 101712793 B1 KR101712793 B1 KR 101712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ow vision
camera
swing ar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석
김일형
공경호
방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50133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7Viewing apparatus comprising magnifying means
    • H04N5/23245
    • H04N5/23296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지지하고 스윙암과 결합되는 카메라 지지부 ― 여기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관절 및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를 측정하는 카메라 각도 센서를 포함함 ―상기 카메라 지지부 및 스윙암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윙암 지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스윙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윙암을 지지하여 상기 스윙암이 회전운동 하도록하는 스윙암 지지부 및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IMAGE ENLARGEMENT APPARATUS FOR LOW VISION PERSON}
본 발명은 저시력자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시각장애인 또는 저시력자는 여러 종류의 안질환으로 인하여 정상 시력을 잃어 사물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사물을 인식하더라도 아주 근거리의 사물만을 인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영상 확대 장치는 이러한 저시력자의 손상된 시력을 보완해 줄 수 있다. 영상확대장치는 책, 약병, 영수증 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사물에 대해 글자 또는 이미지 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영상 확대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TV, 모니터 등의 영상출력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영상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한국 공개특허 특 1997-0073059호(이하‘선행문헌’이라 칭함)는, 촬상물을 올려놓고 촬상을 행하며 촬상된 광학적 영상을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촬상수단과, 촬상수단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촬상물의 영상을 고배율로 확대하여 촬상수단에 전달하는 영상확대수단과, 촬상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달받아 변환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을 포함하는 실물화상시스템을 제공한다.
하지만 선행문헌은 단순히 촬상물을 확대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출력하는 구조이며, 따라서,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하는 촬상물에 대한 확대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에 대한 수요가 당업계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하는 촬상물에 대한 확대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촬상물에 대한 촬영 영상에 상세 설정에 따른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지지하고 스윙암과 결합되는 카메라 지지부 ― 여기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관절 및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를 측정하는 카메라 각도 센서를 포함함 ―상기 카메라 지지부 및 스윙암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윙암 지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스윙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윙암을 지지하여 상기 스윙암이 회전운동 하도록하는 스윙암 지지부 및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스윙암 지지부는 상기 스윙암의 각도를 측정하는 스윙암 각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스윙암과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 및 상기 카메라부와 지면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축이상의 회전 관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는, 상기 스윙암과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 1 카메라 각도 측정 센서, 및 상기 카메라부와 지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 2 카메라 각도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동작 모드는 원거리 모드 및 근거리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상기 스윙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를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근거리 모드는,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상기 수직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이 지면을 향하거나,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거리 모드는,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상기 수직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이 근거리 모드 이외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세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세 설정 정보는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 각각에 대해 색상 모드, 밝기, 대비, 배율, 및 마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부는 결정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상세 설정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동작하게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카메라가 촬영하는 대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 및 카메라가 촬영하는 대상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카메라가 촬영하는 대상이 항상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명부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카메라부는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개폐될 수 있는 클로즈업 렌즈(close up lens)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부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가 원거리 모드인 경우, 상기 클로즈업 렌즈를 개방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광학 문자 판독(OCR)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문자 판독 모듈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문자를 사용자 설정에 따른 형태로 제공할 것을 결정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문자 음성 변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문자 음성 모듈은 문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세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외부로부터 외부 영상을 수신하는 외부 영상 입력 단자,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화면 모드를 변경하거나, 상기 외부 영상 입력 단자로부터 외부 영상 수신이 감지되면 수신된 외부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화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사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미사용하는 경우, 컨텐츠를 표시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 및 원거리에 위치하는 촬상물에 대한 확대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촬상물에 대한 촬영 영상에 상세 설정에 따른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각 관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가 근거리 모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가 원거리 모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어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컴퓨터-관련 엔티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 프로세서, 객체,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장치 모두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일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내에 로컬화될 수 있고, 또는 2개 이상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은 그 내부에 저장된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을 갖는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예를 들면, 로컬 시스템, 분산 시스템에서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통해 다른 시스템과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처리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100), 카메라부(200), 카메라 지지부(300), 스윙암(400), 스윙암 지지부(500), 조명부(600), 조도 센서(610), 사용자 입력부(620), 스피커(630),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 메모리(65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 상기 촬영된 영상을 확대한 영상, 촬영된 영상에서 추출된 택스트, 촬영된 영상의 색상 모드, 밝기, 대비 등을 조정한 영상, 촬영된 영상에 마커가 포함된 영상, 외부 저장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외부 영상 입력 단자로 수신된 외부 영상, 자체 저장된 컨텐츠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마커는 촬영된 영상의 특정 부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컬러 또는 흑백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촬영된 영상에서 제어부(700)의 광학 문자 판독 모듈(710)에 의해 판독된 문자만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촬영된 영상에서 이미지만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디스플레이(100)는 임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종류는 예시일 뿐이며, 디스플레이(100)는 임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210) 및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개폐될 수 있는 클로즈업 렌즈(close up lens)(22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은 720P이상의 해상도의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은 풀 컬러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잇다. 카메라 모듈(210)은 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은 원거리 및 근거리 촬영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초점 거리를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210)은 CMOS, CCD 등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클로즈업 렌즈(22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개폐될 수 있다. 클로즈업 렌즈(220)는 근거리 모드에서 대상을 확대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로즈업 렌즈(220)는 닫힌 경우 카메라부(200)의 카메라 모듈(210)의 촬영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클로즈업 렌즈(220)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클로즈업 렌즈(22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 모드일때 닫히고, 원거리 모드일때 개방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원거리 모드인대 상기 클로즈업 렌즈(220)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상기 클로즈업 렌즈(220)를 개방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부(300)는 카메라부(200)를 지지하고, 스윙암(400)과 결합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부(300)는 카메라부(200)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관절(310, 320) 및 카메라부(200)의 각도를 측정하는 카메라 각도 센서(311, 321)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부(300)는 스윙암(400)과 카메라부(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 1 회전 관절(310), 카메라부(200)와 지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 2 회전 관절(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지지부(300)는 스윙암(400)과 카메라부(200)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 1 카메라 각도 측정 센서(311) 및 카메라부(200)와 지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 2 카메라 각도 센서(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 관절(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200)가 스윙암(400)에 대하여 피벗(pivot)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 회전 관절(310)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200)는 상기 스윙암(400)에 대하여 피벗운동 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피벗 가능한 각도는 0°~164°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원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카메라 각도 센서(311)는 상기 피벗 운동의 각도를 측정하여 현재 카메라부(200)가 스윙암(400)과 이루는 각도를 제어부(700)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2 회전 관절(32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부(200)가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tilt)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2 회전 관절(320)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200)는 지면에 대하여 틸팅 운동 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상기 틸팅 가능한 각도는 0°~210°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원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카메라 각도 센서(321)는 상기 틸팅 운동의 각도를 측정하여 현재 카메라부(200)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를 제어부(700)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 1 회전 관절(310) 및 제 2 회전 관절(320)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200)는 2축 이상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제 1 카메라 각도 센서(311) 및 제 2 카메라 각도 센서(321)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200)의 2축 이상의 회전 운동의 상태를 제어부(700)가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스윙암(400)은 카메라 지지부(300) 및 스윙암 지지부(500)와 결합될 수 있다. 스윙암(400)은 스윙암 지지부(5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운동(swing)할 수 있다. 스윙암(40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암 지지부(500)를 회전축으로 하여 스윙운동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면 스윙 가능한 각도는 0°~160°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본원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윙암(400)은 스윙암 지지부(500)를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하여,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윙암(40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암(400) 및 카메라부(2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윙암(400)은 스윙암 지지부(500)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대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윙암(400)은 내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이 내입되는 외측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측 프레임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됨에 따라, 스윙암(400)은 자신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스윙암 지지부(500)는 디스플레이(100)의 배면에 위치하며, 스윙암(400)을 지지하고, 스윙암(400)이 회전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스윙암 지지부(500)는 스윙암(400)의 각도를 측정하는 스윙암 각도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윙암 각도 센서(510)는 스윙암의 현재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700)가 스윙암의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상기 측정값에 기초하여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스윙암 지지부(500)는 상하로 승강운동할 수 있다. 스윙암 지지부(500)는 상기 스윙암(400)이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에 위치할 때 하강하여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전면에서 보았을 때,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용이하게 보관될 수 있으며, 배송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 포장 가능하다. 스윙암 지지부(500)는 사용자가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외력 등에 의해 상승하여,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스윙암 지지부(500) 및 카메라 지지부(300)의 회전 운동에 의하여 카메라부(200)는 다양한 위치에 있는 대상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는 카메라부(200)를 움직여 보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다.
조명부(600)는 카메라부(200)가 촬영하는 대상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부(600)는 백열전구, 형광등, 할로겐 램프, LED 등의 다양한 조명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600)는 대상에 빛을 조사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부(200)가 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조명부(600)는 제어부(700)에 의하여 광량 등이 제어되어 대상의 밝기가 일정하도록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조도 센서(610)는 카메라부(200)가 촬영하는 대상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조도 센서(610)는 제어부(700)로 하여금 조도 센서(610)에서 측정된 값에 유지하여, 카메라부(200)가 촬영하는 대상이 항상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조명부(600)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200)가 촬영하는 대상의 밝기를 400루멘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조명, 자연광 등에 의하여 조도 센서(610)에서 측정된 밝기가 200루멘인 경우, 제어부(700)는 조명부(600)의 빛의 세기를 200루멘으로하여, 대상의 밝기가 400루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일부이거나, 유/무선으로 연결된 리모트 컨트롤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62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또한, 카메라 또는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620)는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일부인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또한,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근거리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가 통신부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620)는 외부 콘솔 디바이스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620)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 콘솔 디바이스는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러일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620)가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하는 경우, 외부 콘솔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일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세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설정 정보는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 각각에 대해 색상 모드, 밝기, 대비, 배율, 및 마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모드에서는 흑백으로 문자만을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620)를 통해 이러한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 모드에서는 컬러로 보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620)를 통해 이러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설정은 예시일 뿐이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620)를 통해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에 관련한 임의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메라부(2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보다가, 다른 컨텐츠 등을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62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확대 영상에서 컨텐츠로 변경하는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컨텐츠는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로부터 입력된 외부 영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스피커(63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에서 생성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630)는 음성 신호를 소리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630)는 제어부(700)의 문자 음성(TTS : text to speech) 변환 모듈(720)에 의해 생성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스피커(630)로 문자 음성 변환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에게 책 등을 읽어 줄 수 있다. 또한, 스피커(63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가 원거리 모드인 경우 클로즈 업 렌즈(220)를 개방하도록 하는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외부로부터 외부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SUB(D-subminiature), RGB, DVI(digital video/visual interactive), DP port(display port)등의 영상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임의의 영상 입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저장 매체와 통신이 가능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을 포함하여,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외부 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에 의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는 대상에 대한 확대 영상 뿐 아니라, 외부 컨텐츠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65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에 관련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5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구동하기 위한 임의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있다. 메모리(650)에 저장된 임의의 프로그램들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제어부(70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65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5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세 설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상세 설정 정보는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 각각에 대해 색상 모드, 밝기, 대비, 배율, 및 마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5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에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컨텐츠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7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광학 문자 판독 모듈(710) 및 문자 음성 변환 모듈(7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카메라 각도 센서(311, 321) 및 스윙암 각도 센서(510)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모드는 원거리 모드 및 근거리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모드는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상기 스윙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이 지면을 향하거나,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모드는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상기 스윙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이 근거리 모드 이외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결정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상세 설정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동작하게 할 수 있다. 근거리 모드 및 원거리 모드 각각에 대한 설정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정보, 각각의 모드에 대하여 마지막 동작시의 설정 정보, 디폴트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5b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0)가 지면을 향한 경우, 제어부(700)는 카메라 각도 센서(311, 321) 및/또는 스윙암 각도 센서(510)의 측정 값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200)가 지면을 향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근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0)는 근거리 모드에 관련한 상세 설정을 로드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이용하여 책을 읽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책을 상기 디스플레이(100)의 전면인 지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카메라부(200)가 상기 책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부(20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한 경우, 카메라 각도 센서(311, 321) 및 스윙암 각도 센서(510)는 각각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700)로 하여금 카메라부(200)가 책을 촬영하도록 지면을 향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측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근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사전설정된 근거리 모드용 설정을 로드하여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사용자가 독서하기에 용이하도록 화면 출력 모드를 흑백으로 하거나, 광학 문자 판독 모듈(710)에 의해 판독된 문자를 문자 음성 변환 모듈(720)에 의해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630)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근거리 모드의 동작은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700)는 근거리 모드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0)가 사용자를 촬영하는 경우, 제어부(700)는 카메라 각도 센서(311, 321) 및/또는 스윙암 각도 센서(510)에 의하여 카메라부(200)가 사용자를 촬영 중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700)는 디스플레이(100)에 컬러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0)가 지면 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이 아닌 경우, 제어부(700)는 카메라 각도 센서(311, 321) 및/또는 스윙암 각도 센서(510)의 측정 값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200)가 지면 또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것이 아닌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70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원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원거리 모드에 관련한 상세 설정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카메라부(200)의 촬영 위치는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70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의 대상을 촬영하는 것이 아닌 임의의 경우에 원거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와 원거리의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세 설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에 위치하는 책을 표시하는 경우, 흑백으로 표시하거나, 글자를 알아보기 용이하게 대비를 높이는 등으로 화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원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 색상 모드를 컬러로 하거나, 카메라의 줌 기능을 활용하여 대상을 확대할 수도 있다. 기존의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가 근거리에 있는 대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근거리로 변경하고, 근거리 대상을 위한 영상 모드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수동으로 모드 등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는, 저시력자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해야 하여, 저시력자로서는 사용자 입력부의 버튼을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설정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저시력자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을 꺼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의 위치를 촬영 대상을 향하도록 조정기만 하면, 자동으로 영상 모드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저시력자의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조도 센서(610)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대상이 항상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조명부(600)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200)가 촬영하는 대상의 밝기를 400루멘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외부 조명, 자연광 등에 의하여 조도 센서(610)에서 측정된 밝기가 200루멘인 경우, 제어부(700)는 조명부(600)의 빛의 세기를 200루멘으로하여, 대상의 밝기가 400루멘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가 원거리 모드인 경우, 클로즈업 렌즈(220)를 개방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00)는 이러한 알림을 스피커(630)를 통해 음성 형태로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화면 형태로 출력하거나, 조명부(600)를 통해 빛의 깜빡거림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광학 문자 판독(OCR) 모듈(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문자 판독 모듈(710)은 카메라부(20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를 추출하고, 제어부(700)는 추출된 문자를 사용자 설정에 따른 형태로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추출된 문자를 전체 문자를 출력하는 모드(full text mode), 라인 별로 출력하는 모드(line mode)), 한 문장씩 출력하는 모드, 단어별로 출력하는 모드(word mode) 등으로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문자열 출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통해 책을 읽고자 하는 경우에, 광학 문자 판독 모듈(710)은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상기 문자를 라인 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0)를 통해 라인별로 출력되는 문자를 읽을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상기 책에 삽화 등이 존재하는 경우, 삽화가 시작되기 전 문장의 문자열을 출력한 후, 삽화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700)는 추출된 문자열을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사용자가 판독하기 용이한 임의의 형태로 제공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문자 음성 변환(TTS) 모듈(7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음성 변환 모듈(720)은 문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문자는 상기 광학 문자 판독 모듈(710)에 의해 판독된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된 음성 신호는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6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사용자의 사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미사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10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카메라부(2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장시간 변동되지 않거나, 사용자 입력부(620)를 통한 조작이 장시간 존재하지 않는 등의 경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미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700)는 메모리(650) 또는 외부 저장 장치 등에 저장된 손주의 사진 등이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사용감지 및 표시되는 컨텐츠의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제어부(700)는 임의의 방법으로 사용자의 사용을 감지할 수 있으며, 임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로부터 외부 영상 입력지 수신됨을 감지하는 경우, 수신된 외부 영상이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도록 화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통해 손주들의 사진을 보고자 하는 경우, 손주들의 사진이 저장된 USB 메모리 등을 외부 영상 입력 단자(640)에 연결하면, 제어부(700)는 상기 USB 메모리 등에 저장된 손주들의 사진이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외부 저장 매체, 외부 영상 및 화면 모드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화면 모드의 전환은 외부 영상 감지시 제어부(700)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9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650)에 저장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도 1 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00)가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에는 스윙암 지지부(5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윙암 지지부(500)에는 스윙암(4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윙암(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윙암 지지부(500)를 회전축으로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다. 스윙암(400)은 카메라 지지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지지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0)를 지지하며, 카메라부(200)의 촬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 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유선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사용자 입력부(620)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조명부(600)는 도 2 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에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를 지지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지지부(6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부(665)는 디스플레이(100)를 지면 또는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임의 수단 및/또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는 디스플레이 지지부(665)를 디스플레이(100)를 지면에 지지하는 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 지지부(300)는 2 축 이상의 회전운동이 가능하여 상기 카메라부(200)와 지면의 각도, 카메라부(200)와 스윙암(4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상태는 스윙암(400)이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회전하여 있는 상태로서,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디스플레이(100) 전면의 지면을 촬영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0)의 전면에 확대하여 보고자 하는 대상을 두고 카메라부(200)를 통해 촬영하여 확대하여 볼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된 카메라부(200), 카메라 지지부(300), 스윙암(400)의 상태는 예시일 뿐이며, 각각의 위치는 임의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내용 및 전술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외관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해 제시된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도 2 에 도시된 외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상태는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100)의 전면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로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미사용중인 상태를 도시한다. 도 3 에 도시된 상태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카메라부(200)의 하면에는 근거리 모드에서 사용되는 클로즈 업 렌즈(220)가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부(200)는 카메라 지지부(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카메라 지지부(300)는 스윙암(400)과 결합할 수 있다. 스윙암(400)은 스윙암 지지부(5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스윙암 지지부(500)는 도 2 및 도 3 에 되시된 바와 같이 상하 운동이 가능하며, 스윙암 지지부(500)가 하강운동하여, 디스플레이(100) 후면에 위치하는 스윙암(400) 및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100)에 위치하는 운반 손잡이(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0)는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후면에 거치될 수 있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후면에는 각종 입출력 단자들이 위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단자, USB포트 등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내용 및 전술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외관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해 제시된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도 3 에 도시된 외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각 관절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각 관절의 움직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암(400)은 스윙암 지지부(50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운동(swing)할 수 있다. 스윙암(400)이 디스플레이의 후면에 위치하는 때를 0°로 한다면, 상기 스윙암(400)은 디스플레이(100) 대각선 방향으로 160°까지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각도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스윙암(400)은 스윙암 지지부(500)를 회전축으로 회전운동하여,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윙암(40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200)가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윙암(400) 및 카메라부(2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윙암(400)은 스윙암 지지부(500)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대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윙암(400)의 회전 각도는 스윙암 각도 센서(510)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300)는 제 1 회전 관절(310)을 포함하여, 카메라부(200)가 스윙암(400)에 대하여 피벗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부(300)의 제 1 회전 관절(310)은 카메라부(200)가 스윙암(400)과 직선인 경우에 대하여 좌, 우로 82°씩 피벗가능하여, 총 164°피벗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각도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카메라 각도 센서(311)는 상기 피벗 운동의 각도를 측정하여 현재 카메라부(200)가 스윙암(400)과 이루는 각도를 제어부(700)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지지부(300)는 제 2 회전 관절(320)을 포함하여, 카메라부(200)가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부(300)의 제 2 회전 관절(320)은 카메라부(200)가 지면을 촬영하고 있는 경우에 대하여, 전 후로 105°씩 회전가능하며, 총 210°를 회전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각도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2 카메라 각도 센서(321)는 상기 틸팅 운동의 각도를 측정하여 현재 카메라부(200)가 지면을 촬영 중인지, 그 이외의 부분을 촬영중인지 제어부(700)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스윙암 각도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스윙암(400)의 회전 각도, 제 1 카메라 각도 센서(311)에 의해 측정된 카메라부(200)와 스윙암(400)의 각도, 및 제 2 카메라 각도 센서(321)에 의해 측정된 카메라부(200)와 지면의 각도에 의하여 제어부(700)는 카메라가 근거리의 대상을 촬영 중인지, 원거리의 대상을 촬영중인지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내용 및 전술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외관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해 제시된 일 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도 4 에 도시된 외관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가 근거리 모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근거리에 있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고, 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모드는 도 5a 및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지면을 향하거나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 모드로 동작할 때, 클로즈업 렌즈(220)는 닫힐 수 있다.
도 5a 및 5c와 같이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지면을 향하는 경우, 제 1 카메라 각도 센서(311)에 의해 측정된 값에 의하여 제어부(700)는 상기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지면을 향함을 알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근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결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근거리 모드의 설정을 로드하여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거리 모드는 사용자가 책이나 신문 등을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도록 촬영 영상의 대비를 높여 글자를 선명하게 출력하거나, 촬영 영상을 흑백으로 출력하는 등의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근거리 동작 모드의 상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5b와 같이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 제 1 카메라 각도 센서(311), 제 2 카메라 각도 센서(321), 및 스윙암 각도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제어부(700)는 상기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사용자를 향함을 알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근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결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근거리 모드의 설정을 로드하여 영상 확대 장치(1000)가 근거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근거리 모드는 사용자가 자신을 볼 수 있도록 촬영 영상의 출력 모드를 컬러로 설정하는 등의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근거리 동작 모드의 상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와 원거리의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세 설정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에 위치하는 책을 표시하는 경우, 흑백으로 표시하거나, 글자를 알아보기 용이하게 대비를 높이는 등으로 화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원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 색상 모드를 컬러로 하거나, 카메라의 줌 기능을 활용하여 대상을 확대할 수도 있다. 기존의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가 근거리에 있는 대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근거리로 변경하고, 근거리 대상을 위한 영상 모드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수동으로 모드 등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는, 저시력자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해야 하여, 저시력자로서는 사용자 입력부의 버튼을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설정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저시력자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을 꺼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의 위치를 촬영 대상을 향하도록 조정기만 하면, 자동으로 영상 모드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저시력자의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6a, 6b 및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가 원거리 모드인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원거리에 있는 촬영 대상을 촬영하고, 이를 확대하여 디스플레이(1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모드는 도 6a,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지면을 향하거나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가 아닌 임의의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원거리 모드로 동작할 때, 도 6a,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즈업 렌즈(220)는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되지 않은 경우는 제어부(700)는 이를 개방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a, 6b 및 6c와 같이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디스플레이(100)의 후면을 향하는 경우, 제 1 카메라 각도 센서(311)에 의해 측정된 값에 의하여 제어부(700)는 상기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지면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제 2 카메라 각도 센서(321) 및 스윙암 각도 센서(510)에 의해 측정된 값에 의하여 제어부(700)는 상기 카메라부(200)의 촬영 방향이 사용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700)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의 동작 모드를 원거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결정된 모드에 기초하여 원거리 모드의 설정을 로드하여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가 원거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원거리 모드는 원거리의 풍경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촬영 영상의 출력 모드를 컬러로 설정하거나, 배율을 높여 표시하는 등의 동작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원거리 동작 모드의 상세한 기재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근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와 원거리의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상세 설정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에 위치하는 책을 표시하는 경우, 흑백으로 표시하거나, 글자를 알아보기 용이하게 대비를 높이는 등으로 화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원거리에 위치하는 대상을 표시하는 경우, 색상 모드를 컬러로 하거나, 카메라의 줌 기능을 활용하여 대상을 확대할 수도 있다. 기존의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사용자가 근거리에 있는 대상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근거리로 변경하고, 근거리 대상을 위한 영상 모드 등을 수동으로 설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수동으로 모드 등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는, 저시력자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해야 하여, 저시력자로서는 사용자 입력부의 버튼을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설정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저시력자가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을 꺼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본원 발명의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1000)는 카메라의 위치를 촬영 대상을 향하도록 조정기만 하면, 자동으로 영상 모드 등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저시력자의 사용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위의 설명에서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지시들, 명령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는)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또는 이들 모두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호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이들의 기능과 관련하여 위에서 일반적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판독가능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자기 저장 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에 있어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대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지지하고 스윙암과 결합되는 카메라 지지부 ― 여기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 관절; 및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를 측정하는 카메라 각도 센서;
    를 포함함 ―
    상기 카메라 지지부 및 스윙암 지지부와 결합되고 상기 스윙암 지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한 스윙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윙암을 지지하여 상기 스윙암이 회전운동 하도록하는 스윙암 지지부; 및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스윙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 ―상기 동작 모드는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를 포함함―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암 지지부는,
    상기 스윙암의 각도를 측정하는 상기 스윙암 각도 센서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지지부는,
    상기 스윙암과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 및 상기 카메라부와 지면의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축이상의 회전 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는,
    상기 스윙암과 상기 카메라부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 1 카메라 각도 측정 센서, 및
    상기 카메라부와 지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 2 카메라 각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모드는,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상기 스윙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이 지면을 향하거나,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를 향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원거리 모드는,
    상기 카메라 각도 센서 및 상기 스윙암 각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촬영 방향이 근거리 모드 이외인 경우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세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설정 정보는,
    원거리 모드 또는 근거리 모드 각각에 대해 색상 모드, 밝기, 대비, 배율, 및 마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한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결정된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상세 설정 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대상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대상의 밝기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0. 제 9 항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카메라부가 촬영하는 대상이 항상 일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명부의 세기를 제어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대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개폐될 수 있는 클로즈업 렌즈(close up lens);
    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가 원거리 모드인 경우, 상기 클로즈업 렌즈를 개방하라는 알림을 제공할 것을 결정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학 문자 판독 모듈(OCR)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문자 판독 모듈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문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문자를 사용자 설정에 따른 형태로 제공할 것을 결정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자 음성 변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문자 음성 변환 모듈은 문자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변환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를 더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른 상세 설정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외부로부터 외부 영상을 수신하는 외부 영상 입력 단자;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화면 모드를 변경하거나, 상기 외부 영상 입력 단자로부터 외부 영상 수신이 감지되면 수신된 외부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화면 모드를 변경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사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가 사전설정된 시간 이상 상기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를 미사용하는 경우, 컨텐츠를 표시할 것을 결정하는,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1020150133432A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712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32A KR101712793B1 (ko)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432A KR101712793B1 (ko)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793B1 true KR101712793B1 (ko) 2017-03-07

Family

ID=5841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432A KR101712793B1 (ko) 2015-09-21 2015-09-21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6072A1 (en) * 2017-12-08 2019-06-12 Optelec Holding B.V. Viewing device for sight-impaired users
CN110780450A (zh) * 2019-12-05 2020-02-11 青岛市中心医院 一种肿瘤放疗看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539U (ko) * 1999-05-27 1999-12-06 민정식 유니온
KR20060033752A (ko) * 2006-03-07 2006-04-19 (주)나인정보시스템 영상검지 기법을 이용한 불법 주/정차 무인단속 시스템 및방법
KR20060095828A (ko) * 2005-02-28 2006-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모드 제어 장치
KR20070114458A (ko) * 2006-05-29 2007-12-04 윤정식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539U (ko) * 1999-05-27 1999-12-06 민정식 유니온
KR20060095828A (ko) * 2005-02-28 2006-09-0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촬영 모드 제어 장치
KR20060033752A (ko) * 2006-03-07 2006-04-19 (주)나인정보시스템 영상검지 기법을 이용한 불법 주/정차 무인단속 시스템 및방법
KR20070114458A (ko) * 2006-05-29 2007-12-04 윤정식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6072A1 (en) * 2017-12-08 2019-06-12 Optelec Holding B.V. Viewing device for sight-impaired users
US11102390B2 (en) 2017-12-08 2021-08-24 Optelec Holding B.V. Versatile viewing device
CN110780450A (zh) * 2019-12-05 2020-02-11 青岛市中心医院 一种肿瘤放疗看片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814B2 (en)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depth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image depending on properties of depth information obtained using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80296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tation of displayed image
JP5561769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477085B2 (en)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5201839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76690A1 (en) Magnification system
JP2012503448A (ja) 対象物を撮像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353708B1 (en) Custom mixed reality smart glasses and software for vision impaired use
CN105706028A (zh) 投影型影像显示装置
JP2006227409A (ja) 表示装置
KR2011013369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00093434A (ko) 이미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683447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100967128B1 (ko) 휴대형 영상 확대장치
US20020145813A1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viewing by human eye
KR101712793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JP5930194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835384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CN113168822B (zh)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方法和显示控制程序
CN109417599A (zh) 便携终端
KR101692690B1 (ko)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JP2006243137A (ja) フォトスタンド
JP6315026B2 (ja) 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3032A (ko)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에 기반하여 이미지를 보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722911B1 (ko) 저시력자를 위한 휴대용 영상 확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