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458A -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458A
KR20070114458A KR1020060048041A KR20060048041A KR20070114458A KR 20070114458 A KR20070114458 A KR 20070114458A KR 1020060048041 A KR1020060048041 A KR 1020060048041A KR 20060048041 A KR20060048041 A KR 20060048041A KR 20070114458 A KR20070114458 A KR 20070114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wer housing
imaging angle
electric motor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윤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식 filed Critical 윤정식
Priority to KR102006004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14458A/ko
Publication of KR2007011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감시카메라의 수평/수직방향에서의 피사체 추적이 정도 높게 달성되도록 하기 위한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촬상각도 조정장치는 감시카메라가 탑재된 상부하우징이 수직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회전축에 의해 결합된 하부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 제 1모터브라켓에 설치된 제 1전동모터와, 상기 제 1모터브라켓을 횡설하면서 상기 제 1전동모터의 축과 치합되는 제 1기어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해 상기 상부하우징의 수직방향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수직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현재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제1포텐시오미터에 연결되는 제 3기어를 갖춘 제 1동력전달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1촬상각도조정부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 2모터브라켓상의 제 2전동모터와, 상기 제 2모터브라켓을 횡설하면서 상기 제 2전동모터의 축과 치합되는 제 1기어와 상기 베이스에 연설되는 수평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현재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제 2포텐시오미터에 연결되는 제 3기어를 갖춘 제 2동력전달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2촬상각도조정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마이크로스위치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위칭터치편을 갖추고 내주면에 원호형 장공을 갖춘 회전검출센서를 포함하게 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IMAGE PICK-UP ANGLE ADJUSTING APPARATUS FOR CAMERA}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를 구성하는 제 1촬상각도조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촬상각도조정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를 구성하는 제 2촬상각도조정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2촬상각도조정부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시카메라, 12: 상부하우징,
14: 하부하우징, 16: 회전축,
18: 베이스, 20A: 제 1촬상각도조정부,
20B: 제 2촬상각도조정부, 22: 제 1모터브라켓,
24: 제 1전동모터, 26: 제 1동력전달회전축,
32: 제 2모터브라켓, 34: 제 2동력전달회전축,
36: 제 2전동모터.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를 수평/수직방향에서 원활한 자유도를 갖고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수인에게 개방된 공간(예컨대, 매장, 지하주차장 등)으로의 출입상황이라든지 도로상에서의 차량 주행상태 또는 산업시설에서의 작업환경 등을 원격지에서 관찰하거나 차후의 확인을 위해 녹화하기 위해 무인 감시카메라가 널리 활용된다.
그러한 감시카메라는 특정한 피사범위로 고정된 방식과, 피사체에 대한 추적감시를 고려하여 피사범위에 대한 조정이 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는 바, 촬상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방식의 감시카메라에 대해서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서 원활한 자유도를 갖도록 해야만 피사체에 대한 추적감시가 만족할 만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무인 감시카메라에 대해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에서의 촬상각도에 대한 자유도가 만족되면서 피사체의 추적감시가 가능하도록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감시카메라의 촬상 각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와 감시카메라가 상측에 탑재되어 수직방향으로 변위되는 상부하우징 및 그 상부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부하우징을 갖춘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 제 1모터브라켓에 설치된 제 1전동모터와, 상기 제 1모터브라켓을 횡설하면서 상기 제 1전동모터의 축과 치합되는 제 1기어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해 상기 상부하우징의 수직방향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수직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현재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제1포텐시오미터에 연결되는 제 3기어를 갖춘 제 1동력전달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1촬상각도조정부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 2모터브라켓상의 제 2전동모터와, 상기 제 2모터브라켓을 횡설하면서 상기 제 2전동모터의 축과 치합되는 제 1기어와 상기 베이스에 연설되는 수평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현재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제 2포텐시오미터에 연결되는 제 3기어를 갖춘 제 2동력전달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2촬상각도조정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마이크로스위치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위칭터치편을 갖추고 내주면에 원호형 장공을 갖춘 회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당하는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는 감시카메라(10)가 장착되면서 수직방향(상하방향)의 촬상각도조정을 위해 수직방향에서 회동되는 상부하우징(12)과, 상기 감시카메라(10)의 수평방향 촬상각도 조정을 위한 하부하우징(14)을 갖추게 되는 바, 상기 상부하우징(12)은 상기 하부하우징(14)에 대해 회동축(16)에 의해 수직방향의 변위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 상기 하부하우징(14)은 상기 감시카메라(10)가 일정한 높이에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프레임(도시는 생략)에 취부되는 베이스(18)에 수평방향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하부하우징(14)에는 상기 상부하우징(12)의 수직방향 변위를 위한 제 1촬상각도조정부(20A)와 상기 베이스(18)의 지원하에 그 하부하우징(14)의 수평방향 변위를 위한 제 2촬상각도조정부(20B)가 갖추어지게 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하우징(14)은 양단에 상향 연장된 제 1및 제 2측벽(14a,14b)을 갖추고, 그 제 1측벽(14a)의 내측에 상기 제 1촬상각도조정부(20A)가 조립설치된다.
상기 제 1촬상각도조정부(20A)는 상기 하부하우징(14)의 제 1측벽(14a)에 고정설치된 제 1모터브라켓(22)을 포함하게 되고, 그 제 1모터브라켓(22)에는 제 1전동모터(24)의 안착을 위한 안착요부(2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모터브라켓(22)의 양단에는 제 1동력전달회전축(26)이 횡설되는 바, 그 제 1동력전달회전축(26)에는 상기 전동모터(24)의 축(24a)에 치합되는 제 1 기어(26a)와 상기 상부하우징(12)의 수직방향 회동을 위해 상기 회동축(16)상에 결합된 수직구동기어(28)에 치합되는 제 2기어(26b) 및 현재의 수직변위량(즉, 현재의 수직방향 촬상각도 조정위치)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1모터브라켓(2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포텐시오미터(30)에 치합되는 제 3기어(26c)가 형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촬상각도조정부(20A)와 유사하게, 제 2촬상각도조정부(20B)는 상기 하부하우징(14)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된 제 2모터브라켓(32)을 갖추게 되고, 그 제 2모터브라켓(32)의 양단에도 상기 제 1동력전달회전축(26)과 동일한 구성의 제 2동력전달회전축(34)이 횔성되며, 그 제 2모터브라켓(22)상에도 제 2전동모터(36)의 안착을 위한 안착요부(32a)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동력전달회전축(34)에 따르면, 상기 제 2전동모터(36)의 축(36a)에 치합되는 제 1기어(34a)와 상기 베이스(18)에 대해 상기 하부하우징(14)을 수평방향으로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수평구동기어(38)에 치합되는 제 2기어(34b) 및 현재의 수평변위량(즉, 현재의 수평방향 촬상각도 조정위치)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 2모터브라켓(32)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2포텐시오미터(40)에 치합되는 제 3기어(34c)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구동기어(38)는 상기 하부하우징(14)을 관통하여 연설되는 수평회동축(38a)의 상측에 결합되고, 그 수평회동축(38a)은 소정위치에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통해 상기 베이스(18)측에 연설된다.
또, 상기 하부하우징(14)의 소정위치에는 그 하부하우징(14)이 수평방향으로 1회전(즉, 360°)하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검출센서(42)가 설치되는 바, 그 회전검출센서(42)의 일측에는 그 하부하우징(14)의 1회전상태를 검출하도록 하기 위한 스위치터치편(42a)이 형성되고, 그 회전검출센서(42)의 센서축(42b)은 상기 하부하우징(14)을 관통하여 그 저면에 노출된다.
상기 회전검출센서(42)의 센서축(42b)에 대응하여 상기 베이스(18)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하부하우징(14)의 좌/우방향 1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칭접점(도시는 생략)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각 스위칭접점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하우징(14)의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검출센서(42)의 스위치터치편(42a)이 중간에 개재되도록 제 1 및 제 2마이크로스위치(44a,44b)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검출센서(42)의 상기 스위치터치편(42a)에 대해서는 상기 베이스(18)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스위칭접점에 대한 간극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그 회전검출센서(42)의 내주면에 원호형 장공(42c)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감시카메라(10)의 촬상각도를 수직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경우, 외부적인 수직방향조정신호(즉, 도시생략된 제어패널로부터 제공되는 수직방향조정신호)에 의해 제 1촬상각도조정부(20A)의 제 1전동모터(24)가 수직방향조정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그 제 1전동모터(24)의 회전은 상기 제 1모터브라켓(22)을 횡설하도록 설치된 제 1동력전달회전축(26)의 제 1기어(26a)에 전달되어 그 제 1동력전달회전축(26)이 연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동력전달회전축(26)의 제 2기어(26b)에 치합된 상기 수직구동기어(28)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그 수직구동기어(28)가 설치된 상기 회동 축(16)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상부하우징(12)이 수직방향에서 하향 또는 상향적으로 변위되어 그 상측에 설치된 상기 감시카메라(10)의 수직방향 촬상각도가 조정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제 1동력전달회전축(26)의 제 3기어(26c)에 치합된 상기 제 1포텐시오미터(30)에 의한 저항치변화가 제어패널에 전달되어 현재의 수직방향 촬상각의 인지에 적용된다.
그에 대해, 상기 감시카메라(10)의 촬상각도를 수평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수평방향조정신호가 제어패널로부터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촬상각도조정부(20B)의 제 2전동모터(36)가 수평방향조정신호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고, 그 제 2전동모터(36)의 회전은 상기 제 2모터브라켓(32)을 횡설하도록 설치된 제 2동력전달회전축(34)의 제 1기어(34a)에 전달되어 그 제 2동력전달회전축(34)이 연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2동력전달회전축(34)의 제 2기어(34b)에 치합된 상기 수평구동기어(38)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그 수평구동기어(38)의 정/역회전이 상기 수평회동축(38a)에 전달되며,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18)의 지지하에 상기 하부하우징(14)이 수평방향으로 정/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하우징(14)의 정/역회전은 상기 제 2동력전달회전축(34)의 제 3기어(34c)에 치합된 상기 제 2포텐시오미터(40)에 전달되고, 그 제 2포텐시오미터(40)의 저항치변화가 현재의 수평방향 변위인지를 위해 제어패널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하우징(14)의 정/역회전이 1회전(즉, 360°)되면 그 하부 하우징(14)을 관통하여 연설된 상기 회전검출센서(42)의 센서축(42b)이 상기 베이스(18)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스위칭접점의 어느 하나에 접촉되고, 그 때 상기 회전검출센서(42)의 센서축(42b)이 상기 제 1 또는 제 2마이크로스위치(44a,44b)가 스위칭접속되도록 터치하게 되며, 그 터치된 제 1 또는 제 2마이크로스위치(44a,44b)로부터 발생된 스위칭신호가 제어패널로 전달되어 정/역회전을 정지시키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에 의하면, 무인 감시카메라에 대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서의 피사체 추적감시가 정도 높게 달성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베이스와 감시카메라가 상측에 탑재되어 수직방향으로 변위되는 상부하우징 및 그 상부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부하우징을 갖춘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 제 1모터브라켓에 설치된 제 1전동모터와, 상기 제 1모터브라켓을 횡설하면서 상기 제 1전동모터의 축과 치합되는 제 1기어와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해 상기 상부하우징의 수직방향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에 설치되는 수직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현재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제1포텐시오미터에 연결되는 제 3기어를 갖춘 제 1동력전달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1촬상각도조정부와;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된 제 2모터브라켓상의 제 2전동모터와, 상기 제 2모터브라켓을 횡설하면서 상기 제 2전동모터의 축과 치합되는 제 1기어와 상기 베이스에 연설되는 수평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제 2기어 및 현재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제 2포텐시오미터에 연결되는 제 3기어를 갖춘 제 2동력전달회전축을 포함하는 제 2촬상각도조정부 및;
    상기 하부하우징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제 1 및 제 2마이크로스위치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스위칭터치편을 갖추고 내주면에 원호형 장공을 갖춘 회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KR1020060048041A 2006-05-29 2006-05-29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KR20070114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41A KR20070114458A (ko) 2006-05-29 2006-05-29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8041A KR20070114458A (ko) 2006-05-29 2006-05-29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458A true KR20070114458A (ko) 2007-12-04

Family

ID=3914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041A KR20070114458A (ko) 2006-05-29 2006-05-29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14458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48B1 (ko) * 2008-06-27 2008-11-18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KR101692690B1 (ko) * 2015-09-21 2017-01-04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712793B1 (ko) * 2015-09-21 2017-03-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CN107707800A (zh) * 2017-11-06 2018-02-16 河南力方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监控摄像头
CN108591738A (zh) * 2018-06-19 2018-09-28 河海大学 一种用于摄像机的防水云台
WO2019107650A1 (ko) * 2017-11-28 2019-06-06 (주)씨프로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CN111596730A (zh) * 2020-05-15 2020-08-28 焦作师范高等专科学校 一种心理学职业能力测评系统
CN111935456A (zh) * 2020-08-06 2020-11-13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现场用智能安全监管装置
CN113014890A (zh) * 2021-03-18 2021-06-22 安徽中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角度调节机构的考试监控摄像头
CN114321649A (zh) * 2022-01-11 2022-04-12 华东交通大学 一种3d会展全景vr信息采集装置
WO2023096142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48B1 (ko) * 2008-06-27 2008-11-18 화인시스템(주)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KR101692690B1 (ko) * 2015-09-21 2017-01-04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KR101712793B1 (ko) * 2015-09-21 2017-03-07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저시력자용 영상 확대 장치
CN107707800A (zh) * 2017-11-06 2018-02-16 河南力方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监控摄像头
WO2019107650A1 (ko) * 2017-11-28 2019-06-06 (주)씨프로 지능형 국방경계 감시 카메라 장치
CN108591738A (zh) * 2018-06-19 2018-09-28 河海大学 一种用于摄像机的防水云台
CN111596730A (zh) * 2020-05-15 2020-08-28 焦作师范高等专科学校 一种心理学职业能力测评系统
CN111596730B (zh) * 2020-05-15 2022-07-29 焦作师范高等专科学校 一种心理学职业能力测评系统
CN111935456A (zh) * 2020-08-06 2020-11-13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现场用智能安全监管装置
CN111935456B (zh) * 2020-08-06 2022-05-17 厦门安科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现场用智能安全监管装置
CN113014890A (zh) * 2021-03-18 2021-06-22 安徽中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角度调节机构的考试监控摄像头
WO2023096142A1 (ko) * 2021-11-26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각도 조절 장치 및 전자장치의 각도 조절 방법
CN114321649A (zh) * 2022-01-11 2022-04-12 华东交通大学 一种3d会展全景vr信息采集装置
CN114321649B (zh) * 2022-01-11 2024-03-12 华东交通大学 一种3d会展全景vr信息采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4458A (ko) 감시카메라의 촬상각도 조정장치
CN101026014B (zh) 用于显示设备的支架
US8023049B2 (en) Thin-shaped television
EP0532271B1 (en) Apparatus for turning monitoring camera
US20110268433A1 (en) Pan-tilt apparatus
US20210208552A1 (en) Display apparatus
JP4977419B2 (ja) 監視カメラ
KR101424151B1 (ko) 감시 카메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30941B2 (ja) セオドライトの配向用駆動装置
JP4433481B2 (ja) クレーン用テレビカメラ装置
KR20160071288A (ko) 팬/틸트방식의 감시카메라 하우징장치
JP2013101397A (ja) 撮像装置
KR20180076867A (ko) 서치라이트의 회전지지장치
KR20140116744A (ko)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JP4597081B2 (ja) 回転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473427B1 (ko) 광학장치 어셈블리
JP2008239055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3973336B2 (ja) ビデオカメラ
JP4276034B2 (ja) 車載用機器
JP6178935B1 (ja) スタンド、およびテレビジョン装置
JP2017178060A (ja) シフト装置
JP4049614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US11073923B2 (en) Input device
JP4043279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12174293A (ja) 機器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