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401B1 -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401B1
KR100854401B1 KR1020070035882A KR20070035882A KR100854401B1 KR 100854401 B1 KR100854401 B1 KR 100854401B1 KR 1020070035882 A KR1020070035882 A KR 1020070035882A KR 20070035882 A KR20070035882 A KR 20070035882A KR 100854401 B1 KR100854401 B1 KR 100854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utton
power
magnification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배
Original Assignee
박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배 filed Critical 박영배
Priority to KR1020070035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10)와, LCD 표시기와, 충전 가능한 밧데리의 전원을 각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전원버튼과, 확대버튼과, 상기 카메라와 표시기를 구동시키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여 상기 확대버튼 입력에 의해 확대 배율을 조정하여 상기 표시기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휴대용 장치로 구성되고, 확대경 장치의 몸체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부재 및 그 카메라 설치부재와 연동되어 회동되고 카메라 촬영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터 부재가 더 포함되어 설치되며, LED조명수단과, 조명스위치를 더포함하고, USB포트와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자기기의 사용에 익숙치 않은 노인들일지라도 아주 간편 조작만으로 편리하게 원하는 대상물의 확대배율을 선택하여 확대시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확대경, 카메라, 포인터, 확대, LCD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The Electronical Magnifier Device using Camera Modu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 20 : 표시기
30 : 전원회로 31 : 밧데리
41 : 전원버튼 42 : 확대버튼
43 : 조명스위치 50 : 콘트롤러
60 : 조명수단 70 : 메모리
80 : USB포트 100 : 확대경 몸체부
110 : 카메라 설치부재 120 : 포인터 부재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돋보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상 카메라로 확대 대상 영역을 캡쳐하여 휴대하기 용이한 치수인 2.8인치 내지 4인치의 LCD를 통해서 2배, 4배 또는 8배의 배율로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노인층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노인들은 노안으로 인해 작은 글씨나 그림을 보기 어려워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대안으로서 돋보기를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돋보기는 광학렌즈를 이용한 돋보기로서, 렌즈의 배율에 의해 확대 배율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작은 글씨를 원하는 크기로 보기 어렵고, 확대배율이 큰 커다란 돋보기를 휴대하기도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광학 렌즈를 이용한 돋보기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율로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사용에 능숙하지 않은 노인층일 경우를 감안하여 가장 단순한 조작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터를 부착하여 카메라 촛 점을 일치시킴과 아울러 현재 보고자하는 위치를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켜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확대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기와; 충전 가능한 밧데리의 전원을 각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의 전원 공급을 선택하는 전원버튼과, 확대 배율을 선택하기 위한 확대버튼과, 상기 전원버튼의 입력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카메라를 구동시키고,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여 상기 확대버튼의 입력에 의해 확대 배율을 조정하여 상기 표시기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카메라를 이용한 확대경 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한 확대경 장치는,
상기 표시기의 표시부를 상면으로 하고 하면에 상기 밧데리를 장착하며, 내부에 상기 각부를 내장함과 아울러 상단면에 상기 버튼들이 설치되는 확대경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메라 설치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안착되고 상기 카메라 설치부재와 연동되어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포인터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확대경은, 상기 콘트롤러의 인터페이스 제어에 의해 외부 장 치와 데이터를 입출력시키기 위한 USB포트와, 촬영된 사진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위한 조명을 하는 조명수단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의 외형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는, 확대경 몸체부(100)의 중앙 부분에 표시기(20)가 설치되고, 상기 확대경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 카메라 설치부재(110)가 설치되며, 그 카메라 설치부재(110)에 카메라(10)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 설치부재(110)의 단부에는 포인터 부재(120)가 설치되며, 카메라 설치부재(110)와 상기 포인터 부재(120)는 연동 회전 또는 각각 개별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설치부재(110)에는 조명(60)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포인터 부재(120)는 상기 확대경 몸체부(100)의 측면에 밀착되게 안착시키고, 포인터 부재(120)를 소정각도로 돌리면, 카메라 설치부재(110)도 함께 돌아가서 카메라(10)가 촬영하는 방향을 포인터 부재(120)가 지시하도록 구성되며, 포인터 부재(120)의 단부가 표시기(20)의 화면 끝부분에 표시되고 카메라(10)의 촛 점이 포인터 부재(120)의 끝에 맞도록 미리 세팅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10)는 CCD카메라, 디지털 카메라등의 초소형 카메라를 이용한다. 조명(60)은, 고휘도 발광 엘이디(LED)를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설치하여 조명으로 설치하며, 상기 표시기(20)는 LCD 표시장치를 사용하고 크기는 대각선 길이가 4인치 정도의 크기를 실시 예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확대경 몸체부(100)에는 전원 버튼(41)과, 확대 버튼(42)이 설치되며, 확대경 몸체부(100)의 측면부에 조명스위치(43)가 설치된다. 상기 확대버튼(41)은 하나의 텃치 또는 누름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확대 업/다운 방향 버튼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대경 몸체부(100)의 일측 단면에는 USB 포트(80)가 더 설치되며, USB포트(8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통신을 위한 USB포트로 구성하며, 더 나아가 전원 충전도 겸할 수 있도록 포트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외형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0)와, 표시기(20)와, 조명(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50)가 설치되며, 콘트롤러(50)는 마이컴으로 구성하여 상기 확대버튼(42)의 누름 횟수에 따라 1배 -> 2배 -> 4배 -> 8배 -> 1배,...의 확대 배율을 순환하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며, 카메라(10)에서 촬영한 영상을 확대버튼(42)의 누름 횟수에 따른 확대배율로 확대하여 표시기(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원은 통상의 휴대폰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리튬전지를 사용하여 표시기(2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충전단자(도면에 도시안됨)가 외표면에 노출형성되어 별도의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 하도록 구성되고, 충전 을 제어함과 아울러 각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30)가 설치되며, 전원 버튼(30)은 전원회로의 출력을 선택/차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50)에는 상기 USB포트(80)의 인터페이스부(도면에 별도 표시안됨)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USB포트(80)를 통해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면을 사진으로 저장치기 위한 메모리(7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는, 사용자가 전원버튼(41)을 누르면, 전원회로(30)에서 밧데리(31)의 전원을 각부의 동작전원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콘트롤러(50)는 카메라(10)와 표시기(20)를 구동시킨다. 이어서 사용자가 포인터 부재(120)를 돌려서 확대를 원하는 대상물에 접촉 또는 근접시키게 되면, 카메라(10) 방향이 포인터 부재(120)와 일치되는 방향으로 카메라 설치부재(110)가 함께 회동 되고, 카메라(10)의 촬영된 영상이 표시기(2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사용자가 확대버튼(42)을 누르면, 해당되는 배율로 확대된다. 이는 콘트롤러(50)가 카메라(10)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기(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며, 확대 버튼(42)의 누름 횟수에 의거하여 1배, 2배, 4배, 8배를 순환하면서 확대배율을 조절한다.
따라서, 확대경 장치의 전원 버튼(41)과 확대버튼(42)을 누르고, 포인터부재(120)를 돌려서 원하는 방향을 지시하게 하면, 카메라(10)의 촬영방향이 지시된 방향으로 일치되면서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은 표시기(20)에 확배 버튼(42)의 누름 에 따른 배율로 확대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광학 돋보기는 확대배율을 조절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전자 확대경은 확대배율을 복수의 단계로 선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으로 조명(60)을 더 설치하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도록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ED)를 설치하고, 조명 스위치(43)를 두어 사용자가 선택하게 한다. 그러므로 어두운 곳에서도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는 부분은 조명이 밝게 비추게 되어 표시기(20)에 밝게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USB포트(80)를 더 포함시켜 구성함으로써, 외부기기(예; 휴대폰 또는 디지털 카메라, PC 등등)로부터 영상 이미지를 입력받아 표시기(20)를 통해 그대로 디스플레이시키는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확대 버튼(42)을 눌러서 확대배율을 선택함으로써 확대된 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이때는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카메라의 입력이 차단되므로 자동으로 카메라를 통해서 들어오는 영상은 차단된다.
또 다른 응용 기능으로서, 별도의 사진 버튼을 구비하거나, 또는 확대버튼을 소정시간 이상 누르도록 하는 방법 등으로 사진 촬영기능을 더 포함시켜 콘트롤러(50)에 프로그래밍한다. 이와 같이 사진 촬영 기능이 있는 경우, 사진 촬영을 하고, 이를 메모리(70)에 저장시켜 두어 이를 불러서 표시하게 하거나, USB포트(80)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합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기능에 따른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구조적으로 단순화 시키고 저가로 제조할 수 있도록 가능 한 버튼 수를 줄이고 콘트롤러(50)의 메뉴 표시기능과 메뉴에서 선택 기능등을 이용하여 다기능 및 복합 기능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과 동일한 구성에서 전원버튼(41)을 포인터부재(120)에 의해 제어되도록 측면부에 설치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전원버튼을 몸체부(110)의 측면부에 설치하고 포인터부재(120)에 의해 눌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원버튼(41)을 별도로 누르는 것이 아니라, 포인터부재(120)를 돌리게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공급되게 하고, 포인터 부재(120)를 몸체부(100)의 측면부에 안착시키면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 되게 함으로써, 더욱 조작이 간편해질 수 있게 된다. 즉, 확대경 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 포인터부재(120)를 돌려서 원하는 방향으로 지시하게 하고, 사용종료시에는 포인터부재(120)를 원래의 위치로 돌려서 확대경 몸체부(100)의 측면부에 안착시킴으로써 전원이 오프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되는 영상을 표시기에 표시할 때 선택된 배율로 확대하여 표시하게 함으로써, 간편하게 확대경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 확대경 장치는 광학 확대경과 대비하여 볼 때 확대 배율을 복수의 단계로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포인터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 및 거리 를 손쉽게 맞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USB포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또는 디지털 사진들을 표시기로 디스플레이시켜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여 다시 보거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인터부재를 이용해 전원버튼이 자동으로 온/오프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 조작이 용이하고 사용과 종료를 아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확대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와;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기(20)와;
    충전 가능한 밧데리(31)의 전원을 각 동작전원으로 공급하는 전원회로(30)와;
    상기 전원회로(30)의 전원 공급을 선택하는 전원버튼(41)과;
    확대 배율을 선택하기 위한 확대버튼(42)과;
    상기 전원버튼(41)의 입력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 되어 상기 카메라(10)와 표시기(20)를 구동시키고, 상기 카메라(10)의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하여 상기 확대버튼(42)의 입력에 의해 확대 배율을 조정하여 상기 표시기(20)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5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20)의 표시부를 상면으로 하고 하면에 상기 밧데리(31)를 장착하는 확대경 몸체부(100) 내에 상기 콘트롤러(50)와 전원회로(30)가 설치되며, 상면 일측에 상기 전원버튼(41)과 확대버튼(42)이 설치되고,
    상기 확대경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10)가 장착되는 카메라 설치부재(110)와;
    상기 확대경 몸체부(100)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안착되고 상기 카메라 설치부재(110)와 연동되어 소정 각도로 회동되어 상기 카메라(10)가 촬영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한 포인터 부재(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 장치는,
    LED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촬영방향으로 조명을 밝히기 위한 조명수단(60)과;
    상기 조명수단(60)을 온/오프 시키기 위한 조명 스위치(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 장치는,
    상기 콘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서 외부 기기와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는 USB포트(80)와;
    상기 콘트롤러(50)의 제어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50)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마이컴에는, 상기 확대배율 버튼(42)의 누름 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카메라(10)에서 촬영하는 영상을 복수의 확대배율로 순환 선택하여 표시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경 장치는,
    상기 포인터부재(120)에 의해 전원버튼(41)이 온/오프 되도록 설치되어 포인터부재(120)를 확대경 몸체부(100)에서 외각으로 돌릴 경우 전원온 상태가 되고, 확대경 몸체부(100)의 측면부에 안착 되었을 때 전원 오프 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KR1020070035882A 2007-04-12 2007-04-12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KR100854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882A KR100854401B1 (ko) 2007-04-12 2007-04-12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882A KR100854401B1 (ko) 2007-04-12 2007-04-12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401B1 true KR100854401B1 (ko) 2008-08-26

Family

ID=3987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882A KR100854401B1 (ko) 2007-04-12 2007-04-12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4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130A1 (ko) * 2013-06-14 2014-12-18 Oh Young Il 휴대폰 전자식 디지털 돋보기 렌즈
WO2018079904A1 (ko) * 2016-10-31 2018-05-03 (주)씨앤피 영상 흔들림 방지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US11470226B2 (en) * 2014-08-19 2022-10-11 Freedom Scientific, Inc. Portable desktop video magnifier camer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993A (ko) * 2004-12-11 2006-06-15 정광종 휴대폰 액정화면의 확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993A (ko) * 2004-12-11 2006-06-15 정광종 휴대폰 액정화면의 확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200130A1 (ko) * 2013-06-14 2014-12-18 Oh Young Il 휴대폰 전자식 디지털 돋보기 렌즈
US11470226B2 (en) * 2014-08-19 2022-10-11 Freedom Scientific, Inc. Portable desktop video magnifier camera
WO2018079904A1 (ko) * 2016-10-31 2018-05-03 (주)씨앤피 영상 흔들림 방지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9594B2 (en) Electronic device
US8023029B2 (en) Digital camera-projector hybrid
JP4964028B2 (ja) 撮像装置
JP4231075B2 (ja) 監視カメラ装置
US8908077B2 (en) Projection device with display monitor
JP2004088396A (ja) 電子機器システム、電子カメラシステム、電子カメラ本体、着脱式外部表示装置および着脱式外部カメラ装置
US802466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CN100423545C (zh) 照相机及其附件、以及照相机系统
US20050254811A1 (en) Digital camera and portable device
US20090091640A1 (en) Digital camera with special effect viewfinder, image displaying method on the viewfinder, and photographing method with the digital camera
KR100854401B1 (ko)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확대경 장치
JP2007133316A (ja) カメラアクセサリ及びカメラ
JP2006237809A (ja) 電子機器システム
JP2004015367A (ja) 電子カメラ
JP2005051531A (ja) 携帯機器
KR20020059126A (ko) 휴대용 디지털 현미경, 이를 이용한 피부 진단 시스템 및이를 장착하는 씨에프 타입의 씨씨디 카메라
JP2016033619A (ja) 測光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2008019814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315773B2 (ja) カメラ及びアクセサリ
JP2008134438A (ja) カメラ
JP2007279396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20170997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210042037U (zh) 携带式微型对象数字查看器
KR101683859B1 (ko) 스마트기기를 카메라처럼 사용이 기능하도록 하는 보호 케이스 및 이의 촬영방법.
JP2008258876A (ja) カメラおよびカメラの表示装置輝度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