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699A -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699A
KR20130101699A KR1020120022623A KR20120022623A KR20130101699A KR 20130101699 A KR20130101699 A KR 20130101699A KR 1020120022623 A KR1020120022623 A KR 1020120022623A KR 20120022623 A KR20120022623 A KR 20120022623A KR 20130101699 A KR20130101699 A KR 2013010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dy
communication
coupling structure
removable
lighting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부강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강통신 filed Critical (주)부강통신
Priority to KR1020120022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699A/ko
Publication of KR2013010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7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removable without tools, e.g. of stud-and-sock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가 자유롭게 착탈가능한 결합구조를 이루어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이동성이 용이하고 상황에 따라 주변의 공간활용을 충분하게 확보함은 물론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으로 주변을 조형함을 제공하도록, 지중에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와 같은 기둥부재를 연결하여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지면의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립설치되고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재를 유입하여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몸체;를 포함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Fixing Structure of Light Pole and Communication Pillar for Portable Type}
본 발명은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가 자유롭게 착탈가능한 결합구조를 이루어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이동성이 용이하고 상황에 따라 주변의 공간활용을 충분하게 확보함은 물론 결합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작업이 용이하며 환경친화적으로 주변을 조형하는 것이 가능한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공원, 촬영장 등과 같은 장소에 있어서 어두운 주변환경을 환하게 비추기 위한 조명을 목적으로 소정의 높이에 가로등, 공원등, 조명등 등과 같은 다양한 조명시설을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더불어 주택, 백화점, 은행, 전시장, 공원 등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침입이나 도난 또는 화재 등의 재해를 예방하거나 신속한 처리를 위하여 감시카메라(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와 같은 통신시설을 설치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시설 및 통신시설은 지반으로부터 매설된 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상측을 향해 연장된 위치에서 조명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결합구조적 구성을 살펴보면, 지반에 매설되는 기초콘크리트에 세워지기 위해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하단에 플레이트를 용접하여 구비하고, 플레이트와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사이에 다수의 보강리브를 설치하며, 기초콘크리트에 매립되어있는 다수의 앵커볼트에 플레이트를 관통시킨 후 너트로 죄어 고정하는 구조적인 구성을 이룬다.
그러나 종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결합구조는 기초콘크리트의 상부가 지면위로 노출되어 보행로가 좁아지고 보행자의 부주의로부터 쉽게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주변환경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개시되어 있었던 조명등주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7855호에는 중앙에 등주 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고정클램프 수용홈이 형성된 기초 콘크리트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고정클램프 수용홈에 그 상단부가 돌출되게 매설되는 복수의 앵커볼트들과, 상기 기초 콘크리트의 고정클램프 수용홈에 각각 삽입되며 앵커볼트 삽입용 장공이 형성된 고정클램프들과, 상기 고정클램프들의 상면에서 상기 앵커볼트들과 체결되어 상기 고정클램프들이 등주를 클램핑하도록 하는 복수의 너트들을 포함함에 따라 주각부가 보행로 상에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등주의 결합구조는 조명등주를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너트를 체결하는 죔 작업이 지중에서 이뤄지는바 시공작업이 어려우며, 부피가 큰 정적인 조명시설의 등주(예를 들면, 가로등, 신호등 등) 이외에 이동성을 갖도록 부피가 작은 동적인 조명시설의 등주(예를 들면, 촬영조명등, 공원등, 잔디등, 정원등, 간판등, 식별등 등)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최근 통신시설의 경우에도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시공작업이 어려우며, 통신시설이 실내외에 고정된 위치에서 정적으로 설비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로 변경하며 동적으로 설비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에 부합하는 통신지주의 결합구조가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동적으로 설비할 필요가 있는 장소에서 조명시설의 등주 및 통신시설의 지주에 대한 결합구조를 미비한 실정이며, 나아가 동적인 조명시설의 등주 및 통신시설의 지주를 고정하고자 상기한 정적인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결합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이동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결합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경우 장소의 공간이 협소하게 제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일정한 장소에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를 임시로 끼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서 소정의 깊이를 갖는 홈을 구비하여 사용중에 있으나, 이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결합상태가 불완전하여 안전성이 떨어지고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를 분리하여 탈거한 후에는 잦은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후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를 결합하기가 곤란하며 주변 미관상 지저분한 환경을 조성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를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므로 간단한 조립 및 결합구조로부터 설치효율을 높이고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를 쉽게 착탈시킬 수 있어 이동성을 높이며 평상시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주변의 공간활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를 분리한 이후의 공간에 결합가능한 마개수단을 구비하여 이물질이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이후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의 결합이 용이하고 마개수단에 조형물 등을 구비하여 주변을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는 지중에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와 같은 기둥부재를 연결하여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지면의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립설치되고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재를 유입하여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방수보호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는 상기 삽입홈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를 결합하여 조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체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몸체의 삽입홈으로 수용되는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여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와 상기 기둥부재는 각각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둥부재를 분리하여 탈거하면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면 개방부에 결합하여 상면을 폐쇄하는 방수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수마개는 하부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몸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방수마개는 상기 하우징몸체에 억지 끼움 결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상기 방수마개의 하부 외면에는 밀봉상태를 유지가능하게 수밀재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방수마개의 상면쪽에는 일정한 형태나 형상을 갖는 조형부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의하면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인 기둥부재를 지중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하여 설치하는 결합구조를 이루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시공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견고한 연결관계를 유지가능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인 기둥부재를 언제든 쉽게 착탈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이루므로 지중의 하우징몸체로부터 기둥부재를 분리하여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는 조명시설 및 통신시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인 기둥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므로 평상시 주변의 공간활용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는 기둥부재를 분리하여 탈거한 후에도 하우징몸체의 삽입홈 내부를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이물질이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기둥부재를 재차 결합하는 경우 결합과정이 용이하며 평소 방수마개에 구비된 조형부재로부터 주변을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조명등에 적용된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몸체의 제1실시예가 적용된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몸체의 제2실시예가 적용된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마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마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방수마개의 제3실시예가 적용된 일례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본 발명은 지중에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와 같은 기둥부재를 연결하여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지면의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립설치되고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재를 유입하여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몸체;를 포함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방수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는 상기 삽입홈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를 결합하여 조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체결부가 형성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의 삽입홈으로 수용되는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여 수나사가 형성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와 상기 기둥부재는 각각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둥부재를 분리하여 탈거하면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면 개방부에 결합하여 상면을 폐쇄하는 방수마개를 더 포함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마개는 하부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몸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마개는 상기 하우징몸체에 억지 끼움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몸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상기 방수마개의 하부 외면에는 밀봉상태를 유지가능하게 수밀재가 구성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마개의 상면쪽에는 일정한 형태나 형상을 갖는 조형부재를 형성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중에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와 같은 기둥부재(10)를 연결하여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있어서, 하우징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상기 기둥부재(10)를 공원 등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둥부재(10)는 상기한 조명등의 조명등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원등이나 조명등, 촬영등과 같은 조명시설의 다양한 조명등주는 물론 감시카메라(CCTV)와 같은 통신시설의 다양한 통신지주에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몸체(2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지면의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립설치된다.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상단에는 외면에 바깥쪽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 플랜지가 구비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20)는 상기 기둥부재(10)를 유입하여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삽입홈(21)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제1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10)가 끼움 결합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10)에는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몸체(20)에 결합하면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상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방수보호커버(1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수보호커버(15)는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상단(플랜지부분)을 내측으로 수용가능한 구조를 이루며 지면에 매립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제2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1)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10)를 결합하여 조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체결부(23)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체결부(23)는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상부 내면을 따라 구비된 암나사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20)는 상기 삽입홈(21)으로 결합할 상기 기둥부재(10)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적정 길이를 갖는 상기 하우징몸체(20)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기둥부재(10)의 무게와 크기가 클수록 상기 하우징몸체(20)의 높이를 길게 적용하여 지중에 보다 깊이 매립하여 설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에서 하우징몸체(20)의 삽입홈(21)으로 수용되는 상기 기둥부재(10)의 하부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체결부(23)에 대응하여 결합가능하게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20)는 전선을 바깥쪽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하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관통공(2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몸체(20)의 관통공(25)에는 바깥쪽으로 길게 연장된 PVC와 같은 주름관을 사용하여 상기 하우징몸체(20) 내로 유입된 전선을 안전하게 방수처리하도록 프렉시블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몸체(20)와 상기 기둥부재(10)는 각각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서, 알루미늄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20)는 Ø127~165의 외경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의하면,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인 기둥부재를 지중에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하여 설치하는 결합구조를 이루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작업이 간편하고 시공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견고한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인 기둥부재를 언제든 쉽게 착탈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이루므로 지중의 하우징몸체로부터 기둥부재를 분리하여 이동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시설 및 통신시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인 기둥부재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므로 평상시 주변의 공간활용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기둥부재(10)를 분리하여 탈거하면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상면 개방부에 결합하여 상면을 폐쇄하는 방수마개(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마개(30)의 제1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몸체(20)에 나사결합가능하도록 하부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한다. 즉, 상기 방수마개(30)는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체결부(23)에 나사결합되어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방수마개(30)의 상면에는 별도의 도구(예를 들면, 드라이버 등)를 사용하여 상기 방수마개(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나사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방수마개(30)의 상면에 "+자" 또는 "-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도구를 이용한 체결이 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방수마개(30)는 외주연이 동일한 수직면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방수마개(30)의 상부 외주연에는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상면에 안착가능한 형태를 이루도록 단턱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방수마개(30)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몸체(20)에 억지 끼움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마개(30)의 하부 외경은 상기 하우징몸체(20)의 삽입홈(21) 내경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몸체(20)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상기 방수마개(30)의 하부 외면에는 밀봉상태를 유지가능하게 수밀재(3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밀재(35)는 상기 방수마개(30)의 외면에 패킹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수밀재(35)로는 상기 하우징몸체(20)의 내면에 접하여 기본적인 밀폐효율을 유지가능하며 탄성과 내유성 등의 성질을 갖는 고무나 우레탄 등의 재질을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방수마개(30)를 구성하면, 하우징몸체(20)에 방수마개(30)를 결합하는 과정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수밀재(35)에 의한 밀폐효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방수마개(30)의 제3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수마개(30)의 상면쪽에는 일정한 형태나 형상을 갖는 조형부재(37)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 7에는 상기 조형부재(37)에 대해 바위형상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조형부재(37)는 상기한 바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바위, 나무, 잔디 등의 다양한 조형물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조형부재(37)를 바위로 적용하는 경우 인조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자연석의 질감을 내기 위한 합성수지나 세라믹, FRP 등을 재료로 사용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된 인조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형부재(37)는 상기 방수마개(30)의 상면에 별도의 나사못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방수마개(30)에 조형부재(37)를 형성하게 되면, 평소 바위나, 나무, 잔디를 사용하여 주변을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기둥부재를 분리하여 탈거한 후에도 하우징몸체의 삽입홈 내부를 폐쇄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하우징몸체의 내부에 이물질이나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기둥부재를 재차 결합하는 경우 결합과정이 용이하며 평소 방수마개에 구비된 조형부재로부터 주변을 환경친화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기둥부재 15 : 방수보호커버
20 : 하우징몸체 21 : 삽입홈
23 : 체결부 25 : 관통공
30 : 방수마개 35 : 수밀재
37 : 조형부재

Claims (10)

  1. 지중에 다양한 형태의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와 같은 기둥부재를 연결하여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면이 지면의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지중에 매립설치되고 상면은 개방된 상태로 내부가 빈 형상을 이루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기둥부재를 유입하여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우징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단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방수보호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는 상기 삽입홈의 상부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둥부재를 결합하여 조립하거나 분리가능하게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의 삽입홈으로 수용되는 상기 기둥부재의 하부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체결부에 대응하여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와 상기 기둥부재는 각각 알루미늄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를 분리하여 탈거하면 상기 하우징몸체의 상면 개방부에 결합하여 상면을 폐쇄하는 방수마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수마개는 하부 외면에 수나사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몸체에 나사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수마개는 상기 하우징몸체에 억지 끼움 결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몸체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상기 방수마개의 하부 외면에는 밀봉상태를 유지가능하게 수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수마개의 상면쪽에는 일정한 형태나 형상을 갖는 조형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KR1020120022623A 2012-03-06 2012-03-06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KR20130101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23A KR20130101699A (ko) 2012-03-06 2012-03-06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623A KR20130101699A (ko) 2012-03-06 2012-03-06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699A true KR20130101699A (ko) 2013-09-16

Family

ID=49451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623A KR20130101699A (ko) 2012-03-06 2012-03-06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69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665A (ko) * 2018-05-29 2019-12-09 주영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112034B1 (ko) * 2019-10-10 2020-05-27 임충규 지주고정장치
KR102226032B1 (ko) * 2020-11-26 2021-03-09 고광현 완충 볼라드 기능을 구비한 경관용 조명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665A (ko) * 2018-05-29 2019-12-09 주영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112034B1 (ko) * 2019-10-10 2020-05-27 임충규 지주고정장치
KR102226032B1 (ko) * 2020-11-26 2021-03-09 고광현 완충 볼라드 기능을 구비한 경관용 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77B1 (ko) 환경친화적 가로등 전주
KR100934631B1 (ko) 조립식 가로등주
US20020191391A1 (en) Exterior lighting systems
KR101807991B1 (ko) 가로등용 지주의 방습구조.
US7621660B2 (en) Lighting kit
US8740423B1 (en) Unit for use in placing and orienting ground light supporting stake elements
KR200439026Y1 (ko) 앵커볼트 보호캡
KR20130101699A (ko)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20090102355A (ko)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US20200408381A1 (en) Spa and pool light and lighting method
KR200463353Y1 (ko) Cctv 지주 및 가로등주의 하부 고정 장치
US11719399B2 (en) Waterproof lamp having lens with concentric light modifying portions
KR20160126109A (ko) 난간용 포스트 캡 및 그 포스트 캡을 구비한 난간용 포스트
KR100783559B1 (ko) 전주 지지구조
KR100816722B1 (ko) 연결부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가로등 지주의 연결장치
KR20120096662A (ko) 지중 매립등
KR101205544B1 (ko) 지주용 캡
RU2782163C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столбик
KR101261464B1 (ko) 부식방지기능을 갖는 가로등의 하부지주용 보호커버
JP4106344B2 (ja) ブロック構造体
KR200455468Y1 (ko) 외장커버가 결합된 cctv 지주
JP2003257212A (ja) 照明付き擬木支柱および擬木柵
KR100923332B1 (ko) 도난 방지 기능을 갖는 지중등용 외부케이스
KR101710790B1 (ko) 방수능력을 향상시킨 실외용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