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034B1 - 지주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지주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034B1 KR102112034B1 KR1020190125075A KR20190125075A KR102112034B1 KR 102112034 B1 KR102112034 B1 KR 102112034B1 KR 1020190125075 A KR1020190125075 A KR 1020190125075A KR 20190125075 A KR20190125075 A KR 20190125075A KR 102112034 B1 KR102112034 B1 KR 102112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 holding
- coupling
- groove
- buri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07—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 E04H12/2215—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not used driven into the groun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주고정장치는, 지중 기초지반을 수반하는 경계석의 내측에 지주가 설치될 때 기초지반에 내장되어 고정된 형태로써 지주의 하부를 수용하여 지주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기초지반에 대한 반복적인 천공작업을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고, 고정장치 내에 토사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고정된 위치로 가림막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여 공사기간의 단축과 불필요한 인력 낭비를 방지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지주의 설치를 도모하는 지주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는, 봉 형상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며 지주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지반에 매립되는 매립부;를 포함하되, 결합부는 횡단면 내에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홀; 및 결합부 외주연에 연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판상형 고정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고정날개는 결합부 외주연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결합부는 타측면을 경계석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며, 결합부의 상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상단캡이 결합되고, 매립부의 하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하단캡이 구비되되, 상단캡의 하단 중앙부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는, 봉 형상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며 지주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지반에 매립되는 매립부;를 포함하되, 결합부는 횡단면 내에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홀; 및 결합부 외주연에 연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판상형 고정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고정날개는 결합부 외주연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결합부는 타측면을 경계석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며, 결합부의 상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상단캡이 결합되고, 매립부의 하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하단캡이 구비되되, 상단캡의 하단 중앙부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주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중의 기초지반을 수반하는 경계석의 내측에 지주가 설치될 때 기초지반에 내장되어 고정된 형태로써 지주의 하부를 수용하여 지주를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지주고정장치는,
차도의 경계석 내측에 화단이 조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차도의 매연과 오염물질, 염화칼슘 등으로부터 화단을 보호하기 위해 가림막을 설치하게 되고 이 때 가림막의 전개를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지주가 배치되고 지주에 가림막이 거치되게 구성이 되는데,
지주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경계석의 하부 지중에 설치된 콘크리트 등의 기초지반에 천공작업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에 지주고정장치가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며, 아울러 지주를 제거한 경우 뚜껑을 덮어 지주고정장치에 토사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지주의 재설치 시 뚜껑을 제거하고 삽입 고정되도록 하는 등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가림막 지주 설치작업의 용이성과 빈번한 천공작업으로 인한 공기의 지연 및 비용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도모하는 지주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도로와 차도는 경계석이 설치되고 구분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사람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덧붙여 경계석과 보행도록 사이에 화단이 조성되어 미적 조경의 효과와 함께 공기 정화 등의 효과를 얻기도 한다.
다만 화단이 차도와 인접하여 노출이 되는 공간적 한계로 인해 차량의 매연과 오염물질에 의해 수목의 원활한 생장이 지장을 받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겨울철 차도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뿌려지는 염화캄슘이 화단에까지 유입되면서 수목에 큰 해를 입히게 되는 위험이 있으므로 경계석의 내측에 인접하여 가림막을 설치하여 화단을 보호하고 있다.
가림막의 설치는 경계석 내측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지주가 배치되고 상기 지주에 가림막이 결합되며 전개될 수 있도록 구비가 되는데, 이때 경계석의 하부에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기초지반이 설치되는 경우 지주를 설치하기 위해서 기초지반에 천공작업이 추가로 시행되어야 한다.
기초지반에 시행된 천공작업으로 통공이 형성되면 지주가 삽입되고 고정되어 가림막 설치에 이용되는데, 문제는 겨울이 지나고 가림막이 철거되면 지주가 제거되고 나서 기초지반의 통공에 토사 및 이물질이 채워지게 되고, 이듬해 겨울에 가림막이 다시 설치될 때 상기 통공은 가득찬 토사 및 이물질의 제거가 곤란하여 추가적인 천공작업이 반복되곤 한다.
이에 지주의 설치 과정이 복잡해지고 노동력의 소비가 많아 공사기간이 연장되며 천공작업으로 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애로사항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초지반에 지주가 용이하게 설치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수년에 걸쳐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지주고정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가림막 등에 사용되는 지주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 경계석의 콘크리트 기초 지반에 매년 천공작업이 반복 시행되고 이로 인해 공기의 지연과 작업의 어려움과 인력의 낭비 및 경계석 콘크리트 지반의 약화로 인한 지속적인 재보수가 필요로 하여 발생되는 경제력 손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 한 번의 천공작업으로 기초지반에 생성된 통공에 캡이 구비된 지주고정장치가 삽입되어 장착되고 가림막이 설치될 경우에는 캡을 제거하여 지주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가림막이 제거될 경우에는 지주를 빼낸 후 캡을 씌워 토사와 낙엽 및 쓰레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정 기간 경과 후 가림막의 재설치 시 지주고정장치의 캡을 제거한 후 지주를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천공작업이 발생하지 않고 설치 위치가 불변하여 가림막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의 단축과 공사비가 절감되며, 콘크리트 기초 지반의 내구성이 확보되어 사용 연한이 증가되는 등 경제적인 잇점이 발생함과 동시에 한 번 설치로 수년에 걸쳐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지주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는, 경계석의 지중 기초지반에 삽입 설치되어 지주가 수용되는 지주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장치는 봉 형상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며 지주와 결합하는 결합부; 및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지반에 매립되는 매립부;를 포함하되, 결합부는 횡단면 내에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홀; 및 결합부 외주연에 연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판상형 고정날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날개는 결합부 외주연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결합부는 타측면을 경계석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날개는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은 결합부의 단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단은 매립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중 삽입이 용이하고 지중 내에서 고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의 상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상단캡이 결합되고, 매립부의 하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하단캡이 구비되되, 상단캡의 하단 중앙부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홀은 결합부 횡단면이 십자 형태로써 형성되고, 지주는 하단부가 결합홀에 대응되는 십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홀과 지주의 하단부가 밀착되며 끼워지고, 매립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비어 있는 형태인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지주고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지주가 설치될 장치가 경계석의 기초지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림막을 설치하는 매 시기마다 기초지반에 천공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경계석 및 기초지반의 수명이 길어지고 공사기간이 감소되며 경제적 비용이 절감된다.
둘째, 기초지반에 지주고정장치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림막의 제작이 용이하고 작업이 수월하며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셋째, 지주고정장치의 하단부는 기초지반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지주고정장치의 상단부에는 복수의 판상형 날개가 설치되어 있어 토양 속에서 고정장치가 흔들림 없이 고정되도록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여, 지주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넷째, 지주고정장치의 상단 및 하단에는 캡이 구비되어 있어 지주를 삽입하여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캡이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토사와 낙엽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다음 지주의 설치 시 작업이 용이하고 내구성이 높아져 사용 연한이 길어지게 된다.
다섯째, 지주고정장치의 설치를 위한 단 한번의 천공작업 이후에는 추가적인 천공작업이 없고 지주고정장치 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지주고정장치의 내부와 이에 결합되는 지주의 하단부가 십자형 등 특정 형태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맞추어 지므로 고정성이 증가하게 되어, 수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가 적용되어 사용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단에 설치된 가림막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종단면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B-B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C-C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가 임의 파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횡단면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나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가 적용되어 사용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단에 설치된 가림막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종단면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B-B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C-C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가 임의 파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의 횡단면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나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의 단면도이되, 도 1의 (a)는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위 또는 아래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가 적용되어 사용된 예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보행도의 사이에 경계석(11)이 설치가 되어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으며, 동시에 보행도와 경계석(11)의 사이에 화단을 조성하여 나무, 꽃 등을 심어 공기 정화는 물론 환경미화에 대한 관리가 시행되고 있다.
이때 경계석(11)의 하단에는 콘크리트 등의 건축물 재질을 이용한 기초지반(12)이 형성된 후 그 위에 경계석(11)이 설치될 수 있다.
기초지반(12)은 경계석(11)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위치를 고정시킴은 물론이고 차량이 경계석(11)과 부딪히거나 풍파에 의해 도로 또는 경계석(11)이 파손될 때 함부로 경계석(11)의 위치가 이탈되어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위험이 발생되지 않게끔 하는 목적으로 경계석(11)과 함께 설치가 될 수 있다.
경계석(11) 내측의 보행도 방향으로 보행도와 경계석(11) 사이에 화단이 조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가림막이 경계석(11)의 내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차도로부터 화단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겨울철 차도의 결빙 방지를 위해 염화칼슘 등의 화학물질이 차도에 뿌려지고 차량의 이동과 바람에 의해 화학물질이 화단에 쉽게 유입되어 수목이 고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동계에 집중적으로 화단에 가림막이 설치되고 봄부터 가을까지는 제거된 후 이듬해 겨울에 다시 가림막이 설치되는 연례적인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곤 한다.
그런데 가림막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간격마다 지주(13)가 배치되어 가림막과 결합되어 지지함으로써 전개될 수 있도록 하는 게 필요하다.
이때 경계석(11)의 내측에 인접하여 지주(13)를 설치하기 위해서 지중에 지주(13)를 박아서 고정시켜야 하는데 경계석(11) 하부에 위치한 기초지반(12) 때문에 지주(13)의 설치가 어려워진다.
기초지반(12) 위에 조성된 토양에만 지주(13)를 박아서 사용하기에는 토양의 깊이가 낮아 지주(13)가 고정되지 않아 부실해질 우려가 높기 때문에 지주(13)를 기초지반(12)에 삽입하여 설치하여 시행되곤 한다.
이를 위해 기초지반(12)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소정의 굵기를 가지는 통공을 형성하는 천공작업을 시행한 후 상기 통공에 지주(13)를 직접 삽입하여 고정시켜 사용한다.
그런데 한 번 천공된 기초지반(12)의 통공에는 가림막 및 지주(13) 제거 후 토사와 낙엽 및 쓰레기 등이 유입되어 이듬해 재사용이 불가할 정도가 되는 게 다반사이며, 따라서 새로운 통공을 생성하기 위해 기존 통공의 옆에 천공작업을 다시 시행하고 그에 맞춰 가림막도 신규로 제작하는 등 시간과 비용 및 인력의 낭비가 발생하곤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지주고정장치(10)가 기초지반(12)에 삽입 설치되고 가림막 설치에 사용되는 지주(13)가 지주고정장치(10)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지주고정장치(10)는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횡단면이 원형이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 봉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주고정장치(10)는 상부에 구비되는 결합부(100)와 하부에 구비되는 매립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00)는 화단의 토양 내에 위치하며 지주(13)와 결합되는 영역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매립부(200)는 기초지반(12)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결합부(100)에 삽입된 지주(13)를 하부에서 받치는 지지대의 기능을 할 수 있고, 동시에 지주고정장치(10)가 기초지반(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100)는 내부에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결합홀(1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00)의 횡단면에는 특정한 소정의 형상으로 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형상으로 구성된 통공은 결합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10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면서 결합부(100) 내부에 동일한 형상의 내부공간을 터널처럼 형성하여 결합홀(110)을 구성하게 된다.
결합홀(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십자형으로써 구성될 수 있으며, 십자형의 내부공간이 결합부(100)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생성될 수 있다.
결합홀(110)이 십자형으로 구성되면 결합부(100)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지주(13)의 하단부도 마찬가지로 십자형의 돌출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렇게 되어야 결합홀(110)을 형성하는 십자형 공간에 지주(13)의 십자형 돌출부가 꼭 들어맞게 삽입이 되면서 지주(13)는 지주고정장치(10)에 장착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결합홀(110)의 형상이 십자형으로 구성되면 결합부(100) 내에서 지주(13)의 하단부가 회전하는 등 움직일 여지가 없는 결합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형태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홀(110)과 지주(13)의 하단부가 상호 십자형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꼭 들어맞아 결합되면 결합부(100) 내부에서는 상호 위치의 변동 없이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에 덧붙여 지주(13)의 하단부는 종단으로 갈수록 유선형이 되게끔 구성이 되어 결합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홀(110)과 지주(13)의 하단부가 모두 십자형이고 크기가 동일하게 구비가 된 상태에서 지주(13)의 하단부가 평면을 이루는 형상이 되면 상호 결합과정에서 부드럽게 삽입이 되지 않고 억지 결합으로 훼손의 우려도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주(13)의 하단부는 유선형으로 구성되어 결합홀(110)에 원활하게 삽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홀(110)의 횡단면이 이루는 형상은 다양한 실시예로써 삼각형, 사각형, 별 모양 등 여러 가지 폐곡선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홀(110)의 형상에 다라 지주(13)의 하단 돌출부의 형상 또한 결합홀(110)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결합홀(110)과 지주(13) 하단 돌출부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다만 원형의 형태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원형의 형상으로는 결합홀(110)과 지주(13) 하단 돌출부가 견고하게 꽉 물리면서 결합되지 않고 헛돌아 고정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필요 시 원형의 형상이되 돌기가 부착된 유형이라든지 별도의 보완책이 구비되면 가능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십자 형태로써 구성된 결합홀(110)의 형상은 본 발명의 지주고정장치(10)에 있어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결합홀(110)에 의한 결합부(100) 내부에서의 고정 효과 외에 외부적으로 결합부(100) 자체가 토양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보완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100)는 외주연에 복수의 판상형 고정날개(12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날개(120)는 결합부(100)의 외주연에 고정된 일체형으로써 부착될 수 있으며 토양에 삽입된 형태로 토양 내에서 결합부(100)의 회전 등 움직임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고정날개(120)는 결합부(100) 외주연에 연직하게 돌출되어 로켓의 꼬리날개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결합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부(10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길게 형성된 판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날개(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면에서 목측 시 상단은 결합부(100)의 상단과 나란하게 수평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단은 매립부(200)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날개(120)는 하단부가 경사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결합부(100)가 화단의 상부로부터 토양 내로 삽입될 때 토양을 헤치며 삽입되기 용이하게끔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날개(120)는 판상형으로써 결합부(100)의 외주연에 복수개가 형성되어 마치 흙에 파묻힌 풍차와 같은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일단 토양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나면 토양 내부에서 결합부(100)가 움직일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고정날개(120)는 결합부(100)를 토양 내에 고정하고, 더불어 결합부(100)를 포함하는 지주고정장치(10) 전체를 화단 내에서 단단하게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국 고정날개(120)는 결합부(100)를 비롯한 지주고정장치(10)를 외부에서 지중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결합홀(110)은 지주고정장치(10)의 내부에서 지주(13)를 단단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고정날개(120)는 결합부(100)의 외주연에 복수로 설치되되 주로 결합부(100)의 외주연 일측면에 집중되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날개(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결합부(100)의 외주연 타측면에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지주고정장치(10)를 경계석(11)에 최대한 밀착해서 설치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지주고정장치(10)는 고정날개(120)가 구비되지 않은 결합부(100)의 타측면이 경계석(11)에 인접하면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결합부(100)에 설치된 지주(13)가 제거되어 사용되지 않는 시기에는 결합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홀(110)에 토사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이는 결합부(100)를 포함한 지주고정장치(10)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일정 시간 경과 후 지주(13)를 재 설치하고자 할 때 기초지반(12)에 고정된 작은 관 형상의 결합부(100)에서 토사 및 이물질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상당한 인력 낭비와 시간 소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결합홀(110)에 토사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기존에 시행한 천공작업에 의해 생성된 통공을 사용하지 못하고 새로운 천공작업을 수행했던 것과 동일한 양상의 비효율성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100)에 지주(13)가 분리되어 지주(13)를 사용하지 않는 휴지기에 이르면 결합부(100)에 상단을 막는 뚜껑 형상의 상단캡(130)이 장착될 수 있다.
상단캡(130)은 결합부(100)의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며, 결합부(100)의 상단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단캡(130)이 결합부(100)의 상단에 결합된 뒤 쉽게 이탈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단캡(130)의 하단 중앙부에는 결합부(100)를 향해 결합홀(110)의 형상으로 돌출된 부위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캡(130)의 돌출 부위가 결합홀(1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동일하게 형성되어 구비됨으로써 상단캡(130)은 결합부(100)에 돌출부위가 끼워지며 안정적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단캡(1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하단 중앙부에 십자 형태의 돌출 부위가 구비될 수 있고, 상단캡(130)에 형성된 십자 형태의 돌출 부위는 결합홀(110)의 십자 형상에 정확히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령 봄이 되어 화단 가림막을 철거하는 시점이 되면 지주고정장치(10)로부터 지주(13)를 분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단캡(130)을 결합부(100)의 상단에 맞춰 끼움으로써 결합부(100) 내부를 외부의 토사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 후 가림막을 다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르면 상단캡(130)을 결합부(100)에서 분리한 후 깨끗한 내부 공간상태를 유지하는 결합부(100)의 내부에 지주(13)의 하단부를 삽입함으로써 별도의 청소 공정 없이 바로 설치작업이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단캡(130)은 결합부(100)의 상단에 부착된 후 쉽게 분리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단캡(130) 하부 테두리에 요철부 또는 나사산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결합부(100)의 상단 테두리에는 상단캡(130)의 요철부 또는 나사산에 대응되는 형태의 요홈부나 나사홈이 구비되어 상단캡(130)과 결합부(100) 간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매립부(200)는 지주고정장치(10)의 하부 영역으로써 기초지반(12)에 천공되어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는 부위를 형성한다.
지주고정장치(10)는 매립부(200)가 기초지반(12)의 통공에 꼭 맞게끔 삽입되어 단단한 결합상태로 고정상태를 유지함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주(13)를 수용하고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매립부(200)는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에 따라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매립부(200)의 내부를 비어있는 공간으로 함에 따라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 방지와 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적 이득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지주고정장치(10) 전체의 무게가 감소하게 되어 보관 및 운반을 포함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100)와 매립부(200)는 상호 연통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결합부(100)는 결합홀(110)이 통공으로 구비되고 결합홀(110)을 제외한 부분만 채워진 상태가 되며, 매립부(2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관의 형태로 결합홀(110)과 연결되어 지주고정장치(10) 전체가 상하로 뚫려있는 형상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고정장치(10)에 삽입되는 지주(13)의 하단부가 결합부(100) 보다 길게 형성된 경우, 지주(13)의 하단부는 결합홀(110)을 지나 매립부(200)까지 연장되며 지주고정장치(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매립부(200)의 하단은 뚜껑의 형상으로 하단캡(210)이 탈부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매립부(200)의 하단에 하단캡(2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지주고정장치(10)는 기초지반(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하단캡(210)이 미 장착된 상태에서 설치될 수도 있다.
다만 하단캡(210)이 장착됨으로 인해서 매립부(200)에 토사 및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지주고정장치(10)는 매립부(200)에 하단캡(210)이 장착된 상태에서 기초지반(12)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립부(200)는 기초지반(12)에서 지주고정장치(10)를 분리하거나 또는 기초지반(12) 전체를 새로운 공사로써 변경하는 등의 공정이 진행될 때 하단캡(210)을 분리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즉 평소에는 하단캡(210)이 장착된 상태에서 매립부(200)가 사용되다가 특정 목적에 의해 지주고정장치(10)의 하단, 즉 매립부(200) 방면에서 지주고정장치(10)를 밀어내거나 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하단캡(210)이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상단캡(130)이 지주(13)가 설치될 때는 분리되었다가 지주(13)를 떼어내면 장착되는 방식의 사용법과 상이한 측면으로써, 기본적으로 하단캡(210)은 매립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설치되고 특별한 공정이 없으면 계속 변경 없이 사용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주고정장치(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가령 차도와 보행도로를 구별하는 경계석(11)의 내측에 화단이 구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겨울철에는 수목의 보호를 위해 화단에 경계석(11)의 내측을 따라 가림막이 설치되곤 한다.
이에 경계석(11)의 내측에 인접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지주(13)가 구비되고, 가림막이 다수의 지주(13)에 고정된 채 전개됨으로써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경계석(11)의 하단에 경계석(11)과 연직한 방향으로 지중 매립되어 있는 콘크리트 기초지반(12)에 지주(13)를 설치하기 위해 기초지반(12)에 뚫는 천공작업이 행해지고 그로 인해 통공이 생성된다.
상기 통공에 본 발명의 지주고정장치(10)를 삽입하고 상기 지주고정장치(10)에 지주(13)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통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주고정장치(10)는 봉 형상으로 구성되어 기초지반(12)의 통공에 삽입될 수 있다.
지주고정장치(10)는 상부의 결합부(100)와 하부의 매립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결합부(100)는 10㎝ 내외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매립부(200)는 10㎝~15㎝의 수준에서 형성될 수 있다.
지주고정장치(10)는 하부의 매립부(200)를 기초지반(12)에 삽입하며 설치된다.
지주고정장치(10)의 상부에 구성되는 결합부(100)는 기초지반(12)의 상부에 위치하며 화단이 구성되면서 화단의 토양에 매립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100)의 상단은 화단의 표면과 일치하거나 다소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지주(13)를 지주고정장치(10)에 삽입하여 설치할 때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한편 지주고정장치(10)는 결합부(100)에 형성된 고정날개(120)가 없는 타측면이 경계석(11)에 인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주(13)를 최대한 경계석(11)에 가깝게 설치되어야 가림막이 화단을 온전히 보호할 수 있으므로 결합부(100)는 고정날개(120)가 없는 타측면을 경계석(11)에 접하도록 하고, 고정날개(120)가 구비된 일측면이 화단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지주고정장치(10)를 고정날개(120)의 부착 방향을 맞추어 기초지반(12)에 삽입하고 나면 상단캡(130)을 분리한다.
이때 하단캡(210)은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고 특별한 보수 공정이 없으면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단캡(130)이 분리되면 지주(13)를 지주고정장치(10)에 삽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결합부(1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십자 형상의 내부공간으로 구성되는 결합홀(110)이 구비되어 있고, 지주(13)의 하단부에는 결합홀(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십자 형상의 돌출부위가 유선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지주(13)의 하단부에 형성된 십자 형상의 돌출부위를 결합홀(110)의 십자 형상에 맞추어 지주(13)를 상단에서 하단으로 밀면서 지주고정장치(10)에 장착을 한다.
지주고정장치(10)는 하부의 매립부(200)가 기초지반(12)에 꼭 맞는 형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부의 결합부(100)는 외부로는 고정날개(120)가 토양에 매립되어 움직임을 차단하고 내부로는 결합홀(110)이 지주(13) 하단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호 결합됨으로써 내부 결속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주(13)는 지주고정장치(10)와 견고한 결합상태를 형성한 채 가림막 설치를 할 수 있게 되고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림막의 사용이 종료되고 철거시기가 되면 사용자는 지주(13)를 잡고 상단으로 수직하게 끌어올림으로써 지주(13)를 지주고정장치(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후 상단캡(130)을 지주고정장치(10)의 상단에 부착하여 토사 및 이물질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단캡(130)의 하부 중앙에는 결합홀(11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 부위가 구비되어 있어 결합홀(110)에 꼭 들어맞으며 상단캡(130)과 결합부(100)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상단캡(13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십자 형상의 돌출 부위를 결합홀(110)의 십자 형상에 맞추어 장착할 수 있다.
이후 상단캡(130)의 하부 테두리에 요철부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 경우 결합부(10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요홈부 또는 나사홈과 결속되도록 눌러주거나 돌려주는 작업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이제 상당 기간이 경과한 후 화단에 가림막을 다시 설치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각 지주고정장치(10)의 상단캡(130)을 분리하고 지주고정장치(10)의 상단에서 지주(13) 하단부의 십자형 돌출부위와 지주고정장치(10)의 십자형 결합홀(110)을 맞추면서 지주(13)를 하단으로 밀어 결합시킨다.
이때 지주고정장치(10)는 직전 천공작업으로 생성된 기초지반(12)의 통공에 삽입되어 그 위치가 유지되고 있고, 그 형태도 변함없이 재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지주(13) 또한 이전에 사용되었던 것이 그대로 재사용 될 수 있으며, 가림막 또한 형태의 훼손이 없다면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림막을 신규 제작해야 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지주고정장치(1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지주(13)와 결합되는 가림막의 위치도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가림막의 새로운 설치에 앞서 천공작업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지주(13)를 설치하기 위해 지주고정장치(10)에 유입된 토사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절차가 불필요하다.
또한 경계석(11)에 지주고정장치(10)의 위치를 미세하게 표시해 놓은 경우나 지주고정장치(10)의 위치가 표시된 맵이 제작된 경우에는 더욱 편하게 지주(13) 설치작업이 쉽게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지주고정장치(10)로 인하여 해마다 반복되는 천공작업, 이물질 제거작업 등으로 인한 노동력 소요, 비용 증가, 공사기간의 지연, 자원의 낭비를 합리적으로 절감하여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주고정장치(10)에 있어 화단 가림막 지주(13)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단단한 구조물과 결합되는 형태로써 지주고정장치(10)의 일부가 결속되고 특정 목적의 지주(13)를 수용하며 지지하는 모든 용도의 고정부재에 변형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수한 실시예에 따라 지주고정장치(10)에 연계되어 설치되는 가림막 장치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화단에 설치된 가림막 장치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지주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지주의 종단면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체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B-B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C-C 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지주가 임의 파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지주의 횡단면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체결나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는 텐트, 낚시터 주변에 설치되어 돔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팩 대용으로 활용되거나 화단 가림막으로도 사용되는 등 폭넓은 활용범위를 가지며 이하의 설명에선 텐트 및 화단에 적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는 크게 지면에 연이어 식립되는 지주(13)와 상기 지주(13) 사이에 전개 설치되는 막부재(3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지주(13)가 지면에 일렬로 설치되고 지주(13)에 의해 막부재(310)가 지지되어 가림막 장치를 구성한다.
여기서, 지주(13)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막부재(310)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13)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다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주(13)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지면삽입부(401)가 형성되고 상기 지면삽입부(401)에서부터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부재(402)가 마련된 본체(400) 및 상기 지주부재(4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덮개(41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체(400)와 고정덮개(410)는 각각 개별 구성으로써 설치의 편의를 위해 서로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춘다. 본체(400)와 고정덮개(410) 사이에 막부재(310)를 개재시킨 뒤 체결나사(420)를 이용해 본체(400)와 고정덮개(410)를 상호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주(13)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400)의 지면삽입부(401)는 지주(13)가 설치되는 지면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부분으로써, 지면으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단이 첨각 형태를 갖춘다.
지면삽입부(401)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부재(402)는 고정덮개(410)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지면삽입부(401)보다 지주부재(402)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본체(400)의 임의 파절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림막 장치가 화단 가림막으로 사용될 때 지주(13)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불측의 사유로 보행자가 화단 방향으로 넘어질 경우 지주(13)에 의해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이는 지주(13)가 얇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데 기인하며, 이 경우, 심하게는 지주(13)가 보행자의 신체 일부를 관통하는 대형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지주(13)는 보행자가 지주(13) 방향으로 넘어질 경우 본체(400)의 쉬운 파절을 유도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구조를 갖춘다.
본체(400)의 파절 지점은 지면삽입부(401)와 지주부재(402)의 연결지점(A) 부근에서 설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지주부재(402)의 하단이 양분되는 형태로 본체(400)의 파절이 유도된다.
일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0)는 지면삽입부(401)와 지주부재(402)의 연결지점(A)에서 지면삽입부(401)의 횡단면 면적보다 지주부재(402)의 횡단면 면적이 작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지면삽입부(401)의 횡단면은 원, 지주부재(402)의 횡단면은 반원 형태를 예시한다.
이 경우, 지주부재(402)가 상대적으로 지면삽입부(401)보다 얇아지도록 구현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외력이 가해질 경우 연결지점(A)에서 쉬운 파절이 유도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림막 장치가 도 10에 도시된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지주(13) 측으로 넘어질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덮개(410)가 결합된 지주부재(402)가 지면삽입부(401)에서 쉽게 파절되면서 넘어지는 사용자의 인체에 해를 가하지 않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덮개(410)의 하단에는 걸림돌기(41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412)에 대응되는 본체(400)의 부분에는 상기 걸림돌기(412)가 삽입되는 걸림홈(40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412)와 걸림홈(402c)의 결합에 의해 본체(400)와 고정덮개(410) 간의 상대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서는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 사이에 막부재(310)가 삽입되고,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는 이들을 상호 관통하는 체결나사(420)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을 예시한다.
막부재(310)의 견고한 구속을 위하여 지주부재(40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402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덮개(410)에는 상기 결합홈(402a)에 결합되는 결합돌기(4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의 체결시 상기 결합홈(402a)과 결합돌기(413)가 서로 맞물리면서 막부재(310)를 견고하게 구속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의 지주부재(402), 고정덮개(410), 막부재(310)를 상호 관통하도록 체결나사(420)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3)는 막부재(310)의 상단에서 하부를 향해 일정거리 까지만 결합부(400)와 고정덮개(410) 사이에 막부재(310)를 삽입하여 막부재(310)의 하부에 자유단 형태의 스커트(313)를 부여한다.
즉, 지주(13)는 막부재(310)의 상, 하 전폭을 모두 파지하는 것이 아니라, 결합부(400)와 고정덮개(410)가 막부재(310)의 상측 일부만 파지함으로써 막부재(310)의 하부 일부를 자유단 형태의 스커트(313)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커트(313)는 가림막 장치가 화단에 설치되었을 때 경계석(S)까지 충분히 덮어줌으로써 도로에 뿌려지는 염화칼슘이 화단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하수구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담당한다.
다시, 체결나사(420)의 체결을 위하여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에는 서로 연통하는 각각의 나사홈(402b,411)이 형성되며 체결나사(420)가 상기 나사홈(402b,411)에 삽입됨으로써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나사(420)는 일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나사체(421), 나사체(421)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헤드(422) 및 상기 나사체(421)의 외주면에서부터 체결나사(42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편(42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걸림편(423)은 나사체(421)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걸림편(423)은 체결나사(420)가 나사홈(402b,411)을 향해 삽입되는 것은 쉽게 허용하나, 체결나사(420)가 한 번 나사홈(402b,411)에 삽입되면 걸림편(423)이 나사홈(402b,411)의 내주면에 쐐기작용을 함으로써 체결나사(420)의 충분한 유지력을 보장한다.
즉, 체결나사(420)와 나사홈(402b,411)은 나사산의 맞물림에 의한 결합방식이 아니며, 체결나사(420)가 나사홈(402b,411)에 한 번 삽입되면 쉽게 풀리지 않게 함으로써 지주(13)와 막부재(310)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됨은 물론, 가림막 장치의 설치시 작업자가 체결나사(420)를 나사홈(402b,411)에 삽입시킬 때 체결나사(420)를 돌리거나 할 필요 없이 단순히 나사홈(402b,411)에 체결나사(420)를 삽입시키는 행위만으로도 손쉽게 체결나사(4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과정을 대폭 간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사체(42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파단홈(3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420)의 해체 작업시 외부로 노출된 나사체(421)를 잡고 나사헤드(422)의 반대측으로 체결나사(420)를 견인하면 상기 파단홈(424)을 기준으로 나사체(421)의 경로가 쉽게 절단되어 나사체(421)와 나사헤드(422)가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파단홈(424)의 형성은 가림막 장치의 간편한 해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편, 상기 지주(13)는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의 상단을 상호 결속하는 상부덮개(4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덮개(430)는 본체(400)와 고정덮개(410)의 고정작용은 물론, 내부로 발광소자(431), 예컨대, LED 등을 실장하여 지주(13)의 설치 위치를 인도의 보행자 또는 도로의 차량 운전자에게 알리고, 가림막 장치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막부재(310)의 표면에는 광고부(311)와 야광도료도포부(312)를 두어서 별도 광고 삽입을 통한 부가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하며, 야간에 보행자 및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본원발명의 주고정장치는 봉 형상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며 지주고정장치와 결합부(100); 및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지반(12)에 매립되는 매립부(200);를 포함하되, 결합부(100)는 횡단면 내에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홀(110); 및 결합부 외주연에 연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판상형 고정날개(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주(13)는 상기 결합홀(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지면삽입부(401)와, 상기 지면삽입부(401)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되 횡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지주부재(402)를 포함하는 본체(400); 상기 지주부재(402)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덮개(410); 및 상기 지주부재(402)와 상기 고정덮개(410) 사이에 막부재(310)가 개재되면 상기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나사(4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재(402)는 상기 체결나사(420)의 체결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나사홈(402b); 및 상기 고정덮개(410)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나사홈(402b)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402a);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덮개(410)는 상기 지주부재(402)에 형성된 나사홈(402b)과 서로 연통되도록 고정덮개(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나사홈(411); 상기 나사홈(411)의 일단에 상기 나사홈(4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나사헤드(422)가 위치되는 나사헤드홈(411a); 및 상기 지주부재(402)의 상기 결합홈(402a)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결합홈(402a)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결합돌기(413);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나사(420)는 상기 나사홈(402b, 411)에 삽입되는 나사체(421); 상기 나사체(4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헤드홈(411a)에 위치되는 나사헤드(422); 상기 나사체(421)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체결나사(42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편(423); 및 상기 나사헤드(422)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나사체(4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파단홈(424);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나사(420)가 상기 나사홈(402b, 411)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편(423)이 나사홈(402b, 411)의 내주면에 쐐기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체결나사(420)의 유지력이 발생되어 상기 지지부재(402)와 상기 고정덮개(410)가 결합되고, 상기 파단홈(424)을 기준으로 상기 나사체(421)와 상기 나사헤드(422)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체결나사(420)의 해체가 가능한 것이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본원발명의 주고정장치는 봉 형상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며 지주고정장치와 결합부(100); 및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지반(12)에 매립되는 매립부(200);를 포함하되, 결합부(100)는 횡단면 내에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홀(110); 및 결합부 외주연에 연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판상형 고정날개(1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주(13)는 상기 결합홀(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지면삽입부(401)와, 상기 지면삽입부(401)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되 횡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지주부재(402)를 포함하는 본체(400); 상기 지주부재(402)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덮개(410); 및 상기 지주부재(402)와 상기 고정덮개(410) 사이에 막부재(310)가 개재되면 상기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나사(4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재(402)는 상기 체결나사(420)의 체결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나사홈(402b); 및 상기 고정덮개(410)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나사홈(402b)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402a);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덮개(410)는 상기 지주부재(402)에 형성된 나사홈(402b)과 서로 연통되도록 고정덮개(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나사홈(411); 상기 나사홈(411)의 일단에 상기 나사홈(4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나사헤드(422)가 위치되는 나사헤드홈(411a); 및 상기 지주부재(402)의 상기 결합홈(402a)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결합홈(402a)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결합돌기(413);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나사(420)는 상기 나사홈(402b, 411)에 삽입되는 나사체(421); 상기 나사체(4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헤드홈(411a)에 위치되는 나사헤드(422); 상기 나사체(421)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체결나사(42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편(423); 및 상기 나사헤드(422)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나사체(4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파단홈(424);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나사(420)가 상기 나사홈(402b, 411)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편(423)이 나사홈(402b, 411)의 내주면에 쐐기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체결나사(420)의 유지력이 발생되어 상기 지지부재(402)와 상기 고정덮개(410)가 결합되고, 상기 파단홈(424)을 기준으로 상기 나사체(421)와 상기 나사헤드(422)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체결나사(420)의 해체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지주고정장치
11 : 경계석
12 : 기초지반
13 : 지주
100 : 결합부
110 : 결합홀
120 : 고정날개
130 : 상단캡
200 : 매립부
210 : 하단캡
310 : 막부재
400 : 본체
410 : 고정덮개
420 : 체결나사
430 : 상부덮개
11 : 경계석
12 : 기초지반
13 : 지주
100 : 결합부
110 : 결합홀
120 : 고정날개
130 : 상단캡
200 : 매립부
210 : 하단캡
310 : 막부재
400 : 본체
410 : 고정덮개
420 : 체결나사
430 : 상부덮개
Claims (5)
- 경계석의 지중 기초지반에 삽입 설치되며 지주가 수용되는 지주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장치는 봉 형상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며 지주부재(402) 및
하부에 위치하며 기초지반(12)에 매립되는 매립부(200);를 포함하되,
결합부(100)는 횡단면 내에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결합홀(110); 및 결합부 외주연에 연직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판상형 고정날개(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주(13)는
상기 결합홀(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지면삽입부(401)와, 상기 지면삽입부(401)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되 횡단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지주부재(402)를 포함하는 본체(400);
상기 지주부재(402)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덮개(410); 및
상기 지주부재(402)와 상기 고정덮개(410) 사이에 막부재(310)가 개재되면 상기 지주부재(402)와 고정덮개(410)를 상호 체결하는 체결나사(420);를 포함하며,
상기 지주부재(402)는
상기 체결나사(420)의 체결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나사홈(402b); 및
상기 고정덮개(410)와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나사홈(402b)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402a);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덮개(410)는
상기 지주부재(402)에 형성된 나사홈(402b)과 서로 연통되도록 고정덮개(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나사홈(411);
상기 나사홈(411)의 일단에 상기 나사홈(4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나사헤드(422)가 위치되는 나사헤드홈(411a); 및
상기 지주부재(402)의 상기 결합홈(402a)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결합홈(402a)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는 결합돌기(413);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나사(420)는
상기 나사홈(402b, 411)에 삽입되는 나사체(421);
상기 나사체(42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헤드홈(411a)에 위치되는 나사헤드(422);
상기 나사체(421)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체결나사(420)의 삽입 방향과 반대되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걸림편(423); 및
상기 나사헤드(422)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나사체(42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파단홈(424);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나사(420)가 상기 나사홈(402b, 411)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편(423)이 나사홈(402b, 411)의 내주면에 쐐기 작용을 함으로써 상기 체결나사(420)의 유지력이 발생되어 상기 지주부재(402)와 상기 고정덮개(410)가 결합되고,
상기 파단홈(424)을 기준으로 상기 나사체(421)와 상기 나사헤드(422)를 분리시키는 것으로 체결나사(420)의 해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고정날개는 결합부 외주연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결합부는 타측면을 경계석에 인접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지주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고정날개는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상단은 결합부의 단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단은 매립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지중 삽입이 용이하고 지중 내에서 고정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지주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의 상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상단캡이 결합되고,
매립부의 하단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소정 두께의 하단캡이 구비되되,
상단캡의 하단 중앙부는 결합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지주고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결합홀은 결합부 횡단면이 십자 형태로 형성되고, 지주는 하단부가 결합홀에 대응되는 십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홀과 지주의 하단부가 밀착되며 끼워지고,
매립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비어 있어 결합홀과 연통되는 형태인 것을 더 포함하는 지주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5075A KR102112034B1 (ko) | 2019-10-10 | 2019-10-10 | 지주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5075A KR102112034B1 (ko) | 2019-10-10 | 2019-10-10 | 지주고정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2034B1 true KR102112034B1 (ko) | 2020-05-27 |
Family
ID=70910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5075A KR102112034B1 (ko) | 2019-10-10 | 2019-10-10 | 지주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203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1544B1 (ko) | 2021-07-26 | 2022-04-27 | (주) 현대그린 | 직타 공법을 이용한 지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
KR20230085473A (ko) * | 2021-12-07 | 2023-06-14 | 한국전력공사 |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743B1 (ko) | 2012-03-23 | 2012-08-09 | 금강조경개발 주식회사 | 가로화단 보호용 펜스 |
KR101208327B1 (ko) * | 2012-05-18 | 2012-12-05 | 신희수 | 보강 및 지지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
KR101229250B1 (ko) * | 2012-05-03 | 2013-02-04 | 김원일 |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
KR20130101699A (ko) * | 2012-03-06 | 2013-09-16 | (주)부강통신 |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
KR101569865B1 (ko) | 2014-02-07 | 2015-11-17 | 주식회사 월드디엔씨 |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 |
KR20190113214A (ko) * | 2018-03-28 | 2019-10-08 | 금강조경개발 주식회사 | 가로화단 보호를 위한 펜스용 지주 고정대 |
-
2019
- 2019-10-10 KR KR1020190125075A patent/KR1021120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1699A (ko) * | 2012-03-06 | 2013-09-16 | (주)부강통신 |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
KR101169743B1 (ko) | 2012-03-23 | 2012-08-09 | 금강조경개발 주식회사 | 가로화단 보호용 펜스 |
KR101229250B1 (ko) * | 2012-05-03 | 2013-02-04 | 김원일 | 펜스의 파일형 지주장치 |
KR101208327B1 (ko) * | 2012-05-18 | 2012-12-05 | 신희수 | 보강 및 지지구조를 갖는 가드레일 |
KR101569865B1 (ko) | 2014-02-07 | 2015-11-17 | 주식회사 월드디엔씨 | 매립형 지주 고정장치 |
KR20190113214A (ko) * | 2018-03-28 | 2019-10-08 | 금강조경개발 주식회사 | 가로화단 보호를 위한 펜스용 지주 고정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1544B1 (ko) | 2021-07-26 | 2022-04-27 | (주) 현대그린 | 직타 공법을 이용한 지주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
KR20230085473A (ko) * | 2021-12-07 | 2023-06-14 | 한국전력공사 |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
KR102689142B1 (ko) | 2021-12-07 | 2024-07-30 | 한국전력공사 |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22286B2 (en) | Delineator mounting system | |
KR102112034B1 (ko) | 지주고정장치 | |
KR102010185B1 (ko) | 그레이팅 커버 | |
KR102139375B1 (ko) | 시선유도봉 | |
US20130312340A1 (en) | Post hole support | |
KR101458540B1 (ko) |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 |
KR101169743B1 (ko) | 가로화단 보호용 펜스 | |
KR20120068315A (ko) | 착탈식 차선 규제봉 | |
KR100619585B1 (ko) | 경계용 표주(標柱) | |
KR101642864B1 (ko) | 도로경계석 손상이 없는 방초시트 설치 시공방법 | |
KR100859660B1 (ko) | 도로시설물의 지주 고정용 베이스 | |
KR102015523B1 (ko) |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 |
KR102163410B1 (ko) | 도로안전시설물용 지주 설치 구조 | |
KR102175271B1 (ko) | 수목 뿌리 보호기능을 갖는 가변형 가로수 보호판 및 그 시공방법 | |
KR20150135671A (ko) |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 |
KR20090049900A (ko) | 지주의 지지구조 | |
KR100561748B1 (ko) | 토목 및 도로 교통 시설물 설치용 기둥의 매설형 하부 기초 | |
KR101414511B1 (ko) |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 |
KR100763831B1 (ko) |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 |
JP5377233B2 (ja) | 道路施設物設置用ナットアンカー、その施工方法、および道路施設物 | |
KR200263641Y1 (ko) | 가로수 보호커버 | |
KR100977090B1 (ko) | 차량 진입 방지용 볼라드 | |
JP5762910B2 (ja) | 弾性柱状体の設置構造 | |
KR101861751B1 (ko) | 도로변 식생 차단 장치 | |
KR102117189B1 (ko) | 방초매트 시공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