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5473A -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 Google Patents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473A
KR20230085473A KR1020210173671A KR20210173671A KR20230085473A KR 20230085473 A KR20230085473 A KR 20230085473A KR 1020210173671 A KR1020210173671 A KR 1020210173671A KR 20210173671 A KR20210173671 A KR 20210173671A KR 20230085473 A KR20230085473 A KR 20230085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ortion
support
electric pole
main body
reinforc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한정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3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5473A/ko
Publication of KR20230085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4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관 전주의 하단과 플랜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상단에 형성된 중공의 본체 및 본체의 하부에서 방사형태로 하향 연장되며, 강관 전주와 플랜지 결합되는 본체를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REINFORCING DEVICE FOR GROUND PART OF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 기초부를 보강할 수 있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부 곡선형 강관 전주는 지상의 지장물을 회피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하부 곡선형 강관 전주는 지하 매설물을 회피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하부 곡선형 강관 전주는 구조상 편하중의 발생으로 인해 지상 지장물 및 지하 매설물에 하중이 가해져 지상 지장물 및 지하 매설물을 파손시키거나, 지속적인 편하중의 증가로 인해 강관 전주가 절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의 경우, 수직하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기초부의 지중 침하로 인한 지하 매설물을 파손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0586호(2001년 01월 15일 공고, 고안의 명칭: 곡선형 강관전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상 설치 또는 지중 매립되어 전주의 기초부를 지지할 수 있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주의 시공시 지상 지장물 및 지하 매설물을 회피할 수 있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강관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로서, 강관 전주의 하단과 플랜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상단에 형성된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방사형태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강관 전주와 플랜지 결합되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는 서로 연통하며,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강관 전주의 내측으로 인입된 접지선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침하방지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지중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의 하단과 수직으로 플랜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 강관 및 상기 연결 강관의 하단과 플랜지 결합되고 지중에 수직으로 매립되며,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 강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로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전주의 하부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된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방사형태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콘크리트 전주가 인입되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를 구비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 타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를 구비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침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인입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하부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콘크리트 전주를 결속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지중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주가 결합되는 본체와 지상 설치 또는 지중 매립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통해 전주의 기초부를 보강함으로써 전주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기초하중의 보강이 필요한 장경간 선로, 지지물을 지지해주는 지선 또는 지지물용 근가를 설치할 수 없는 편하중이 발생되는 곳에서도 지지물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주가 결합되는 본체와 지상 설치 또는 지중 매립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구성을 통해 전주의 시공시 지상 지장물 및 지하 매설물을 회피할 수 있어 지상 지장물 및 지하 매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유연하고 안정된 배전선로, 통신선로 등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는 본체(10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는 상하가 개방되고 속이 빈 중공의 형태이다. 본체(100)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횡단면이 다각형의 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본체(100)의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부(101)가 형성된다. 본체(100)의 상단과 강관 전주(1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간이 볼트/너트에 의해 서로 플랜지 결합된다. 강관 전주(10)는 본체(100)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세워진다.
지지부(200)는 강관 전주(10)와 플랜지 결합되는 본체(1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지지부(200)는 복수로 구비되고 본체(100)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100)의 하부에서 방사형태로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된다. 지지부(200)는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횡단면이 다각형의 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지지부(200)는 지중에 매립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와 지지부(200)의 내부는 서로 연통한다. 지지부(200)에는 강관 전주(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인입공(11)을 통해 강관 전주(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접지선(G)이 지중으로 인출되는 인출공(201)이 지지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지지부(200)는 제1 지지부(210) 및 제2 지지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210)는 본체(100)의 일측 하단에서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210)는 상부 지지부(211)와 하부 지지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211)는 본체(100)의 하단에서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하부 지지부(212)는 상부 지지부(211)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각도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이때, 하부 지지부(212)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지지부(212)의 상측 보다 하측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210)가 지중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212)는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하부 지지부(212)의 하면에 형성된다. 하부 지지부(212)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침하방지 마개(212a)가 하부 지지부(212)의 하단에 장착된다. 침하방지 마개(212a)가 하부 지지부(212)에 장착됨으로써 강관 전주(10)의 수직하중으로 인한 제1 지지부(210)의 지중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20)는 제1 지지부(210)에 비접촉되도록 제1 지지부(210)와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2 지지부(220)는 본체(100)의 타측 하단에서 본체(100)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지지부(220)는 상부 지지부(221)와 하부 지지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221)는 본체(100)의 하단에서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하부 지지부(222)는 상부 지지부(221)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각도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이때, 하부 지지부(222)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지지부(222)의 상측 보다 하측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제2 지지부(220)가 지중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222)는 하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하부 지지부(222)의 하면에 형성된다. 하부 지지부(222)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침하방지 마개(222a)가 하부 지지부(222)의 하단에 장착된다. 침하방지 마개(222a)가 하부 지지부(222)에 장착됨으로써 강관 전주(10)의 수직하중으로 인한 제2 지지부(220)의 지중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20) 사이에 지하 매설물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지하 매설물을 회피하여 강관 전주(1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20) 간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강관 전주(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는 연결 강관(300) 및 지지 강관(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지지부(200)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연결 강관(300)은 본체(100)에 복수로 구비된 지지부(200)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지지부(200)의 하단과 수직으로 결합된다. 연결 강관(300)의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지지부(20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연결 강관(30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간이 볼트/너트에 의해 서로 플랜지 결합된다.
이때, 연결 강관(300)의 하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지지 강관(400)은 복수로 구비된 연결 강관(300)에 대응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지중에 수직으로 매립된다. 지지 강관(400)에는 강관 전주(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인입공(11)을 통해 강관 전주(1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접지선(G)이 지중으로 인출되는 인출공(401)이 지지 강관(40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강관(30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지지 강관(40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 간이 볼트/너트에 의해 서로 플랜지 결합된다.
지지 강관(400)은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강관(400)의 상측 보다 하측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지지부(200)와 연결 강관(300)이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연결 강관(3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 강관(300) 사이에 지상 지장물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지상 지장물을 회피하여 강관 전주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강관(400) 간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강관 전주(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는 본체(500) 및 지지부(60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500)는 내부 수용공간(520)이 마련되는 속이 빈 중공의 형태이다. 본체(500)는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횡단면이 다각형의 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본체(500)의 상면에는 콘크리트 전주(20)의 하부가 인입되는 인입구(510)가 형성된다.
본체(500)의 내측에는 본체(500)의 상면에 형성된 인입구(510)를 통해 본체(500)의 내부 수용공간(520)으로 인입된 콘크리트 전주(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530)가 형성된다. 본체(500)의 내측으로 콘크리트 전주(20)의 하부가 일정 깊이로 인입되어 수직으로 콘크리트 전주(20)가 세워진다.
본체(500)는 인입된 콘크리트 전주(20)를 결속하는 결속수단(5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50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 수용공간(520)의 지름이 콘크리트 전주(20)의 하부 지름 보다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속수단(540)은 본체(500)의 내측에 인입된 콘크리트 전주(20)의 하부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본체(500)에 콘크리트 전주(20)를 견고히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결속수단(540)은 본체(500)의 내측에 구비된다. 결속수단(540)은 압박부재(541)와 체결부재(5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박부재(541)는 본체(500)의 중앙을 기준으로 한 쌍이 서로 맞대응하여 구성된다.
압박부재(541)는 콘크리트 전주(20)의 외부 형상에 맞게 콘크리트 전주(20)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내측면은 외측을 향해 만곡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본체(500)의 내부 형상에 맞게 본체(500)의 내측면과 접촉되는 외측면은 외측을 향해 만곡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박부재(541)는 압박이 가해지는 콘크리트 전주(20)에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542)는 자유단부가 편평하고 외경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 볼트일 수 있다. 체결부재(542)는 본체(500)의 외경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본체(500)의 외측면을 수평으로 관통하여 본체(500)에 나선결합된다.
본체(500)에 나선결합된 체결부재(542)의 자유단부가 압박부재(541)를 압박하도록 체결부재(542)를 전진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결속수단(540)이 압박부재(541)와 체결부재(542)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밴드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600)는 콘크리트 전주(20)가 인입되는 본체(500)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500)와 마찬가지로 속이 빈 중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600)는 복수로 구비되고 본체(500)에 일체로 형성되며, 본체(500)에서 방사형태로 일정 길이 하향 연장된다. 지지부(600)는 본체(500)와 마찬가지로 횡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원기둥 형태일 수 있고, 횡단면이 다각형의 각기둥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지지부(600)는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고 지중에 매립될 수도 있다.
지지부(600)는 제1 지지부(610) 및 제2 지지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610)는 본체(500)의 외측 일측면에서 본체(500)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지지부(610)는 상부 지지부(611)와 하부 지지부(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611)는 본체(500)의 외측 일측면에서 본체(50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하부 지지부(612)는 상부 지지부(611)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각도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이때, 하부 지지부(612)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지지부(612)의 상측 보다 하측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610)가 지상 또는 지중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612)의 하단에는 편평한 판 형상의 침하방지부재(612a)가 장착된다. 침하방지부재(612a)가 하부 지지부(612)에 장착됨으로써 콘크리트 전주(20)의 수직하중으로 인한 제1 지지부(610)의 지중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620)는 제1 지지부(610)에 비접촉되도록 제1 지지부(610)와 이격하여 배치된다.
제2 지지부(620)는 본체(500)의 외측 타측면에서 본체(500)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지지부(620)는 상부 지지부(621)와 하부 지지부(6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621)는 본체(500)의 외측 타측면에서 본체(50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하부 지지부(622)는 상부 지지부(621)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 각도 벤딩되어 일정 길이로 하향 연장형성된다. 이때, 하부 지지부(622)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 지지부(622)의 상측 보다 하측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제2 지지부(620)가 지상 또는 지중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622)의 하단에는 편평한 판 형상의 침하방지부재(622a)가 장착된다. 침하방지부재(622a)가 하부 지지부(622)에 장착됨으로써 콘크리트 전주(20)의 수직하중으로 인한 제2 지지부(620)의 지중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서로 이격하여 배치된 제1 지지부(610)와 제2 지지부(6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610)와 제2 지지부(620) 사이에 지상 지장물 또는 지하 매설물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지상 지장물 또는 지하 매설물을 회피하여 콘크리트 전주(20)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610)와 제2 지지부(620) 간의 기저면이 넓게 확보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전주(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는, 전주(10, 20)가 결합되는 본체(100, 500)와 지상 설치 또는 지중 매립되어 본체(100, 5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600)의 구성을 통해 전주(10, 20)의 기초부를 보강함으로써 전주(10, 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는, 전주(10, 20)가 결합되는 본체(100, 500)와 지상 설치 또는 지중 매립되어 본체(100, 5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600)의 구성을 통해 전주(10, 20)의 시공시 지상 지장물 및 지하 매설물을 회피할 수 있어 지상 지장물 및 지하 매설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강관 전주 20: 콘크리트 전주
100, 500: 본체 101: 플랜지부
200, 600: 지지부 201: 인출공
210, 610: 제1 지지부 211, 221, 611, 621: 상부 지지부
212, 222, 612, 622: 하부 지지부 212a, 222a: 침하방지 마개
220, 620: 제2 지지부 300: 연결 강관
400: 지지 강관 510: 인입구
520: 내부 수용공간 530: 안착부
540: 결속수단 612a, 622a: 침하방지부재

Claims (15)

  1. 강관 전주의 하단과 플랜지 결합되는 플랜지부가 상단에 형성된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방사형태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강관 전주와 플랜지 결합되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중공의 지지부;
    를 포함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와 상기 지지부의 내부는 서로 연통하며,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강관 전주의 내측으로 인입된 접지선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타측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차폐하는 침하방지 마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중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과 수직으로 플랜지 결합되는 복수의 연결 강관; 및
    상기 연결 강관의 하단과 플랜지 결합되고 지중에 수직으로 매립되며,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지지 강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10.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콘크리트 전주의 하부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 수용공간으로 인입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하단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내측에 형성된 중공의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방사형태로 하향 연장되며, 상기 콘크리트 전주가 인입되는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 일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를 구비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 타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상부 지지부와,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하향 연장된 하부 지지부를 구비한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확장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단에 장착되는 침하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인입된 상기 콘크리트 전주의 하부를 외측에서 압박하여 상기 본체에 상기 콘크리트 전주를 결속하는 결속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지중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KR1020210173671A 2021-12-07 2021-12-07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KR202300854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71A KR20230085473A (ko) 2021-12-07 2021-12-07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671A KR20230085473A (ko) 2021-12-07 2021-12-07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473A true KR20230085473A (ko) 2023-06-14

Family

ID=8674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671A KR20230085473A (ko) 2021-12-07 2021-12-07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54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905B2 (en) Pipe stand
US8109057B2 (en) Tower foundation system
KR101784392B1 (ko) 지주의 파일기초 구조물을 이용한 지주의 시공방법
US20240076849A1 (en) Enclosure cover assemblies
US9284744B2 (en) Modular concrete pole base
US10415206B1 (en) Beam and base for supporting structures
KR100648419B1 (ko) 전주 지지 구조물
KR20170089357A (ko) 태양전지모듈용 지지구조물
KR101421212B1 (ko)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20140039589A (ko) 선단 보강 말뚝
KR20230085473A (ko) 전주의 기초부 보강장치
KR101161814B1 (ko) 가로등 기초
CN208981890U (zh) 一种具有新型底座的电线杆
KR102055189B1 (ko) 강관주 설치용 하부 베이스 조립체
JP2009197554A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
KR101821152B1 (ko)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KR102338259B1 (ko) 정화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513937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構造
KR101996431B1 (ko) 전주 설치용 베이스 조립체
KR102059373B1 (ko) 펜스용 지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4698661B2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90050873A (ko) 전주 연장용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주 연장 방법
KR101980152B1 (ko) 지주의 파일기초 합성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03767B1 (ko) 강관 파일의 두부 보강용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강관 파일 어셈블리
JP6139583B2 (ja) 擁壁及び擁壁の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