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540B1 -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 Google Patents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540B1
KR101458540B1 KR1020140060404A KR20140060404A KR101458540B1 KR 101458540 B1 KR101458540 B1 KR 101458540B1 KR 1020140060404 A KR1020140060404 A KR 1020140060404A KR 20140060404 A KR20140060404 A KR 20140060404A KR 101458540 B1 KR101458540 B1 KR 101458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er
frame
main body
cover
road drai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연
Original Assignee
황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연 filed Critical 황주연
Priority to KR1020140060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차도경계석을 포함한 경계블록과 보도블럭 설치부재로 사용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면 전둘레에 투수홀이 형성되는 투수틀본체를 합성수지재로서 관형으로 형성하되, 이 투수틀본체는 외주연에 다수의 투수틀본체살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지지살 들이 투수틀본체살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투수틀본체의 양측 내벽 사이에 보강대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가볍고 견고한 투수틀본체를 형성하며, 이 투수틀본체의 외부전둘레에 부직포를 감싼 상태에서 그 외부에 배수구멍을 형성한 경질의 커버로 커버하여 투수틀을 구성함으로써, 이렇게 구성된 투수틀을 보차도경계석을 포함한 경계블록이나 보도블럭을 설치하는 설치부재로 사용하여 투수(透水)가 가능한 투수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간 사용으로 부직포가 막히는 경우에는 커버를 분리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투수틀본체살(4)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지지살(5) 들이 투수틀본체살(4)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4)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투수틀본체살(4)과 길이방향지지살(5)의 사이에 투수홀(3)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1)의 양측 내벽 사이에 보강대(6)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투수틀본체(1)와; 상기 투수틀본체(1)의 외부전둘레에 감싸져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부직포(7)와; 부직포(7)가 감싸진 투수틀본체(1)의 외부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전체면에 배수구멍(8)이 형성된 커버(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Water permeable block for apparatus draining of a road}
본 발명은 보차도경계석을 포함한 경계블록과 보도블럭 설치부재로 사용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면 전둘레에 투수홀이 형성되는 투수틀본체를 합성수지재로서 관형으로 형성하되, 이 투수틀본체는 외주연에 다수의 투수틀본체살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지지살 들이 투수틀본체살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투수틀본체의 양측 내벽 사이에 보강대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가볍고 견고한 투수틀본체를 형성하며, 이 투수틀본체의 외부전둘레에 부직포를 감싼 상태에서 그 외부에 배수구멍을 형성한 경질의 커버로 커버하여 투수틀을 구성함으로써, 이렇게 구성된 투수틀을 보차도경계석을 포함한 경계블록이나 보도블럭을 설치하는 설치부재로 사용하여 투수(透水)가 가능한 투수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간 사용으로 부직포가 막히는 경우에는 커버를 분리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칭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이란, 인도와 차도의 경계가 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보차도경계석과, 보차도경계석에서부터 인도까지 식물이 식재(植栽)되는 소폭의 식재공간을 포함한 보도블록이 설치되는 인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경계블록(경계석), 그리고 보도블록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설치부재가 투수(透水)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이라 칭한다.
위의 설명에서와 같이 보차도경계석과 각각의 경계블록, 보도블록 설치부재가 투수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식재공간에 별도로 수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하고, 많은 비가 올 때, 보차도경계석과 각각의 경계블록, 보도블록 설치부재를 통하여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부족을 해소하고 침수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과 기술사상이 동일한 종래기술을 찾지는 못하였으나, 본 발명과 부분적으로 유사한 기술사상을 지닌 있는 종래발명이 특허공개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특허출원 제10-2009-0083395호)은 배수로로 유입되는 도로 오염수의 정화도를 높일 수 있고, 호우 등에 의해 오염수의 배출량이 많은 경우에도, 사전 정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정화시설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용 도로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배수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종래발명은, 도로경계석이 정화기능과 더불어 도로경계석 고유의 기능(차량의 침입 방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각틀체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이 강재로 형성되는데, 이 프레임은 모서리부분만 강재를 용접으로 결합 설치하여 육면이 빈 상태이다.
이러한 프레임의 빈 육면에 내구성이 강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그물망을 설치하였으며, 그 프레임의 내측에 나무, 플라스틱, 패각류, 사석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로 되는 여과재를 채워 넣어서 정화용 도로경계석을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발명은 차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배수로의 전방 상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되고, 배수로의 후방측 나머지 영역에는 덮개에 의해 폐쇄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직육면체로 된 철망의 내부에 돌멩이를 넣은 돌망태를 정화용 도로경계석이라고 칭한 것이며, 이러한 돌망태(정화용 도로경계석)를 차도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배수로의 전방 상부를 덮는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돌망태로 된 종래발명은 철망의 내부에 돌멩이가 채워진 것이기 때문에 배수가 잘 되는 것은 당연하고, 철망의 내부에 돌멩이가 들어 있어서 도로경계석을 대신할 수 있겠으나, 철망의 사이로 오물들이 걸리게 되고, 철망들이 아무렇게나 구부려지게 되어 도로의 미관을 흉물스럽게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국내의 대부분의 보차도경계석에서 인도까지의 공간은 비가와도 땅속으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콘크리트로서 발라져 있어서 비가 내리게 되면, 보차도경계석에서 인도까지의 공간으로 내리는 빗물이 배수로나 차도로 흘러내리면서 하천이나 강으로 흘러내려가서 지하수부족을 초래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이 보차도경계석에서 인도까지의 공간으로 내리는 빗물이 배수로나 차도로 급격하게 흘러내림에 따라 도로를 포함한 도심지가 침수되게 되는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었다.
특허출원 제10-2009-0083395호(발명의 명칭 : 정화용 도로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배수구조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차도경계석과 각각의 경계블록, 보도블록 설치부재가 투수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비가 내리는 경우에 보차도경계석에서 인도까지의 공간으로 내리는 빗물이 배수로나 차도로 흘러내리지 않고 보차도경계석에서 인도까지의 도로 공간의 땅속으로 스며들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외주면 전둘레에 투수홀이 형성되는 투수틀본체를 합성수지재로서 관형으로 형성하되, 이 투수틀본체는 외주연에 다수의 투수틀본체살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지지살 들이 투수틀본체살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투수틀본체의 양측 내벽 사이에 보강대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가볍고 견고한 투수틀본체를 형성하며, 이 투수틀본체의 외부전둘레에 부직포를 감싼 상태에서 그 외부에 배수구멍을 형성한 경질의 커버로 커버하여 투수틀을 구성함으로써, 이렇게 구성된 투수틀을 보차도경계석을 포함한 경계블록이나 보도블럭을 설치하는 설치부재로 사용하여 투수가 가능한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장기간 사용으로 부직포가 막히는 경우에는 커버(9)를 분리 세척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투수틀본체살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지지살 들이 투수틀본체살 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투수틀본체살과 길이방향지지살의 사이에 투수홀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의 양측 내벽 사이에 보강대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투수틀본체와; 상기 투수틀본체의 외부전둘레에 감싸져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부직포와; 부직포가 감싸진 투수틀본체의 외부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전체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은, 보차도경계석과 각각의 경계블록, 보도블록 설치부재를 투수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비가 내리는 경우에 보차도경계석에서 인도까지의 공간으로 내리는 빗물이 배수로나 차도로 흘러내리지 않고 보차도경계석에서 인도까지의 도로 공간의 땅속으로 스며들게 되어 지하수부족과 도심지의 침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이 투수(透水)가 잘 되고 이물질을 걸러지며 가벼우면서 견고하게 구성됨에 따라 위의 지하수부족과 침수예방은 물론이고,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을 시공하는데 적은 시공비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와, 인도 주변에 식재공간을 마련하는 경우에 별도로 식재공간에 수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땅속으로 스며든 수분에 의해 식재공간에 심은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되는 매우 특출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투수틀의 정단면도.
도 3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에 설치되는 커버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에 높이 조절수단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에 보호커버가 설치되어 보차도경계석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분리 상태의 단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식재형경계블록의 각종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를 이용하여 도로에 도로배수 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를 이용하여 도로에 도로배수 구조물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배치도.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투수틀이 보도블록 설치부재로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보도블록과 보도블록 설치부재를 도로에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10)은 도 6, 7 및 도 8,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도(29)와 차도(28)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보차도경계석(A)과, 보도(29) 상에 식재공간(26)을 형성하게 하는 식재형경계블록(17), 보도블록(2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경계블록(B), 그리고 보도블록(20)을 설치하게 하는 보도블록 설치부재가 되는 투수틀(10)을 투수가 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한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보차도경계석(A)과, 경계블록(B), 보도블록 설치부재가 되는 투수틀(10)은 도 1에 도시된 투수틀(10)을 이용하여 투수가 될 수 있는 도로배수 구조물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투수틀(10)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1)와, 투수틀본체(1)의 외부에 감싸져서 필터역할을 하게 되는 부직포(7)와, 부직포(7)가 감싸진 투수틀본체(1)의 외부를 커버하는 커버(9)와, 투수틀본체(1)의 양측 개방된 내부공간(2)을 착탈식으로 폐쇄하는 측면마개(1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수틀본체(1)는 사각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투수틀본체살(4)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지지살(5) 들이 투수틀본체살(4)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4)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투수틀본체살(4)과 길이방향지지살(5)의 사이에 투수홀(3)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1)의 양측 내벽 사이에 보강대(6)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투수틀본체(1)와 커버(9)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무게를 가볍게 하였으며, 커버(9)의 전체면에는 다수개의 배수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9)는 도 3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관을 상하로 절단한 형상으로 상하부커버(9a,9b)를 각각 형성한 뒤에, 부직포(7)를 감싼 투수틀본체(1)의 상하부에 상하부커버(9a,9b)를 착탈 가능하게 끼움 설치하거나, 또는 도 3의 (나)와 같이 커버(9)를 "ㄷ"자를 90도로 회전시켜서 하방이 개방된 관형태로 형성된 것을 부직포(7)가 감싸여진 투수틀본체(1)의 외부에 착탈가능하게 끼움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커버(9)의 2가지 실시예 모두 배수가 잘 되도록 커버(9)의 외부 전체면에 다수개의 배수구멍(8)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투수틀본체살(4)는 다른 예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4)이 개별적으로 사각링형태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사각링 형태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살(4)이 코일스프링처럼 나선형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게 구성하였다.
이렇게 코일스프링처럼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4)들이 간격을 두고 연결된 상태에서 그 사각링체의 내부에 다수개의 길이방향지지살(5)이 일체로 연결형성됨에 따라 투수틀본체살(4)를 개별적으로 형성한 뒤에 길이방향지지살(5)로 연결형성하는 것보다 견고하게 투수틀본체(1)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투수틀(10)의 외부에는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투수틀(10)을 보차도경계석(A)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투수틀(10)의 차도(28)측 방향의 전면과 상면을 커버하는 보호커버(15)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15)는 충격으로부터 투수틀(10)을 보호할 수 있는 단단한 재질의 FRP나, 금속, 석판, 콘크리트판, 경질 합성수지재 중의 하나를 선택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이 출입하지 않게 배수구멍이 없는 판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투수틀(10)은 투수틀(10)의 하부에 투수틀(1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수틀(10)을 경계블록(B)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투수틀(10)의 외부에 보호커버(15)를 설치하여 보차도경계석(A)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투수틀(10)을 조립하여 식재형경계블록(17)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투수틀본체(1)의 내측에 암나사관(11)을 상하방향으로 설치하되, 암나사관(11)의 암나사부가 투수틀본체(1)의 하측으로 개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관(11)의 하부에는 높이조절나사봉(12)의 하부에 지면에 받쳐지는 받침부(14)가 형성되고, 그 받침부(14) 그 상측의 높이조절나사봉(12)에 핸들(13)이 구비된 스크류(12a)가 나사식으로 설치되어 투수틀(10)의 설치높이를 승하강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경우는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투수틀(10)을 상하가 개방된 사각틀체형으로 조립하여 식재형경계블록(17)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6의 (가)에 도시된 식재형경계블록(17)은 전체를 투수틀(10)로 조립 설치한 것이고, 도 6의 (나)에 도시된 경우는 상기 투수틀(10)을 조립하여 전방이 개방되는 "ㄷ"자 또는 "E"자형 구조물을 형성한 뒤에, 이 구조물의 개방된 전방에 단단하며 물이 통과하지 않는 소재로 된 전면판(16)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판(16)은 FRP나, 금속, 석판, 콘크리트판, 경질 합성수지재와 같이 단단하며 물이 통과하지 않는 재료로 제작되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10)을 보도블록(20)을 설치하는 보도블록 설치부재로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투수틀(10)을 눕혀서 투수틀본체(1)의 내부에 연결 형성되는 보강대(6)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눕혀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투수틀(10)의 상면에 설치된 커버(9)의 상부에 다수개의 끼움돌기(22)를 형성하고, 끼움돌기(22)가 형성된 커버(9)의 상부에는 끼움돌기(22)와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끼움홈(21)이 저면에 형성된 보도블록(20)을 투수틀(10)의 커버(9) 상부에 끼움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도블록(20)에는 수개의 배수구멍(20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보도블록(20)의 상측으로 비가 내리게 되면, 그 빗물이 배수구멍(20a)을 통하여 하측으로 배수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27"은 보도(29) 중간에 설치하는 가로수나 , 또는 가로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투수틀(10)은 사각링 형태로 된 투수틀본체살(4)이 코일스프링 형태, 또 다른 표현으로로는 나선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길이방향지지살(5)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투수틀본체살(4)과 길이방향지지살(5)의 사이에는 투수홀(3)이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투수틀본체(1)의 전후방 내벽면 사이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투수틀본체(1)가 내측으로 수축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보강대(6)가 투수틀본체(1)의 전후방 내벽면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서 투수틀본체(1)가 견고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투수틀본체(1)의 외부면에 부직포(7)가 감싸져 있으면서 그 외부에 다수개의 배수구멍(8)이 형성된 커버(9)가 끼움식으로 설치되어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투수틀(10)을 보도블록(20)의 양측에 경계블럭(B)용으로 설치하였을 때, 충분한 강도로 땅속에 매설되어 있게 된다.
이 투수틀(10)을 보차도경계석(A)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견고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보호커버(15)를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투수틀(10)의 외부에 끼움식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보도와 차도(28)의 경계부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보도블록(20)은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투수틀(10)을 판형이 되게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상부측에 위치하는 커버(9)의 상부에 보도블록(20)을 끼움돌기(22)와 끼움홈(21)을 이용하여 설치하였고, 그 보도블록(20)에는 배수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비가 내리게 되면, 보도블록(20) 상으로 내리는 빗물의 일부가 보도블록(20)에 형성된 배수구멍(20a)을 통하여 보도블록(20)의 하측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고, 그렇게 보도블록(20)의 하측으로 내려가는 빗물은 커버(9)에 형성된 배수구멍(8)을 통하여 커버(9) 내측의 부직포(7)를 통하여 투수틀본체(1)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부직포(7)는 필터형태로 여과물이 걸러질 수 있게 섬유가 소정의 공극을 갖게 형성된 상태이므로 부직포의 섬유 공극보다 큰 토사 등의 이물질은 부직포(7)를 통과하지 못하여 천천히 물만 부직포(7)로 스며들게 되고, 뒤이어 투수틀본체(1)에 형성된 다수개의 투수홀(3)을 통하여 투수틀본체(1)의 내부공간(2)에 스며들게 된다.
그리고, 보도블록(20)의 양측에 설치된 경계블록(B)용 투수틀(10)로는 투수틀(10) 중에 상면만 지면 위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땅속에 묻힌 상태이므로 지면의 상측으로 노출된 상면으로 빗물의 유입이 쉽게 이루어지고, 땅속으로 스며드는 빗물은 투수틀(10)의 양측면과 저면을 통하여 투수틀본체(1)의 내부로 물기가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은 경계블록(B)용 투수틀(10)로 물기가 스며드는 것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면의 상측으로 노출된 커버(9)의 배수구멍(8)과, 땅속에 묻힌 양측면의 배수구멍(8)으로 물기가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흘러들어가는 물에는 토사를 포함한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이물질들 중에 커버(9)의 배수구멍(8)보다 큰 이물질은 커버(9)의 배수구멍(8)에 걸리게 되고, 배수구멍(8) 보다 작은 이물질을 포함한 물이 부직포(7)로 스며들게 된다.
이때는 부직포(7)가 필터 역할을 하면서 부직포(7)에 형성된 섬유공극보다 큰 이물질이 부직포(7)의 외부면에 걸리고 물만 부직포(7)를 통하게 되고, 그렇게 부직포(7)를 통과한 물은 투수틀본체(1)의 투수홀(3)을 거처서 투수틀본체(1) 내측의 내부공간(2)에 모여지게 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보차도경계석(A)으로 사용되는 투수틀(10)의 경우에는 전면과 상면이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으면서 물이 통과하지 않은 견고한 소재로서 형성된 보호커버(15)가 설치되어서, 보호커버(15)가 설치된 부분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투수틀(10)을 보호하게 되고, 보호커버(15)가 커버되지 않은 부분으로만 물기가 투수틀본체(1)의 내측까지 스며들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식재형경계블록(17)의 경우에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투수틀(10)을 조립하여 상하가 개방된 틀체형 식재형경계블록(17)을 형성한 것임에 따라 위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투수틀(10)에 물기가 스며드는 것과 동일하게 물기가 스며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형경계블록(17)의 내부 식재공간(26)에 토사가 채워지고 그 토사에 식물이 심어져 있게 되면, 투수틀(10)의 내부공간(2)에 비가 올 때, 또는 오랫동안 비가 오지 않아서 급수를 했을 경우에는 급수한 물이 투수틀(10)의 외부에서부터 내부까지 스며들었던 물기가 식재공간(26) 내의 토사에 습기를 제공하여 식재공간(26)에 심은 식물(19)이 잘 자라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차도경계석(A)으로 사용되는 투수틀(10)과, 경계블록(B)용으로 사용하는 투수틀(10), 보도블록 설치부재로 사용하는 투수틀(10) 모두가 투수틀본체(1) 내측의 내부공간(2)으로 물기가 스며들게 되면, 투수틀본체(1)의 외부면에 미세한 공극을 지닌 부직포(7)가 감싸져 있고, 다수의 배수구멍(8)을 형성한 커버(9)가 부직포(7)의 외부를 커버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공간(2)으로 스며든 물기 쉽게 배수되지 않고 저수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내부공간(2)에 담겨진 물은 토사가 건조해지는 것에 따라 투수틀(10) 주변의 토사에 습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서는 투수틀(10)의 하부에 투수틀(10)의 높이를 승하강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각각의 투수틀(10)을 설치할 때, 투수틀(10)의 설치높이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투수틀(10)을 설치할 때, 핸들(13)을 돌리는 방향에 따라 스크류(12a)의 높이조절나사봉(12)과 암나사관(11) 내의 암나사부와의 체결에 의해 투수틀(10)의 높이가 승하강되어 투수틀(10)의 설치높이를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나)에 도시된 식재형경계블록(17)의 경우에도 위에서의 설명에서 보는 바와 투수틀(10)을 조립하여 설치하는 식재형경계블록(17)의 구조물에 외부의 물이 각각의 투수틀(10) 내부로 스며들면서 물을 저수하게 되어 식재형경계블록(17)의 식재공간에 심어지는 식물이 잘자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차도를 향하는 전면에는 석판이나 콘크리트판, FRP, 금속판, 단단한 합성수지 등등과 같이 단단하고 물이 통하는 소재로 된 전면판(16)을 설치하여서 충격으로부터 투수틀(10)이 조립된 구조물을 보호하고, 식재형경계블록(17)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보도에 보도블록(20)이 설치되는 예를 참고로 도시한 것이며, 종래의 일반적인 경계석(23) 사이의 보도 상부에 보도블럭(20)이 설치되는데, 이 보도블록(20)이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투수틀(10)의 상부에 얹히게 설치되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그 투수틀(10)은 모래층(24)에 얹히게 설치되며, 모래층(24)의 하부에는 쇄석층(25)이 시공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투수틀(10)을 이용한 보차도경계석(A)을 포함한 경계블록(B)과 보도블럭 설치부재로 물기가 잘 스며들지 않게 되면, 커버(9)에 형성된 배수구멍(8)과 대응하는 부직포(7)가 토사와 같은 이물질에 막혀서 물기가 스며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는, 지면에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투수틀(10)을 분리해낸 뒤에, 도 3에서와 같이 투수틀본체(1)로부터 커버(9)를 분리하며, 투수틀본체(1)의 외부에 감싸진 부직포(7)를 세척하거나 또는 교체하고, 다시 커버(9)를 씌워서 재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투수틀본체 2 : 내부공간 3 : 투수홀
4 : 투수틀본체살 5 : 길이방향지지살 6 : 보강대
7 : 부직포 8 : 배수구멍 9 : 커버
10 : 투수틀 11 : 암나사관 12 : 높이조절나사봉
13 : 핸들 14 : 받침부 15 : 보호커버
16 : 전면판 17 : 식재형경계블록 18 : 측면마개
19 : 식물 20 : 보도블록 21 : 끼움홈
22 : 끼움돌기 23 : 경계석 24 : 모래층
25 : 쇄석층 26 : 식재공간 27 : 가로수
28 : 차도 29 : 보도

Claims (12)

  1. 링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투수틀본체살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태에서 다수의 길이방향지지살 들이 투수틀본체살 들의 내측에서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과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투수틀본체살과 길이방향지지살의 사이에 투수홀이 형성되며, 투수틀본체의 양측 내벽 사이에 보강대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투수틀본체와;
    상기 투수틀본체의 외부전둘레에 감싸져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부직포와;
    부직포가 감싸진 투수틀본체의 외부에 삽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 전체면에 배수구멍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틀본체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투수틀본체살이 나선형으로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투수틀의 외부에는 투수틀의 전면과 상면을 커버하는 보호커버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사각관을 상하로 절단한 형상으로 상하부커버를 각각 형성하여, 부직포를 감싼 투수틀본체의 상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설치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ㄷ"자를 90도로 회전시켜서 하방이 개방된 관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투수틀본체에는 투수틀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투수틀본체의 내측에 암나사부가 투수틀본체의 하측으로 개방되게 설치되는 암나사관과,
    투수틀본체의 암나사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는 높이조절나사봉의 하단부에 지면을 지지하는 받침부가 구비되고 높이조절나사봉의 소정위치에 핸들이 구비된 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틀을 조립하여 상하가 개방된 사각틀체형의 식재형경계블록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틀을 조립하여 전방이 개방되는 "ㄷ"자 또는 "E"자형 구조물을 형성한 뒤에, 구조물의 개방된 전방에 전면판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틀본체의 양측에는 투수틀본체의 개방된 내부공간을 막는 측면마개가 착탈가능하게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틀을 지면에 판형태로 눕힌 상태에서 투수틀의 상면에 설치된 커버의 상부에 다수개의 끼움돌기를 형성하고, 끼움돌기가 형성된 커버의 상부에는 끼움돌기와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끼움홈이 저면에 형성된 보도블록이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도블록에는 배수구멍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1020140060404A 2014-05-20 2014-05-20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101458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04A KR101458540B1 (ko) 2014-05-20 2014-05-20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404A KR101458540B1 (ko) 2014-05-20 2014-05-20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540B1 true KR101458540B1 (ko) 2014-11-05

Family

ID=5228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404A KR101458540B1 (ko) 2014-05-20 2014-05-20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54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95U (ko) 2014-12-30 2016-07-08 황주연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KR20160004156U (ko) 2015-05-27 2016-12-07 황주연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KR20190053752A (ko) * 2017-11-10 2019-05-20 황주연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CN110294305A (zh) * 2019-07-25 2019-10-01 长沙理工大学 一种四面六边透水框架组自动翻转装置
KR102055272B1 (ko) 2017-11-10 2019-12-16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KR102213772B1 (ko) 2019-09-05 2021-02-10 황주연 빗물침투와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한 빗물침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29Y1 (ko) * 2004-02-06 2004-05-17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JP2008163637A (ja) * 2006-12-28 2008-07-17 Ooike Co Ltd 浸透システ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74203B1 (ko) * 2010-03-04 2010-08-05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모세관 기능을 가지는 유도배수 다공질 배수판을 이용한 신축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107633A (ko) * 2010-03-25 2011-10-04 고희봉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29Y1 (ko) * 2004-02-06 2004-05-17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JP2008163637A (ja) * 2006-12-28 2008-07-17 Ooike Co Ltd 浸透システ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974203B1 (ko) * 2010-03-04 2010-08-05 세기하이테크건설 주식회사 모세관 기능을 가지는 유도배수 다공질 배수판을 이용한 신축이음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10107633A (ko) * 2010-03-25 2011-10-04 고희봉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95U (ko) 2014-12-30 2016-07-08 황주연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KR200483375Y1 (ko) * 2014-12-30 2017-05-08 황주연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KR20160004156U (ko) 2015-05-27 2016-12-07 황주연 지표면수 배수용 투수틀
KR20190053752A (ko) * 2017-11-10 2019-05-20 황주연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KR102055268B1 (ko) 2017-11-10 2019-12-12 황주연 조립식 지표수 침투집수정
KR102055272B1 (ko) 2017-11-10 2019-12-16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CN110294305A (zh) * 2019-07-25 2019-10-01 长沙理工大学 一种四面六边透水框架组自动翻转装置
CN110294305B (zh) * 2019-07-25 2024-05-14 长沙理工大学 一种四面六边透水框架组自动翻转装置
KR102213772B1 (ko) 2019-09-05 2021-02-10 황주연 빗물침투와 미세먼지 저감기능을 구비한 빗물침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540B1 (ko)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101329767B1 (ko) 비점오염원 여과를 위한 수목 빗물관리장치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102028065B1 (ko)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
KR20090105791A (ko) 슬렌팅 보호덮개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20140041029A (ko)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120986A (ko)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KR20130111131A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102175809B1 (ko) 우수 침투 저류 보도블록
KR101715196B1 (ko) 무막힘 표면여과 탄성블럭
KR102052679B1 (ko)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101593907B1 (ko)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JP4386952B2 (ja) 雨水桝の施工構造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374622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1661520B1 (ko) 다기능 침투형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72409B1 (ko) 나무여과상자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