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633A -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633A
KR20110107633A KR1020100026879A KR20100026879A KR20110107633A KR 20110107633 A KR20110107633 A KR 20110107633A KR 1020100026879 A KR1020100026879 A KR 1020100026879A KR 20100026879 A KR20100026879 A KR 20100026879A KR 20110107633 A KR20110107633 A KR 20110107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porous
drain pipe
porous permeabl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6881B1 (ko
Inventor
고희봉
박안수
Original Assignee
고희봉
박안수
고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희봉, 박안수, 고재민 filed Critical 고희봉
Priority to KR102010002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881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5/00Draining the sub-base, i.e. subgrade or ground-work, e.g. embankment of roads or of the ballastway of railways or draining-off road surface or ballastway drainage by trenches, culverts, or conduits or other specially adapt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와 보행로를 구획하는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 또는 눈 등에 의한 빗물이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경계석을 침투하여 배수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관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 일면에는 상기 관로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A Porous And Water Permeable Boundary Stone And Drainage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도로와 보행로를 구획하는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 또는 눈 등에 의한 빗물이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경계석을 침투하여 배수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유동하는 도로의 가변에는 콘크리트 재질의 측구(側溝)가 설치된다. 상기 측구란 도로 가변에 설치되어, 비나 눈에 의해 생긴 도로면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도로의 양쪽 또는 한쪽 도로에 평행하게 만든 배수구로 하수구가 완비된 시가지에서는 차도의 양쪽을 낮게 포장한다거나 낮은 L자형의 측구가 사용된다. 이는 자동차 주행 상의 안정성과 주차 등의 편리를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은 측구는 하수도가 없는 지역의 도로에서는 주로 단면이 U자형으로 되어 있는 측구가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측구에는 도로 경계석이 착설되어 보행 인도와 구획이 되는 바, 상기 측구에는 도로면의 물과 함께 보행 인도에서 도로로 낙하되는 빗물을 배수시키는 빗물받이가 일정 간격으로 도로를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기해 도로에 낙하되는 물은 도로의 경사 구배에 의해 측구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며, 측구로 유동된 물은 빗물받이에 유입, 저장되어 하수구로 유입된다.
그러나, 도로 측에 형성되는 배수 시설에 반해 보행로 측에는 마땅히 배수 시설이 완비되어 있지 않아 우천 시 보행자로 하여금 많은 불편함을 주게 된다.
일 예로, 보행로는 특정 배수 시설이 없기 때문에 장마철 또는 비가 내린 후 일정 기간 동안 빗물이 고여있어 보행자가 항상 육안으로 살펴가며 도보를 해야한다.
뿐만 아니라, 보행로를 따라 설치되는 보도 블록과 같은 경우 장마철 많은 량의 빗물이 보도 블록 하부로 유입되어 지면에 굴곡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보도 블록의 들뜸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들뜬 보도 블록 사이에 고여있던 빗물은 보행자의 도보에 의해 가압받아 빗물이 튀는 등의 보행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행로의 원형을 유지시키고, 보행자로 하여금 빗물에 의한 불쾌감을 주지 않을 수 있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도로와 보행로를 구획하는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은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관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 일면에는 상기 관로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 내부에 매입되며, 상기 배수관과 연통하고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의 일부분이 상기 보행로의 하부에 매입되도록 연장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차수층으로 적층 구성되는 제2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본체의 배수관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은 도로 및 보행로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의 가변에 형성되는 측구와; 상기 측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며 상기 측구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는 빗물받이 덮개; 및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관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 일면에는 상기 관로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로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빗물받이 덮개는 그 하부면에 덮개 필터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 내부에 매입되며, 상기 배수관과 연통하고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의 일부분이 상기 보행로의 하부에 매입되도록 연장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차수층으로 적층 구성되는 제2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본체의 배수관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은 경계석을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구성하고, 그 하부에 배수관을 결합되며 측구의 배수로와 연통되게 함으로써 도로 측의 배수뿐만 아니라 보행로 측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보행로의 내부로 빗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행로의 원형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보행자로 하여금 빗물에 의한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의 일 구성인 유도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보행로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보행로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의 일 구성인 유도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경계석은 도로와 보행로를 구획하는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비 또는 눈 등에 의한 물(이하, '빗물'이라 칭함.)이 경계석을 침투하여 배수관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다공성의 투수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0)가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경계석의 표면을 통해 침투되는 빗물이 하부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본체(10)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에 복수의 반사경(11)이 부착되어 야간에 도로와 인도간의 구분이 명확해지도록 함이 타당하다.
상기 언급한 경계석을 이루는 제1본체의 투수층은 공지기술에 따른 재질로서 콘크리트 및 현무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을 한정하지 않고 다공성으로 투수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빗물이 침투하여 표면에 수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표면에 다공성에 기해 미끄럼이 방지되어 보행자로 하여금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10)의 하면에 배수관(20)이 결합된다. 상기 배수관(20)은 내부에 소정의 관경을 갖는 관로가 형성되어 있고, 일면에는 상기 관로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20)은 후술하는 배수 시스템의 측구에 매립되고, 측구에 형성된 배수로와 연통되어 하수 처리 시설 또는 하수관으로 유입된다.
이처럼,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침투되는 빗물이 상기 배수관(20)으로 유입되어 저장되고, 유입수는 다시 상기 배수공(21)을 통해 하수관으로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내부에 매입되는 유도관(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관(30)은 양 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 내부와 외부에 빗물의 유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관벽체에 다수의 유입공(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관(30)은 제1본체(10) 내부에서 상기 배수관(20)으로 빗물을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배수관(20)과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유입공(31)의 크기 및 수는 현장 시공 여건을 고려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빗물의 유동성을 크게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유입공(31)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그 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단, 상기 유입공(31)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그 수를 늘리는 경우 상대적으로 축하중 및 횡하중에 대한 강성이 작아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재하 하중 등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상기 언급한 문제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도관(30)은 관벽체가 파형으로 구성되어 상재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는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파형관(300a)으로 구성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벽관(300b)으로 구성됨이 타당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도관(30)은 재료면에서도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해야함으로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경계석을 통해 침투되는 빗물은 용이하게 상기 배수관(20)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살펴보면, 상기 경계석은 제1본체(10)와 일체로 연장되는 제2본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4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10)의 일부분이 상기 보행로 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본체(40)는 상기 제1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장판(41)과 상기 연장판(41)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차수층(42)으로 적층 구성된다.
상기 제2본체(40)의 연장판(41)은 상기 보행로의 하부에 매입됨으로써 보행로의 표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제1본체(10)의 배수관(20)으로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차수층(42)은 상기 연장판(41)의 하부면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보행로의 표면으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제2본체(40)로 침투되어 하부의 지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제2본체(40)는 상기 제1본체(10)의 배수관(20)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타당한 바, 이는 상기 제2본체(40)를 통해 보행로의 표면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하여 제1본체(10)와 결합되는 배수관(20)으로 상기 빗물이 저장되도록 한다.
이처럼, 상기 언급한 구성으로 인해 도로면의 측구를 통해 보행로 측으로 넘쳐나는 빗물은 물론, 보행로 측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제1본체(10)에 결합되는 배수관(20)을 통해 동시에 배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보행로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보행로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은 도로(200)와 보행로(60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시키기 위한 구조로 구성되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200) 가변에 형성되는 측구(300)와 상기 측구(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400)와 상기 배수로(400)와 연통되며 상기 측구(300)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는 빗물받이 덮개(500) 및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10) 및 상기 제1본체(10)의 하면에 결합되고 관로가 형성되는 배수관(2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20) 일면에는 상기 관로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로(400)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21)이 형성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4에 도시되는 상기 도로(200)는 최하단에 도로 기초층(210)이 구성되는 바, 상기 도로 기초층(210)은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최종적으로 지지해야하는 면에 해당한다. 상기 도로 기초층(210)의 상부에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도로 상부층(220)이 적층 구성된다. 상기 도로 상부층(220)은 실질적으로 도로 표면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차량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면이다.
이때, 상기 도로(200)는 통상 상기 낙하되는 빗물을 측구(300)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상기 측구(300)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구(300)는 콘크리트 재질로 상기 도로(200)의 가변에 형성되어 도로(200) 표면에서 빗물의 유동에 기해서 직접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구(300)는 상기 도로(200) 표면으로부터 유동되는 빗물을 배수로(400)로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측구(300)의 하부에 소정의 관경을 갖는 배수로(400)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측구(300)의 표면에는 상기 배수로(400)와 연통되며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는 빗물받이 덮개(500)가 구비되고 이를 통해 상기 도로(200)로부터 상기 측구(300)로 유동되는 빗물이 상기 배수로(400)로 유입 및 저장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 배수로(400)의 빗물은 외부로 방류되거나 하수 처리 시설 또는 하수장으로 유동된다.
상기 빗물받이 덮개(500)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이 구성되는 바, 상기 관통공에 의해 쓰레기 등 부피가 큰 이물질은 1차적으로 제거될 것이며, 이에 더하여 도 6의 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빗물받이 덮개(500)의 하부면에는 덮개필터(510)를 더 구비하여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걸러진 빗물은 상기 덮개필터(510)에 의해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져서 상기 배수로(400)로 저장되도록 구성함이 타당하다.
즉, 이물질이 비교적 많이 혼합되는 빗물의 유동에 대해서 빗물받이 덮개(500) 및 덮개필터(510)에 의해 2중으로 필터링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필터(510)는 PVC 등 플라스틱류, 철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하여 이물질과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러야 할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필터 간격을 선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필터(510)는 이물질이 포화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해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에서 보행로(600)의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을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이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 바,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은 상기 측구(3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도로(200)와 보행로(600)를 구획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의 배수관(20)은 측구(300) 하부로 매입되고 배수관(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수공(21)은 상기 배수로(400)와 연통되어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으로부터 침투되는 빗물은 결과적으로 상기 배수관(20)과 배수공(21)을 통해 배수로(400)로 유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20)과 연통하고 복수의 유입공(31)이 형성되는 유도관(30)이 상기 제1본체(10) 내부에 매입되어 구성됨에 따라,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으로부터 침투되는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관(20)으로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로 하부에 매입되는 제2본체(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40)는 상기 제1본체(10)의 일부분이 상기 보행로의 하부에 매입되도록 연장되는 연장판(41) 및 상기 연장판(41)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차수층(42)으로 적층 구성되는 바, 보행로(60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원활하게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의 배수관(20)으로 유동시키게 되고, 배수관(20)에 저장된 빗물은 배수공(21)과 연통되는 상기 배수로(400)로 유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100)의 제2본체(40)는 상기 제1본체(10)의 배수관(20)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보행로(600)의 빗물을 더욱 원활하게 유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은 상술한 구성으로 인해 도로 측의 배수뿐만 아니라 보행로 측의 배수 또한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보행로의 내부로 빗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보행자로 하여금 빗물에 의한 불쾌감을 주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0 : 제1본체 20 : 배수관
21 : 배수공 30 : 유도관
31 : 유입공 40 : 제2본체
100 : 다공성 투수 경계석 200 : 도로
210 : 도로 기초층 220 : 도로 상부층
300 : 측구 400 : 배수로
500 : 빗물받이 덮개 510 : 덮개필터

Claims (9)

  1. 도로와 보행로를 구획하는 경계석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은,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관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 일면에는 상기 관로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 내부에 매입되며, 상기 배수관과 연통하고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의 일부분이 상기 보행로의 하부에 매입되도록 연장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차수층으로 적층 구성되는 제2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본체의 배수관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
  5. 도로 및 보행로의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
    도로의 가변에 형성되는 측구와;
    상기 측구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수로와;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며 상기 측구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노출되는 빗물받이 덮개; 및
    다공성의 투수층으로 이루어진 제1본체 및 상기 제1본체의 하면에 결합되고 관로가 형성되는 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 일면에는 상기 관로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로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공이 형성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받이 덮개는,
    그 하부면에 덮개 필터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 내부에 매입되며, 상기 배수관과 연통하고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유도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투수 경계석은,
    상기 제1본체의 일부분이 상기 보행로의 하부에 매입되도록 연장되는 연장판 및 상기 연장판의 하부면에 부착되는 차수층으로 적층 구성되는 제2본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상기 제1본체의 배수관 방향으로 하향의 경사구배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투수 경계석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1020100026879A 2010-03-25 2010-03-25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101186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79A KR101186881B1 (ko) 2010-03-25 2010-03-25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79A KR101186881B1 (ko) 2010-03-25 2010-03-25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33A true KR20110107633A (ko) 2011-10-04
KR101186881B1 KR101186881B1 (ko) 2012-10-11

Family

ID=4502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879A KR101186881B1 (ko) 2010-03-25 2010-03-25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8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40B1 (ko) * 2014-05-20 2014-11-05 황주연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CN109440578A (zh) * 2018-12-29 2019-03-08 成都建工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路沿石单元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2600A (ja) 2003-06-10 2005-01-06 Hokuetsu:Kk ユニバーサル対応型境界ブロ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40B1 (ko) * 2014-05-20 2014-11-05 황주연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CN109440578A (zh) * 2018-12-29 2019-03-08 成都建工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路沿石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881B1 (ko) 201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104B1 (ko) 필터링 스페이스를 위한 데크보도형 빗물저류장치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KR20140041029A (ko) 교량용 녹화 및 우수 정화 구조체
KR20090120986A (ko)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20090120987A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101136508B1 (ko) 안전을 고려한 하수도 빗물받이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2007100506A (ja) 集水桝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JPH0853808A (ja) 透水性歩道ブロック
CN217439127U (zh) 一种用于城市道路的海绵型边沟结构
JP2008261165A (ja) 歩車道境界用排水装置
KR100763119B1 (ko) 우수처리시스템
CN114922277A (zh) 一种用于城市道路的海绵型边沟结构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JP2000104206A (ja) 舗装用平板並びにこれを用いた舗装及び歩道の構造
KR100949478B1 (ko) 도로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12080B1 (ko) 배수처리를 위한 도로용 경계석 구조
JP4948832B2 (ja) 側溝ブロック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JP3728635B2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JP4125834B2 (ja) 側溝、側溝の蓋部材、および境界ブロック
JPH1037108A (ja) 排水性舗装用集水装置及び排水性舗装における集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