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429B1 - 측구 구조체 - Google Patents

측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429B1
KR101963429B1 KR1020180078784A KR20180078784A KR101963429B1 KR 101963429 B1 KR101963429 B1 KR 101963429B1 KR 1020180078784 A KR1020180078784 A KR 1020180078784A KR 20180078784 A KR20180078784 A KR 20180078784A KR 101963429 B1 KR101963429 B1 KR 101963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rainage
main
auxiliary
drainage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1697A (ko
Inventor
신재철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빈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7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4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보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는 측구 구조체가 개시되며, 본원의 측구 구조체는 내부에 주배수로가 형성되는 주배수부, 및 상기 주배수부와 이웃하며, 상면 개구부를 통한 평면집수가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조배수로가 형성되는 평면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배수로와 상기 주배수로 사이에는,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향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측구 구조체{Gutter Structure}
본원은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측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에는 우천시의 빗물(우수)을 배수시키기 위한 측구가 차도변에 차도를 따라 설치된다. 이때, 측구에 유입된 빗물은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된 집수정으로 차집되어 우수관로로 배출된다. 한편,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경계블록이 설치된다.
따라서, 보도와 차도의 경계부에는 일반적으로 측구와 경계블록이 개별적으로 시공된다. 구체적으로,차도를 포함하는 도로를 건설할 때 측구와 경계블록를 별도의 공정에 따라 시공한 다음 노면 포장 및 보도블록을 시공한다.
한편, 근래 들어 측구와 경계블록을 통합한 구조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빗물 배수 기능과 보차도 경계블록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단순 결합 수준의 통합형 구조만이 소개되고 있을 뿐, 빗물 배수 기능과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복합적으로 조화롭게 수행하면서 유지관리도 용이한 효율적인 통합형 구조에 대한 개발은 미진한 실정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9784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빗물 배수 기능과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복합적으로 조화롭게 수행하면서 유지관리도 용이한 효율적인 통합형 구조의 측구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구 구조체는, 보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는 측구 구조체로서, 내부에 주배수로가 형성되는 주배수부; 및 상기 주배수부와 이웃하며, 상면 개구부를 통한 평면집수가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조배수로가 형성되는 평면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배수로와 상기 주배수로 사이에는,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향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주배수로와 보조배수로를 소정의 높이를 갖는 차단벽을 통해 구획하고, 보조배수로로 1차적인 평면집수가 이루어지며, 주된 배수는 주배수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측구 구조체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특히 초기 우수)에 다량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주배수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보조배수로는 평면집수를 위한 상면 개구부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이 필터링되어 보조배수로 상에 누적된 비점오염물질은 상면 개구부를 통해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있어서도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측구, 경계블록, 배수로 등이 하나의 측구 구조체를 통해 일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어, 종래보다 높은 시공성 및 경제성 또한 확보될 수 있다. 특히, 일체형의 측구 구조체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 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공기 또한 보다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구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를 "B"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구 구조체의 보조배수로에 차단부재가 부가된 구현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구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를 "B"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구 구조체(이하 '본 측구 구조체'라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원은 우수(빗물) 배수 기능, 비점오염 저감 기능, 보도와 차도의 경계블록으로서의 기능 등이 조화롭게 구현될 수 있는 일체형의 복합구조를 갖는 측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참고로, 일체형이라 함은 복수의 블록을 조립하여 단일화된 몸체를 형성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구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를 "B"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측구 구조체는 보도(200)와 차도(3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측구 구조체(100)로서, 주배수부(110) 및 평면집수부(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측구 구조체(100)는 공장에서 블록 형태로 미리 제작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측구 구조체(100)는 철근콘크리트 재질의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측구 구조체(100)는 주철과 같은 금속 재질이거나, 철근 이외에 다른 보강재와 조합된 콘크리트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측구 구조체(100)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주배수부(110)와 평면집수부(120)는 도로 또는 교량의 보도와 차도에서 작용될 수 있는 하중(이를테면 차량 하중, 보도의 군중 하중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여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주배수부(110)는 횡 방향으로의 폭이 200 mm 내지 400 mm일 수 있고, 따른 평면집수부(120)는 횡 방향으로의 폭이 200 mm 내지 400 mm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확장되거나 더 축소되도록 폭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측구 구조체(100)는 종 방향으로의 길이가 1 m 내지 4 m 가량의 단위 블록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주배수부(110)는 내부에 주배수로(11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배수로(111)는 차도와 보도로부터 집수된 우수를 배수하는 주된 경로로서, 종 방향("A"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주배수부(110)는 보도(200)와 차도(300) 중 보도(200)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A" 방향은 본 측구 구조체(100)가 배치되는 도로 또는 교량의 종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B" 방향은 본 측구 구조체(100)가 배치되는 도로 또는 교량의 횡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평면집수부(120)는 주배수부(110)와 이웃하며, 상면 개구부(120a)를 통한 평면집수가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조배수로(121)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조배수로(121)는 전술한 주배수로(111)와 횡 방향("B" 방향)으로 이웃하여, 주배수로(111)와 나란하게 형성되는 경로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평면집수부(120)는 보도(200)와 차도(300) 중 차도(300)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면 개구부(120a)에는 스틸 그레이팅(122)이 배치되는 형태로 개구될 수 있으며, 스틸 그레이팅의 구성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보조배수로(121)와 주배수로(111) 사이에는,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향 돌출된 차단벽(130)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단벽(130)은 소정의 높이(h1)로 구비될 수 있다.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높이(h1)를 갖는 차단벽(130)의 상단(131)보다 아래쪽으로 가라앉는 형태로 필터링되어, 보조배수로(121)에서 주배수로(111)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천시 차도(300) 노면의 우수가 차도 구배를 따라 평면집수부(120) 측으로 흘러 들면, 상면 개구부(120a)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122)을 통해 보조배수로(121)로의 평면집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강우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보조배수로(121)에 집수되는 우수의 수위가 점점 올라가게 된다. 수위가 차단벽(130)의 높이 이상 증가하는 수준으로 강우가 지속되면 보조배수로(121) 상의 우수 중 일부는 차단벽(130)의 상측을 지나 주배수로(111)로 이동하여 주배수로(111)를 통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비점오염물질 중 입자가 큰 모래, 자갈, 금속류 등과 같이 우수보다 밀도가 큰 물질은 차단벽(130)의 상측으로 부유하지 못하고 차단벽(130)의 상단보다 아래쪽으로 침강되므로, 주배수로(111)로의 이동이 차단되고 보조배수로(121)에 남아 있게 된다.
또한, 차단벽(130)은 다공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시적으로 차단벽(130)은 메시(mesh)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공성 부재를 통한 차단벽(130)을 구비함으로써, 보조배수로(121)에서 주배수로(111)로의 우수의 이동은 더욱 용이하게 하면서, 비점오염물질 중 다공성 부재의 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물질들에 대한 필터링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배수로(111)와 보조배수로(121)를 소정의 높이를 갖는 차단벽(130)을 통해 구획하고, 보조배수로(121)로 1차적인 평면집수가 이루어지며, 주된 배수는 주배수로(111)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측구 구조체를 통해 집수되는 초기 우수에 다량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 중 밀도나 비중이 큰 물질을 주배수로(111)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보조배수로(121)는 평면집수를 위한 상면 개구부(120a)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이 필터링되어 보조배수로(121) 상에 누적된 비점오염물질은 상면 개구부(120a)를 통해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유지관리에 있어서도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3은 도 1의 측구 구조체의 보조배수로에 차단부재가 부가된 구현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배수로(121)에는 누적되고 있는 비점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종 방향("A" 방향)으로 원치 않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횡 방향("B" 방향)을 따라 차단부재(135)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단벽(130)이 종 방향("A"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구성인 반면, 차단부재(135)는 차단벽(130)과 직교하는 횡 방향("B"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부재(135)는 차단벽(13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차단부재(135)가 구비된 경우, 보조배수로(121)에 잔존하는 비점오염물질 중 다수는 우수와 함께 흘러 도로 종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차단부재(135)의 벽면에 인접하여 누적되는 형태를 띄게 될 것이다. 이렇게 차단부재(135) 인근에 누적되는 비점오염물질에 대한 유지관리(제거 작업)이 용이하도록,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차단부재(135)는 상면 개구부(120a)를 통해 차단부재(135) 인근에 누적된 비점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주배수부(110)는 평면집수부(120)보다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차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112)는 보도(200)와 차도(300) 사이의 경계블록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측구 구조체(100)만을 설치하면 별도로 경계블록을 설치가 필요가 없어지므로, 시공 공정이 통합되어 공기가 단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차부(112)의 상면은 보차도 경계블록으로서, 오돌도돌한 표면과 같은 높은 조도의 표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단차부(112)는 하측의 주배수로(111)를 형성하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제조될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차부(112)는 하측의 주배수로(111)를 형성하는 부분과 별도로 제조되어 주배수로(111)를 형성하는 부분 위에 안착(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차부(112)의 평면집수부(120)를 향한 측면에는, 보조배수로(121)를 거치지 않고 주배수로(111)로 직접 우수를 유입시키는 측면 집수구(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집수구(110a)는 도로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평면집수부(120)로 유입되는 우수 중 대부분은 주로 차도(300)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이다. 상면 개구부(120a)는 측면 집수구(110a)보다 차도(300)에 더 가깝게 위치하므로, 차도(300)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중 대부분은 측면 집수구(110a)보다는 상면 개구부(120a)에 먼저 도달하게 된다. 즉, 우천시 초기 우수 중 대부분은 일단 상면 개구부(120a)를 통해 보조배수로(121)로 진입하게 되어, 일반적으로 초기 우수에 다수 포함되는 비점오염물질이 차단벽(130)을 통해 걸러지게 된다. 이후에 강수량이 계속적으로 증가되면, 본 측구 구조체 상을 흘러가는 우수 유량이 증가되면서 상면 개구부(120a)를 통해 유입되지 못한 우수는 측면 집수구(110a)를 통해 주배수로(111)로 바로 유입되는 형태로 집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점오염물질을 다량 포함하는 초기 우수는 보조배수로(121)로 유입되도록 하여 차단벽(30)에 의한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초기 이후의 우수는 주배수로(111)로도 직접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배수 기능과 비점오염 저감 기능 모두를 효율적으로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측면 집수구(110a)를 통한 집수 가능 레벨은, 상면 개구부(120a)를 통해 평면집수가 이루어지는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측면 집수구(110a)의 하단은 평면집수가 이루어지는 상면 개구부(120a)가 형성된 높이(레벨)보다 소정의 높이(h2)만큼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벨차(높이차)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는 초기 우수가 측면 집수구(110a)보다는 보조배수로(121)로 먼저 유입되도록 보다 명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112)에서, 측면 집수구(110a)보다 상측에는 종 방향을 따라 연결 홀(112a) 또는 연결 홈(112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 방향("A"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측구 구조체는 연결 홀(112a) 또는 연결 홈(112a)에 삽입되는 연결 부재(112b)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즉, 본 측구 구조체는 공장에서 기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된 다음, 연결 부재(112b)를 통한 조립을 통해 손쉽게 조립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112b)는 합성수지 재질의 파이프 또는 강관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설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양한 구성들이 연결 부재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구 구조체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를 "B" 방향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는 기본형의 측구 구조체로서, 도로 또는 교량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는 주배수로(111)의 배수 용량을 연직 방향(깊이 방향)으로 증가시킨 확장형의 측구 구조체로서, 주로 도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는 주배수로(111)의 폭을 보도(200) 측으로 확장하여 주배수로(111)의 배수 용량을 폭 방향(횡 방향)으로 증가시킨 확장형의 측구 구조체로서, 주로 도로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의 경우, 통공(111a, 121a)과 유공관(140)의 구성을 생략할 경우, 교량에 대한 적용성 또한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주배수부(110) 및 평면집수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정용 앵커(150)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용 앵커(150)는 아래로 갈수록 폭이 확장되는 쐐기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주배수부(110)나 평면집수부(120)가 콘크리트 재질인 경우, 고정용 앵커(150)는 그 하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가 교량에 적용되는 경우, 교량 상부 바닥판(deck) 상에 소정 두께의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고정용 앵커(150)가 버림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도록 측구 구조체를 버림콘크리트 상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측구 구조체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가 도로에 적용되는 경우, 지반 상에 소정 두께의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고정용 앵커(150)가 버림콘크리트 내에 매설되도록 측구 구조체를 버림콘크리트 상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측구 구조체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측구 구조체가 도로에 적용되는 경우, 통공(111a, 121a)을 통한 우수 배출 및 비점오염물질의 2차 필터링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측구 구조체의 하측에는 소정의 투수성을 갖는 모래, 쇄석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고정용 앵커(150)가 쇄석이나 모래 사이에 매설되도록 측구 구조체를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측구 구조체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평면집수부(120)의 차도(300)를 향한 측면에는 보조배수로(121)와 연통하는 보조 측면 집수구(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차도(300)에 투수성을 갖는 포장, 이를테면 투수아스팔트 포장 등이 이루어진 경우, 이러한 투수상 포장의 내부를 통해 이동되는 우수는 보조 측면 집수구(120b)를 통해 보조배수로(121)로 집수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주배수로(111) 및 보조배수로(121)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에는, 비점오염원 중 적어도 일부가 필터링될 수 있도록, 하측 지반층과 연통하는 복수의 통공(111a, 12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배수로(111) 또는 보조배수로(121)를 따라 베수되는 우수 중 적어도 일부는 통공(111a, 121a)을 통해 하측 지반층으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우수에 포함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이 걸러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측구 구조체(100)의 하면과 접촉되는 하측 지반층은 모래층, 쇄석층 등을 적층하여 소정의투수성을 확보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반 구성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원에 의하면, 보조배수로(121)로 주배수로(111) 사이에 형성된 차단벽(130)을 통해 1차적으로 비점오염물질이 필터링되고, 상술한 통공(111a, 121a)을 통해 잔존하는 비점오염물질이 2차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측구 구조체(100)는 상부에 복수의 홀(140a)이 형성되고 하측 지반층에 배치되는 유공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유공관(140)의 말단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면, 주입된 유체가 복수의 홀(140a)을 통해 복수의 통공(111a, 121a) 측으로 분출되면서, 복수의 통공(111a, 121a) 내부 또는 복수의 통공(111a, 121a)과 유공관(140) 사이에 누적된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주배수로(111) 및 보조배수로(121) 중 적어도 한 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통공(111a, 121a)에 의한 필터링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이 하측 지반층에 점차 누적됨으로써 투수성이 저하되어 필터링 효율이 점차적으로 떨어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유지관리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수로(111)의 폭을 보도(200) 측으로 확장하여 주배수로(111)의 배수 용량을 폭 방향(횡 방향)으로 증가시킨 확장형의 측구 구조체의 경우, 투수성으로 구비된 보도(200)로부터 유입되는 우수까지 집수할 수 있도록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통공(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에 의하면, 보도와 차도의 경계 기능, 노면의 배수 기능, 홍수유출 저감 기능, 비점오염 저감 기능 등을 종합적으로 갖춘 일체형의 측구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별도의 측구 타설용 거푸집 사용, 측구 하부 연결관 시공, 비점오염 저감 시설 설치 등의 복수의 시공 공정들이 하나의 공정으로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시공성 내지 경제성이 확보될 수 있다.
특히, 종래에 도로에 설치되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은 L형측구의 우수받이 하부를 활용한 시설들이 대부분으로, 처리용량 확보에 어려움이 많았으나, 본원에 의하면, 측구 구조체 자체적으로 비점오염 저감 기능이 발휘될 수 있으므로, 처리용량 확보에 충분한 여유치가 확보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측구 구조체
110: 주배수부
110a: 측면 집수구
111: 주배수로
111a: 통공
111b: 상면 통공
112: 단차부
112a: 연결 홀 또는 연결 홈
112b: 연결 부재
120: 평면집수부
120a: 상면 개구부
120b: 보조 측면 집수구
121: 보조배수로
121a: 통공
122: 스틸 그레이팅
130: 차단벽
131: 차단벽의 상단
135: 차단부재
140: 유공관
140a: 홀
150: 고정용 앵커
200: 보도
300: 차도

Claims (10)

  1. 보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는 측구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주배수로가 형성되는 주배수부; 및
    상기 주배수부와 이웃하며, 우천시 상기 차도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우수에 대하여 상면 개구부에 설치된 스틸 그레이팅을 통한 평면집수가 이루어지고 내부에 보조배수로가 형성되는 평면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집수부는 보도와 차도 중 차도와 이웃하게 배치되며,
    상기 보조배수로와 상기 주배수로 사이에는,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상기 보조배수로의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차단벽의 상단보다 아래쪽으로 가라앉는 형태로 필터링되어 상기 보조배수로에서 상기 주배수로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향 돌출된 차단벽이 형성되고,
    상기 주배수부는 상기 평면집수부보다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차부의 상기 평면집수부를 향한 측면에는, 상기 보조배수로를 거치지 않고 상기 주배수로로 직접 우수를 유입시키는 측면 집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집수구를 통한 집수 가능 레벨은, 초기 우수가 상기 주배수로보다 상기 보조배수로로 먼저 유입되도록,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평면집수가 이루어지는 레벨보다 높으며,
    상기 보조배수로에는, 누적되고 있는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우수와 함께 종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벽면에 대하여 누적된 비점오염물질을 상기 상면 개구부를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벽과 직교하는 횡 방향을 따라 차단부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보도와 상기 차도 사이의 경계블록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돌출 형성되되. 하측의 주배수로를 형성하는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서, 상기 측면 집수구보다 상측에는 종 방향을 따라 연결 홀 또는 연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구 구조체 및 상기 측구 구조체와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측구 구조체는 상기 연결 홀 또는 상기 연결 홈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 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주배수로 및 상기 보조배수로 중 적어도 하나의 바닥면에는, 비점오염원 중 적어도 일부가 필터링될 수 있도록, 하측 지반층과 연통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주배수부는 상기 주배수로의 폭이 상기 보도 측으로 횡 방향 확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주배수부의 횡 방향 확장된 상면에는 우천시 상기 보도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상기 주배수로로 집수하도록 상면 통공이 형성되는 것인, 측구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벽은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측구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지반층에 배치되는 유공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공관의 말단을 통해 유체가 주입되면, 상기 주입된 유체가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상기 복수의 통공 측으로 분출되면서, 상기 복수의 통공 내부 또는 상기 복수의 통공과 상기 유공관 사이에 누적된 비점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주배수로 및 상기 보조배수로 중 적어도 한 쪽으로 배출되는 것인, 측구 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수부 및 상기 평면집수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는 고정용 앵커가 형성되는 것인, 측구 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집수부의 차도를 향한 측면에는 상기 보조배수로와 연통하는 보조 측면 집수구가 형성되는 것인, 측구 구조체.
KR1020180078784A 2018-07-06 2018-07-06 측구 구조체 KR101963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84A KR101963429B1 (ko) 2018-07-06 2018-07-06 측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84A KR101963429B1 (ko) 2018-07-06 2018-07-06 측구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87A Division KR20170060315A (ko) 2015-11-24 2015-11-24 측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697A KR20180081697A (ko) 2018-07-17
KR101963429B1 true KR101963429B1 (ko) 2019-04-04

Family

ID=6304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84A KR101963429B1 (ko) 2018-07-06 2018-07-06 측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5686A1 (en) * 2020-03-05 2021-09-08 Sierbetonindustrie Markelo B.V. Dam slab for damming a sports field, method for installing and damming a sports fie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am slab for damming a sports fie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9202B (zh) * 2020-03-24 2021-10-08 浙江广盛环境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防积水的加强路基路面
CN113833021A (zh) * 2021-09-30 2021-12-2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地下建筑工程防水排水设施及其施工工艺
KR102447229B1 (ko) * 2021-10-01 2022-09-27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비점 오염 저감용 필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배수 트렌치
US20230250593A1 (en) * 2022-02-06 2023-08-10 Paul Lewis Craver Modular unit, system, and method for curb install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02Y1 (ko) * 2000-09-08 2001-02-15 주식회사홍익기술단 엘형 측구용 원형관
JP2008261165A (ja) * 2007-04-13 2008-10-30 Shigeyuki Matsui 歩車道境界用排水装置
KR101288606B1 (ko) * 2011-06-21 2013-07-22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침투도랑
KR101294715B1 (ko) * 2011-10-04 2013-08-08 이문기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402Y1 (ko) * 2000-09-08 2001-02-15 주식회사홍익기술단 엘형 측구용 원형관
JP2008261165A (ja) * 2007-04-13 2008-10-30 Shigeyuki Matsui 歩車道境界用排水装置
KR101288606B1 (ko) * 2011-06-21 2013-07-22 주식회사 유비이엔씨 침투도랑
KR101294715B1 (ko) * 2011-10-04 2013-08-08 이문기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5686A1 (en) * 2020-03-05 2021-09-08 Sierbetonindustrie Markelo B.V. Dam slab for damming a sports field, method for installing and damming a sports fie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dam slab for damming a sports field
NL2025054B1 (nl) * 2020-03-05 2021-10-14 Sierbetonindustrie Markelo B V Afdammingsplaa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afgedamd sportveld, en werkwijze voor het aanleggen daarv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1697A (ko)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JP5181135B2 (ja) 落葉対策用l型縁塊
JP5419180B2 (ja) 路面排水処理装置
KR100546061B1 (ko) 다면적 여과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 전량 여과방법 및 장치
KR100941705B1 (ko) 집수정
KR100976851B1 (ko) 집수정
KR20090014529A (ko) 배수관에서 배수 유도장치
KR101429147B1 (ko) 연속배수시설이 구비된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JP4112532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100529500B1 (ko) 도로의 배수처리 방법
JP3354126B2 (ja) 路面排水の縦型油水分離処理槽及び路面排水処理施設並びにそのプレキャスト組ブロック
KR101319819B1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JPH033010B2 (ko)
JP4618737B2 (ja) 路面排水処理槽
KR20170060315A (ko) 측구 구조체
KR200224137Y1 (ko)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0151725Y1 (ko) 집수구
JP4528743B2 (ja) 側溝用集水枡及び側溝の施工方法
JP3232449U (ja) 暗渠型側溝
JP2011047107A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歩車道境界排水構造
JPH0699954B2 (ja) 複合機能型側溝
JP4112531B2 (ja) 路面排水処理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