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907B1 -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907B1
KR101593907B1 KR1020140062170A KR20140062170A KR101593907B1 KR 101593907 B1 KR101593907 B1 KR 101593907B1 KR 1020140062170 A KR1020140062170 A KR 1020140062170A KR 20140062170 A KR20140062170 A KR 20140062170A KR 101593907 B1 KR101593907 B1 KR 101593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ilter member
rainwater
case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671A (ko
Inventor
나공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건설
Priority to KR102014006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90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ewag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가장자리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교량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가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유도 배수관을 마련하여 도로 또는 교량으로 침투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아스팔트의 유해 성분을 여과하여 배수시킬 수 있으며, 아스팔트 유해 성분을 제거하여 배수시킴으로써 이로 인한 환경 오염 또는 토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조기 배수효과로 인하여 도로포장의 유지관리 보수에 소요되는 국가예산을 절감하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는 경제적인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Rain-induced Water Pipe for Bridges Eco-friendly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상판으로부터 침투된 빗물을 교량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배수관으로 배수시켜 도로 또는 교량의 포트 홀(pot hole) 발생을 방지하는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통상 아스팔트 또는 시멘트와 골재 등을 혼합하여 시공되고 있으며, 장기간 사용에 따라 아스팔트로 시공된 도로 또는 교량에는 포장면의 일부에 구멍이 발생되고 있다.
이렇게 교량에 발생되는 구멍을 통상 포트 홀(pot hole)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러한 아스팔트 포장면에 발생되는 포트 홀은 아스콘 자체의 공극 또는 시공 시 다짐도 부족에 의하여 빗물(우수)이 아스콘의 공극 사이로 침투하여 포화된 상태에서 차량 통행 시 순간적으로 과잉 간극수압이 형성되어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완시켜 단기간에 균열이 발생되며, 빛과 공기 등에 의한 산화 작용으로 아스콘 재료의 입자가 접착력을 상실하여 재료분리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된다.
특히 여름철 장마에는 빗물에 의한 장기침전으로 인한 것이고, 겨울철에는 노면에 쌓여있던 눈이 녹으면서 아스팔트에 침투하여 결빙과 해동에 의한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아스팔트 포장면이 파손된다.
도로 또는 교량 등에는 교량 상판 또는 교면 포장체가 설치되는데, 소정 위치에 집수정이 설치되며, 집수정의 하측으로 상부배수관이 교량 상판 또는 교면 포장체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하부는 하부배수관과 연결된다.
또한 교면 포장체의 상면은 중앙부로부터 양측 단부를 향하여 소정 각도의 하향 경사를 갖고 있으므로, 강우 등에 의해 교면 포장체의 상면에 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고인 물은 상기 경사에 의해 집수정을 향해 흐르게 되고, 집수정에 집수된 물은 배수관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강우 등에 의해 도로 또는 교량 상면에 고이는 물은 대부분 집수정으로 유입되나, 일부는 포장체의 균열이나 작은 공극을 통해 교면 포장체 내부로 침투하여 체류된다.
종래의 도로 또는 교량의 배수 구조물은 체류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없으므로, 교면 포장체에 잔존하면서 교면 포장 또는 교량 상판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일반 도로포장의 경우에는 포장체를 침투한 빗물(우수)이 자연히 기초지반으로 흡수되므로 별 문제가 없으나, 교량의 교면포장의 경우에는 포장체의 하층에 콘크리트, 강재 등에 의해 형성된 교량 상판 및 이를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과 접착층이 위치하므로, 포장체를 침투한 빗물 등이 교량 상판 또는 방수층을 투과하지 못함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교면 포장체와 교량 상판 사이에 잔존하는 체류수는 아스팔트와 골재의 재료분리 현상을 야기하고, 동절기에는 결빙으로 인한 체적팽창을 일으키므로 포트 홀 등의 포장파손, 교량 상판의 부식 등의 직간접적인 원인이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 침투형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 침투형 구조물은 포장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측구, 상기 측구의 상측에 위치되어 우수가 측구로 유입되도록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로서, 상기 측구는 바닥부에 개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측구에 상기 개구멍에 관통되어 상기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바닥부의 내측 상면에 걸쳐지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면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여 지하로 침투시키는 망체,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화도록 상기 망체 내에 다량으로 충진되는 여과재를 포함하고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배수용 교량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배수용 교량 구조물은 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슬랩; 상기 슬랩의 상면에 형성된 배수성 포장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공은 길이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공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배수공은 거더가 설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배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6-0025962호(2006년 3월 22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10693호(2010년 2월 2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 침투형 구조물은 노면의 가장자리에 시공되어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할 수 있으나, 아스팔트로 된 노면을 통과한 빗물에 아스팔트의 유해 성분이 지하로 흘러 들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도로 또는 교량의 시공 시에 제한되어 우수침투 구조물을 시공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용 교량 구조물은 교면 포장체의 체류수를 배수할 수 있으나, 강재 파이프의 외면에 배수공을 형성하므로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량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스팔트 포장면과 교량의 콘크리트면 사이에 침투한 빗물(우수)을 망상 구조의 필터를 통과시켜 빗물에 함유된 이물질과 아스팔트의 유해 화학물질을 여과시킨 후 유도배수관을 따라 이동시킨 후 배수관으로 신속히 배수시킬 수 있는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또는 교량의 상면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시켜 줌으로써 아스팔트 포장면에 발생되는 포트 홀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또는 교량의 포트 홀을 방지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정운행을 도모 및 교통사고의 발생 원인을 최소화하는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은 교량의 가장자리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교량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가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유도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 배수관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빗물이 흐르도록 형성되는 유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망상 구조로 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덮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덮개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고정되는 스테인리스 메시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 또는 케이스 상면에는 보호 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의 시공방법은 (a) 교량의 가장자리를 일정 깊이와 폭으로 홈부를 형성하는 절단 및 파쇄 단계, (b) 상기 홈부에 유도 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유도 배수관의 상측에 일정 두께로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홈부에는 상기 유도 배수관의 설치하기 전에 방수가 이루어지는 방수층을 일정 두께로 형성하며, 상기 유도 배수관은 상기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일정 크기를 갖는 교량의 둘레를 따라 사각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에 의하면, 도로 또는 교량으로 침투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아스팔트의 유해 성분을 여과하여 배수시킬 수 있으며, 아스팔트에 침투된 빗물을 신속하게 배수시키므로 포트 홀의 발생을 방지하고, 아스팔트 유해 성분을 제거하여 배수시킴으로써 이로 인한 환경 오염 또는 토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배수효과로 인하여 도로포장의 유지관리 보수에 소요되는 국가예산을 절감하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는 경제적인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을 보인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시공방법의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의 시공방법을 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을 보인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은 교량의 가장자리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10), 상기 홈부(10)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교량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20)가 케이스(21) 내부에 내장된 유도 배수관(2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깊이와 폭을 갖는 홈부(10)가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10)는 유도 배수관(20)을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아울러 교량에는 홈부(10)와 연결되어 도로 또는 교량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미도시)이 마련된다.
즉, 배수관(미도시)은 도로 또는 교량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빗물을 배수하는 것으로, 배수관은 교량의 상판(미도시)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하천 등으로 배수되도록 교각 등에 설치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유로(22)와 필터부재(23)가 장착된 상태의 실시 예를 나타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유로(22)와 필터부재(23) 및 덮개(30)가 장착된 상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며,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유로(22)와 필터부재(23) 및 덮개(30)가 장착된 상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유도 배수관(20)은 홈부(10)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케이스(21), 케이스(21)의 하부에 교량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배수되도록 형성되는 유로(22), 유로(22)의 상측에 장착되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필터부재(23)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도 배수관(20)은 홈부(10)에 장착되어 내부로 흘러 들어온 빗물을 여과시킨 다음 이를 유로(22)를 통해 교량의 외부에 설치된 배수관으로로 배출되게 한다.
케이스(21)는 일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케이스(21)의 상면은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케이스(21)에는 하부에 빗물이 흐를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갖는 유로(22)가 형성되고, 유로(22)의 상측에는 필터부재(23)가 장착된다.
필터부재(23)는 교량의 상면 또는 상판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필터부재(23)의 하측에 형성된 유로(22)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필터부재(23)는 교량을 구성하는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를 거치면서 아스팔트의 유해 성분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한다.
아울러 필터부재(23)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 및 빗물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망상(網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터부재(23)는 부직포 등의 여과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부재(23)는 빗물이 아스팔트의 공극을 거치면서 시멘트 또는 아스팔트의 유해 성분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비화학적인 처리로 오일(oil) 성분 등을 여과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필터부재(23)는 아스팔트 또는 보도, 농경지의 배수로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수질을 오염시키는 비점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니필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부재(23)는 장기간 사용되므로, 장기간에 걸쳐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뿐만 아니라 아스팔트를 거치면서 아스팔트의 화학성분을 여과할 수 있도록 적정 두께(높이)로 장착한다.
아울러 필터부재(23)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필터부재(23)를 보다 안정되게 지지하는 스테인리스 메시망(25)이 장착된다. 또 케이스(21)와 필터부재(23)의 상면에는 보호 테이프(27)가 접착되며, 보호 테이프(27)로는 PVC(Poly-Vinyl Chloride) 테이프, PE(Poly Ethylene) 테이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아크릴계, 고무계, 실리콘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배수관(20)은 필터부재(23)가 내장된 케이스(21)의 상면을 덮는 덮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30)는 적정 두께로 형성되며, 덮개(30)에는 교량으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유입구멍(32)이 형성된다.
덮개(30)는 케이스(21)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케이스(21)에 고정되도록 못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33)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덮개(30) 또한 유도 배수관(20)과 동일하게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b)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도 배수관을 도시한 것으로, 도 2(b)에 도시된 유도 배수관(20)에 덮개(30)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필터부재(23)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b)는 필터부재(23)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일정 높이를 갖는 유로(22)가 형성된 것으로, 필터부재(23)의 하측에는 여과된 빗물이 흐르는 유로(22)가 형성되고, 필터부재(23)의 상측에는 교량을 따라 흐른 빗물이 유입되는 유로(22a)가 형성되는데, 유도 배수관(20)에는 필터부재(23)의 상면 일부를 덮는 덮개(30)를 더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유도 배수관(20)의 케이스(21)에는 하부에 유로(22)가 형성되고, 필터부재(23)의 상측에는 유로(22a)가 형성되며, 필터부재(23)의 상면과 하면에는 필터부재(2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스테인리스 메시망(25)이 장착된다.
이에 필터부재(23)는 스테인리스 메시망(25)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되며, 스테인리스 메시망(25)은 하부가 좁은 폭으로 이루어진 유로(22)의 상측에 안정되게 놓여진다.
도 2(c)에서와 같이, 덮개(30)는 케이스(21)의 상면 전체 및 필터부재(23)의 상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덮개(30)로부터 빗물 등이 케이스(21)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유입구멍(32)이 형성되며, 덮개(30)의 양측에는 각각 케이스(21)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고정수단(33)이 체결된다.
덮개(30)의 상면에는 빗물과 함께 낙엽, 모래 등의 이물질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폭으로 연속된 요철부(31)가 형성된다. 이는 낙엽, 모래 등의 이물질이 요철부(31)에 잔존되게 함으로써, 필터부재(23)에 입자가 큰 이물질의 여과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유도 배수관(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필터부재(23)를 유도 배수관(20)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끼워 장착하게 된다.
아울러 케이스(21) 및 덮개(30)의 상면에는 보호 테이프(27)가 부착되며, 유도 배수관(20)은 필터부재(23)가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그 길이를 대략 2~3m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도 배수관(20)에는 덮개(30)의 상면에 보호 테이프(26)가 장착된다.
이러한 필터부재(23)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일정 두께를 갖는 스테인리스 메시망(25)이 고정되며, 케이스(21) 및 필터부재(23)의 상면에는 보호 테이프(26)가 부착되고, 보호 테이프(26)에는 빗물 등이 유입되도록 다수의 구멍(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케이스(21)에는 하부에 유로(22)가 형성되고, 유로(22)의 상측에는 필터부재(23)가 장착되며, 케이스(21)의 상면 및 필터부재(23)의 상면에는 덮개(30)가 마련된다. 이러한 덮개(30)에는 다수로 배열되는 유입구멍(32)이 형성되고, 덮개(30)는 못, 볼트 등의 고정수단(33)에 의해 케이스(21)에 고정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은 도로, 교량 등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관(미도시)에 연결되게 시공한다.
즉, 도로와 교량의 가장자리에는 도로 또는 교량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미도시)이 미리 설치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유도 배수관은(20, 도 8 참조)은 배수관과 배수관 사이에 연결되어 유도 배수관(20)에서 여과된 물이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에 유도 배수관(20)은 도로 또는 교량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되는데, 배수관은 도로 또는 교량의 시공 시에 미리 설치된 상태에서 유도 배수관(2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도로 또는 교량의 시공 시에 배수관 및 유도 배수관(20)을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유도 배수관(20)은 일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케이스(21)를 형성하고, 케이스(21) 내부에는 케이스(21) 내부로 유입되어 여과된 빗물이 흐르는 유로(22)를 형성한다.
아울러 유로(22)의 상측에는 아스팔트의 유해 성분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부재(23)를 내장하며, 필터부재(23)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필터부재(23)를 안정되게 지지하는 스테인리스 메시망(25)을 장착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에는 유로(22)의 상측에 필터부재(23)를 장착하며, 필터부재(23)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스테인리스 메시망(25)을 장착한다.
도 3에서와 같이, 필터부재(23)의 상측에는 유로(22)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유로(22a)에 덮개(30)를 끼워 장착한다. 이러한 덮개(30)에는 그 상면에 요철부(31)가 형성됨과 함께 일정한 간격으로 유입구멍(32)을 형성한다. 즉, 빗물은 덮개(30)를 따라 흐르면서 유입구멍(32)을 통해 빗물이 필터부재(23)로 유입된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케이스(21)에는 여과된 빗물이 흐르도록 유로(22)를 형성하며, 유로(22)의 상측에는 빗물을 여과하는 필터부재(23)를 장착하고, 케이스(21)의 상면에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덮개(30)를 고정수단(33)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덮개(30)에는 교량의 빗물이 유입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유입구멍(32)을 형성한다.
덮개(30)에는 빗물 등이 보다 잘 유입되도록 유입구멍(31)의 상면에 요철부(31)를 형성하며, 빗물 등이 유입되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유입구멍(32)을 다수 형성한다.
이와 함께 덮개(30)의 상면에는 PVC, PE 테이프 등으로 된 보호 테이프(26)를 부착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에는 필터부재(23)가 장착되는 유로(22)를 형성하며, 필터부재(23)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스테인리스 메시망(26)을 고정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23)는 각각 케이스(21)의 길이 방향에서 끼워 장착한다.
아울러 케이스(21)의 상면 및 덮개(30)의 상면에는 보호 테이프(26)를 부착한다.
또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에는 유로(22) 및 필터부재(23)를 장착함은 물론 케이스(21)의 상면 및 필터부재(23)의 상면에 덮개(30)를 고정수단(33)으로 고정하며, 덮개(30)에는 요철부(31) 및 유입구멍(32)을 형성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의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시공방법의 공정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의 시공방법을 순서에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우수 유도 배수관의 시공방법은 (a) 교량의 가장자리를 일정 깊이와 폭으로 홈부를 형성하는 절단 및 파쇄 단계, (b) 상기 홈부에 유도 배수관을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유도 배수관의 상측에 일정 두께로 아스팔트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의 시공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도 6(a)는 도로 또는 교량의 가장자리에 홈부(10)를 형성하기 위하여 교량(또는 도로를 포함)의 가장자리를 커팅하는 것이고, 도 6(b)는 유도 배수관(20)을 설치하기 위하여 홈부(10)를 파쇄하는 것이다.
또한 도 6(c)는 홈부(10)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도 6(d)는 홈부(10)에 유도 배수관(20)을 설치한 상태이며, 도 6(e)는 유도 배수관(20) 상부를 아스팔트로 포설하는 것이다.
도 6(a)에서와 같이, 유도 배수관(20)을 설치하기 위하여 도로 또는 교량의 가장자리는 홈부(10)를 형성하기 위하여 커팅기 등으로 절단된다. 이렇게 절단된 부위는 도 6(b)에서와 같이, 핸드 브레이커 등을 이용하여 파쇄시킴으로써, 일정한 깊이와 폭을 갖는 홈부(10)가 형성된다(S10).
도 6(c)에서와 같이, 홈부(10)에는 에폭시 등의 방수재로 방수층을 형성하며, 도 6(d)에서와 같이, 홈부(10)에는 유도 배수관(20)을 끼워 넣게 된다(S20).
이때 유도 배수관(20)은 케이스(21) 내부에 필터부재(23), 스테인리스 메시망(25) 및 보호 테이프(26)가 부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유도 배수관(20)에는 덮개(30)까지 포함된 상태로 설치된다.
도 6(e)에서와 같이, 유도 배수관(20) 상면에는 일정 두께로 아스팔트를 포설하며, 기 시공된 아스팔트와 동일한 평면으로 아스팔트를 시공하게 된다(S30).
이렇게 시공된 유도 배수관(20)은 도로 또는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며(도 7 참조), 이때 유도 배수관(20)은 도로 또는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교량인 경우에는 교량의 상판 둘레에 설치되는데, 교량의 양측 가장자리 및 신축이음부 사이에도 유도 배수관(20)을 사각형상으로 설치하게 된다.
빗물 또는 폭우 등이 내리게 됨에 따라 빗물이 아스팔트 표면으로부터 침투되어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는 유도 배수관(20) 쪽으로 흐르게 된다.
도로 또는 교량은 중앙부보다 가장자리가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스팔트로 침투된 빗물은 교량의 기울기에 의해 유도 배수관(20)으로 흐르게 된다.
아스팔트를 통과한 빗물에는 아스팔트를 이루는 모래, 점토 등의 일부가 포함된 상태로 이동되며, 빗물은 유도 배수관(20)의 개방된 상면 또는 덮개(30)의 유입구멍(32)을 통해 유도 배수관(20) 내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빗물은 필터부재(23)를 통과하면서 모래, 점토 등의 비교적 입자상으로 된 이물질이 여과됨과 함께 아스팔트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한 화학성분을 여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 및 아스팔트 화학성분이 여과된 빗물은 유도 배수관(20)의 유로(22)와 연결되어 있는 배수관을 통해 교량의 외부 등으로 배수되며, 이에 아스팔트의 유해한 화학성분으로 인한 토양 오염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아스팔트에 침투된 빗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므로 도로의 파손 및 포트 홀의 생성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홈부 20: 유도 배수관
21: 케이스 22: 유로
23: 필터부재 25: 스테인리스 메시망
26: 보호 테이프 30: 덮개
31: 요철부 32: 유입구멍
33: 고정수단

Claims (7)

  1. 교량의 가장자리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부,
    상기 홈부의 내측에 끼워져 상기 교량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여과시키는 필터부재가 케이스 내부에 내장된 유도 배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도 배수관은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필터부재의 하부에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빗물이 흐르도록 형성되는 유로,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여과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망상 구조로 된 필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멍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상기 덮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상기 덮개의 상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고정되는 스테인리스 메시망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 또는 케이스 상면에는 보호 테이프가 부착되며,
    덮개의 상면에는 빗물과 함께 낙엽, 모래의 이물질 유입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폭으로 연속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62170A 2014-05-23 2014-05-23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KR101593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70A KR101593907B1 (ko) 2014-05-23 2014-05-23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70A KR101593907B1 (ko) 2014-05-23 2014-05-23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71A KR20150135671A (ko) 2015-12-03
KR101593907B1 true KR101593907B1 (ko) 2016-02-29

Family

ID=5487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170A KR101593907B1 (ko) 2014-05-23 2014-05-23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5173B1 (ko) 2015-09-24 2017-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방카메라의 장착구조
KR20180021566A (ko) * 2016-08-22 2018-03-05 윤여홍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109555012A (zh) * 2018-12-24 2019-04-02 郑州市市政工程总公司 节段拼装桥梁桥面纵向一体化收水排水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15A (ja) * 2002-05-09 2003-01-24 Ryutaro Yoshitake 道路路面排水における汚染物質濾過システム
JP2009127359A (ja) * 2007-11-27 2009-06-11 Sakazawa Kensetsu:Kk 側溝の排水構造
KR100920060B1 (ko) * 2008-12-03 2009-10-07 신강하이텍(주)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442A (ko) * 1996-09-03 2000-11-25 게르하르트 플라이쉬하케르 필터 요소
KR100635549B1 (ko) 2004-09-18 2006-10-1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KR101054310B1 (ko) 2008-07-23 2011-08-0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배수용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0715A (ja) * 2002-05-09 2003-01-24 Ryutaro Yoshitake 道路路面排水における汚染物質濾過システム
JP2009127359A (ja) * 2007-11-27 2009-06-11 Sakazawa Kensetsu:Kk 側溝の排水構造
KR100920060B1 (ko) * 2008-12-03 2009-10-07 신강하이텍(주)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71A (ko)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1016B2 (en) Storm water pretreatment chamber
KR101225072B1 (ko) 투수 포장 구조체
KR101346104B1 (ko) 필터링 스페이스를 위한 데크보도형 빗물저류장치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152978B1 (ko)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KR101458540B1 (ko) 도로배수 구조물용 투수틀
KR101593907B1 (ko)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CA2920613C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100922895B1 (ko)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수 유입구에 적용가능한 우수여과장치
KR20140001756U (ko) 투수 블록 및 우수관 투수 구조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KR101715196B1 (ko) 무막힘 표면여과 탄성블럭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100983160B1 (ko) 기 설치된 빗물받이를 이용하여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빗물 여과 장치
KR101865202B1 (ko) 우수 배수시설의 전처리장치
KR100966473B1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KR101661520B1 (ko) 다기능 침투형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JP2016079592A (ja) 舗装構造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1196227B1 (ko) 우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JP2013217144A (ja) 噴砂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