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978B1 -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 Google Patents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978B1
KR101152978B1 KR1020110112915A KR20110112915A KR101152978B1 KR 101152978 B1 KR101152978 B1 KR 101152978B1 KR 1020110112915 A KR1020110112915 A KR 1020110112915A KR 20110112915 A KR20110112915 A KR 20110112915A KR 101152978 B1 KR101152978 B1 KR 101152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owing water
water
settling tank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운자
김인성
이정훈
김한종
하진구
민성미
안수종
Original Assignee
(주)비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비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112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도로빗물저류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1)은, 상하가 개방되고 좌우에 연결관(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걸러내는 침전조(20);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침전조(2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침전조(20)를 통과한 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재(31)를 포함하는 여과재층(30); 상기 여과재층(30)의 하부를 포함한 상기 본체(10)의 주변 아래에 충전된 쇄석(41)을 포함하는 쇄석층(40); 및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침전조(20)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아래의 악취가 상기 본체(10)의 입구(12)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수가 유입될 때에는 유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악취차단문부(6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Management Block of Polluted Runoff Having Function of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본 발명은 도로의 노면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도로빗물저류블록에 관한 것이다.
비특정 오염원 또는 면(面)오염원이라고도 하는 '비점오염원'은,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지는 점오염원과는 달리, 강우 등에 의한 도시 노면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한 광범위한 배출경로를 가지는 오염원(장소 및 지역)을 말한다.
비점오염물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도시지역의 교통오염물질, 먼지와 쓰레기,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포함하며,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이 주된 비점오염원이 된다.
비점오염물질은 일반적으로 강우 시에 유출되기 때문에 시간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오염의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 지질, 및 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고, 제도적으로 배출기준을 정하기도 어렵다.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도시지역의 노면배수 시설에 저류조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ㅇ농약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배수는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수초대 등을 설치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경계석을 경계로 차도와 인도로 구분되고, 경계석에 인접한 도로변에는 차도에서 발생한 노면유수를 하천 등으로 배출하기 위한 도로유수배수시설이 매설되어 있다. 이런 도로유수배수시설은 노면유수가 유입되는 집수정들과 집수정들 사이를 연결하는 유수관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유수배수시설은, 단지 노면유수를 신속하게 하천 등으로 배수시키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노면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이 거의 그대로 하천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도의 노면유수는, 유류와 중금속 등의 유독성 오염물을 함유한 상태로 불투수성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표면을 따라 강우 초기에 높은 농도로 집중적으로 배출되는 특성이 있고, 또한 차도에 떨어진 각종 협잡물(휴지, 담배꽁초, 낙엽 각종 조각 등의 부스러기)과 함께 배출되어 집수정과 유수관을 막히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 따라, 도로의 노면유수로부터 비점오염물을 일차적으로 제거(저감)하는 시설이 개발되어 있으며, 예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920060호(2009. 9. 25. 등록)의 '경계석이 일체로 된 도로 비점오염 저감설비',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910661호(2009. 07. 28. 등록)의 '도로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확장형 트리 박스 필터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0867호(2010. 02. 23. 공개)의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1175호(2010. 10. 26. 등록)의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336호(2011. 05. 25 등록)의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노면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도로빗물저류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에서 발생한 노면유수를 도로변의 집수정에서 집수하고 집수정에 유입된 노면유수를 유수관을 통해 배출하는 도로유수배수시설에 관련하여, 집수정과 집수정 사이에 집수정에 인접하여 또는 집수정에 대체하여 유수관 전체 또는 일부에 설치함으로써, 도로유수배수시설을 통과하는 유수로부터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수(빗물)의 지하침투를 허용하는 한편, 악취발생을 억제하고,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는, 도로빗물저류블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은, 본체, 침전조, 여과재층, 쇄석층, 악취차단문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하가 개방되고 좌우에 연결관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단위의 부재이다.
상기 침전조는, 상기 본체 내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걸러낸다.
상기 여과재층은,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침전조를 통과한 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재를 포함한다.
상기 쇄척층은, 상기 여과재층의 하부를 포함한 상기 본체의 주변 아래에 충전된 쇄석을 포함한다.
상기 악취차단문부는, 상기 본체 내의 상기 침전조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아래의 악취가 상기 본체의 입구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수가 유입될 때에는 유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수의 유입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쇄석층은, 상기 쇄석의 도로쪽 경계를 포위하여 유수가 도로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수시트, 및 상기 쇄석의 인도쪽 경계를 포위하여 유수가 인도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는 투수시트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은, 상기 쇄석층과 그 아래의 하부토양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토양의 다져짐으로 인해 유수의 상기 하부토양으로의 침투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래층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악취차단문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 장착되는 상하 개방의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 내벽에서 타측 내벽 쪽으로 상기 타측 내벽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는 위치까지 뻗은 제1 격판;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측 내벽으로부터 상기 제1 격판의 아래에 상하로 일정 폭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격판과 일정 길이 중첩되게 뻗은 제2 격판; 및 상기 제1 격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동되어 상기 제2 격판의 끝단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 격판과 상기 제2 격판 사이의 상기 폭에 해당하는 수로를 폐쇄하고,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수로를 개방하는 쪽으로 회동되는 수문판;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악취차단문부는, 상기 본체에 삽입 장착되는 상하 개방의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하되, 아래쪽 면은 회전축 쪽이 날개 쪽보다 하중이 무거워서,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입구를 폐쇄하게 수평으로 회전되어 있고,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이 가해지는 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입구를 개방하는 회전문;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연결관과의 사이에 거름망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을 도로에서 발생하는 노면유수를 집수하여 하천으로 배수하는 도로유수배수시설에 적용하면, 노면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노면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로 인한 수질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은, 집수정을 포함한 도로유수배수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취가 지상으로 방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은, 노면유수 모두를 그대로 하천으로 배출하지 아니하고 적어도 일부가 주변 토양으로 침투되게 하여 지하수에 편입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자원 확충에 유용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다른 방향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을 2개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분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종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구체예에 따른 예시적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다른 방향 종단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3, 도8 및 도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1)은, 도로의 차도(2)와 인도(3)의 경계를 따라 설치되는 종래의 도로유수배수시설에 적용하는 블록 단위의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1)은, 도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집수정(4)과 집수정 사이를 연결하는 유수관(5)을 대체하여 설치하며, 도로의 규모, 강우량, 및 비점오염물의 발생량 등에 따라, 비점오염물의 부하가 큰 경우에는 기존의 집수정과 유수관 전체나 상당부분을 대체하여 적용할 수도 있고, 비점오염물의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일부분만을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10은 집수정(4)의 양측으로 각각 2개씩 본 발명의 도로빗물저류블록(1)을 적용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빗물저류블록(1)들로 유입된 노면유수 중 일부는 주변 토양으로 침투되어 지하수가 되고, 침투되지 못하고 집수정(4)에 모인 유수는 집수정(4)의 배수관(6)을 통해 하천 등으로 흘러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1)은, 도1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침전조(20), 여과재층(30), 쇄석층(40), 및 악취차단문부(60)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모래층(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나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상하의 면은 개방되어 있고 좌우와 전후의 면은 막혀 있는 상하 개방의 직육면체(사각통) 형상이다.
본체(10)의 사이즈는 기본적으로 종래 도로유수배수시설의 집수정(4)과 유수관(5)에 부합하는 사이즈인 것이 바람직하나, 신설되는 도로의 경우 도로의 특성에 맞게 그 사이즈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체(10)의 사이즈는, 좌우의 길이 1,000mm, 상하의 폭 750mm, 높이 1,000mm, 후술하는 연결관(11)의 직경 200mm로 할 수 있다.
본체(10)의 좌우에는 대략 중앙 위치에 다른 본체(10)나 기존의 집수정 또는 유수관으로 유수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관(11)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관(11) 중에 일측은 직경이 작은 돌출관(11a)으로 형성하고 타측의 연결관(11)은 돌출관(11a)이 꼭 맞게 조립되는 연결구멍(11b)으로 형성함으로써, 제1의 본체(10)의 돌출관(11a)을 인접한 제2의 본체(10)의 연결구멍(11b)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연결관(11)으로 본체(10)들을 연이여 연결하면 전체적으로 유수가 흘러갈 수 있는 유수관으로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침전조(20)는 상기 본체(10) 내에 예를 들어 대략 연결관(11)의 저면 높이 정도에 걸쳐 삽입 장착됨으로써 유수에 포함된 흙과 같은 침전물을 침전에 의해 걸러내는 부재이다. 도로를 따라 흐른 유수에는 담배꽁초와 같은 상대적으로 큰 이물과 함께 흙과 같은 미세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바, 후술하는 이물거름대(70)나 그레이팅(80)과 같은 거름구조에 의해 담배꽁초와 같은 거대 이물이 걸러진 후에 걸러지지 않은 흙과 같은 미세 이물이 침전조(20)에 침전된다.
첨부 도면에 예시된 침전조(20)는 둘레에 통수구(21)가 형성된 사각 쟁반 형상으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여과재층(30) 위에 올려져 있다. 침전조(20)를 여과재층(30)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할 경우 본체(10)에는 예를 들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침전조(20)가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예시한 본체(10)에 적용하는 침전조(20)로 예를 들어 대략 230mm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침전조(20)에 낙하된 유수에 포함된 미세 이물은 침전조에 침전되고 유수는 통수구(21)를 통해 아래로 흘러 내려간다. 침전조(20)에 모인 미세 이물은 침전조(20)를 본체(10)의 입구(12)로 인출하여 청소한 후에 다시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여과재층(30)은 본체(10) 내의 침전조(20)의 아래에 충전되며, 침전조(20)를 통과한 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여과한다. 앞서 예시한 본체(10)에 적용하는 여과재층(30)로는 예를 들어 대략 100mm의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여과재층(30)에 적용되는 여과재(31)로서는 유수에 포함된 유류와 같은 각종 비점오염물을 흡착(흡수) 및 여과로 제거할 수 있는 여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바람직하게 비점오염물에 대해 오염물질 흡착 및 분해력이 우수한 바이오세라믹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런 여과재층(30)은 그 수명을 다했을 때 본체(10)의 입구(12)를 통해 교체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적용하는 바이오세라믹으로는, 본 출원인이 소유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807175호(2008. 02. 27. 공고)의 '수질정화용 바이오 세라믹'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특허의 바이오세라믹은 오염수와 접촉하면 오염수로부터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한 유류성분, 중금속, 담수조류의 집단발생을 유도하는 질소와 인과 같은 부영양화 수질오염물질 등을 흡착 제거하고, 또한 유기물을 광촉매 작용에 의해 광분해함으로써, 노면유수로부터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킨다.
상기 쇄석층(40)은, 여과재층(30)의 하부를 포함한 본체(10)의 주변 아래에 충전된 쇄석(41)을 포함하며, 여과재층(30)을 통과한 후에 유입된 유수를 쇄석(41)의 공극 속에 일시적으로 저수하는 작용을 한다.
앞서 예시한 사이즈의 본체(10)가 적용되는 경우, 쇄석(41)은 그 상단(연결관의 저면)에서부터 대략 1,700mm 깊이로 충전할 수 있고, 쇄석(41)으로서는 적당한 크기(예, 직경 20mm 내지 40mm)의 자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쇄석층(40)은 차수시트(42) 및 투수시트(43)를 더 포함한다.
차수시트(42)는 쇄석(41)의 도로쪽 경계를 포위함으로써 쇄석(41)에 저수된 유수가 도로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차수시트(42)로서는 불투수성을 가진 폴리에틸렌 시트와 같은 합성수지 시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투수시트(43)는 쇄석(41)의 인도쪽 경계를 포위함으로써 쇄석(41)의 유실을 차단하는 한편, 쇄석(41)에 저수된 유수가 인도쪽으로 흘러들어가 지하수로 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투수시트(43)로서는 폴리에스테르나 폴리프로필렌 시트와 같은 통수성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쇄석층(40)의 작용에 따라, 본체(10)로 유입된 유수는 크고 작은 이물질과 비점오염물이 감소된 상태로 쇄석층(40)에 일시 저수된 후에, 그 아래쪽의 하부토양(7)과 인도쪽의 토양으로 침투하여 지하수로 편입되지만, 쇄석층(40)의 옆에 있는 도로쪽으로는 침투하지 아니하여 도로 침하 등의 요인이 되지 아니한다.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기 모래층(50)은, 쇄석층(40)의 아래에 있는 하부토양(7)과의 사이에 적용하는 공극률이 높은 모래의 층이다. 모래층(50)은 쇄석층(40)에 저수된 유수가 그 아래의 하부 토영(7)으로 침투하는 것은 방해하지 아니하면서 쇄석층(40)의 하중 등에 의해 하부토양(7)이 단단하게 다져지고, 이런 하부토양(7)의 다져짐으로 인해 하부토양(7)으로의 물의 침투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앞서 예시한 사이즈의 본체(10)가 적용될 경우, 예를 들어 모래층(50)은 대략 100mm 정도 두께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1)에 의하면, 강우에 의해 노면유수가 발생할 경우에 후술하는 그레이팅(80)과 이물거름대(70), 침전조(20) 및 여과재층(30) 등에 의해 초기의 노면유수에 포함된 이물과 비점오염물을 제거하고, 정화된 유수를 쇄석층(40)에 일시 저수함과 아울러 주변 토양으로 침투되게 하지만, 이후 계속적인 강우로 유수의 유입량이 쇄석층(40)의 저수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정화 없이 연결관(11)을 통해 그대로 배수한다. 그러나 유류와 같은 도로의 비점오염물은 강우가 시작되는 초기 강우에 대부분이 씻겨 초기 노면유수에 높은 농도로 포함되고, 이후의 노면유수에는 비점오염물의 농도가 급격히 줄게 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초기 노면유수 이후 과량으로 발생한 노면유수를 정화 없이 그대로 배수한다고 해도 노면유수로부터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상기 악취차단문부(60)는, 본체(10) 내에 상기 침전조(20)의 상부에 장착되며, 유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그 아래의 악취가 본체(10)의 입구(12)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강우 등으로 인하여 유수가 유입될 때에는 유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부재이다.
악취차단문부(60)로서는 평상시 폐쇄상태에 있다가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면 개방되고 유수가 없어지면 다시 폐쇄되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악취차단문부(60)로서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를 적용할 수 있다.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는, 도1 및 도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1), 제1 격판(62), 제2 격판(63) 및 수문판(6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1)은 본체(10)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상하 개방의 직육면체 형상의 골격부이다.
상기 제1 격판(62)은 하우징(61)의 일측 내벽(61a)에서 타측 내벽(61b) 쪽으로 타측 내벽(61b)과의 사이에 틈(61c)이 형성되는 위치까지, 바람직하게 아래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판으로서, 본체(10)에 유입된 유수는 제1 격판(62)을 따라 흐른 후에 틈(61c)을 통해서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
제2 격판(63)은 하우징(61)의 타측 내벽(61b)으로부터 제1 격판(62)의 아래에 상하로 일정 폭(W) 이격된 상태로 제1 격판(62)과 일정 길이(L) 중첩되게, 바람직하게 아래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판으로서, 틈(61c)을 통해서 아래로 내려온 유수는 제2 격판(63)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되, 상기 폭(W)에 해당하는 수로(64a)를 통해서 아래로 흘러간다.
상기 수문판(64)은 그 상단이 제1 격판(6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수의 하중이 수문판(64)에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동 되어 제2 격판(63)의 끝단(63a)에 접해 있게 됨으로써 제1 격판(62)과 제2 격판(63) 사이의 폭(W)에 해당하는 수로(64a)를 폐쇄하고, 이로써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악취가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강우로 인하여 유수가 유입되어 그 하중이 수문판(64)에 가해지면, 수문판(64)은 수로(64a)를 개방하는 쪽으로 회동하여 유수가 제2 격판(63)의 아래로 흘러 내려갈 수 있게 되며, 유수가 없어지면 다시 수로(64a)를 폐쇄하는 쪽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의 작용에 따라,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악취가 본체(10)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강우로 유수가 유입되면 개방되어 유수가 그 아래의 침전조(20)로 흘러들어 간다.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하우징(61)의 하단이 침전조(20)에 올려지도록 아래로 길게 신장되어 있고, 하우징(61)이 연결관(11)을 막지 않도록 하우징(61)에서 연결관(11)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있으며, 이때 하우징(61)의 제거된 부분에 거름망(67)을 설치하여, 유수가 연결관(11)을 통과할 때 거름망(67)에 의해 이물이 걸러지도록 한 것이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와 본체(10) 사이에는 적절한 걸쇠나 록킹수단을 설치하여 관리자 이외에는 본체(10)로부터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20)는 본체(10)의 깊은 위치에 장착되므로 이를 투입 및 인출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와 침전조(20)를 연결고리와 같은 적절한 연결수단(도시생략)으로 연결하여 본체(10)에 대해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를 투입 및 인출할 때 침전조(20)도 함께 투입 및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가 침전조(20)에 올려지지 않고 침전조로부터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10) 내벽의 적당한 위치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가 걸림턱에 걸쳐져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문판(64)과 제2 격판(63)의 대응하는 위치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자력에 의해 수문판(64)의 폐쇄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일정량 이상의 유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라면 수문판(64)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악취차단문부(60)로서는 도6 내지 도9에 도시된 회전문식 악취차단문부(60b)를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문식 악취차단문부(60b)는 하우징(61), 프레임(65) 및 회전문(6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1)은,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의 하우징(61)과 마찬가지로, 본체(10)에 삽입 장착되는 상하 개방의 직육면체 형상의 골격부이다.
상기 프레임(65)은 하우징(61)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회전문(66)을 설치하기 위한 강도를 제공하는 보강부이다.
상기 회전문(66)은 프레임(65)에 회전축(66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본체(10)의 입구(12)를 개폐하는 회전식 문으로서, 평평한 판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아래쪽 면의 경우 회전축(66a) 쪽이 날개(66b) 쪽보다 하중이 무거운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입구(12)를 폐쇄하는 수평 위치를 유지하다가, 어느 한쪽 날개로 편중되어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면 해당 부분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입구(12)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문식 악취차단문부(60b)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회전문(66)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입구(12)를 폐쇄하여 악취가 본체(10)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있게 되고, 강우로 유수가 유입되면 회전문(66)이 하중을 받는 쪽으로 회전하면서 입구(12)를 개방하여 유수가 그 아래의 침전조(20)로 흘러들어가도록 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프레임(65)과 회전문(66)의 대응하는 위치에도,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와 마찬가지로, 영구자석과 부착하여 자력에 의해 폐쇄상태(회전문의 수평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일정량 이상의 유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라면 회전문(66)이 수평상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회전문식 악취차단문부(60b)에도, 수문식 악취차단문부(60a)와 마찬가지로, 거름망(67), 회전문식 악취차단문부(60b)와 본체(10) 사이에 설치되는 걸쇠나 록킹수단, 회전식 악취차단문부(60b)와 침전조(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 회전문식 악취차단문부(60b)가 침전조(20)의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체(10) 내벽에의 걸림턱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도로빗물저류블록(1)에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입구(12)와 악취차단문부(60) 사이에 이물거름대(70)를 추가로 장착하고, 아울러 도1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최상단에는 통상의 그레이팅(80)을 장착할 수 있다.
이물거름대(70)는 그 위에 올려지는 격자가 큰 통상의 그레이팅(80)에 의해서는 걸러지지 아니하는 담배꽁초와 같은 이물을 걸러주는 작용을 한다.
이물거름대(70)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거름틀(71)에 형성된 중앙 구멍(72)에 그릴(73)을 걸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1: 본 발명의 도로빗물저류블록 4: 집수정
5: 유수관 6: 배수관
7: 하부토양 10: 본체
11: 연결관 12: 입구
20: 침전조 30: 여과재층
40: 쇄석층 41: 쇄석
42: 차수시트 43: 투수시트
50: 모래층 60, 60a, 60b: 악취차단문부
61: 하우징 61a, 61b: 하우징의 내벽
61c: 틈 62: 제1 격판
63: 제2 격판 63a: 끝단
64: 수문판 64a: 수로
65: 프레임 66: 회전문
66a: 회전축 66b: 날개
67: 거름망 70: 이물거름대

Claims (7)

  1. 상하가 개방되고 좌우에 연결관(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걸러내는 침전조(20);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침전조(2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침전조(20)를 통과한 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재(31)를 포함하는 여과재층(30);
    상기 여과재층(30)의 하부를 포함한 상기 본체(10)의 주변 아래에 충전된 쇄석(41)을 포함하는 쇄석층(40); 및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침전조(20)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아래의 악취가 상기 본체(10)의 입구(12)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수가 유입될 때에는 유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악취차단문부(60); 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악취차단문부(60)는,
    상기 본체(10)에 삽입 장착되는 상하 개방의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61);
    상기 하우징(61)의 일측 내벽(61a)에서 타측 내벽(61b) 쪽으로 상기 타측 내벽(61b)과의 사이에 틈(61c)이 형성되는 위치까지 뻗은 제1 격판(62);
    상기 하우징(61)의 상기 타측 내벽(61b)으로부터 상기 제1 격판(62)의 아래에 상하로 일정 폭(W)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 격판(62)과 일정 길이(L) 중첩되게 뻗은 제2 격판(63); 및
    상기 제1 격판(6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동되어 상기 제2 격판(63)의 끝단(63a)에 접함으로써 상기 제1 격판(62)과 상기 제2 격판(63) 사이의 상기 폭(W)에 해당하는 수로(64a)를 폐쇄하고,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수로(64a)를 개방하는 쪽으로 회동되는 수문판(6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2. 상하가 개방되고 좌우에 연결관(11)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0);
    상기 본체(10) 내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걸러내는 침전조(20);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침전조(20)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침전조(20)를 통과한 유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을 여과하는 여과재(31)를 포함하는 여과재층(30);
    상기 여과재층(30)의 하부를 포함한 상기 본체(10)의 주변 아래에 충전된 쇄석(41)을 포함하는 쇄석층(40); 및
    상기 본체(10) 내의 상기 침전조(20)의 상부에 삽입 장착되고, 유수가 유입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아래의 악취가 상기 본체(10)의 입구(12)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수가 유입될 때에는 유수의 하중에 의해 개방되어 유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악취차단문부(60); 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악취차단문부(60)는,
    상기 본체(10)에 삽입 장착되는 상하 개방의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61);
    상기 하우징(61)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프레임(65); 및
    상기 프레임(65)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입구(12)를 개폐하되, 아래쪽 면은 회전축(66a) 쪽이 날개(66b) 쪽보다 하중이 무거워서,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상기 입구(12)를 폐쇄하게 수평으로 회전되어 있고, 유수의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이 가해지는 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입구(12)를 개방하는 회전문(6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층(40)과 그 아래의 하부토양(7)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토양(7)의 다져짐으로 인해 유수의 상기 하부토양(7)으로의 침투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래층(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쇄석층(40)은, 상기 쇄석(41)의 도로쪽 경계를 포위하여 유수가 도로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수시트(42), 및 상기 쇄석(41)의 인도쪽 경계를 포위하여 유수가 인도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허용하는 투수시트(4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1)에는 상기 연결관(11)과의 사이에 거름망(67)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6. 삭제
  7. 삭제
KR1020110112915A 2011-11-01 2011-11-01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KR101152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915A KR101152978B1 (ko) 2011-11-01 2011-11-01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2915A KR101152978B1 (ko) 2011-11-01 2011-11-01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978B1 true KR101152978B1 (ko) 2012-06-11

Family

ID=4660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2915A KR101152978B1 (ko) 2011-11-01 2011-11-01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97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08B1 (ko) * 2016-02-29 2017-01-17 삼창엔지니어링(주) 지하주차장의 차수 공법
KR101875675B1 (ko) * 2017-10-13 2018-07-06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KR101888595B1 (ko) * 2018-04-13 2018-08-14 김영만 저영향개발시설용 소규모 침강 정화장치
KR102074736B1 (ko) 2019-10-30 2020-02-12 이옥노 분산식 빗물 관리구조
WO2021075631A1 (ko) * 2019-10-18 2021-04-22 정창관 도로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 유도 장치
KR102466896B1 (ko) * 2021-08-19 2022-11-14 (주)태현건설이엔씨 피톤치드 함유 음이온라디칼순환세라믹을 이용한 하수맨홀 악취제거구조
CN117071463A (zh) * 2023-08-30 2023-11-17 核工业华南建设工程集团公司 预制涵洞构件及使用该构件的路桥涵洞构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60B1 (ko) 2007-03-16 2007-09-27 김병진 하수구 맨홀용 악취차단 부재
KR100846069B1 (ko) 2008-03-10 2008-07-11 이병인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KR100952192B1 (ko) 2010-01-07 2010-04-09 임철웅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20100131226A (ko) * 2009-06-05 2010-12-15 대송환경개발(주) 비점오염물질 정화용 맨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60B1 (ko) 2007-03-16 2007-09-27 김병진 하수구 맨홀용 악취차단 부재
KR100846069B1 (ko) 2008-03-10 2008-07-11 이병인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KR20100131226A (ko) * 2009-06-05 2010-12-15 대송환경개발(주) 비점오염물질 정화용 맨홀
KR100952192B1 (ko) 2010-01-07 2010-04-09 임철웅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908B1 (ko) * 2016-02-29 2017-01-17 삼창엔지니어링(주) 지하주차장의 차수 공법
WO2017150853A1 (ko) * 2016-02-29 2017-09-08 삼창엔지니어링(주) 지하주차장의 차수장치 및 공법
KR101875675B1 (ko) * 2017-10-13 2018-07-06 청호환경개발주식회사 도로비점 저감을 위한 유류분해 및 인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 침투통
KR101888595B1 (ko) * 2018-04-13 2018-08-14 김영만 저영향개발시설용 소규모 침강 정화장치
WO2021075631A1 (ko) * 2019-10-18 2021-04-22 정창관 도로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 유도 장치
KR102074736B1 (ko) 2019-10-30 2020-02-12 이옥노 분산식 빗물 관리구조
KR102466896B1 (ko) * 2021-08-19 2022-11-14 (주)태현건설이엔씨 피톤치드 함유 음이온라디칼순환세라믹을 이용한 하수맨홀 악취제거구조
CN117071463A (zh) * 2023-08-30 2023-11-17 核工业华南建设工程集团公司 预制涵洞构件及使用该构件的路桥涵洞构造
CN117071463B (zh) * 2023-08-30 2024-04-02 核工业华南建设工程集团公司 预制涵洞构件及使用该构件的路桥涵洞构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978B1 (ko) 비점오염물 저감 기능을 가지는 도로빗물저류블록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446275B1 (ko) 도로와 보도의 홍수피해 예방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이 가능한 우수 저류 및 침투 시스템과 그의 시공방법
KR100810415B1 (ko) 비점오염물질 우수받이
JP4836038B2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KR20170010040A (ko) 친환경 여과 집수조 및 그것을 이용한 우수 재순환 시스템
KR101489248B1 (ko) 정화 필터가 구비된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062391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바이오 필터가 적용된 주차장
KR10099117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20090120986A (ko) 비점오염원의 처리를 위한 측구.
KR102079736B1 (ko) 도시형 수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0904081B1 (ko) 바이패스 수로가 부설된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여과형 수로
JP4364996B2 (ja) 透水性舗装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100922895B1 (ko)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우수 유입구에 적용가능한 우수여과장치
JPH05132993A (ja) 雨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維持方法および雨水濾過 方法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KR101649039B1 (ko) 친환경 빗물받이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20170084428A (ko) 식생포트 및 상기 식생포트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30070074A (ko)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1219791B1 (ko) 정화유닛을 이용한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20100059750A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130070075A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0978238B1 (ko)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